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뉴질랜드 식민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뉴질랜드 식민지는 1840년 와이탕이 조약 체결 이후 영국이 뉴질랜드에 대한 주권을 주장하면서 시작되었다. 조약의 영어판과 마오리어판의 해석 차이로 인해 주권 이전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었으며, 2014년 와이탕이 재판소는 마오리족이 주권을 양도할 의도가 없었다고 결론 내렸다. 1840년 11월 영국 정부는 뉴질랜드 식민지를 뉴사우스웨일스와 분리된 별도의 왕령 식민지로 설립했으며, 1841년 5월 3일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 이후 자치권 확대 및 자치령 승격 과정을 거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뉴질랜드의 정치사 - 뉴질랜드 자치령
    뉴질랜드 자치령은 1907년 뉴질랜드 식민지가 자치령으로 승격되며 시작되었으나, 국방, 헌법 개정 등 일부 권한은 영국 정부의 통제 하에 있었고, 1947년 웨스트민스터 법령 채택과 1986년 헌법 제정을 통해 완전한 독립 국가가 되었다.
  • 뉴질랜드의 정치사 - 뉴질랜드의 주
    뉴질랜드의 주는 1853년부터 1876년까지 존재했던 9개의 자치 행정구역으로, 자체 입법부와 관리감독관을 두었으나 재정 문제와 중앙 정부와의 갈등으로 폐지되었고, 현재는 지리적, 문화적 맥락에서 그 이름이 사용된다.
  • 오세아니아의 옛 영국 식민지와 보호국 - 나우루
    나우루는 남서 태평양의 작은 섬나라 공화국으로, 미크로네시아와 폴리네시아 민족의 역사를 가지며 인광석 채굴 호황 이후 자원 고갈과 환경 파괴로 어려움을 겪고, 현재는 난민 수용 시설 운영 등으로 경제 회복을 모색하는 대통령 중심제 국가이다.
  • 오세아니아의 옛 영국 식민지와 보호국 - 니우에
    니우에는 남태평양에 위치한 자치 국가로, 1974년 뉴질랜드와의 자유 연합을 통해 자치권을 획득했으며, 20명의 의회와 총리를 중심으로 정부를 운영하고, 외교와 국방은 뉴질랜드가 담당하며, 농업과 관광업이 주요 산업이다.
뉴질랜드 식민지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현지 이름Colony of New Zealand
다른 표기뉴질랜드 식민지
존속 기간 시작1841년
존속 기간 끝1907년
이전 국가뉴질랜드 부족연합
뉴사우스웨일스 식민지
계승 국가뉴질랜드 자치령
국기 그림image_file: Flag of the United Kingdom.svg
국기 그림2image_file: Flag of New Zealand.svg
문장 그림image_file: Coat of Arms of the United Kingdom (1837-1952).svg
국가God Save the Queen/King
수도오키아토
오클랜드
웰링턴
공용어영어
정부 형태왕령 식민지 (1841–1852)
자치 식민지 (1852–1907)
지도자 칭호국왕
지도자 이름빅토리아 (1841~1901)
에드워드 7세 (1901~1907)
통화뉴질랜드 파운드
사건
주요 사건뉴사우스웨일스 식민지에서 분리
1846년 뉴질랜드 헌법
1852년 뉴질랜드 헌법
자치령 승격
사건 날짜1841년 5월 3일
1846년 8월 28일
1852년 6월 30일
1907년 9월 26일

2. 역사

1840년 1월, 윌리엄 홉슨시드니에서 뉴질랜드로 떠났다. 1840년 5월 21일, 홉슨은 두 개의 선언문을 통해 뉴질랜드 섬들에 대한 영국의 주권을 선포했다. 첫 번째 선언문은 와이탕이 조약에 따라 북섬에 대한 주권이 양도되었다고 주장했다. 두 번째 선언문에서는 1769년 제임스 쿡 선장의 '최초 발견'을 근거로 남섬스튜어트섬에 대한 영국의 주권을 주장했다.

뉴질랜드는 1788년부터 뉴사우스웨일스 식민지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왔다. 1839년 6월 15일, 뉴사우스웨일스 경계의 새로운 정의에 뉴질랜드가 포함되면서 이 관계가 공식화되었다.[3] 1840년 11월 16일, 영국 정부는 뉴질랜드 식민지를 뉴사우스웨일스와 분리된 별도의 왕령 식민지로 설립하는 헌장을 발행했다. 헌장에 따르면 뉴질랜드 식민지는 1841년 5월 3일부터 설립될 예정이었다.

벨리치는 "확실히 1840년 이후 수년 동안 '명목상의 주권'이 현실에 더 가까웠다. 이 모호성은 마찰의 원인이었다. 영국은 자신들이 이름뿐만 아니라 실제로도 마오리족을 통치할 권리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윌리엄 홉슨과 로버트 피츠로이]는 실질적인 주권이 즉각적으로 완전하게 적용될 수 없다는 현실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었다"고 덧붙였다.

2. 1. 와이탕이 조약 체결과 주권 논란

1840년 2월 6일, 마오리 족장들과 영국 여왕 빅토리아의 대표들 사이에 와이탕이 조약이 체결되었다.[1][2] 조약의 영어판에서는 마오리족이 주권을 양도하고 영국 국민으로서의 권리, 특권 및 보호를 받는다고 명시되어 있다. 하지만 마오리어판 조약에서는 '카와나탕가'(kāwanatanga)라는 표현이 사용되었으며, 오늘날 이를 '통치권' 또는 '정부'로 번역하는 경우가 많다. 이 차이점은 오랫동안 논란과 정치적 논의의 주제가 되어왔다.[1][2]

2014년 와이탕이 재판소의 'Te Paparahi o Te Raki' 조사 1단계 보고서는 마오리족, 특히 응아푸히(Ngāpuhi) 족이 주권을 양도할 의도가 없었다고 결론지었다. 재판소는 "1840년 2월 와이탕이 조약에 서명한 랑기타라(마오리 족장)들은 자신들의 주권을 영국에 양도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즉, 그들은 자신들의 사람들과 영토에 대한 법을 만들고 집행할 권한을 양도하지 않았다." 재판소는 또한 조약에 서명한 랑기타라가 영국과의 권력 공유에 동의했지만, 이는 "총독이 뉴질랜드에 있는 영국 국민을 통제하고 그로 인해 평화를 유지하며 마오리의 이익을 보호할 권한을 갖는 것"에 동의한 정도에 불과했으며, 이는 마오리와 영국이 동등한 파트너가 될 것이라는 이해와 조건 하에서 이루어진 것이라고 덧붙였다.

역사가 제임스 벨리치(James Belich)는 주권을 명목상의 주권과 실질적인 주권으로 나누었다. 그는 "영국은 후자의 의미를 염두에 두었을 가능성이 크지만, 마오리족이 이해한 조약은 전자에 더 가까웠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와이탕이 조약에 서명한 마오리족이 주권을 포기할 의도가 없었고, 많은 이위(iwi, 마오리 부족)들이 수십 년 동안 자신들의 영토를 계속 통제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뉴질랜드 식민지'가 실제로 법적 실체로 존재했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2. 2. 왕령 식민지 설립

1841년 뉴질랜드는 뉴사우스웨일스 식민지에서 분리되어 별도의 왕령 식민지가 되었다. 윌리엄 홉슨이 초대 총독으로 임명되었고, 행정위원회와 입법위원회가 구성되어 뉴질랜드 정부의 초기 형태를 갖추었다.[1]

행정위원회는 법무장관, 식민지 비서, 식민지 재무관으로 구성되었다.[1] 입법위원회는 총독, 행정위원회 위원, 그리고 총독이 임명한 세 명의 평화 판사로 구성되었다.[1] 입법위원회는 법령(Ordinances)을 제정할 권한을 가졌다.[1]

참조

[1] 웹인용 Differences between the texts – Read the Treaty https://nzhistory.go[...] NZ History 2016-12-19
[2] 백과사전 Treaty of Waitangi – Interpretations of the Treaty of Waitangi http://www.teara.gov[...] 2016-09-02
[3] 웹인용 New Zealand becomes a separate colony https://www.nma.gov.[...] National Museum of Australia 2023-04-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