맨위로가기

네트워크 아키텍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통신 시스템의 구조와 설계를 의미하며, OSI 모델을 통해 계층화된 구조를 갖는다. OSI 모델은 응용 계층, 표현 계층, 세션 계층, 전송 계층, 네트워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물리 계층 등 7개의 계층으로 구성되며, 각 계층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고 상위 및 하위 계층과 통신한다. OSI 모델은 분산 컴퓨팅과 TCP/IP 모델과 연관되어 있으며, 한국은 OSI 모델 기반의 네트워크 기술 발전에 기여해왔다. 하지만 OSI 모델은 복잡성과 비효율성으로 인해 비판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트워크 아키텍처 - 신경망
    신경망은 생물학적 뉴런과 인공 뉴런을 아우르는 개념으로, 생물학적 신경망은 전기화학적 신호 전달을 통해 근육 운동을 제어하고, 인공 신경망은 예측 모델링과 인공 지능 문제 해결에 활용된다.
  • 네트워크 아키텍처 - 5G 네트워크 슬라이싱
    5G 네트워크 슬라이싱은 하나의 물리적 네트워크를 여러 논리적 네트워크로 분할하여 각 슬라이스가 서로 다른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는 5G 핵심 기술로, 한국은 세계 최초 5G 상용화를 통해 다양한 분야 활용을 위한 연구개발과 인프라 구축을 지원하고 있으며, 기술적 과제와 경제적 어려움 극복 및 기술 고도화와 표준화가 필요하다.
  • 통신공학 - 무선 통신
    무선 통신은 전선 없이 전자기파 등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마르코니의 무선 전신 실험 성공 이후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으며, 현대 사회에서 필수적인 기술로 자리 잡았다.
  • 통신공학 - FM 방송
    FM 방송은 주파수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음질이 좋고 잡음에 강하며 스테레오 방송과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라디오 방송 기술이다.
네트워크 아키텍처
네트워크 아키텍처 개요
정의컴퓨터 네트워크의 논리적, 기능적 구조, 운영 원칙, 절차 및 데이터 형식을 정의하는 설계도 또는 프레임워크이다.
중요성효율적인 데이터 통신, 확장성, 보안, 관리 용이성 확보를 위해 필수적이다.
관련 요소네트워크 토폴로지
통신 프로토콜
주소 지정 체계
보안 메커니즘
네트워크 장비 구성
네트워크 토폴로지 (Network topology)
설명네트워크의 물리적 또는 논리적 연결 형태를 의미한다.
종류버스 토폴로지 (Bus topology)
링 토폴로지 (Ring topology)
스타 토폴로지 (Star topology)
트리 토폴로지 (Tree topology)
메시 토폴로지 (Mesh topology)
하이브리드 토폴로지 (Hybrid topology)
통신 프로토콜 (Communication protocol)
설명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 교환을 위한 규칙 및 절차의 집합이다.
종류TCP/IP
HTTP
FTP
SMTP
DNS
UDP
주소 지정 체계 (Addressing scheme)
설명네트워크 장치 및 리소스에 고유한 주소를 할당하는 방법이다.
종류IPv4
IPv6
MAC 주소
보안 메커니즘 (Security mechanism)
설명네트워크 및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기술적 및 관리적 조치이다.
종류방화벽 (Firewall)
침입 탐지 시스템 (Intrusion Detection System, IDS)
침입 방지 시스템 (Intrusion Prevention System, IPS)
암호화 (Encryption)
VPN
네트워크 모델 (Network model)
설명네트워크 기능을 계층적으로 구조화하여 설명하는 모델이다.
종류OSI 모델
TCP/IP 모델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 (Client-server architecture)
설명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역할 분담을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 아키텍처이다.
특징중앙 집중식 관리
확장성 용이
보안 강화
피어-투-피어 아키텍처 (Peer-to-peer architecture)
설명네트워크 참여자들이 동등한 역할을 수행하는 아키텍처이다.
특징분산 시스템
자원 공유 용이
중앙 서버 부하 감소
네트워크 장비 (Network equipment)
종류라우터 (Router)
스위치 (Switch)
허브 (Hub)
방화벽 (Firewall)
무선 액세스 포인트 (Wireless Access Point, AP)
네트워크 관리 (Network management)
설명네트워크 성능 모니터링, 문제 해결, 보안 관리 등을 포함하는 활동이다.
도구SNMP
네트워크 모니터링 시스템 (Network Monitoring System, NMS)
기타 고려 사항
확장성네트워크 트래픽 증가에 대비한 확장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가용성시스템 장애에 대비한 이중화 및 백업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성능네트워크 지연 시간 및 대역폭을 최적화해야 한다.
비용네트워크 구축 및 유지 보수 비용을 고려해야 한다.
네트워크 가상화 (Network virtualization)
설명물리적인 네트워크 인프라를 추상화하여 논리적인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하는 기술이다.
종류VLAN
SDN
NFV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Software-Defined Networking, SDN)
설명네트워크 제어 기능을 물리적인 장비로부터 분리하여 소프트웨어로 제어하는 아키텍처이다.
특징중앙 집중식 제어
프로그래밍 가능
유연성 및 확장성 향상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NFV)
설명네트워크 기능을 전용 하드웨어 장비 대신 범용 서버에서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하는 기술이다.
특징비용 절감
유연성 및 확장성 향상
서비스 출시 시간 단축

2. OSI 모델의 구조

OSI 모형은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7개의 계층으로 나누어 정의한다. 각 계층은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며, 상위 계층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하위 계층으로부터 서비스를 받는다.[6][2][4] OSI 모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1.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물리적 매체를 통한 데이터 전송 기능을 담당한다.

2.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물리적 네트워크에서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책임진다.

3.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데이터 패킷의 라우팅을 수행한다.

4.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종단 간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한다.

5. 세션 계층 (Session Layer): 응용 프로그램 간 연결(세션)을 관리한다.

6. 표현 계층 (Presentation Layer): 데이터 형식 정의, 암호화/복호화를 수행한다.

7. 응용 계층 (Application Layer):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2. 1. 응용 계층 (7계층)

응용 계층은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계층으로, HTTP, FTP, SMTP, DNS, 텔넷 등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이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6][2][4]

분류:응용 계층 프로토콜에서 더 많은 응용 계층 프로토콜을 확인할 수 있다.

2. 2. 표현 계층 (6계층)

표현 계층은 OSI 모형의 6번째 계층으로, 데이터의 형식을 정의하고 암호화/복호화, 압축/해제 등의 기능을 수행하여 응용 프로그램 간의 데이터 교환을 원활하게 한다.

표현 계층의 주요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다.

2. 3. 세션 계층 (5계층)

세션 계층은 응용 프로그램 간의 연결(세션)을 설정, 유지, 종료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데이터 동기화 및 복구 기능도 제공한다.[6][2][4]

세션 계층의 주요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다:

2. 4. 전송 계층 (4계층)

전송 계층은 종단 간(end-to-end)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며, 오류 제어, 흐름 제어, 혼잡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주요 프로토콜로는 TCP, UDP, SCTP, DCCP, QUIC 등이 있다.[6][2][4]

2. 5. 네트워크 계층 (3계층)

네트워크 계층은 OSI 모형의 7개 계층 중 세 번째 계층으로, 데이터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라우팅(routing) 기능을 담당한다.[6] [2] [4] 이 계층에서는 IP 주소를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식별하고 패킷의 경로를 결정한다.

네트워크 계층의 주요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다.

2. 6. 데이터 링크 계층 (2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은 물리적인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MAC 주소를 사용하여 장치를 식별하고 오류 검출 및 정정 기능을 수행한다.[6][2][4]

데이터 링크 계층의 주요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다.

프로토콜설명
이더넷대부분의 유선 LAN 환경에서 사용되는 표준 프로토콜
와이파이 (IEEE 802.11)무선 LAN 환경에서 널리 사용되는 프로토콜
PPP두 장치 간의 점대점 연결을 위한 프로토콜
프레임 릴레이WAN 연결을 위한 고성능 패킷 교환 프로토콜
ATM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셀 기반 스위칭 및 다중화 기술
ARPIP 주소를 MAC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IS-IS
SDLC
HDLC
CSLIP
SLIP
GFP
PLIP
IEEE 802.2
LLC
L2TP
ITU-T G.hn DLL
X.25 LAPB
Q.921 LAPD
Q.922 LAPF


2. 7. 물리 계층 (1계층)

물리 계층은 네트워크 케이블, 광섬유, 무선 주파수 등 물리적인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필요한 전기적, 기계적, 절차적 특성을 정의한다.

다음은 물리 계층의 주요 기술이다.

기술
RS-232
EIA/TIA-449
ITU-T V 계열
I.430
I.431
PDH
SONET/SDH
PON
OTN
DSL
IEEE 802.3
IEEE 802.11
IEEE 802.15
IEEE 802.16
IEEE 1394
ITU-T G.hn PHY
USB
블루투스
RS-449

[6]

3. OSI 모델과 분산 컴퓨팅

분산 컴퓨팅에서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분산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의 구조와 분류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분산 애플리케이션에 참여하는 노드는 종종 '네트워크'라고 불리기 때문이다.[3] 예를 들어, 공중전화망(PSTN)의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는 인텔리전트 네트워크라고 불린다. 여러 가지 특정 분류가 있지만, 모두 멍청한 네트워크(예: 인터넷)와 인텔리전트 네트워크(예: PSTN) 사이의 연속체에 있다.

분산 애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영구 가상 회로에서 이 용어의 사용에 대한 대표적인 예는 피어 투 피어(P2P) 서비스 및 네트워크에서 노드의 구성이다. P2P 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기본 물리적 또는 논리적 네트워크 위에서 실행되는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구현한다. 이러한 오버레이 네트워크는 여러 가지 구별되는 모델에 따라 노드의 특정 조직 구조, 즉 시스템의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구현할 수 있다.

4. OSI 모델과 TCP/IP 모델

OSI 모형은 계층화된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개념을 정의한다. 계층은 통신 시스템을 더 작은 부분들로 나누는 방법이다. 각 계층은 비슷한 기능들의 모임으로, 위 계층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바로 아래 계층에서 서비스를 받는다. 각 계층의 인스턴스는 상위 계층의 인스턴스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하위 계층에 서비스를 요청한다.[6]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 접속 모델(OSI 모델)은 계층화된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개념을 정의하고 체계화한다. 추상화 계층은 통신 시스템을 더 작고 관리 가능한 부분으로 세분화하는 데 사용된다. 각 계층에서 인스턴스는 위 계층의 인스턴스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아래 계층에 서비스를 요청한다.[4]

5. 비판 및 한계

OSI 모형은 이론적으로는 훌륭하지만, 실제 구현에서는 복잡하고 비효율적이라는 비판을 받는다.[6] 또한, 일부 프로토콜은 OSI 모델의 계층 구조에 정확히 들어맞지 않는 경우도 있다.[6]

참조

[1] 웹사이트 X.225 : Information technology –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 Connection-oriented Session protocol: Protocol specification https://www.itu.int/[...] 2023-03-10
[2] 뉴스 What is OSI model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 Definition from WhatIs.com https://searchnetwor[...] 2018-10-09
[3] 서적 Distributed and Cloud Computing http://worldcat.org/[...]
[4] 뉴스 What is OSI model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 Definition from WhatIs.com https://searchnetwor[...] 2018-10-09
[5] 서적 Distributed and Cloud Computing http://worldcat.org/[...]
[6] 뉴스 What is OSI model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 Definition from WhatIs.com https://searchnetwor[...] 2018-1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