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니미 야 루케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미 야 루케니는 17세기 중반 조반니 카바치 다 몬테쿠콜로가 기록한 전통에 따르면, Mpemba Kasi의 통치자 니미 아 은지마와 므웨네 므바타의 딸 루케니 루안산제의 아들로, 콩고 왕국의 창시자로 여겨진다. 그는 마욤베의 붕구 출신으로, 음반자 콩고 지역을 정복하고 '음티누'라는 칭호를 얻어 콩고 국가를 세웠다. 루케니는 아버지 부재 시 통행세를 징수하는 역할을 했으며, 젊은 나이에 사망하여 아들이 아닌 사촌에게 왕위가 계승되었고, 역사가들은 그의 출생 연도를 1367-1402년, 사망 연도를 1402-1427년으로 추정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세기 아프리카의 군주 - 칸쿠 무사
    칸쿠 무사는 말리 제국의 통치자로서, 하지 순례 이후 이슬람 학문과 문화를 발전시키고 경제적 번영을 이끌었으며, 말리 제국의 황금기를 이끈 인물로 기억된다.
  • 1420년 사망 - 원경왕후
    원경왕후는 고려 말 민제의 딸로 태어나 조선 태종 이방원의 비가 되었으며, 조선 건국에 기여하고 왕자의 난 당시 남편을 도와 왕위 계승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으나, 외척 세력 견제와 후궁 문제, 친정 가문의 몰락 등으로 불행한 말년을 보낸 인물이다.
  • 1420년 사망 - 영선옹주
    영선옹주는 고려 우왕의 총애를 받은 후궁으로 옹주에 책봉되었으나, 우왕 폐위 후 사가로 쫓겨났고, 남공의 딸이자 남질의 첩이며 기생 칠점선으로도 불렸다.
  • 콩고의 왕족 - 은라자
  • 콩고의 왕족 - 마니콩고
    마니콩고는 14세기부터 19세기까지 앙골라와 콩고 민주 공화국 지역에 존재했던 콩고 왕국의 최고 통치자에게 붙여진 칭호이며,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을 아우르는 역할을 했다.
니미 야 루케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밀로라 립스콤의 그림
통치 정보
작위마니콩고
작위명Mwene Kongo
칭호콩고 왕국 디아 노틀리아의 창건자
왕조루케니
후임자낭가
생애
출생일1380년경
사망일1420년
아버지니미 아 은지마
이름 (로마자 표기)Nimi ya Lukeni

2. 생애

니미 야 루케니는 14세기 후반 콩고 왕국을 건국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1] 그는 Mpemba Kasi의 통치자였던 니미 아 은지마와 음바타 공주 루케니 루안산제 사이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이는 두 지역 간의 동맹을 위한 결혼이었다.[1]

마욤베의 붕구 지역 출신으로 알려져 있으나,[3][4] 전통적으로 오늘날의 음반자 콩고 지역을 정복하고 현지 통치자를 몰아낸 뒤 수도를 세웠다고 전해진다.[5] 그는 '음티누'(Ntinu)라는 칭호를 얻고 콩고 국가를 조직했으며,[1] 잉키시 계곡을 정복하고 은순디와 음팡구 지역을 통합한 것으로 여겨진다.[1] 이로 인해 그는 콩고 왕국의 창시자로 간주되지만, 일부에서는 그의 아버지에게 그 공을 돌리기도 한다.[1]

니미 야 루케니는 비교적 젊은 나이에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 응쿠우 아 음티누가 어렸기 때문에 왕위는 사촌인 콩고의 낭가에게 계승되었다.[1]

2. 1. 초기 생애

17세기 중반 조반니 카바치 다 몬테쿠콜로가 기록한 전통에 따르면, 그는 Mpemba Kasi의 통치자였던 니미 아 은지마와 음바타의 므웨네 므바타의 딸 루케니 루안산제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다. 이 결혼은 니미의 영토와 음바타 간의 동맹을 형성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그의 이름은 어머니 루케니 루아 은산제에서 따온 것으로, 이는 그가 적어도 넷째 아들이었음을 의미한다. 아버지의 통치 기간 동안, 루케니 루아 니미는 아버지가 부재 시 자신의 영토를 통과하는 행인들에게 통행세를 징수하는 책임을 맡았다. 이와 관련하여, 루케니 루아 니미가 통행세 납부를 거부하는 임신한 여성 친척을 살해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그는 이 일로 아버지에게 처벌받지 않았으며, 오히려 존경받는 행동으로 여겨졌다고 한다 (피에 굶주린 행위로 보거나 법에 대한 공정함 때문으로 해석되기도 한다).[1]

그의 출신지는 현재의 콩고 공화국콩고 민주 공화국 사이에 위치한 마욤베의 붕구(Bungu) 지역이지만,[3][4] 전통적으로 그는 오늘날 음반자 콩고 지역을 정복하고, 므웨네 카붕가(Mwene Kabunga) 또는 므웨네 음팡갈라(Mwene Mpangala)라는 지역 통치자를 몰아낸 뒤 그곳에 자신의 수도를 건설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통에 따르면 호수를 메워서 건설했다고 한다).[5] 그는 '음티누'(Ntinu)라는 칭호를 얻고 콩고 국가를 세웠다. 그는 아마도 14세기 후반에 통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때문에 그는 콩고 왕국의 창시자로 여겨지지만, 일부에서는 그의 아버지에게 그 공을 돌리기도 한다. 일부 자료는 잉키시 계곡의 정복을 루케니 루아 니미에게 돌리며, 이 정복은 은순디(Nsundi)와 음팡구(Mpangu)의 합병으로 마무리되었다고 한다. 정복된 땅은 이후 그의 추종자들과 친척들에게 분배되었다.[1]

그는 아마도 젊은 나이에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의 아들 응쿠우 아 음티누는 그가 사망했을 당시 아직 성인이 아니었기 때문에 왕위를 계승하는 것이 허락되지 않았고, 왕위는 루케니의 사촌인 콩고의 낭가에게 넘어갔다. 그의 사망 및 계승 상황으로 인해 역사가들은 그의 출생 연도를 1367년에서 1402년 사이, 사망 연도를 1402년에서 1427년 사이로 추정한다.[1]

2. 2. 콩고 왕국 건국

17세기 중반 조반니 카바치 다 몬테쿠콜로가 기록한 전통에 따르면, 니미 야 루케니는 Mpemba Kasi의 통치자였던 니미 아 은지마와 음바타의 므웨네 므바타의 딸 루케니 루안산제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다. 루케니 루안산제와의 결혼은 니미 아 은지마의 영토와 음바타 간의 동맹을 위해 이루어졌다. 그의 이름은 어머니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며, 이는 그가 최소한 넷째 아들이었음을 의미한다. 아버지의 통치 기간 동안, 그는 아버지가 없을 때 영토를 지나는 사람들에게 통행세를 징수하는 일을 맡았다. 이와 관련하여, 통행세 납부를 거부한 임신한 친척 여성을 살해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이 행동은 아버지에게 처벌받지 않았으며, 법 집행의 공정함 때문인지 혹은 잔혹함 때문인지 명확하지 않지만 당시에는 존경받는 행동으로 여겨지기도 했다.[1]

니미 야 루케니는 현재의 콩고 공화국콩고 민주 공화국 사이에 위치한 마욤베의 붕구 (또는 방구) 출신이다.[3][4] 전통에 따르면 그는 오늘날의 음반자 콩고 지역을 정복하고, 그곳의 통치자였던 므웨네 카붕가 또는 므웨네 음팡갈라를 몰아낸 후 수도를 건설했다고 알려져 있다. 수도 건설 과정에서 호수를 메웠다는 전설도 있다.[5] 그는 '음티누'라는 칭호를 얻고 콩고 왕국을 세웠다. 이 때문에 그는 콩고 왕국의 창시자로 여겨지지만, 일부에서는 그의 아버지인 니미 아 은지마를 창시자로 보기도 한다. 니미 야 루케니는 14세기 후반에 통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부 자료에서는 그가 잉키시 계곡을 정복하고 은순디와 음팡구를 합병했으며, 정복한 땅을 자신의 추종자들과 친척들에게 나누어 주었다고 기록한다.[1]

그는 비교적 젊은 나이에 사망한 것으로 보이며, 사망 당시 그의 아들 응쿠우 아 음티누는 아직 성인이 아니었기 때문에 왕위를 계승하지 못했다. 대신 왕위는 니미 야 루케니의 사촌인 콩고의 낭가에게 넘어갔다. 이러한 사망 및 계승 상황을 바탕으로 역사가들은 그의 출생 연도를 1367년에서 1402년 사이, 사망 연도를 1402년에서 1427년 사이로 추정한다.[1]

2. 3. 사망과 계승

니미 야 루케니는 비교적 젊은 나이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1] 그가 사망했을 당시 아들인 응쿠우 아 음티누는 아직 성인이 아니었기 때문에 왕위를 계승할 수 없었다.[1] 대신 왕위는 니미 야 루케니의 사촌인 콩고의 낭가에게 넘어갔다.[1] 이러한 사망 및 계승 상황을 바탕으로 역사가들은 그의 출생 연도를 1367년에서 1402년 사이, 사망 연도를 1402년에서 1427년 사이로 추정하고 있다.[1]

참조

[1] 논문 Elite Women in the Kingdom of Kongo: Historical Perspectives on Women's Political Power
[2] 논문 Origins and Early History of the Kingdom of Kongo, c. 1350–1550
[3] 간행물 Notes sur l'origine du royaume de Kongo 1963
[4] 간행물 Relations sur le Congo et l'Angola tirées des Archives de la Compagnie de Jésus 1621-1631 Academia Belgica 1968
[5] 서적 The Development of States in West Central Africa to 1540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