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콩고 공화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콩고 공화국은 중앙 아프리카에 위치한 국가로, 1500년경 반투족의 이동으로 여러 부족이 형성되었다. 1484년 포르투갈 탐험가가 콩고강 하구에 도착한 이후 유럽 상인과의 교역이 이루어졌으며, 19세기 후반 프랑스의 식민 통치를 받았다. 1960년 독립했으며, 사회주의 시대를 거쳐 1991년 다당제 민주주의를 채택했다. 현재 대통령은 드니 사수 응게소이며, 석유를 주요 자원으로 경제를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석유 수출국 기구 회원국 - 가봉
    가봉은 중앙아프리카 서부에 위치한 대통령 공화제 국가로, 1960년 프랑스로부터 독립한 후 봉고 가문이 장기 집권했으나 2023년 쿠데타로 알리 봉고 온딤바 대통령이 축출되었으며, 석유 자원을 바탕으로 경제 성장을 이루었지만 자원 의존적인 경제 구조와 부정부패 문제를 안고 있다.
  • 석유 수출국 기구 회원국 - 쿠웨이트
    쿠웨이트는 서아시아의 입헌 군주국으로, 석유 매장량을 바탕으로 높은 경제 수준을 유지하며, 1990년 이라크의 침공 이후 다국적군의 도움으로 국토를 회복했고, 1979년 대한민국과 수교했다.
  • 반투어권 - 레소토
    레소토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둘러싸인 내륙 국가로, 모슈슈 1세가 세운 왕국이 영국의 보호령을 거쳐 1966년 독립했으며, 현재는 입헌군주국으로 레체시 3세가 국가 원수, 샘 마테카네가 총리이다.
  • 반투어권 - 에스와티니
    에스와티니 왕국은 아프리카 남부의 내륙국으로, 영국에서 독립 후 국명을 변경했으며, 국왕이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하는 입헌군주제 국가이고, 남아프리카 공화국, 모잠비크와 국경을 접하며, 농업, 제조업, 서비스업 중심의 경제를 가지고 있고, 높은 HIV/AIDS 감염률과 빈곤이 사회 문제이다.
  • 프랑코포니 회원국 - 세네갈
    서아프리카에 위치한 세네갈 공화국은 다양한 민족과 문화, 이슬람교를 배경으로 농업, 어업, 관광 등의 경제 부문을 기반으로 하며, 프랑스 식민 지배를 거쳐 독립 후 비교적 안정적인 민주주의를 유지하고 있는 다중 언어 국가이다.
  • 프랑코포니 회원국 - 가봉
    가봉은 중앙아프리카 서부에 위치한 대통령 공화제 국가로, 1960년 프랑스로부터 독립한 후 봉고 가문이 장기 집권했으나 2023년 쿠데타로 알리 봉고 온딤바 대통령이 축출되었으며, 석유 자원을 바탕으로 경제 성장을 이루었지만 자원 의존적인 경제 구조와 부정부패 문제를 안고 있다.
콩고 공화국
지도
콩고 공화국 위치
콩고 공화국 지도
아프리카 내 콩고 공화국 위치
아프리카 지도 내 콩고 공화국 위치
기본 정보
공식 명칭프랑스어:
링갈라어:
키투바어:
일반 명칭콩고
콩고 공화국 국기
국기
콩고 공화국 국장
국장
국가 표어 (번역)통일, 노동, 진보
국가 (현지어)Besi Kôngo
국가 (번역)콩고의 노래
공용어프랑스어
국어키투바어
링갈라어
인구콩고인
콩고
수도
수도브라자빌
최대 도시수도
정치
정부 형태단일 국가
준대통령제
공화국
우세 정당제
권위주의 국가
대통령드니 사수 응게소
총리아나톨 콜리네 마코소
의회콩고 공화국 의회
상원콩고 공화국 상원
하원콩고 공화국 국민의회
면적
면적342,000 km²
면적 순위64위
수역 비율3.3%
인구
인구 추정치6,228,784명 (2023년)
인구 조사6,142,180명 (2023년)
인구 순위116위
인구 밀도17.96명/km²
경제
GDP (PPP)279억 9400만 달러
GDP (PPP) 순위150위
1인당 GDP (PPP)5,552 달러
1인당 GDP (PPP) 순위149위
명목 GDP144억 700만 달러
명목 GDP 순위142위
1인당 명목 GDP2,857 달러
1인당 명목 GDP 순위138위
지니 계수40.2 (2011년)
개발
인간 개발 지수0.593 (2022년)
인간 개발 지수 순위149위
독립
공화국 수립1958년 11월 28일
프랑스로부터 독립1960년 8월 15일
통화
통화중앙아프리카 CFA 프랑
통화 코드XAF
시간대
시간대WAT
UTC 시간대+1
기타 정보
날짜 형식dd/mm/yyyy
운전 방향오른쪽
국제 전화 코드+242
ISO 3166 코드CG
국가 도메인.cg
종교기독교 87.1%
무종교 8.0%
아프리카 전통 종교 2.7%
이슬람 1.2%
기타 1.0%
행복 지수
행복 지수 순위116위

2. 역사



콩고 공화국의 역사는 크게 식민지 이전 시대, 프랑스 식민 통치 시대, 독립과 사회주의 시대, 민주화와 내전 시대, 그리고 사수 응게소 재집권 시대로 나눌 수 있다.


  • 식민지 이전 시대: 기원전 1500년경 반투족이 이주해 오면서 여러 부족을 형성했고, 13세기에는 서부 콩고 분지에 콩고 왕국, 로앙고 왕국, 테케 왕국 등 주요 국가 연합이 존재했다. 1484년 포르투갈 탐험가 디오구 칸이 콩고강 하구에 도착하면서 유럽과의 교역이 시작되었지만, 19세기 유럽의 직접적인 식민지화로 반투 사회의 권력은 약화되었다.

  • 프랑스 식민 통치: 1880년 피에르 드 브라자가 바테케의 마코코 왕과 조약을 맺으면서 콩고강 북부 지역은 프랑스의 주권 아래 놓이게 되었다. 이 지역은 처음에는 프랑스 콩고, 1903년에는 중앙 콩고로 불렸으며, 1910년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AEF)의 일부가 되었다. 프랑스는 브라자빌을 연방 수도로 삼고 천연자원 채취를 중심으로 경제 개발을 추진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건설된 콩고-대서양 철도는 수많은 희생자를 낳았다. 1920년대에는 흑인 차별 반대 운동이 일어나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자유 프랑스의 상징적인 수도 역할을 했으며, 전후에는 식민 행정 및 인프라 지출 확대의 혜택을 받았다. 1958년 프랑스 제5공화국 수립과 함께 AEF는 해체되었고, 중앙 콩고는 프랑스 공동체 내의 자치 식민지인 콩고 공화국이 되었다.

  • 독립과 사회주의 시대: 1960년 콩고 공화국은 프랑스로부터 완전히 독립했고, 풀베르 유루가 초대 대통령이 되었다. 그러나 유루 정권의 부패와 독재에 대한 불만으로 1963년 인민 봉기가 일어나 알퐁스 마상바-데바가 대통령에 취임했다. 마상바-데바 정권은 "과학적 사회주의"를 국가 이념으로 채택하고 산업화를 추진했으며, 소련, 중화인민공화국 등과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 1968년 마리앵 응우아비의 쿠데타로 마상바-데바는 실각하고, 응우아비는 1969년 국명을 콩고 인민 공화국으로 변경하고 콩고 노동당을 창당하여 마르크스-레닌주의에 기반한 국가 건설을 추진했다. 1977년 응우아비 암살 이후 조아킴 요엠비-오팡고가 정권을 계승했다.

  • 민주화와 내전: 1990년대 초 콩고 공화국에서도 민주화 요구가 거세지면서 1991년 다당제가 도입되고 국명이 콩고 공화국으로 환원되었다. 1992년 선거에서 파스칼 리수바가 대통령에 당선되었지만, 각 정당이 보유한 민병대 간의 갈등으로 내전이 발발했다. 1997년 내전이 재개되어 드니 사수 응게소가 이끄는 세력이 승리하고, 1999년 휴전 협정이 체결되었다.

  • 사수 응게소 재집권 시대: 대통령에 복귀한 사수 응게소는 권력을 강화하고 재선을 거듭했다. 2002년2009년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했으며, 2015년에는 헌법 개정을 통해 2016년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그러나 닌자 민병대의 무장 투쟁은 계속되었고, 2017년에야 평화 협정이 체결되었다.

2. 1. 식민지 이전 시대

기원전 1500년경, 반투족 확산 과정에서 반투어족이 이 지역의 초기 거주민이었던 피그미족을 대부분 몰아내거나 흡수하면서 여러 부족을 형성했다. 나중에 앙골라, 가봉, 콩고 민주 공화국이 되는 지역 일부를 차지한 반투계 민족인 바콩고족은 이들 국가 간의 민족적 유대감과 경쟁의 기반이 되었다.

13세기까지 서부 콩고 분지에는 세 개의 주요 국가 연합이 존재했다. 동쪽에는 콩고 디아 널라자의 7개 왕국이 있었는데, 이는 가장 오래되고 강력한 왕국으로 여겨지며, Nsundi, 음바타, Mpangu, 그리고 아마도 쿤디와 Okanga를 포함했을 가능성이 높다. 이들 남쪽에는 엠펨바가 있었는데, 오늘날 앙골라에서 콩고강까지 뻗어 있었다. 여기에는 엠펨바 카시와 Vunda와 같은 여러 왕국이 포함되었다. 콩고강 서쪽에는 세 개의 작은 국가, 즉 Vungu(지도자), 카콩고, 그리고 Ngoyo의 연합이 있었다. 콩고, 로앙고, 테케 왕국을 포함한 일부 반투 왕국들은 콩고 분지로 이어지는 무역로를 건설했다.

포르투갈의 탐험가인 디오구 칸이 1484년 콩고강 하구에 도착했다. 내륙 반투 왕국과 유럽 상인들 사이에 상품, 제조품, 그리고 배후지에서 사로잡혀 노예로 팔린 사람들을 거래하는 상업적 관계가 발전했다. 수세기 동안 대서양 무역의 중심지였던 콩고강 삼각주는 19세기에 직접적인 유럽 식민지화가 시작되면서 이 지역의 반투 사회의 권력이 약화되었다.

N'Gangue M'voumbe Niambi의 궁정 (''아프리카 묘사''(1668)에서 발췌)


15세기 대항해시대포르투갈인이 도착했을 때, 해안 지역은 콩고 왕국의 지배하에 있었다. 콩고 왕국은 포르투갈과 활발하게 무역을 했지만, 노예 무역 등으로 점차 쇠퇴해 갔다. 1550년에 콩고 왕국의 북부가 로앙고 왕국(Kingdom of Loango)으로 독립하여 1882년까지 존속했다.

2. 2. 프랑스 식민 통치

1880년 피에르 드 브라자가 바테케의 마코코 왕과 맺은 조약에 따라 콩고강 북부 지역은 프랑스의 주권 아래 들어갔다.[23][24] 마코코 사후 그의 미망인인 Ngalifourou 여왕은 조약 조항을 준수하고 식민지화자들의 동맹이 되었다.[25] 이 콩고 식민지는 처음에는 프랑스 콩고로 알려졌다가 1903년에는 중앙 콩고로 알려지게 되었다.

1905년 중앙콩고(Moyen-Congo)로 개칭되면서 서부는 가봉(Gabon), 북부는 우방기샤리(Ubangi-Shari)와 차드(Chad)로 분할되었고, 1910년에는 가봉과 우방기샤리와의 연합으로 중앙콩고는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AEF)의 일부가 되었다.[95] 1908년 프랑스는 중앙 콩고, 가봉, 차드, 우방기샤리(나중에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이 됨)를 포함하는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AEF)를 조직했으며, 브라자빌을 연방 수도로 지정했다. 콩고의 식민 통치 초기 50년 동안 경제 개발은 천연 자원 채취에 중점을 두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건설된 콩고-대서양 철도는 최소 1만 4천 명의 목숨을 앗아간 것으로 추산된다.[24]

프랑스의 식민지 정책은 1920년대까지는 특허 회사를 통한 수탈적인 것이었고, 동화 정책은 거의 시행되지 않았다.[97] 1920년대 후반, 사회 운동가 안드레 마츠와(André Matswa)가 파리에서 원주민 친목 협회를 조직하고 흑인 차별 반대를 주장하며 활발하게 활동했다. 마츠와는 1929년 체포되어 브라자빌로 추방된 후 차드로 유배되었지만, 이 운동은 마츠와를 숭배하는 종교 운동인 '마츠와니즘(Matswanisme)'으로 변질되면서 콩고의 민족주의 운동의 시작으로 여겨지게 되었다.[98]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프랑스 점령 기간 동안 브라자빌은 1940년부터 1943년까지 프랑스 자유군의 상징적인 수도 역할을 했다.[26] 1944년 브라자빌 회의는 프랑스 식민지 정책 개혁의 시대를 알렸다. 콩고는 AEF 내의 중심적인 지리적 위치와 브라자빌에 있는 연방 수도로 인해 전후 식민 행정 및 인프라 지출 확대의 "혜택"을 받았다.[21] 1946년 헌법 채택 이후 제4공화국을 수립하면서 지역 의회를 구성했다.

1958년 프랑스 헌법 개정으로 제5공화국이 수립되면서 AEF는 구성 요소로 해체되었고, 각 구성 요소는 프랑스 공동체 내의 자치 식민지가 되었다. 이러한 개혁 과정에서 중앙 콩고는 1958년 콩고 공화국으로 알려지게 되었고[21] 1959년 첫 헌법을 공포했다.[27]

2. 3. 독립과 사회주의 시대

1960년 프랑스로부터 독립했다. 1970년부터 공산주의를 표방하면서 콩고 인민공화국(République populaire du Congo|레퓌블리크 포퓔레르 뒤 콩고프랑스어)으로 국호를 바꾸었으나, 1991년에 공산주의를 포기하면서 원래의 국호로 환원되었다.[21]

1960년 콩고 공화국으로 정식 독립하였고, 대통령에는 친프랑스파인 풀베르 유루가 취임했다. 그러나 유루 정권의 부패와 독재에 대한 불만이 고조되어, 1963년 8월 13일 수도 브라자빌에서 인민 봉기가 일어났다. “8월 혁명”이 일어나 불과 3일 만에 유루 정권을 타도하였다. 8월 16일에는 온건 좌파인 알퐁스 마상바-데바가 대통령에 취임하여 외국계 기업 국유화, 프랑스군 기지 철수, “경제 개발 계획”(1964~1969년)에 기반한 산업화, 구 국가 기구 개혁 등 민족 민주 혁명을 실행하는 정책을 추구하는 사회주의 노선을 걸었다.[104]

알퐁스 마상바-데바의 일당 독재(1963-1968)는 "과학적 사회주의"라는 정치 경제적 전략을 시행하려고 시도했다.


마상바-데바 집권 기간 동안, 정권은 "과학적 사회주의"를 국가 헌법 이념으로 채택했다.[31] 1964년 콩고는 역사상 처음으로 단 한 명의 선수를 파견하여 올림픽에 참가했다. 1965년 콩고는 소련, 중화인민공화국, 북한, 북베트남과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31] 마상바-데바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콩고는 산업화를 시작했다. 킨순디의 섬유 공장, 에툼비의 야자수 농장, 베투의 성냥 공장, 요로의 조선소 등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대규모 생산 시설들이 건설되었다. 보건소와 학교(대학 및 초등학교)도 설립되었다. 콩고의 취학률은 흑인 아프리카에서 가장 높아졌다.[32]

그러나 당과 군의 하급층이 급진화하여 마상바-데바 정권과 대립하게 되고, 1968년에는 마리앵 응우아비 대위의 쿠데타가 발발하여 마상바-데바는 실각하고, 응우아비가 대신 대통령에 취임하였다. 응우아비 정권은 더욱 좌파적인 입장을 분명히 하고, 1969년 12월에는 국명을 “콩고 인민 공화국(République populaire du Congo)”으로 개칭하고, 콩고 노동당(PCT)을 설립하여 일당 독재 체제를 취하는 동시에 마르크스-레닌주의에 기반한 국가 건설을 추진했다.[105]

1977년 3월 응우아비는 암살당했고, 배후로 여겨진 마상바-데바 등 몇몇 요인들이 군부에 의해 처형되었다. 정권은 조아킴 요엠비-오팡고가 계승했다.[106]

2. 4. 민주화와 내전

1990년대에 접어들면서 콩고 공화국은 주변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민주화 요구에 직면했다. 1991년, 당시 대통령이었던 드니 사수 응게소의 역할은 의례적인 수준으로 축소되었고, 다당제가 도입되었다. 또한 공산주의를 포기하고 국명을 "콩고 인민 공화국"에서 독립 당시의 "콩고 공화국"으로 변경했으며, 국기도 함께 바뀌었다.[107]

1992년 선거에서는 세 개의 주요 정당이 경쟁했다. 북부를 기반으로 한 사수 응게소가 이끄는 콩고 노동당, 남부를 기반으로 한 파스칼 리수바가 이끄는 사회민주주의 범아프리카 연합(UPADS), 그리고 중부와 수도 브라자빌을 기반으로 한 베르나르 콜레라가 이끄는 콩고 민주 통합 발전 운동(MCDDI)이 그들이었다. 이 선거에서 UPADS가 승리하며 리수바가 대통령에 취임했다.[107]

그러나 각 정당은 নিজস্ব 민병대를 보유하고 있었다. 사수 응게소파의 "코브라", 리수바파의 "줄루", 콜레라파의 "닌자"가 그 예시이다. 이들 민병대 간의 대립은 계속되었고, 1993년 6월에는 리수바 대통령이 연립 상대였던 민주 개발 전선(RDD)의 옹비 오팡고 전 대통령을 총리로 임명하면서 충돌이 발생, 콩고 공화국 내전으로 이어졌다. 1994년 1월 휴전이 성립되었고, 같은 해 8월 콜레라가 브라자빌 시장에 취임했지만, 각 정당의 민병대는 여전히 유지되어 불안정한 정세가 지속되었다.[108]

1997년 6월, 전투가 재개되면서 사수 응게소파와 리수바파 민병대 간의 격렬한 전투와 학살이 벌어졌다. 9월에는 리수바 대통령이 콜레라를 총리로 임명하여 동맹을 맺으면서 콜레라파 닌자 민병대도 전투에 참여했다. 이 내전은 10월에 사수 응게소파가 리수바-콜레라 연합을 격파하고 수도를 장악하면서[109], 1999년 12월 휴전 협정 체결로 종식되었다.[110]

대통령에 복귀한 사수 응게소는 권력 기반을 강화하여 이후 선거에서도 계속 재선되었다. 한편, 민병대의 무장 해제는 지연되었는데, 특히 닌자 민병대는 2003년 평화 협정 이후에도 콜레라의 통제를 벗어나 프레데릭 빈차무(일명 앤투미 목사)가 이끄는 저항 국민 회의 소속으로 무장 투쟁을 계속하며 수도 주변에서 습격을 반복했다. 2016년에는 브라자빌에서 닌자로 추정되는 세력의 습격으로 5명이 사망하기도 했다.[111] 이러한 습격은 2017년 양측 간의 평화 협정이 체결될 때까지 계속되었다.[112]

2. 5. 사수 응게소 재집권 시대

드니 사수 응게소는 국가를 동구권에 편입시키고 소련과 20년간의 우호 조약을 체결했다.[36] 수년 동안 사수 응게소는 독재를 유지하기 위해 정치적 탄압에 더 의존하고 후원에는 덜 의존해야 했다.[36] 1991년 소련의 붕괴로 정권 유지를 위한 소련의 지원이 끝나자 사수 응게소는 권력을 포기했다.

파스칼 리수바는 다당제 민주주의 시대에 콩고의 첫 번째 선출 대통령(1992-1997)이 되어, IMF의 지원을 받아 경제 자유화를 위한 경제 개혁을 시행하려고 시도했다. 1993년과 1994년 콩고 제1차 내전이 발생했다. 1996년 6월 IMF는 3년 동안 SDR 6950만 달러(1억달러)의 강화된 구조 조정 시설(ESAF)을 승인했고, 연례 협약을 갱신하려던 찰나에 1997년 콩고에서 내전이 발발했다.[37]

1997년 리수바와 사수 응게소가 권력을 놓고 내전을 시작하면서 콩고의 민주적 진전은 좌절되었다. 1997년 7월 대통령 선거가 다가오면서 리수바와 사수 응게소 진영 간의 긴장이 고조되었다. 6월 5일 리수바 대통령 정부군이 브라자빌에 있는 사수 응게소의 자택을 포위했고, 사수 응게소는 그의 사병("코브라")들에게 저항할 것을 명령했다. 이로써 4개월간의 갈등이 시작되어 브라자빌의 일부가 파괴되거나 손상되었고 수만 명의 민간인이 사망했다. 10월, 앙골라 정부는 사수 응게소를 집권시키기 위해 콩고를 침공하기 시작했고, 리수바 정부는 붕괴되었다. 그 후 사수 응게소는 자신을 대통령으로 선포했다.[21]

2015년 10월 브라자빌에서 헌법 개정 찬성 집회. 헌법 개정은 이후 논란이 많은 선거에서 승인되었고, 시위와 폭력이 발생했다.


2002년 선거에서 사수 응게소는 투표의 거의 90%를 득표하여 승리했다. 그의 두 주요 라이벌인 리수바와 베르나르 콜렐라스는 출마가 금지되었다. 나머지 라이벌인 앙드레 밀롱고는 지지자들에게 선거 보이콧을 권고한 후 경주에서 철수했다.[38] 2002년 1월 국민투표에서 합의된 헌법은 대통령에게 새로운 권한을 부여하고, 임기를 7년으로 연장했으며, 새로운 양원제 의회를 도입했다. 국제 관찰자들은 대통령 선거와 헌법 국민투표의 조직에 문제를 제기했는데, 두 행사 모두 조직 방식이 콩고의 일당 독재 시대를 연상시켰다.[39] 대통령 선거 이후 정부군과 파스퇴르 눔티가 이끄는 반군 사이에 풀 지역에서 다시 전투가 시작되었고, 2003년 4월 갈등 종식을 위한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다.[40]

사수 응게소는 그 후 2009년 7월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했다.[41] 비정부기구인 콩고 인권 관측소에 따르면 이 선거는 "매우 낮은" 투표율과 "사기 및 불규칙성"으로 특징지어졌다고 한다.[42] 2015년 3월 사수 응게소는 또 다른 임기에 출마하고 싶다고 발표했고, 10월 헌법 국민투표 결과 헌법이 변경되어 2016년 대통령 선거에서 출마할 수 있게 되었다. 그는 일부에서는 부정 선거라고 여겨지는 선거에서 승리했다. 수도에서 폭력적인 시위가 발생한 후 사수 응게소는 닌자 반군이 내전 당시 근거지로 삼았던 풀 지역을 공격했는데, 이는 눈길을 돌리기 위한 것이었다고 여겨진다. 이로 인해 닌자 반군이 다시 등장하여 2016년 4월 군대를 공격했고 8만 명의 사람들이 집을 떠나야 했다. 2017년 12월 휴전 협정이 체결되었다.[43]

3. 정치

콩고 공화국의 정부는 선출된 대통령이 각료회의 또는 내각을 임명하는 준대통령제이다. 총리를 포함한 각료회의는 의회의 선출된 대표들 중에서 선출된다. 1990년대 이후, 이 나라는 다당제 정치 체제를 가지고 있지만, 데니스 사수 응게소 대통령이 주도하고 있다. 사수 응게소는 자신의 콩고 노동당(Parti Congolais du Travail프랑스어)뿐만 아니라 여러 소규모 정당들의 지지를 받고 있다.

사수 정권은 부패 폭로를 경험했으며, 이를 검열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한 프랑스 조사에 따르면 프랑스에 110개가 넘는 은행 계좌와 수십 개의 "호화로운 부동산"이 발견되었다.[50] 사수는 횡령 조사를 "인종차별적"이고 "식민지적"이라고 비난했다.[51][52][53] 데니스 사수 응게소의 아들인 데니스 크리스텔 사수 응게소는 파나마 문서와 관련이 있다고 언급되었다.[54]

2015년 3월 27일, 사수 응게소는 그의 정부가 2002년 헌법을 개정하여 그가 3연임에 도전할 수 있도록 하는 국민투표를 실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55] 10월 25일, 정부는 사수 응게소가 다음 선거에 출마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국민투표를 실시했다. 정부는 이 제안이 유권자의 92%의 지지를 받았고, 유권자의 72%가 참여했다고 주장했다. 국민투표를 보이콧한 야당은 정부의 통계가 거짓이며 투표가 조작되었다고 말했다.[56] 이 선거는 의문을 제기했고, 민중 폭동과 경찰의 시위대 총격 사건을 동반했다.[57] 10월에 실시된 국민투표를 앞두고 야당 집회 중 최소 18명이 보안군에 의해 사망했다.

콩고 공화국의 의회는 양원제를 채택하고 있다. 콩고 공화국은 다당제 민주주의를 표방하고 있지만, 여당인 콩고 노동당(Parti Congolais du Travail, Congolese Labour Party, PCT)의 세력이 매우 강하다. 대통령 데니 사수-응게소(Denis Sassou-Nguesso)는 1979년부터 1992년까지 일당제 시대의 대통령을 역임했고, 1997년 내전 승리 이후 다시 장기 집권하고 있지만, 독재적 성향과 부패가 자주 지적되고 있다. 2015년 헌법 개정으로 대통령 3선 금지 조항이 폐지되었고,[112] 2016년 대통령 선거에서도 사수-응게소가 재선되었지만, 야당 세력은 선거 부정에 항의하고 있다.[111]

그 외 야당으로는 다음과 같은 정당이 있다.


  • 사회민주주의범아프리카연합(Union Panafricaine pour la Démocratie Sociale, Pan-African Union for Social-Democracy, UPADS)
  • 콩고민주통합발전운동(Mouvement congolais pour la démocratie et le développement intégral, Congolese Movement for Democracy and Integral Development, MCDDI)
  • 민주구제회의(Convention pour la Démocratie et le Salut, Convention for Democracy and Salvation)
  • 통일민주세력(Forces Démocratiques Unies, United Democratic Forces)
  • 민주공화연합(Union pour la Démocratie et la République-Mwinda, Union for Democracy and Republic)
  • 민주개혁연합(Union pour la Renouveau Démocratique, Union for Democratic Renewal)
  • 민주개발연합(민주발전연합, Rassemblement pour la démocratie et le développement, Rally for Democracy and Development)

이 중 UPADS와 MCDDI는 1997년까지 현 여당과 치열한 내전을 벌였고, 그 이후에도 의회 내 야당으로 남아 있지만 세력은 크지 않다.

4. 행정 구역

콩고 공화국의 12개 주 지도


콩고 공화국은 12개의 주(départements)로 나뉜다. 주는 코뮌(communes)과 구역(districts)으로 나뉜다.[58]

주 이름주도
부엔자마딩구
브라자빌(특별시)
쿠베트오완도
쿠베트-우에스트에우
쿠일루루앙고
레쿠무시비티
리쿠알라앙퐁도
니아리루보모
플라토잠발라
푸앵트누아르(특별시)
킹칼라
상가우에소


5. 지리

콩고 공화국은 중앙 서부 지대에 위치하며 적도와 만나고 반사하라 지대에 속한다. 남동쪽으로는 콩고 민주 공화국, 서쪽으로는 가봉, 북쪽으로는 카메룬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남서쪽으로는 앙골라카빈다와 접한다. 대서양 연안을 끼고 있기도 하다.

수도인 브라자빌은 콩고 강 일대에 있으며 남쪽 지대에 있다. 남서쪽에는 해안 평원 지대가 있으며 쿠일루니아리 강이 흐른다. 내륙에는 중앙 평원 지대가 나타나며 남북으로 두 개의 분지가 있다.

자연 경관은 북니아리 범람림의 사바나 평원에서 콩고 강, 험준한 산악 지대와 마욤베의 숲, 그리고 대서양 연안을 따라 170km에 달하는 해변까지 다양하다.[44]

브라자빌의 기후 도표


콩고는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의 중서부, 적도를 따라 북위 4°와 남위 5° 사이, 동경 11°와 19° 사이에 위치한다. 남쪽과 동쪽에는 콩고 민주 공화국이 있다. 서쪽으로는 가봉, 북쪽으로는 카메룬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남서쪽으로는 카빈다와 접한다. 대서양 연안에 해안선을 가지고 있다.

남서부는 쿠일루-니아리 강이 주요 배수 지역인 해안 평야이며, 국토 내부는 남북 두 분지 사이에 위치한 중앙 고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숲은 점점 더 심해지는 벌채 압력을 받고 있다.[45] 콩고는 2018년 산림 경관 무결성 지수에서 172개국 중 12위를 차지하며 평균 8.89/10점을 기록했다.[46]

콩고는 대서양 적도 연안림, 북서 콩고 저지대림, 서부 콩고 늪지림, 서부 콩고 숲-사바나 모자이크 등 4개의 육상 생태 지역에 걸쳐 있다.[47] 적도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기후는 연중 일정하며, 평균 일일 기온은 습한 24°C이고, 야간 기온은 일반적으로 16°C에서 21°C 사이이다. 연평균 강우량은 남부 니아리 계곡의 1100mm에서 중부 지역의 2000mm 이상까지 다양하다. 건기는 6월부터 8월까지이며, 대부분 지역에서는 우기가 3월~5월과 9월~11월에 두 번의 강우량 최대치를 보인다.[48]

국토 남부의 샤이유 산지에 낮은 분수계가 있어, 이로 인해 수계가 이분된다. 분수계의 남서부는 주로 쿠일루 강 수계를 이루고 있으며, 구릉산지가 많고 기복이 심한 지형이기 때문에 쿠일루 강의 항행은 불가능하다. 북서쪽 끝에는 나벤바 산이 있으며, 높이는 1020m로 콩고 공화국 최고봉이다. 해안 부근에는 마욘베 산지가 뻗어 있으며, 해안까지는 좁은 평야가 펼쳐져 있다. 반면 분수계의 동쪽은 콩고 강 유역이며, 유역 남부의 바테케 고원에서 가봉 국경까지는 산지가 펼쳐져 있지만, 동부는 광대한 콩고 분지의 일부이며 고저차가 적은 평탄한 지형이다. 서부 가봉과의 국경은 대체로 오고웨 강 유역과 콩고 강 유역의 분수계를 따라 이어진다.[96] 북부는 콩고 강의 지류인 우방기 강이, 중부는 콩고 강 본류가 콩고 민주 공화국과의 국경을 이룬다. 콩고 강 본류 남쪽 끝에는 말레보 호가 있으며, 콩고 분지와 급류 지역의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말레보 호 북쪽 끝에는 수도 브라자빌이 있다. 또한, 말레보 호에 떠 있는 섬인 음바무 섬은 콩고 공화국 영토이다.

기후는 전반적으로 고온다습하며, 수도 브라자빌의 연평균 기온은 25℃, 연강수량은 1473mm이다.[114] 기후는 남부가 사바나 기후(Aw)에 속하고, 북쪽으로 갈수록 강수량이 많아지며, 북부는 열대 몬순 기후(Am)와 열대 우림 기후(Af) 지역이 많다. 해안부에서 국토 중부의 바테케 고원 부근까지는 열대 우림이 펼쳐진 마욘베·샤이유 양 산지를 제외하고 사바나가 펼쳐지며, 북부는 열대 우림이다. 북동부 콩고 강과 상가 강 사이에는 광대한 침수림 지대가 펼쳐져 있다.[115] 국토 북단의 누아발레-농도키 국립공원은 인접한 카메룬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국립공원과 함께 2012년 상가 강 유역의 3개국 보호지역으로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6. 기후

콩고는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의 중서부, 적도를 따라 북위 4°와 남위 5° 사이, 동경 11°와 19° 사이에 위치한다. 적도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기후는 연중 일정하며, 평균 일일 기온은 습한 24°C이고, 야간 기온은 일반적으로 16°C에서 21°C 사이이다. 연평균 강우량은 남부 니아리 계곡의 1100mm에서 중부 지역의 2000mm 이상까지 다양하다. 건기는 6월부터 8월까지이며, 대부분 지역에서는 우기가 3월~5월과 9월~11월에 두 번의 강우량 최대치를 보인다.[48]

7. 생태

자연 경관은 북니아리 범람림의 사바나 평원에서 콩고 강, 험준한 산악 지대와 마욤베의 숲, 그리고 대서양 연안을 따라 170km에 달하는 해변까지 다양하다.[44] 숲은 점점 더 심해지는 벌채 압력을 받고 있다.[45] 콩고는 2018년 산림 경관 무결성 지수에서 172개국 중 12위를 차지하며 평균 8.89/10점을 기록했다.[46]

콩고는 대서양 적도 연안림, 북서 콩고 저지대림, 서부 콩고 늪지림, 서부 콩고 숲-사바나 모자이크 등 4개의 육상 생태 지역에 걸쳐 있다.[47] 적도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기후는 연중 일정하며, 평균 일일 기온은 습한 24°C이고, 야간 기온은 일반적으로 16°C에서 21°C 사이이다. 연평균 강우량은 남부 니아리 계곡의 1100mm에서 중부 지역의 2000mm 이상까지 다양하다. 건기는 6월부터 8월까지이며, 대부분 지역에서는 우기가 3월~5월과 9월~11월에 두 번의 강우량 최대치를 보인다.[48]

2006년~2007년에 야생동물 보존협회(Wildlife Conservation Society) 연구원들은 상가 지역 우에소 지구를 중심으로 한 "울창한 숲" 지역에서 고릴라를 연구했다. 그들은 인간과의 격리 상태가 "척박한" 늪지대에 의해 대부분 보존되어 온 약 12만 5천 마리의 서부 저지대 고릴라 개체군을 추정했다.[49]

8. 경제

콩고 공화국의 경제는 1996년부터 2005년까지 연평균 3.4% 성장했다.[137] 1980년대에는 석유 수입 증가로 정부가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하여 연평균 5%의 GDP 성장을 기록하기도 했다. 그러나 정부는 석유 수입 일부를 담보로 제공하여 수입 부족 문제를 겪었다. 1994년 프랑 지역 통화가 50% 평가절하되면서 46%의 인플레이션이 발생했지만, 이후 점차 안정되었다.[64]

1994년부터 1996년까지 콩고 공화국은 경제 전환기를 겪으며 세금, 투자, 노동, 임업 및 탄화수소 관련 법규 개혁 등 경제 자유화 조치를 취했다. 2002~2003년에는 국영 기업 민영화를 통해 인프라 개선에 기여했다. 1997년에는 미국과 외국인 투자를 촉진하기 위한 양자 투자 조약을 비준하고, 새로운 투자 법규를 채택했다.[65]

세계은행과 국제통화기금 등 국제기구의 지원으로 경제 개혁이 추진되었으나, 1997년 내전 발발로 중단되었다. 1997년 10월 사수 누게소가 재집권하면서 경제 개혁과 민영화 추진 의지를 밝혔지만, 1998년 무력 충돌 재개와 유가 하락으로 경제 성장이 타격을 입고 재정 적자가 악화되었다.

정부는 불안한 내부 평화를 유지하고 경제 회복과 빈곤 감소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2009년에는 수입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남아프리카 공화국 농민에게 20만 헥타르의 토지를 임대하는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70][71] 콩고 공화국의 GDP는 2014년 6% 성장했으며, 2015년에는 7.5%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었다.[72][73]

2019년 콩고 공화국 수출품 비중


1950년부터 2018년까지 1인당 GDP 성장


브라자빌에서 재봉을 배우는 여성들

8. 1. 자원

콩고 공화국의 경제는 농촌 농업, 수공업, 석유 기반 산업, 지원 서비스, 그리고 정부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13][62] 석유 채굴은 경제의 주축으로, 2008년에는 국내총생산(GDP)의 65%, 정부 수입의 85%, 수출의 92%를 차지했다.[63]

천연가스, 칼리 광석, , 아연 등의 자원도 존재하지만 개발은 미진하며, 국내총생산(GDP)의 50% 이상, 수출액의 61.2%(2014년)를 원유에 의존하고 있다.[116] 석유 생산은 기니 만에 면한 쿠일루 지방에 집중되어 있어, 다른 지역과의 경제 격차가 크다.[116] 2018년에는 석유수출국기구(OPEC)에 가입했다.[117] 2009년에는 샤이유 산지의 마요코에서 철광석 채굴이 시작되었다.[118]

콩고 공화국은 개발되지 않은 광물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13] 비철금속, 금, 철, 인산염 매장량도 보유하고 있다.[68]

1990년대 후반에는 출처 불명의 다이아몬드 원석 수출이 나타나 분쟁 다이아몬드 밀반출 의혹이 제기되었다. 2004년 월드 다이아몬드 컨실은 콩고 공화국산 다이아몬드 수입 자제를 촉구하기도 했다. 콩고 공화국은 2004년 대부분의 다이아몬드 수출이 인접한 콩고 민주 공화국에서 밀반출되고 있다는 주장 속에 킴벌리 프로세스에서 제외되었지만 2007년에 다시 가입했다.[66][67]

8. 2. 농업 및 임업

국민의 주식이 되는 카사바의 자급자족적인 생산이 활발하다. 상품 작물로는 사탕수수, 땅콩, 담배, 아프리카유채, 커피, 카카오 등이 있지만, 독립 이후 경제 개발의 실패로 생산이 정체되어 경제에 큰 의미를 갖지 못하고 있다.[119] 임업은 독립 당시 주요 산업이었으며, 목재는 수출의 약 60%를 차지하는 주력 수출품이었다.[120] 그러나 이후 석유 산업의 성장으로 그 비중은 줄어들어 2014년에는 수출의 0.9%까지 축소되었다.[116] 하지만 중요한 산업임에는 변함없으며, 과거에는 마용베 산지가, 1960년대 이후로는 코밀로그 지선을 따라 있는 샤이유 산지가 주요 산지가 되고 있다. 북부 열대 우림의 임업 개발은 진행되지 않고 있다.[119]

9. 교통

콩고 최대의 항구는 해안에 위치한 푸앵투아르 항이며, 주변 국가를 제외한 수출입의 대부분이 이 항구에서 이루어진다. 한편, 푸앵투아르에서 내륙으로 들어가면 산악 지대가 되기 때문에, 국내 각지와의 연락은 좋다고 말하기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1934년에 푸앵투아르와 수도 브라자빌을 잇는 콩고 대서양 철도가 건설되었고[121], 1962년에는 중간 지점인 몽벨로에서 가봉과의 국경 도시 무빈다까지 COMILOG 지선이 건설되었다.[122]

브라자빌은 콩고 강의 항행 가능 구역 끝자락인 말레보 호에 위치하며, 이보다 상류 지역과는 활발한 수운이 이루어져 내륙부의 교통 요충지이자 집산지가 되고 있다. 콩고 강 본류뿐만 아니라, 지류인 우방기 강은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수도 방기까지, 상가 강은 국토 북단의 웨소를 지나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노라까지 항행이 가능하며, 이 또한 중요한 수송 루트가 되고 있다. 또한, 말레보 호의 건너편에 위치한 콩고 민주 공화국의 수도 킨샤사와는 페리편으로 연락이 있다.[123]

항공 교통은 브라자빌의 마야마야 공항과 푸앵투아르 공항의 두 개의 국제 공항이 있다.

콩고 오세앙 철도와 푸앵트누아르 항은 콩고강 수운과 철도로 연결되어 있으며,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차드의 외항 역할도 하고 있지만, 양국 푸앵트누아르 무역량에 대한 비중은 그다지 크지 않다.[124]

무빈다에서 가봉 모앙다까지는 1959년에 세계 최장의 로프웨이인 COMILOG 로프웨이가 개통되었고, 이 지선 건설에 따라 모앙다 광산의 망간 수송 루트가 확립되어 푸앵트누아르 항의 중요 취급품이 되었지만, 1986년에 트랑스가봉 철도가 모앙다까지 개통되면서 망간은 가봉 국내에서 수송되게 되었고, 로프웨이는 폐지되었다. COMILOG 지선도 동시에 폐지될 예정이었지만,[125] 연선의 목재 수송 수요가 컸기 때문에 존속하게 되었고, 2009년 이후로는 철광석 수송도 추가되었다.[121]

10. 인구

대부분 콩고인(콩고 인종)이 거주한다. 콩고 공화국의 인구는 남서부 지역에 집중되어 있으며, 북부의 열대 정글 지역은 사실상 무인 상태이다. 전체 인구의 70%가 브라자빌, 푸앵투아르 또는 두 도시를 연결하는 534km 철도를 따라 위치한 도시나 마을에 거주한다. 농촌 지역에서는 일부 연도에 산업 및 상업 활동이 감소하여 농촌 경제가 정부의 지원과 생계에 의존하게 되었다.[21]

1997년 전쟁 이전에는 약 9,000명의 유럽인과 기타 아프리카계가 아닌 사람들이 콩고에 거주했으며, 그 대부분은 프랑스인이었다. 현재는 그 수의 일부만 남아 있다.[21] 약 300명의 미국인 이민자가 콩고에 거주하고 있다.[21]

2011-12년 조사에 따르면, 총 출산율은 여성 1명당 5.1명의 출산율을 기록했으며, 도시 지역은 4.5명, 농촌 지역은 6.5명이다.[76]

인구
연도인구 (100만 명)
19500.8
20003.2
20185.2



콩고 공화국의 인구 변화(1961년-2003년)


콩고 공화국의 인구는 급증을 계속하고 있으며, 독립 직후인 1962년에는 82만 명,[120] 1986년에는 179만 명,[126] 2017년에는 526만 명으로 증가했다.[127]

콩고 공화국의 주요 도시 (2023년 인구 조사)
순위도시인구
1브라자빌브라자빌2,138,236--
2푸앵투아르포앵투아르1,398,812--
3돌리지니아리178,172
4엔카이부앵자104,083
5우에소상가75,095
6킨텔레71,629
7오요쿠베트63,598
8베투리쿠알라59,563
9갬보마플라토52,652
10오완도쿠베트48,642


11. 민족

대부분 콩고인(콩고 인종)이 거주한다. 콩고 공화국의 인구는 남서부 지역에 집중되어 있으며, 북부의 열대 정글 지역은 사실상 사람이 살지 않는다. 전체 인구의 70%가 브라자빌, 푸앵투아르 또는 두 도시를 연결하는 534km 철도를 따라 위치한 도시나 마을에 거주한다. 농촌 지역에서는 일부 연도에 산업 및 상업 활동이 감소하여 농촌 경제가 정부의 지원과 생계에 의존하게 되었다.[21]

1997년 전쟁 이전에는 약 9,000명의 유럽인과 기타 아프리카계가 아닌 사람들이 콩고에 거주했으며, 그 대부분은 프랑스인이었다. 현재는 그 수의 일부만 남아 있다.[21] 약 300명의 미국인 이민자가 콩고에 거주하고 있다.[21]

2011-12년 조사에 따르면, 총 출산율은 여성 1명당 5.1명의 출산율을 기록했으며, 도시 지역은 4.5명, 농촌 지역은 6.5명이다.[76] 콩고 공화국 주민 중 콩고인(Congolais)이 48%, 상가인(Sangha people)이 20%, 음보치인(Mbochi people)이 12%, 테케인(Teke people)이 17%이며, 유럽인(Européens)과 기타(피그미(Pygmies)는 2%[128])가 3%를 차지한다.[131] 콩고는 민족 갈등이 심한 국가이며, 특히 콩고인을 중심으로 한 북부와 음보치인을 중심으로 한 남부의 갈등이 심하다.[129] 이러한 민족 갈등은 1993년부터 1997년까지의 콩고 공화국 내전의 원인 중 하나였다.

12. 언어

프랑스어공용어이다. 2002년 헌법 6조는 "공용어프랑스어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또한 링갈라어와 투바어(키투바)를 국민의사소통어로 규정하고 있다. 키투바는 콩고어(키공고)의 다른 이름이다. 콩고 민주 공화국의 4개 국민어 중에서 2개어를 함께 사용하고 있다.[77]

콩고는 프랑스어사용국기구(프랑코포니)의 정회원국이다. 에스놀로그는 이 나라에서 사용되는 언어를 62개로 인식하고 있다. 콩고인은 가장 큰 민족 집단이며 인구의 약 절반을 차지한다. 콩고인의 가장 중요한 하위 집단으로는 브라자빌과 풀 지역의 라리와 푸앵트누아르와 대서양 연안에 거주하는 빌리가 있다. 테케족은 브라자빌 북쪽에 거주하며 인구의 16.9%를 차지한다.[78][79] 엠보치는 북부, 동부 및 브라자빌에 거주하며 인구의 13.1%를 차지한다.[78][79] 피그미족은 콩고 인구의 2%를 차지한다.[80]

콩고어, 링갈라어, 투바어 등 외에도 여러 지역 언어가 존재한다.[131]

13. 종교

콩고 공화국 인구의 절반 정도가 기독교 신자이며, 개신교와 로마 가톨릭 신자는 5:5 수준이다. 이슬람교는 2%를 차지한다.[136]

CIA 월드 팩트북에 따르면, 2007년 기준 콩고 공화국 국민들은 주로 가톨릭 신자(33.1%), 각성 루터교 신자(22.3%), 기타 프로테스탄트(19.9%)로 구성되어 있다.[12] 이슬람교 신자는 1.6%를 차지하는데, 이는 주로 도시 중심지로 유입된 외국인 노동자들 때문이다.[12]

콩고 공화국의 종교 분포는 가톨릭 교회를 중심으로 한 기독교가 50%, 애니미즘이 48%, 이슬람교가 2%이다.[131]

14. 교육

콩고 공화국의 교실에서 공부하는 학생들


2002년부터 2005년까지의 GDP 대비 공공 지출은 1991년보다 적었다.[83] 공교육은 이론적으로 16세 미만 아동에게 무료이고 의무적이지만,[82] 실제로는 비용이 발생한다.[82] 2005년 순 취학률은 44%였는데, 1991년 79%에서 감소했다.[83]

의무교육은 6세부터 10년이다. 2021년 추정치에 따르면, 읽기 쓰기 능력은 남성 85.9%, 여성 75.4%이다.[130] 2005년에는 GDP의 1.9%가 교육에 지출되었다.[131] 주요 고등교육기관으로는 마리앙 응가비 대학교(1971)가 있다.

15. 보건

2004년 공공 보건 지출은 GDP의 8.9%였고, 민간 지출은 1.3%였다.[83] 2012년 기준, 15세에서 49세 사이의 HIV/AIDS 유병률은 2.8%였다.[12] 2004년 1인당 보건 지출은 30USD였다.[83] 상당수의 인구가 영양실조 상태이며, 영양실조는 콩고의 문제이다.[83][84] 2000년대에는 인구 10만 명당 의사 20명이 있었다.[83]

2010년 기준, 모성 사망률은 출생 10만 건당 560명, 유아 사망률은 출생 1,000건당 59.34명이었다.[12] 여성 성기 절제(FGM)는 제한적인 지역에 국한되어 있다.[85] 2007년 콩고 공화국의 HIV 감염자 수는 추산 7만 9천 명이며,[131] 감염률은 3.5%이다.[131] 2010년 콩고 공화국 국민의 평균 수명은 54.54세(남성: 53.27세, 여성: 55.84세)이다.[131]

16. 문화

콩고 공화국의 문화는 프랑스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소니 라부 탄시의 하나 반의 생명(1979년)은 주목할 만한 문학 작품이다.[135] 콩고 공화국의 전통 음악은 유럽과 미국의 영향을 받았으며, 콩고 민주 공화국의 수쿠스 음악도 인기가 있다. 콩고 공화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는 축구이다.

16. 1. 문학

소니 라부 탄시의 La Vie et demie|하나 반의 생명프랑스어(1979년)은 르 마탱 지 등에서 주목받았으며, 발표 이후 아프리카 문학 전체에 큰 영향을 미쳤다.[135]

16. 2. 음악

콩고 공화국의 전통 음악은 유럽과 미국의 영향을 받아 다양한 스타일로 발전해 왔다. 특히 콩고 민주 공화국의 수쿠스(Soukous) 음악은 콩고 공화국에서도 큰 인기를 얻고 있다.

16. 3. 스포츠

콩고 공화국에서는 다른 아프리카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축구가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이다. 1961년에 축구 리그인 Congo Premier League|콩고 프리미어리그영어가 창설되었다. Congolese Football Federation|콩고 축구 연맹영어에 의해 구성되는 콩고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FIFA 월드컵에는 출전한 적이 없다. 하지만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는 6번 출전했으며, 1972년 대회에서는 우승을 차지했다.

17. 대외 관계

콩고 공화국은 1991년까지 20여 년 동안 사회주의 진영에 속해 있었으며, 주로 소련 및 동구권 국가들과 동맹을 맺었다.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2005년 선거 당시, 콩고 공화국의 대통령 드니 사수응게소는 프랑수아 보지제를 공개적으로 지지하였다.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에 주재하는 다국적군(FOMUC)에는 콩고 공화국의 군대도 포함되어 있다.

미국과 콩고의 외교 관계는 콩고가 급진적인 마르크스주의를 표방하던 1965년부터 1977년까지 단절되었다. 1977년 미국 대사관이 다시 문을 열면서 관계가 회복되었으나, 사회주의 시대가 끝날 때까지는 관계가 원만하지 않았다. 1980년대 말 콩고와 미국을 포함한 서방 세계 간의 관계가 완화되기 시작했다. 콩고 공화국의 대통령 드니 사수응게소는 1990년 워싱턴 D.C.를 공식 방문하여 조지 H. W. 부시 대통령의 영접을 받았다.

17. 1. 한국과의 관계

손원일(당시 주서독 대사) 특사 일행은 1960년 7월, 콩고 공화국 독립식전에 참석하였다.[138] 대한민국은 1962년에 콩고 공화국과 수교하였고, 1964년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수교하였다. 이후 콩고 인민 공화국 정권이 들어서면서 대한민국과는 1965년에 단교되었으나, 1990년에 콩고 인민 공화국 정권이 끝나면서 외교관계가 정상화되었다. 대한민국은 콩고 공화국에 관한 외교 업무를 콩고 민주 공화국 주재 대사관에서 겸임하며, 콩고 공화국은 대한민국에 관한 외교 업무를 중화인민공화국 주재 대사관에서 겸임한다. 2010년 12월 기준으로 25명(재외국민 25명, 시민권자 0명)의 한민족들이 콩고 공화국에 거주하고 있다.[139]

17. 2. 프랑스와의 관계

옛 종주국인 프랑스와의 관계가 강하며, 2017년 콩고가 받은 정부 개발 원조의 절반 이상이 프랑스의 지원이었다. 하지만 1970년대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채택했던 역사가 있어 전통적으로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관계도 깊으며, 거액의 융자를 받는 등 경제적 관계도 강화되고 있다.[112]

17. 3. 중국과의 관계

1970년대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채택했던 역사가 있어 콩고 공화국은 전통적으로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관계도 깊으며, 거액의 융자를 받는 등 경제적 관계도 강화되고 있다.[112] 콩고 공화국은 대한민국에 관한 외교 업무를 중화인민공화국 주재 대사관에서 겸임한다.

17. 4. 기타 국가와의 관계

; 대한민국과의 관계

손원일(당시 주서독 대사) 특사 일행은 1960년 7월, 콩고 공화국 독립식전에 참석하였다.[138] 1962년에 대한민국과 수교하고, 1964년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수교하였다. 이후 콩고 인민 공화국 정권이 들어서면서 대한민국과는 1965년에 단교되었으나 콩고 인민 공화국 정권 마감과 함께 1990년에 외교관계를 정상화하였다. 대한민국은 콩고 공화국에 관한 외교 업무를 콩고 민주 공화국 주재 대사관에서 겸임하며 콩고 공화국은 대한민국에 관한 외교 업무를 중화인민공화국 주재 대사관에서 겸임한다. 2010년 12월 기준으로 25명의 한민족들이 콩고 공화국에 거주하고 있다.[139]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과의 관계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2005년 선거 당시, 콩고 공화국의 대통령 드니 사수응게소는 프랑수아 보지제를 공개적으로 지지한 바 있다.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에 주재하는 다국적군(FOMUC)에 콩고 공화국의 군대도 포함되어 있다.

; 미국과의 관계

미국과 콩고의 외교 관계는 콩고의 가장 급진적인 마르크시즘 기간인 1965년부터 1977년까지는 단절되어 있었다. 관계 회복과 함께 1977년 미국 대사관이 재개되었으나, 사회주의 시대가 종말될 때까지의 관계는 소원했다. 1980년대 말 콩고와 미국을 포함한 서방 세계 간의 관계 완화가 진전되었다. 콩고 공화국의 대통령 드니 사수응게소는 1990년 워싱턴을 공식 방문하여 조지 H. W. 부시 대통령의 영접을 받았다.

참조

[1] 웹사이트 Constitution de 2015 https://mjp.univ-per[...] 2021-01-02
[2] 뉴스 Sassou rules like an emperor while Congolese die from extreme poverty https://www.theguard[...] 2021-04-10
[3] 웹사이트 Elections in Congo-Brazzaville https://www.dw.com/e[...] 2016-03-18
[4] 웹사이트 Congo Brazzaville's Sassou Nguesso re-elected with more than 88% of vote, early results show https://www.france24[...] 2021-03-23
[5] 서적 The failure of democracy in the Republic of Congo L. Rienner 2008
[6] 웹사이트 Congo Population (2024) - Worldometer https://www.worldome[...]
[7] 웹사이트 RESULTATS PRELIMINAIRES https://ins-congo.cg[...] 2024-01-08
[8]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3 Edition. (Congo) https://www.imf.org/[...]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23-10-10
[9] 웹사이트 GINI index http://data.worldban[...] World Bank
[10] 간행물 HUMAN DEVELOPMENT REPORT 2023-24 http://hdr.undp.org/[...]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24-03-13
[11] 웹사이트 Religions in Republic of the Congo | PEW-GRF https://web.archive.[...]
[12] 웹사이트 Congo, Republic of the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13] 서적 Exploitation des hydrocarbures et protection de l'environnement en République du Congo : essai sur la complexité de leurs rapports à la lumière du droit international. https://www.idref.fr[...] 2018
[14] 웹사이트 World Happiness Report 2024: Most comprehensive picture yet of happiness across generations https://worldhappine[...] 2024-03-20
[15] 서적 Africana: The Encyclopedia of the African and African American Experience 1999
[16]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European Imperialism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p. 1991
[17] 서적 Pioneering on the Congo Fleming H. Revell Co. 1900
[18] 뉴스 DR Congo country profile https://www.bbc.co.u[...] 2011-05-04
[19] 서적 Dizionario Toponomastico Friuli-Venezia Giulia Istituto per l'Enciclopedia del Friuli-Venezia Giulia 1978
[20] 간행물 The Development of States in West Central Africa to 1540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
[21] 웹사이트 Background Note: Republic of the Congo https://2009-2017.st[...] Department of State 2009-03
[22] 서적 The Portuguese Seaborne Empire, 1415–1825 A. A. Knopf 1969
[23] 뉴스 BBC NEWS – Africa – The man who would be Congo's king http://news.bbc.co.u[...] 2003-02-12
[24]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European Imperialism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1
[25] 간행물 Ngalifourou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26] 웹사이트 A Guide to the United States' History of Recognition, Diplomatic, and Consular Relations, by Country, since 1776 https://history.stat[...] United States State Department. Office of the Historian
[27] 서적 Encyclopedia of World Constitutions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07
[28] 비디오 CONGO REPUBLIC: BRAZZAVILLE RIOTS AFTERMATH http://www.itnsource[...] Reuters 1959-02-27
[29] 웹사이트 Fulbert Youlou facts, information, pictures – Encyclopedia.com articles about Fulbert Youlou http://www.encyclope[...]
[30] 서적 The Lights of Pointe-Noire 2013
[31]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n history CRC Press 2005
[32] 간행물 Congo: Transition and the Struggle to Consolidate 1997
[33] 서적 Les voies du politique au Congo: essai de sociologie historique https://books.google[...] Karthala 1997
[34] 간행물 Africa Research Bulletin https://books.google[...] Blackwell 1965
[35] 뉴스 Congo President Slain by Gunman— Military Group Takes Control, Radio Reports Los Angeles Times 1977-03-20
[36]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n history CRC Press
[37] 서적 Country Report Congo-Brazzaville http://store.eiu.com[...] The Economist Intelligence Unit 2013-06-16
[38] 웹사이트 Congo, Republic of http://www.freedomho[...] Freedom House 2009-06-12
[39] 뉴스 Congo approves new constitution http://news.bbc.co.u[...] BBC 2002-01-24
[40] 뉴스 Congo peace deal signed http://news.bbc.co.u[...] BBC 2003-03-18
[41] 뉴스 17 candidates in Congo presidential race: commission https://web.archive.[...] AFP 2009-06-13
[42] 웹사이트 Vote results expected as opposition alleges fraud http://www.france24.[...] France24 2009-07-16
[43] 뉴스 Congo-Brazzaville's hidden war http://www.thenewhum[...] New Humanitarian 2018-06-18
[44] 웹사이트 Congo Geography https://www.worldatl[...] World Atlas
[45] 간행물 Map: Situation de l'exploitation forestière en République du Congo http://pdf.wri.org/g[...]
[46] 논문 Anthropogenic modification of forests means only 40% of remaining forests have high ecosystem integrity - Supplementary Material
[47] 논문 An Ecoregion-Based Approach to Protecting Half the Terrestrial Realm
[48] 논문 Rainfall and temperature variations over Congo-Brazzaville between 1950 and 1998
[49] 뉴스 'Mother Lode' Of Gorillas Found in Congo Forests : NPR https://www.npr.org/[...] 2008-08-15
[50] 웹사이트 FACTBOX-African leaders' French assets under scrutiny https://web.archive.[...] Reuters 2009-04-29
[51] 뉴스 Congo leader son fails in gag bid http://news.bbc.co.u[...] BBC 2007-08-15
[52] 웹사이트 Propping Up Africa's Dictators https://web.archive.[...] Foreign Policy in Focus 2009-06-22
[53] 뉴스 FACTBOX-African leaders' French assets under scrutiny https://web.archive.[...] 2009-04-29
[54] 뉴스 Les Africains du Panama (1) : les circuits offshore des " fils de " http://www.lemonde.f[...] 2016-04-04
[55] 뉴스 Congo Republic president says expects referendum over the third term https://www.reuters.[...] Reuters 2015-03-27
[56] 뉴스 Congo opposition holds ceremony for killed protesters https://www.reuters.[...] 2015-10-30
[57] 뉴스 Violences au Congo : le government accuse les opposants à Sassou-Nguesso http://www.lefigaro.[...] 2016-04-04
[58]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59] 뉴스 Pygmies in the Congo treated like "pets": report http://www.globalpos[...] globalpost.com 2014-07-13
[60] 뉴스 Slaves of the Congo http://international[...] International Reporting Project 2007-03-04
[61] 웹사이트 UN expert praises Congo's draft law on indigenous rights https://web.archive.[...]
[62] 웹사이트 Congo-Brazzaville https://web.archive.[...]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U.S. Government
[63] 웹사이트 Republic of the Congo http://web.worldbank[...] World Bank
[64] 웹사이트 Congo, Republic of http://www.econstats[...] EconStats
[65] 웹사이트 Congo (Brazzaville) (11/05) https://2009-2017.st[...] 2024-11-16
[66] 웹사이트 Kimberley Process Removes the Republic of Congo from the List of Participants https://web.archive.[...] Kimberley Process 2004-07-09
[67] 웹사이트 2007 Kimberley Process Communiqué https://web.archive.[...] Kimberley Process 2007-11-08
[68] 웹사이트 Mining in Congo https://web.archive.[...] MBendi
[69] 웹사이트 OHADA.com: The business law portal in Africa http://www.ohada.com[...]
[70] 뉴스 South Africa's white farmers prepare to trek to the Congo https://archive.toda[...] National Post 2009-10-21
[71] 뉴스 Congo hands land to South African farmers https://www.telegrap[...] Telegraph 2009-10-21
[72] 웹사이트 Republic of the Congo GDP Annual Growth Rate
[73] 웹사이트 Republic of the Congo GDP and Economic Data https://www.gfmag.co[...] 2016-01-14
[74] 웹사이트 OPEC Member Countries https://www.opec.org[...] Organization of Petroleum Exporting Countries 2019-01-20
[75] 뉴스 Inauguration de la basilique Sainte-Anne du Congo à Brazzaville http://latitudefranc[...] 2011-03-31
[76] 간행물 Congo. Enquête Démographique et de Santé 2011–2012 http://www.measuredh[...] Centre National de la Statistique et des Études Économiques (CNSEE), Brazzaville 2012-12
[77] 웹사이트 Languages of Congo http://www.ethnologu[...] SIL International 2009-06-13
[78] 서적 Ethnic groups worldwide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20-12-20
[79] 웹사이트 Congo Overview http://www.minorityr[...] Minority Rights Group International 2009-06-13
[80] 뉴스 Les pygmées du Congo en "danger d'extinction" http://www.lemonde.f[...] 2011-08-05
[81] 웹사이트 Congo, Republic of the http://www.thearda.c[...] Association of Religion Data Archives 2020-05-18
[82] 웹사이트 Refworld | 2008 Findings on the Worst Forms of Child Labor – Congo, Republic of the http://www.unhcr.org[...] UNHCR 2013-02-25
[83]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Report 2009 http://hdrstats.undp[...] 2014-06-24
[84] 웹사이트 IRIN Africa – CONGO: Grappling with malnutrition and post-conflict woes – Congo – Food Security – Health & Nutrition http://www.irinnews.[...] 2015-01-23
[85] 웹사이트 CONGO (BRAZZAVILLE): UNFPA Leads Fight Against FGM " UNFPA in the News http://inthenews.unf[...] 2015-01-23
[86] 웹사이트 UNdata http://data.un.org/e[...] 국連 2021-10-10
[87] 웹사이트 IMF Data and Statistics https://www.imf.org/[...] IMF 2021-10-18
[88] 서적 外国地名由来辞典 能登印刷出版部
[89] 웹사이트 Constitution de la République Démocratique du Congo du 1er août 1964 http://www.glin.gov/[...] 2012-06-12
[90] 웹사이트 Chapter 4 - Government and Politics: Postindependence Political Development http://lcweb2.loc.go[...] 미국 의회 도서관 2012-06-12
[91] 웹사이트 Burundi–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Zaire)'' Boundary http://www.law.fsu.e[...] 미국 국무부 정보조사국 1965-04-30
[92] 웹사이트 Congo https://www.un.org/e[...] 국제연합 2021-09-18
[93] 서적 世界現代史15 アフリカ現代史3 山川出版社 1986-03-30
[94] 서적 世界地理大百科事典2 アフリカ 朝倉書店
[95] 서적 世界現代史15 アフリカ現代史3 山川出版社 1986-03-30
[96] 서적 西部・中部アフリカ 朝倉書店 2017-01-15
[97] 서적 世界現代史15 アフリカ現代史3 山川出版社 1986-03-30
[98] 서적 世界現代史15 アフリカ現代史3 山川出版社 1986-03-30
[99] 서적 世界現代史15 アフリカ現代史3 山川出版社 1986-03-30
[100] 서적 世界現代史15 アフリカ現代史3 山川出版社 1986-03-30
[101] 서적 世界現代史15 アフリカ現代史3 山川出版社 1986-03-30
[102] 서적 アフリカを知る事典 平凡社 1989-02-06
[103] 서적 現代アフリカ・クーデター全史 叢文社
[104] 서적 アフリカの歴史-侵略と抵抗の軌跡 明石書店
[105] 서적 現代アフリカ・クーデター全史 叢文社
[106] 서적 現代アフリカ・クーデター全史 叢文社 2005
[107] 서적 世界地理大百科事典2 アフリカ 朝倉書店 1998
[108] 서적 現代アフリカ・クーデター全史 叢文社 2005
[109] 서적 現代アフリカ・クーデター全史 叢文社 2005
[110] 웹사이트 コンゴ共和国基礎データ https://www.mofa.go.[...] 2020-01-03
[111] 뉴스 コンゴ首都で衝突、民間人ら5人死亡 反政府勢力「ニンジャ」関与か https://www.afpbb.co[...] 2020-04-15
[112] 웹사이트 コンゴ共和国基礎データ https://www.mofa.go.[...] 2020-04-15
[113] 웹사이트 外務省 コンゴ共和国基礎データ https://www.mofa.go.[...]
[114] 서적 データブック オブ・ザ・ワールド 2018年版 世界各国要覧と最新統計 二宮書店 2018-01-10
[115] 서적 西部・中部アフリカ 朝倉書店 2017-01-15
[116] 서적 データブック オブ・ザ・ワールド 2018年版 世界各国要覧と最新統計 二宮書店 2018-01-10
[117] 웹사이트 石油輸出国機構(OPEC:Organization of the Petroleum Exporting Countries)の概要 https://www.mofa.go.[...] 2020-04-14
[118] 서적 世界の鉄道 ダイヤモンド・ビッグ社 2015-10-02
[119] 서적 西部・中部アフリカ 朝倉書店 2017-01-15
[120] 서적 各国別 世界の現勢Ⅰ 岩波書店 1964-09-14
[121] 서적 世界の鉄道 ダイヤモンド・ビッグ社 2015-10-02
[122] 서적 世界地理大百科事典2 アフリカ 朝倉書店 1998
[123] 서적 世界地理大百科事典2 アフリカ 朝倉書店 1998
[124] 서적 西部・中部アフリカ 朝倉書店 2017-01-15
[125] 서적 世界地理大百科事典2 アフリカ 朝倉書店 1998
[126] 서적 アフリカを知る事典 平凡社 1989-02-06
[127] 서적 データブック オブ・ザ・ワールド 2018年版 世界各国要覧と最新統計 二宮書店 2018-01-10
[128] 웹사이트 Les pygmées du Congo en "danger d'extinction" http://www.lemonde.f[...]
[129] 서적 DATA ATLAS 同朋社出版 1995-04-26
[130] 서적 世界年鑑2024 共同通信社
[131] 웹사이트 Congo, Republic of the https://www.cia.gov/[...] 2010-11-08
[132] 웹사이트 コンゴ共和国安全対策基礎データ https://www.anzen.mo[...]
[133] 웹사이트 Republic of the Congo: Media and Publishing https://www.britanni[...] 2017-07-24
[134] 웹사이트 Republic of Congo Media Sustainability Index (MSI) http://www.irex.org/[...] IREX 2011-08-20
[135] 논문 1980年代のコンゴの状況と文学──ソニー・ラブ・タンシを中心に 日本フランス語フランス文学会 1995-10
[136] 웹사이트 보관된 사본 http://www.religious[...] 2012-02-27
[137] 뉴스 아프리카 전환점 돌아..성장 국면으로 들어선 듯 [WB보고서] http://news.mk.co.kr[...] 매일경제 2007-11-15
[138] 뉴스 阿洲六國과修交...孫親善特使合意報告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60-07-22
[139] 웹사이트 국가별 재외동포현황(2011).xls http://www.mofat.go.[...] 대한민국 외교통상부 2012-07-21
[140] 일반
[141] 위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