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 혜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 혜공은 춘추 시대 노나라의 군주로, 46년간 재위했다. 혜공은 적부인에게서 아들을 얻지 못하고, 첩 성자에게서 노 은공 식고를 낳았다. 식고가 송나라 무공의 딸 중자를 아내로 맞았으나, 혜공이 그녀를 빼앗아 아들 노 환공 윤을 낳고 태자로 삼았다. 혜공 사후, 윤의 나이가 어려 식고가 섭정했다. 혜공은 말년에 송나라와 싸워 승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나라의 군주 - 노 환공
노 환공은 춘추 시대 노나라의 제16대 군주로, 혜공의 아들이며 은공의 섭정 후 즉위하여 18년간 재위했으나 제나라 방문 중 암살당했고, 그의 아들들은 훗날 노나라 권력을 장악한 삼환의 시조가 되었다. - 노나라의 군주 - 노 장공
춘추 시대 노나라의 제16대 군주인 노 장공은 제나라와의 잦은 전쟁과 외교적 활동을 펼쳤으며, 제나라 내전 개입과 제 환공과의 화평을 통해 영토를 회복하기도 했으나, 후계자 선정 실패로 정치적 혼란을 야기했다. - 춘추 시대의 군주 - 제 희공
제 희공은 제나라의 제후로서 주변국과 우호 관계를 맺고, 송나라와 위나라 사이의 분쟁을 중재하며 북융의 침입을 격퇴하는 등 활발한 대외 활동을 펼쳤으나, 말년에 후계 구도에 혼란을 야기하다가 재위 33년 만에 사망했다. - 춘추 시대의 군주 - 제 환공
제 환공은 춘추 시대 제나라의 제후이자 춘추오패의 첫 번째 패자로, 관중을 등용하여 제나라를 강성하게 만들고 초나라의 남진을 저지하는 등 춘추 시대 초반 질서 확립에 기여했으나, 관중 사후 정치적 혼란과 후계자 다툼으로 비참한 최후를 맞이하여 복합적인 평가를 받는다.
노 혜공 | |
---|---|
기본 정보 | |
이름 | 혜공 희불황 |
대수 | 제13대 |
호칭 | 공 |
왕조 | 노 |
재위 기간 | 기원전 768년 - 기원전 723년 |
도읍 | 곡부 |
휘 | 희불황 |
시호 | 혜공 |
부친 | 효공 |
몰년 | 혜공 46년 (기원전 723년) |
2. 생애
《사기》에는 혜공이 아들 식고의 아내가 될 송나라 무공의 딸 중자가 아름답다는 이유로 빼앗아 자신의 아내로 삼고 아들 윤을 낳았다는 이야기가 실려 있다. 윤을 태자로 삼았으나, 혜공이 죽었을 때 윤의 나이가 어려 사람들이 식고를 옹립하여 섭정하게 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사마정은 《사기색은》에서 이러한 기록에 의문을 표했고, 초주도 이를 부정했다.[1]
말년에는 송나라와 싸워 황 땅에서 송나라 군대를 무찔렀다.[2]
2. 1. 출생과 가계
惠公|혜공중국어은 적부인에게서 아들을 얻지 못했고, 천첩 성자(聲子)에게서 아들 식고를 낳았다. 식고가 송나라 무공의 딸 중자(仲子, 성이 자이고 무공의 둘째 딸로 태어났으므로 중자라 함)를 아내로 맞게 되었는데, 그 여자가 아름다워 빼앗아 아내로 삼아 아들 윤을 낳았고, 송나라 공녀를 부인으로 삼았다.[1] 윤을 태자로 삼았으나, 혜공이 죽었을 때 윤의 나이가 어려 노나라 사람들이 식고를 옹립하여 섭정하게 했다.그러나 사마정은 《사기색은》에서 혜공이 며느리를 빼앗았다면 춘추에 무도한 임금이라 기록되었을 텐데 그런 말이 없으므로 의문을 표했고, 초주도 이를 부정했다.[1]
2. 2. 왕위 계승 논란
惠公|혜공중국어은 적부인에게서 아들을 얻지 못했고, 천첩 성자(聲子)에게서 아들 식고를 낳았다. 식고가 송나라 무공의 딸 중자(仲子, 성이 자이고 무공의 두번째 딸로 태어났으므로, 중자라 함)를 아내로 맞게 되었는데, 그 여자가 아름다워 빼앗아 아내로 삼아 아들 윤을 낳았고, 송나라 공녀를 부인으로 삼았다. 또 윤을 태자로 삼았으나, 惠公|혜공중국어이 죽었을 때 윤의 나이가 어려 노나라 사람들이 식고를 옹립하여 섭정하게 했다.[1]그러나 사마정은 《사기색은》에서, 惠公|혜공중국어이 며느리를 빼앗았다면 춘추에 무도한 임금이라 기록되었을 텐데 그런 말이 없으므로 의문을 표했고, 초주도 이를 부정했다.[1]
2. 3. 치세와 사망
노 혜공은 적부인에게서 아들을 얻지 못했고, 천첩 성자(聲子)에게서 아들 식고를 낳았다. 식고가 송나라 무공의 딸인 중자(仲子, 성이 자이고 무공의 둘째 딸로 태어났으므로, 중자라 함)를 아내로 맞게 되었는데, 그 여자가 아름다워 혜공이 빼앗아 아내로 삼아 아들 윤을 낳았고, 송나라 공녀를 부인으로 삼았다.[1] 또 윤을 태자로 삼았으나, 혜공이 죽었을 때 윤의 나이가 어려 노나라 사람들이 식고를 옹립하여 섭정하게 했다.그러나 사마정은 《사기색은》에서, 혜공이 며느리를 빼앗았다면 춘추에 무도한 임금이라 기록되었을 텐데 그런 말이 없으므로 의문을 표했고, 초주도 이를 부정했다.[1]
말년에 송나라와 싸워, 송나라의 황(黃) 땅에서 송나라 군대를 무찔렀다.[2]
3. 가정
魯惠公중국어의 가족 관계는 다음과 같다.
관계 | 이름 |
---|---|
아버지 | 효공 |
형제 | 희익사(자는 중부, 중씨의 조상), 희무해(자는 자전, 전씨의 조상), 희혁(후씨의 조상, 후혜백), 장희백(장손씨의 조상) |
부인과 자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라.[1]
3. 1. 부인
3. 2. 자녀
4. 재위 기간
惠公|혜공중국어은 적부인에게서 아들을 얻지 못했고, 천첩 성자(聲子)에게서 아들 식고를 낳았다. 식고가 송나라 무공의 딸 중자(仲子)를 아내로 맞게 되었는데, 혜공은 그 여자가 아름다워 며느리를 빼앗아 아내로 삼아 아들 윤을 낳았다. 그러나 사마정은 《사기색은》에서, 혜공이 며느리를 빼앗았다면 춘추에 무도한 임금이라 기록되었을 텐데 그런 말이 없으므로 의문을 표했고, 초주도 이를 부정했다.[1]
혜공은 송나라 공녀로 부인을 삼고 윤으로 태자를 삼았으나, 혜공이 죽었을 때 윤의 나이가 어려 노나라 사람들이 식고를 옹립하여 섭정하게 했다.
말년에 송나라와 싸워, 송나라의 황(黃) 땅에서 송나라 군대를 무찔렀다.[2]
4. 1. 연표
노혜공 | 1년 | 2년 | 3년 | 4년 | 5년 | 6년 | 7년 | 8년 | 9년 | 10년 |
---|---|---|---|---|---|---|---|---|---|---|
서기 | 기원전 768년 | 기원전 767년 | 기원전 766년 | 기원전 765년 | 기원전 764년 | 기원전 763년 | 기원전 762년 | 기원전 761년 | 기원전 760년 | 기원전 759년 |
간지 | 계유 | 갑술 | 을해 | 병자 | 정축 | 무인 | 기묘 | 경진 | 신사 | 임오 |
노혜공 | 11년 | 12년 | 13년 | 14년 | 15년 | 16년 | 17년 | 18년 | 19년 | 20년 |
서기 | 기원전 758년 | 기원전 757년 | 기원전 756년 | 기원전 755년 | 기원전 754년 | 기원전 753년 | 기원전 752년 | 기원전 751년 | 기원전 750년 | 기원전 749년 |
간지 | 계미 | 갑신 | 을유 | 병술 | 정해 | 무자 | 기축 | 경인 | 신묘 | 임진 |
노혜공 | 21년 | 22년 | 23년 | 24년 | 25년 | 26년 | 27년 | 28년 | 29년 | 30년 |
서기 | 기원전 748년 | 기원전 747년 | 기원전 746년 | 기원전 745년 | 기원전 744년 | 기원전 743년 | 기원전 742년 | 기원전 741년 | 기원전 740년 | 기원전 739년 |
간지 | 계사 | 갑오 | 을미 | 병신 | 정유 | 무술 | 기해 | 경자 | 신축 | 임인 |
노혜공 | 31년 | 32년 | 33년 | 34년 | 35년 | 36년 | 37년 | 38년 | 39년 | 40년 |
서기 | 기원전 738년 | 기원전 737년 | 기원전 736년 | 기원전 735년 | 기원전 734년 | 기원전 733년 | 기원전 732년 | 기원전 731년 | 기원전 730년 | 기원전 729년 |
간지 | 계묘 | 갑진 | 을사 | 병오 | 정미 | 무신 | 기유 | 경술 | 신해 | 임자 |
노혜공 | 41년 | 42년 | 43년 | 44년 | 45년 | 46년 | ||||
서기 | 기원전 728년 | 기원전 727년 | 기원전 726년 | 기원전 725년 | 기원전 724년 | 기원전 723년 | ||||
간지 | 계축 | 갑인 | 을묘 | 병진 | 정사 | 무오 |
참조
[1]
서적
노주공세가제3
[2]
서적
은공 원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