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항공우주연구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은 항공우주과학기술 연구, 기술 개발 및 보급을 통해 국가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된 대한민국 정부출연 연구기관이다. 항공기, 인공위성, 우주발사체 관련 시스템 및 핵심 기술을 연구하고, 국가 항공우주개발 정책을 지원하며, 관련 산업계 협력 및 전문 인력 양성을 수행한다. 1981년 설립되어 1989년부터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으며, 한국 최초의 우주비행사 배출, 다목적실용위성 개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발사 성공 등 굵직한 성과를 거두었다. 현재 대전 본원을 중심으로 나로우주센터, 고흥항공센터 등 연구 시설을 운영하고 있으며, 위성 개발, 발사체 개발, 달 탐사, 항공기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2024년 5월 대한민국 우주항공청이 설립되면서 우주항공청 산하 법인으로 편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우주항공청 -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은 천문우주과학 발전을 위해 설립된 정부출연연구기관으로, 천문학 및 우주과학 연구, 관측 시설 운영, 대국민 지식 보급 등을 수행하며, 2024년 대한민국 우주항공청 산하 법인으로 편입되었다. - 대한민국 우주항공청 - 대한민국의 우주항공청장
대한민국의 우주항공청장은 대통령이 임명하며 우주항공청의 정책과 사업을 총괄하고 운영 전반을 결정하는 수장으로, 윤석열 정부는 2024년 5월 27일 강구영을 초대 청장으로 임명했다. - 대한민국의 엔진 제조업체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1977년 삼성정밀공업으로 설립되어 항공기 엔진, 방산 제품, 우주 발사체 부품 등을 생산하는 대한민국의 기업으로, 사명 변경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항공우주, 방산, 전기추진체계를 주요 사업 분야로 K9 자주포, 누리호 엔진, UAM용 수소연료전지 등을 개발·생산하고 사업 영역 확장 및 사업 재편을 추진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엔진 제조업체 - 삼성중공업
삼성중공업은 1974년 설립되어 선박 건조, 해양 플랫폼, 풍력 발전 설비 사업을 영위하는 대한민국의 조선 및 해양 플랜트 기업으로, LNG선, 드릴십 등 고부가가치 선박 건조에 강점을 가진다. - 항공우주 연구소 - 정보통신연구기구
정보통신연구기구는 일본의 정보 통신 분야를 연구하는 국립연구개발법인으로, 전자기파, 네트워크, 사이버 보안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와 주파수 표준 설정, 일본표준시 발표 등의 국가 서비스 사업을 수행한다. - 항공우주 연구소 - 나로우주센터
나로우주센터는 전라남도 고흥군 외나로도에 위치한 대한민국 우주 센터로, 나로호와 누리호 발사를 통해 대한민국의 우주 개발 역량을 보여주는 핵심 기지이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우주센터]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영문 명칭 |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KARI) |
한자 명칭 | 韓國航空宇宙研究院 |
약칭 | 항우연 |
모토 | Aerius Spatium (항공우주) |
설립일 | 1989년 10월 10일 |
소유주 | 국가과학기술연구회 |
본부 위치 | 대전광역시 유성구 |
우주 기지 | 나로우주센터 |
웹사이트 | 공식 KARI 웹사이트 (영어) 공식 KARI 웹사이트 (한국어) |
![]() | |
조직 | |
원장 | 이상률 |
예산 | |
예산 (2021년) | ₩6150억 원 (미화 5억 5310만 달러) |
시설 | |
항공 센터 | 고흥 항공 센터 |
추적소 | 제주추적소 팔라우추적소 웨노추적소 |
2. 설립 목적 및 주요 기능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은 1989년 10월 10일에 설립되어, 항공우주과학기술 영역의 새로운 탐구, 기술 선도, 개발 및 보급을 통해 국민 경제의 건전한 발전과 국민 생활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5]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항공기·인공위성·우주발사체의 종합시스템 및 핵심기술 연구개발
- 국가항공우주개발 정책수립 지원, 항공우주 기술정보의 유통 및 보급·확산
- 시험평가시설의 산·학·연 공동 활용, 중소·중견기업 등 관련 산업계 협력·지원 및 기술사업화
- 정부, 민간, 법인, 단체 등과 연구개발협력 및 기술용역 수탁·위탁, 주요 임무 분야의 전문인력 양성
3. 연혁
- 1989년 10월: 한국기계연구소 부설 항공우주연구소 설립[5]
- 1990년 12월: 항공우주연구소 기공
- 1992년 9월: 산업자원부 항공우주산업개발촉진법에 의한 성능품질검사 전문기관 지정
- 1992년 11월: 항공우주연구소 완공
- 1993년: 까치호 비행
- 1996년 11월: 재단법인 한국항공우주연구소 설립
- 1997년 3월: 쌍발 복합재료 항공기 개발
- 1998년 6월: 2단형 과학로켓 (KSR-Ⅱ) 발사
- 1999년 1월: 한국항공우주연구소 설립근거 변경
- 1999년 12월: 다목적실용위성 1호(아리랑 1호) 발사
- 2001년 1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으로 명칭 변경
- 2001년 9월: 선미익 항공기(반디호) 개발
- 2002년 11월: 한국 최초 액체추진과학로켓 (KSR - III) 발사
- 2003년 5월: 항공기 체계종합/성능시험 센터 기공
- 2003년 8월: 우주센터 기공
- 2003년 9월: 과학기술위성 1호 발사[6]
- 2003년 10월: 다목적 성층권 장기체공 무인비행선 개발
- 2004년 10월: 제주추적소 기공
- 2005년 1월: 남극 소형관제소 설치
- 2006년 7월: 다목적실용위성 2호(아리랑 2호) 발사
- 2008년 3월: 기초기술연구회 편입
- 2008년 4월: 한국 우주인 배출 사업으로 이소연이 소유즈 TMA-12에 탑승하여 국제우주정거장(ISS)에 체류, 한국인 최초의 우주선 탑승자가 됨.
- 2008년 12월: 중형에어로스탯 개발
- 2009년 6월: 나로우주센터 준공
- 2010년 6월: 천리안위성 발사

- 2011년 11월: 스마트무인기 개발
- 2012년 5월: 다목적실용위성 3호(아리랑 3호) 발사
- 2012년 6월: 한국형기동헬기 수리온 민군겸용 핵심구성품 개발
- 2013년 1월: 한국 최초 우주발사체 나로호 3차 발사
- 2013년 8월: 다목적실용위성 5호(아리랑 5호) 발사
- 2013년 11월: 과학기술위성 3호 발사
- 2013년 12월: 4인승 소형항공기(나라온) 개발
- 2014년 5월: 유무인 혼용기(OPV) 개발
- 2014년 6월: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산하로 소속변경
- 2015년 3월: 다목적실용위성 3A호(아리랑 3A호) 발사
- 2015년 8월: 고고도(성층권) 장기체공 전기동력무인기(EAV)-3 14.12km 비행 성공
- 2015년 12월: 한국형발사체엔진 추진기관 시험설비 준공
- 2016년 7월: 75톤급 액체엔진 임무연소시간 연소시험 성공
- 2016년 8월: 고고도(성층권) 장기체공 전기동력무인기(EAV)-3 18.5km 비행 성공
- 2016년 12월: 국가 우주개발전문기관 선정
- 2017년: 틸트덕트 무인기 개발
- 2018년: 쿼트틸트프롭 무인기 (QTP-UAV)개발
- 2018년 11월: 누리호 시험발사체 발사
- 2018년 12월: 정지궤도복합위성 2A호(천리안 2A호) 발사
- 2020년 2월 19일: 정지궤도복합위성 2B호(천리안 2B호) 발사
- 2020년 8월: EAV-3 53시간 장시간 비행
- 2020년 10월: 나로우주센터 제2발사대 완공
- 2021년 2월 2일: 75톤급 엔진 4기 클러스터링(누리호 1단) 연소시험
- 2021년 3월 22일: 차세대중형위성 1호 발사
- 2021년 10월 21일: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1차 발사
- 2022년 6월 21일: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2차 발사 성공
- 2022년 8월 5일: 한국형 달 궤도선 다누리 발사
- 2022년 12월 17일: 한국형 달 궤도선 다누리 달 궤도 진입
- 2023년 5월 25일: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3차 발사 성공
- 2024년 5월 27일: 대한민국 우주항공청이 설립되면서 천문연구원과 함께 우주항공청 산하 법인으로 편입[38]
4. 조직
5. 주요 연구 시설
6. 발사체 개발
1990년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은 1단 고체연료 로켓인 KSR-I 개발을 시작, 1993년에 KSR-I 과학 1호와 2호를 성공적으로 발사했다. 이 로켓은 한반도 상공의 오존층 관측과 로켓 성능 시험을 목적으로 했다.[10] 1997년과 1998년에는 KSR-I을 발전시킨 2단 고체연료 로켓 KSR-II를 발사하여 X선 관측과 로켓 성능 시험을 수행했다.
1997년 12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인공위성 발사 능력 확보를 위해 액체산소/케로신 로켓 엔진 개발을 시작, 2002년 한국 최초의 액체연료 로켓 엔진을 사용한 KSR-III 발사에 성공했다.[9]
러시아의 크루니체프 국가우주과학생산센터로부터 기술 지원을 받아 한국 최초의 인공위성 발사용 로켓(발사체)인 나로호를 개발했다. 1단에는 안가라 로켓의 RD-151 엔진이 사용되었다. 2009년 나로우주센터에서 나로호 1호기를 발사했으나, STSAT-2A를 감싸는 페어링 결함으로 궤도 진입에 실패했다. 2010년 나로호 2호기를 발사했으나 발사 137초 후 폭발하여 STSAT-2B를 잃었다. 2013년 나로호 3호기로 STSAT-2C의 궤도 진입에 성공하며, 한국은 자국 로켓으로 인공위성 궤도 진입에 성공한 최초의 사례를 기록했다.
2010년부터 나로호의 후속 기종인 누리호(KSLV-II) 개발이 시작되었으며, 2018년 누리호 시험발사체 발사, 2021년 누리호 첫 발사를 거쳐 2022년 두 번째 발사에서 성공하였다.[33] 누리호는 3단 모두 국산 로켓 엔진을 사용한다.
6. 1. 한미 미사일 지침
1979년, 한국의 핵 개발을 우려한 미국과의 사이에 한미 미사일 지침이 결정되었다.[34] 미사일 기술 제공과 맞바꾸어 한국의 미사일 개발을 제한했고, 한국의 우주 로켓 개발 발전 또한 제한되었다.[35]단계적으로 완화되어 2021년 문재인 정부와 바이든 정부 사이에 종료되었다. 이로써 한국은 고체연료 엔진 개발을 할 수 있게 되었다.[36]
7. 위성 개발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은 지구관측, 통신, 기상 관측 등 다양한 목적의 인공위성을 개발해왔다.[14]
'''다목적실용위성 (아리랑) 시리즈'''는 지구 관측을 주 목적으로 하는 위성이다.
위성명 | 발사일 | 발사체 | 궤도 | 상태 |
---|---|---|---|---|
아리랑 1호 | 1999년 | 토러스 로켓 (미국) | SSO | 운영 종료 |
아리랑 2호 | 2006년 | 로콧 (러시아) | SSO | 운영 종료 |
아리랑 3호 | 2012년 | H-IIA 로켓 (일본) | SSO | 운영 중 |
아리랑 3A호 | 2015년 | 드니프르 로켓 (러시아·우크라이나·카자흐스탄 합작) | SSO | 운영 중 |
아리랑 5호 | 2013년 | 드니프르 로켓 (러시아·우크라이나·카자흐스탄 합작) | SSO | 운영 중 |
아리랑 6호 | 2022년 (예정) | SSO | 계획 중 | |
아리랑 7호 | 2022년 (예정) | SSO | 계획 중 | |
아리랑 7A호 | 2024년 (예정) | SSO | 계획 중 |
'''정지궤도복합위성 (천리안) 시리즈'''는 기상 관측, 해양 관측, 통신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정지궤도 위성이다.
위성명 | 발사일 | 궤도 | 상태 |
---|---|---|---|
천리안 1호 | 2010년 | GEO | 운영 중 |
천리안 2A호 | 2018년 | GEO | 운영 중 |
천리안 2B호 | 2020년 | GEO | 운영 중 |
'''차세대중형위성'''은 정밀 지상 관측 등을 위한 위성으로, CAS 500-1 (2021년 발사)은 운영 중이며, CAS 500-2는 2022년에 발사될 계획이다.
'''한국형 위치정보시스템 (KPS)'''는 독자적인 지역항법위성시스템(RNSS) 구축 사업으로, 4조원 (약 35.6억달러)을 투입하여 2035년까지 총 7기의 위성을 발사할 계획이다.[15][16] 한국과 미국은 민간 GPS와 KPS의 호환성 및 상호 운용성 강화를 위해 협력할 예정이다.[17]
8. 달 탐사
한국 달 탐사 프로그램(KLEP)은 두 단계로 나뉜다.[18][19] 1단계는 다누리(KPLO) 달 궤도선 발사 및 운영으로, 대한민국의 첫 번째 달 탐사선이다.[20] 이는 대한민국 기술력 향상과 궤도에서 천연자원 탐색을 위한 것이다. 2016년 12월,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은 NASA과 달 탐사 기술 협력에 서명하여 탐사 성공 가능성을 크게 높였다. 2단계는 2030년까지 KSLV-II를 이용하여 나로우주센터에서 달 궤도선, 달 착륙선, 로버[21]를 함께 발사하는 것이다.[23][24]
다누리(KPLO)는 달 상공 100km에서 달 관측 임무를 수행할 것이다. 이 프로젝트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이 시스템, 궤도선 본체, 지상국을 담당하고, 국내 대학 및 연구소가 협력한다.[25]
9. 항공기 개발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은 무인기 개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2011년 말에는 약 400km/h로 비행할 수 있는 틸트로터 무인항공기(UAV)를 공개했다.[28] 2010년부터는 전기 추진 고고도 장시간 비행 무인항공기(HALE UAV) 개발을 통해 시스템 및 운용 기술 확보를 진행하고있다.[29]
또한, 1인승급 전기 수직이착륙(eVTOL) 시험기 개발 연구 프로그램을 주도하고 있으며, 2021년에는 축소형 기술 시험기의 비행 시험이 시작될 예정이었다.[30][31]
10. 국제 협력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은 2016년 12월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달 탐사 기술 협력에 서명하여 탐사 성공 가능성을 크게 높였다.[18] 한국 달 탐사 프로그램(KLEP)은 두 단계로 나뉜다.[19] 1단계는 다누리라는 달 궤도선 발사 및 운영을 포함하며, 이는 대한민국의 첫 번째 달 탐사선이 될 것이다.[20] 이는 대한민국의 기술력 향상과 궤도에서 천연자원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된다. 2단계는 2030년까지 한국형 발사체(KSLV-2(누리호))를 이용하여 나로우주센터[22]에서 달 궤도선, 달 착륙선, 로버[21]를 함께 발사하는 것을 포함한다.[23][24]
다누리는 달 상공 100km에서 달 관측 임무를 수행할 것이다. 이 프로젝트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을 중심으로, 국내 대학 및 연구소가 협력하여 진행될 것이다.[25]
참조
[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07-11-08
[2]
뉴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임 원장 선임
http://www.daejonilb[...]
2021-03-22
[3]
웹사이트
Government Finalizes the 2021 Space Development Implementation Plan
https://www.kari.re.[...]
kari.re.kr
2021-12-18
[4]
웹사이트
‘한국판 나사’ 우주항공청, 과기부에 설치… 항우연·천문연도 편입
https://www.segye.co[...]
2024-06-04
[5]
웹사이트
Greeting address
https://www.kari.re.[...]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2016-XX-XX
[6]
웹사이트
History
https://www.kari.re.[...]
2017-05-07
[7]
웹사이트
Organization
https://www.kari.re.[...]
[8]
뉴스
South Korea launches rocket weeks after NKorea
http://www.utsandieg[...]
2013-02-01
[9]
논문
The Korean Sounding Rocket Program
https://www.scienced[...]
[10]
웹사이트
KSR-I, single-stage science rocket
https://www.kari.re.[...]
[11]
서적
Seeking independence in space: South korea's space program (1958–2010)
[12]
웹사이트
STSat-1 (Science and Technology Satellite-1, KAISTSat-4, Uribyol-4)
https://earth.esa.in[...]
[13]
웹사이트
About the Satellite Technology Research Center
http://satrec.kaist.[...]
[14]
웹사이트
Satellites of South Korea
https://space.skyroc[...]
[15]
웹사이트
South Korea signs Artemis Accords; Brazil, New Zealand likely next
https://spacenews.co[...]
2021-05-27
[16]
웹사이트
Satellite Navigation > R&D >
https://www.kari.re.[...]
2019-01-10
[17]
웹사이트
Joint Statement By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 Republic of Korea On Civil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 Cooperation
https://www.gps.gov/[...]
[18]
웹사이트
Korean Lunar Exploration Program
https://www.kari.re.[...]
Korean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KARI)
2019-01-25
[19]
뉴스
SpaceX selected to assist 2020 South Korean lunar orbiter voyage
http://english.hani.[...]
Hankyoreh
2017-12-30
[20]
웹사이트
KPLO
https://www.kari.re.[...]
Lunar Exploration Program.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KARI)
2019-01-25
[21]
웹사이트
Korean Pathfinder Lunar Orbiter (KPLO) Status Update
https://www.hou.usra[...]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KARI)
2017-10-10
[22]
웹사이트
South Korea's first lunar mission planned for 2020
http://www.planetary[...]
The Planetary Society
2017-12-07
[23]
뉴스
핵전지 실은 한국형 로버 … 지구서 우주인터넷 통해 조종
http://joongang.join[...]
중앙일보
2013-07-19
[24]
뉴스
South Korea eyes moon orbiter in 2020, landing 2025
https://www.reuters.[...]
Reuters
2019-01-25
[25]
웹사이트
The Lunar Exploration Project, the Korean Hope Project
https://www.kari.re.[...]
[26]
웹사이트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http://www.airship-a[...]
[27]
웹사이트
South Korea's Stratospheric Airship
https://lynceans.org[...]
[28]
웹사이트
KARI starts VTOL UAV research without Bell
https://www.flightgl[...]
[29]
웹사이트
Korea's First Solar Unmanned Aerial Vehicle EAV-3 Launched
https://solarmagazin[...]
2016-08-27
[30]
웹사이트
KARI OPPAV
https://evtol.news/k[...]
[31]
웹사이트
Korea Launches Project To Develop EVTOL Demo
https://aviationweek[...]
[32]
웹사이트
'한국 최초 우주인' 이소연, 항우연 퇴사 논란
https://www.tvreport[...]
2022-11-13
[33]
웹사이트
韓国、国産ロケット打ち上げ初成功 宇宙事業の道開く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2-06-22
[34]
웹사이트
韓国が中長距離ミサイル開発可能に 米と合意で指針撤廃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3-05-28
[35]
웹사이트
韓米ミサイル指針終了…両刃の剣か、それとも宇宙開発の機会か
http://japan.hani.co[...]
ハンギョレ
2023-05-28
[36]
웹사이트
固体燃料ロケットエンジンの実験成功 小型衛星打ち上げ用=韓国
https://jp.yna.co.kr[...]
聯合ニュース
2023-05-28
[37]
웹사이트
KARI業務現況
http://www.kari.re.k[...]
[38]
뉴스
우주항공청, 과기부 소속으로…항우연·천문연 편입 확정
https://www.segye.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