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 3차 발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누리호 3차 발사는 2023년 5월 25일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큐브위성 8기를 탑재하여 성공적으로 발사되었다. 2021년 누리호 1차 발사 때 제작된 로켓을 사용했으며, 발사 과정에서 차세대 소형위성 2호와 도요샛 4기를 포함한 위성 분리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차세대 소형위성 2호는 X 밴드 합성개구레이더(SAR)를 탑재하고 있으며, 큐브위성으로는 JAC, LUMIR-T1, KSAT3U, 도요샛 4기가 함께 발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우주발사체 - 고체 연료 소형 발사체
고체 연료 소형 발사체는 한미 미사일 지침 종료 후 탄도 미사일 기술을 활용해 대한민국이 개발 중인 소형 위성 발사체로, 신속한 발사 가능성과 군사적, 상업적 활용성을 지니며 자주국방 능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대한민국의 우주발사체 - KSLV-S
KSLV-S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개발 중인 500kg 이하 소형 위성 발사체이며, 누리호 시험발사체를 활용하여 1단 75톤급 엔진과 2단 3톤급 메탄 엔진을 사용하며, 소형 위성 발사 수요 증가에 맞춰 개발이 추진된다.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아리랑 3A호
아리랑 3A호는 대한민국에서 개발하여 2015년에 발사된 지구 관측 위성으로, 고해상도 카메라와 적외선 센서를 통해 주야간으로 지구를 정밀하게 관측하며 기후 변화 분석과 재해 감시에 활용되고, 쎄트렉아이 자회사를 통해 위성 영상이 상용 판매된다.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아리랑 3호
아리랑 3호는 한국항공우주산업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국제협력을 통해 개발한 70cm급 고해상도 광학장비 탑재 지구관측위성으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쎄트렉아이 자회사를 통해 상용화되었으며 2012년 일본에서 발사되었다. - 소모성 우주발사체 - 아리안 5
아리안 5는 유럽우주국의 중량급 로켓으로, 다양한 파생 모델을 거쳐 최대 10,500kg의 탑재체를 정지궤도 전이궤도까지 운반하는 ECA 모델이 주력으로 활용되었으나, 아리안 6 개발로 2023년 퇴역하였다. - 소모성 우주발사체 - 새턴 V
새턴 V는 미국의 아폴로 계획과 스카이랩 계획에 사용된 다단식 액체 추진 로켓으로, NASA에 의해 13회 발사되어 인류 최초의 달 착륙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으며, 현재 3기가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 누리호 3차 발사 | |
|---|---|
| 누리호 정보 | |
![]() | |
| 이름 | 누리호 |
| 용도 | 지구 저궤도 인공위성 발사 |
| 제작자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화, 현대중공업 등 |
| 사용 국가 | 대한민국 |
| 발사장 | 고흥군 봉래면 나로우주센터 |
| 홈페이지 | 누리호 공식 홈페이지 |
| 로켓 제원 | |
| 전장 | 47.2 m 23 m(1단), 15.6 m(2단), 7 m(3단) |
| 직경 | 3.5 m(1단), 2.6 m(2단), 2.6 m(3단) |
| 중량 | 200 t |
| 단수 | 3단 |
| LEO 하중 | 1,900 kg (700km 태양동기궤도) |
| 발사 이력 | |
| 최초 발사일 | 2021년 10월 21일 17:00 |
| 총 발사 수 | 3 |
| 성공 수 | 2 |
| 실패 수 | 1 |
| 상태 | 사용 중 |
| 1단 추진체 정보 | |
| 추진제 | 액체추진제(케로신/액체 산소) |
| 연소 시간 | 128.3 s |
| 비추력 | 298.1 s |
| 추력 | 300t |
| 엔진 | 4 x KRE-075 |
| 2단 추진체 정보 | |
| 추진제 | 액체추진제(케로신/액체 산소) |
| 연소 시간2 | 143.9 s |
| 비추력2 | 315.4 s |
| 추력2 | 75 t |
| 엔진2 | 1 x KRE-075 |
| 3단 추진체 정보 | |
| 추진제3 | 액체추진제(케로신/액체 산소) |
| 비추력3 | 325.1 s |
| 추력3 | 7 t |
| 엔진3 | 1 x KRE-007 |
2. 역사
2021년 10월 21일 누리호 1차 발사가 이루어졌다. 3차 발사는 1차 발사 때 만들어진 로켓을 사용했다.[3][4][5][6][7][8][9]
2. 1. 1차 발사 (2021년)
2021년 10월 21일 누리호의 1차 발사가 이루어졌다.[3][4][5][6][7][8][9]2. 2. 3차 발사 (2023년)
누리호 3차 발사는 2023년 5월 25일에 이루어졌다. 당초 5월 10일로 예정되었으나, 한 차례 연기되어 5월 24일에 발사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발사 2시간 반 전, 발사 제어 컴퓨터와 발사 설비 컴퓨터 간의 통신 장애로 인해 발사가 추가 연기되었다.[3][4] 발사 시간은 오후 6시 24분으로 동일하며, 8기의 큐브위성을 탑재했다.5월 25일, 누리호는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기술적 결함을 극복하고 성공적으로 발사되었다.[5] 발사 125초(2분 5초) 뒤 1단 분리, 2분여 뒤에는 2단 분리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 누리호는 정상 비행을 계속하여 오후 6시 37분경 목표 고도인 550km에 도달했다. 이후 차세대 소형위성 2호 분리에 성공하고, 20초 간격으로 도요샛 4기를 분리했다. 발사 923초(15분 23초) 뒤인 오후 6시 39분경, 모든 위성 분리가 완료되었다.
차세대 소형위성 2호는 발사 40여 분만인 25일 오후 7시 7분경 남극 세종기지 지상국에서 신호가 확인되었다.[6] LUMIR-T1은 오후 7시 53분, 도요샛 1호기(가람)는 오후 8시 3분에 비콘 신호가 수신되었다. 26일 오전 6시 40분경, 도요샛 2호기(나래)는 위성신호 수신 및 양방향 교신을 수행했으며, KSAT3U는 25일 오후 11시 7분에 비콘 신호를 수신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같은 날 오후 6시 24분경 도요샛 4호기(라온)의 신호를 수신하는 데 성공했다.[7][8] 그러나 도요샛 3호기(다솔)는 위성사출 장치에서 나오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9]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도요샛 4기 중 2기(다솔, JAC)는 지속적으로 교신을 시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3. 탑재체
누리호 3차 발사에는 주 탑재체인 차세대소형위성 2호와 함께 져스텍의 JAC, 루미르의 LUMIR-T1, 카이로스페이스의 KSAT3U, 한국천문연구원의 도요샛 등 7기의 큐브위성이 탑재되었다. 차세대소형위성 2호는 해상도 5m의 X 밴드 합성개구레이더(SAR)를 탑재하고 있으며, 개발에는 총 297억원이 투입되었다.
3. 1. 차세대 소형위성 2호
차세대소형위성 2호는 무게 150kg, 고도 500km, 임무수명 2년이며, 해상도 5m의 X 밴드 합성개구레이더(SAR)를 탑재한다.[1]2017년 3월부터 2020년 12월 발사까지 총 297억원이 투입되어 개발되었다.[1]
3. 2. 큐브위성
누리호 3차 발사에는 큐브위성 7기가 함께 발사되었다. 발사 후 약 15분이 지난 6시 37분, 누리호 3단부가 고도 550km 목표 궤도에 진입하여 차세대소형위성 2호를 성공적으로 분리하였다. 이후 20초 간격으로 져스텍의 JAC, 루미르의 LUMIR-T1, 카이로스페이스의 KSAT3U 등 큐브위성 3기를 분리했다. 이어서 한국천문연구원의 도요샛 4기를 20초 간격으로 사출하여 위성을 궤도에 투입하는 임무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각 큐브위성의 정보는 다음과 같다.
| 개발 기관 | 위성 이름 | 무게 | 기타 |
|---|---|---|---|
| 져스텍 | JAC | 4kg | 해상도 4 m |
| 루미르 | LUMIR-T1 | 10kg | |
| 카이로스페이스 | KSAT3U | 6kg | |
| 한국천문연구원 | 도요샛 1호 | 10kg | |
| 한국천문연구원 | 도요샛 2호 | 10kg | |
| 한국천문연구원 | 도요샛 3호 | 10kg | |
| 한국천문연구원 | 도요샛 4호 | 10kg |
참조
[1]
문서
Ibid.
[2]
서적
[3]
웹인용
누리호 3차발사 연기…이르면 내일 오후 발사 재시도(종합)
https://www.yna.co.k[...]
2023-05-24
[4]
웹인용
누리호, 오늘 저녁 6시24분 3차 발사 재시도…기술 문제 해결
https://www.newsis.c[...]
2023-05-25
[5]
웹인용
與, 누리호 3차 발사 성공에 "K-우주시대 개막 알려"
https://www.news1.kr[...]
2023-05-25
[6]
뉴스
누리호 첫 '실전발사' 성공... 실용위성 궤도 안착
https://news.jtbc.co[...]
jtbc뉴스
2023-05-26
[7]
웹인용
누리호 위성과 교신 성공…8기 중 5기 신호가 왔다
https://www.joongang[...]
2023-05-26
[8]
웹인용
'행방 불명' 라온이 찾았다…누리호가 수송한 위성 8기 중 6기 교신
https://news.mt.co.k[...]
2023-05-26
[9]
웹인용
도요샛 '다솔' 못 내린 듯…과기정통부 "사출 안된 것으로 추정"
https://www.yna.co.k[...]
2023-05-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