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시나 기념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시나 기념상은 일본의 물리학자 니시나 요시오를 기리기 위해 1955년부터 니시나 기념 재단에서 수여하는 상이다. 원자 및 아원자 물리학 연구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낸 젊은 과학자에게 50만 엔의 상금과 증서를 수여하며, 노벨상 수상자를 다수 배출했다. 2012년에는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 과학자의 업적을 기리는 니시나 아시아상이 제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물리학상 - 노벨상
노벨상은 알프레드 노벨의 유언에 따라 인류에 공헌한 사람들에게 수여되는 권위 있는 상으로, 물리학, 화학, 생리 의학, 문학, 평화, 경제학 6개 분야에서 스웨덴과 노르웨이의 기관들이 수상자를 선정한다. - 물리학상 - 마테우치 메달
마테우치 메달은 이탈리아 과학 아카데미에서 물리학 분야의 뛰어난 업적을 기려 과학자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헤르만 폰 헬름홀츠, 마리 퀴리,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닐스 보어 등 저명한 과학자들이 수상했으며 유럽과 미국, 영국 등 다양한 국적의 과학자들이 수상했지만 현재까지 한국인 수상자는 없다.
니시나 기념상 - [상(Prize)]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이름 | 니시나 기념상 |
로마자 표기 | Nishina Kinenshō |
영어 이름 | Nishina Memorial Prize |
수여 대상 | 원자 물리학 및 응용 분야에 상당한 공헌을 한 사람 |
주최 | 공익재단법인 니시나 기념 재단 |
국가 | 일본 |
첫 시상 연도 | 1955년 |
웹사이트 | 니시나 기념 재단 공식 웹사이트 (영문) |
일본어 웹사이트 | 니시나 기념 재단 공식 웹사이트 (일본어) |
상금 | 상장, 상패, 부상 |
2. 역사
니시나 기념상은 원자 및 아원자 물리학 분야에서 독창적이고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한 젊은 과학자에게 수여된다. 후보자는 다음 두 가지 경로를 통해 추천 또는 선정된다.
1955년 니시나 요시오를 기념하기 위해 니시나 기념 재단이 설립되었다.[2] 니시나 요시오는 일본 현대 물리학의 아버지이자, 일본 최초의 노벨상 수상자인 유카와 히데키와 도모나가 신이치로의 스승이었다.
같은 해부터 니시나 기념 재단은 매년 니시나 기념상을 수여하고 있다.[2] 이 상은 원자 및 아원자 물리학 연구 분야에서 뛰어난 공헌을 한 젊은 과학자들에게 수여되며, 500000JPY(약 5000USD)의 상금과 증서가 주어진다.
2024년 현재, 에사키 레오, 고바야시 마코토, 마스카와 도시히데, 고시바 마사토시, 나카무라 슈지, 가지타 다카아키 등 6명의 니시나 기념상 수상자가 노벨상을 수상했다.
3. 선정 기준 및 절차
수상자는 니시나 기념 재단의 선정 위원회에서 심사를 거쳐 최종 결정된다.
4. 역대 수상자
연도 | 수상자 | 업적 |
---|---|---|
1955 | 니시지마 가즈히코 | 소립자의 상호 변환 |
1956 | 요시다 케이 | 강자성체에서의 자기이방성 에너지 |
미쓰이 신고, 니시가키 스스무, 에가와 토모지, 시오타 츠네조 | 동위 원소에 의한 식물의 영양 및 토양비료학적 연구 | |
1957 | 구보 료고 | 비가역과정의 통계역학 |
1958 | 스기모토 겐조 | 원자핵의 여기상태의 자성 능률 및 전기4극자능률의 측정 |
사와다 가쓰로 | 전자기체의 상관 에너지에 관한 연구 | |
1959 | 에사키 레오나 | 에사키 다이오드의 발명 및 그 기능의 이론적 규명 |
나카네 료헤이 | 화학교환반응에 의한 동위원소 농축 | |
1960 | 요시모리 아키오 | 자성결정에 있어서 스핀의 나선상 배열의 이론 |
1961 | 니우 기요시 | 중간자 다중발생 불덩어리 모형 |
후쿠이 다카토키, 미야모토 시게노리 | 디스차지체임버의 연구과 개발 | |
마쓰바라 다케오 | 양자통계역학의 방법 | |
1962 | 다카야마 가즈오 | 저밀도 플라스마연구, 특히 공명탐침법의 발명 |
사사키 와타루 | 게르마늄의 뜨거운 전자의 이방성 연구 | |
1963 | 하야시 주시로 | 천체 핵현상의 연구 |
1964 | 이와타 요이치 | 정전자장에 있어서 전자 및 이온 운동에 관한 연구 |
세야 마사오 | 진공 분광계에 관한 연구 | |
1965 | 미타니 겐지, 다나카 시게토시 | 약전리 플라스마의 사이클로트론 주파수에 있어서 부흡수(負吸収)의 연구 |
미야케 사부로 | 우주선 뮤 중간자 및 뉴트리노 연구 | |
1966 | 오다 미노루 | SCO-X-1의 위치결정 |
도요자와 유타카 | 고체 광물성의 동력학적 이론 | |
1967 | 오가와 슈조, 야마구치 요시오 | 기본입자의 대칭성에 관한 연구 |
니시무라 준 | 초고에너지 상호작용에 의한 횡방향 운동량의 연구 | |
1968 | 모리 하지메 | 비평형상태의 통계역학 |
곤도 준 | 희박합금계의 저항 극소의 규명 | |
1969 | 마쓰다 히사시 | 원자 질량 정밀측정용 대분산 질량분석장치의 개발 |
이케지 히로유키, 니시카와 교지 | 이온파 에코의 연구 | |
1970 | 기코시 구니히코 | 탄소14에 의한 연대측정에 관한 연구 |
니시카와 데쓰지 | 선형가속기에 관한 기초연구 | |
1971 | 스가와라 히로타카 | 기본입자 대칭성의 응용 |
모리나가 하루히코 | 빔내 스펙트로스코피의 창출 및 원자핵 구조의 연구 | |
1972 | 가와사키 교지 | 임계현상의 동력학적 이론 |
마키 가즈미 | 초전도체의 이론적 연구 | |
1973 | 나카니시 노보루 | 장의 양자론에 있어서의 산란진폭의 제성질의 분석 |
사토 후미타카, 도미마쓰 아키라 | 동력장방정식의 새로운 엄밀해의 발견 및 그들의 우주물리학에의 응용 | |
1974 | 오쓰카 에이조 | 반도체전자수송현상의 사이클로트론 공명에 의한 연구 |
사키타 분지 | 소립자의 초다중항이론 및 이중성 이론의 연구 | |
1975 | 야마자키 도시미쓰 | 핵자기 능률에 있어서의 중간자 효과의 발견 |
하나무라 에이이치 | 다여기자계(多励起子系)의 이론적 연구 | |
1976 | 이소야 아키라 | 정전고압가속기의 연구 및 그 신기축(新機軸)의 개발 |
오쿠보 스스무, 이이즈카 주고로 | 강한 상호작용에 의한 소립자 반응에 대한 선택관측의 발견 | |
1977 | 시오타니 시게오 | 피코초 분광법에 의한 반도체의 고밀도 여기효과의 연구 |
마키 지로, 하라 야스오 | 소립자의 4원 모델 | |
1978 | 히로타 에이지 | 고분해능 고감도 분광법에 의한 유리 라디칼의 연구 |
아리마 아키토, 마루모리 도시오 | 원자핵의 집단운동현상의 규명 | |
1979 | 모리야 도루 | 편력(遍歴)전자강자성의 이론 |
고바야시 마코토, 마스카와 도시히데 | 기본입자의 모형에 관한 연구 | |
1980 | 다테 무네유키 | 초강자성의 발견 |
도리즈카 요시하루 | 원자핵의 거대공명의 연구 | |
구고 다이치로, 고지마 이즈미 | 비가환 게이지 장의 공변적 양자화 이론 | |
1981 | 스기모토 다이이치로 | 근접 쌍성계의 별의 진화 |
요시무라 모토히코 | 우주의 중입자 수의 기원 | |
1982 | 안도 쓰네야 | MOS 반전층에 있어서의 이차원전자계의 이론적 연구 |
도노무라 아키라 | 전자선 홀로그래피법의 개발과 그 응용 | |
1983 | 야마노우치 다이지 | 입실론 입자의 발견에 대한 공헌 |
마스다 아키마사 | 희토류 원소의 미량정밀 측정 및 우주・지구과학에의 응용 | |
1984 | 에구치 도루, 가와이 히카루 | 격자 게이지 이론 |
이시카와 요시카즈 | 중성자 산란에 의한 금속 강자성의 연구 | |
가와지 신지 | 2차원 전자계에 있어서의 부자기저항 및 양자 홀 효과의 실험적 연구 | |
1985 | 다나카 도요이치 | 겔의 상전이 현상의 연구 |
이지마 스미오 | 소수 원자집단의 동적 관찰 | |
다나카 야스오 | 덴마 위성에 의한 중성자 별의 연구 | |
1986 | 스즈키 마스오 | 상전이 질서 형성 및 양자 다체계의 통계 물리학 |
후지카와 가즈오 | 양자장론에 있어서의 이상 항의 연구 | |
사토 데쓰야 | 산일성 자기유체 플라스마의 비선형 다이나믹스 | |
1987 | 다카야나기 구니오 | 실리콘 표면 구조의 연구 |
모리모토 마사키, 가이후 노리오 | 밀리미터파 천문학의 개척 | |
고시바 마사토시, 도쓰카 요지, 스다 히데오 | 초신성 폭발에 따른 뉴트리노의 검출 | |
1988 | 마쓰모토 도시마사 | 우주 배경 복사선의 서브밀리미터파 스펙트럼의 관측 |
요시카와 게이지 | 끈 이론 | |
사이토 군지 | 유기초전도체의 새로운 분자 설계 및 합성 | |
1989 | 다니하타 이사오 | 불안정 원자핵 빔에 의한 원자핵 연구 |
노모토 겐이치 | 초신성의 이론적 연구 | |
1990 | 사토 가쓰히코 | 소립자론적 우주론 |
도쿠라 요시노리 | 전자형 동산화물 초전도체의 발견 | |
요코야 가오루 | 선형 충돌기에 있어서의 빔 상호작용의 연구 | |
1991 | 기타무라 히데오 | 투입형 방사광원의 개발연구 |
사이토 슈지 | 성간 분자의 분광학적 연구 | |
와다치 미키 | 솔리톤 물리학과 그 응용 | |
1992 | 야마모토 요시히사 | 광자수 스퀴즈 상태의 형성 및 자연방사의 제어 |
오누키 아키라, 하세가와 아키라 | 편력하는 무거운 전자계의 페르미면에 관한 연구 | |
야나기다 쓰토무 | 뉴트리노 질양에 있어서의 시소 기구 | |
1993 | 이토 기미타카, 이토 사나에 | 고온 플라스마에 있어서의 이상수송과 L-H 천이의 이론 |
가쓰마타 고이치 | 새로운 형의 자기상전이 연구 | |
이와사키 요이치, 우카와 아키라, 오카와 마사노리, 후쿠기타 마사타카 | 격자 양자 색역학의 대규모 수치 시뮬레이션에 의한 연구 | |
1994 | 가와바타 아리사토 | 앤더슨 국소존재 및 메조스코픽 계에 있어서의 양자 수송현상의 이론 |
다나베 데쓰미 | 쿨러 링을 이용한 전자・분자 이온 충돌의 정밀연구 | |
1995 | 사토 다케오 | 초저온에 있어서의 양자적 상분리현상의 실험적 연구 |
가와카미 노리오, 량성길 | 공형장이론(共形場理論)에 기초한 1차원 전자계의 연구 | |
1996 | 나카무라 슈지 | 단파장 반도체 레이저 연구 |
이타야 긴고 | 고체액체 계면에서의 원자 프로세스의 규명에 관한 연구 | |
나카이 나오마사, 이노우에 마코토, 미요시 마코토 | 은하 중심 거대 블랙홀의 발견 | |
1997 | 기후네 다다시, 다니모리 도루 | 초고에너지 감마천체 연구 |
미타 이치로 | B중간자계에서의 CP 대칭성의 깨어짐의 이론 | |
야스오카 히로시 | 고온초전도체에 있어서의 스핀 갭의 발견 | |
1998 | 아키미쓰 준 | 사다리형 물질에서의 초전도의 발견 |
시미즈 후지오 | 원자파 홀로그래피의 개척 | |
곤도 미토루 | 꼭대기 쿼크 발견에 대한 공헌 | |
1999 | 이노우에 겐조, 가쿠토 아키라 | 초대칭 표준이론에 있어서의 전약대칭성의 양자적 깨어짐 |
가지타 다카아키 | 대기 뉴트리노 이상의 발견 | |
나카무라 야스노부 | 초전도소자를 이용한 결맞는 2준위계의 관측과 제어 | |
2000 | 오리토 쇼지, 야마모토 아키라 | 우주선 반양성자의 관측 |
고니시 겐이치 | 고니시 아노말리의 발견 | |
호리우치 히사시 | 페르미 입자 분자동역학에 의한 원자핵 연구 | |
2001 | 스즈키 요이치로, 나카하타 마사유키 | 태양 뉴트리노의 정밀 관측에 의한 뉴트리노 진동의 발견 |
다카사키 후미히코, 이쿠데 가쓰노부 | B중간자에 있어서의 CP 대칭성 위반의 발견 | |
아마야 기이치, 시미즈 가쓰야 | 초고압하에서의 산소 및 철의 초전도 현상의 발견 | |
2002 | 고야마 가쓰지 | 초신성 잔해에서의 우주선 가속 |
다루차 세이고 | 인공원자・분자의 구현 | |
나가이 야스키, 이가시라 마사유키 | 원자핵에 의한 고속 중성자 포획현상의 연구 | |
2003 | 기타오카 요시오 | 핵자기 공명법에 의한 새로운 초전도 상태의 규명 |
스즈키 아쓰토 | 원자로 반전자 뉴트리노 소멸의 관측 | |
나카노 다카시 | 레이저 전자 감마선에 의한 새로운 입자의 발견 | |
2004 | 차이 자오선 | 조셉슨 접합 소자를 이용한 2개의 양자 비트 사이의 양자 얽힘 상태의 실현 |
니와 기미오 | 원자핵 건판 전자동 주사기에 의한 타우 중성미자의 발견 | |
2005 | 나가나가 나오토 | 이상 홀 효과의 이론적 연구 |
니시카와 고이치로 | 가속기 빔에 의한 장기선(長基線) 뉴트리노 진동의 관측 | |
모리타 고스케 | 새로운 초중량113번 원소의 합성 | |
2006 | 다지마 도시유키 | 레이저를 이용한 플라스마 가속의 선구적 연구 |
니시모리 히데토시 | 랜덤스핀계에 있어서의 니시무라 선(西森線)의 발견 | |
미시마 오사무 | 물・비정질 얼음의 상전이・폴리아몰피즘의 실험적 연구 | |
2007 | 호소야 유 | 하세가와 기구(細谷機構)의 발견 |
2008 | 이에 마사노리 | 스바루 망원경에 의한 초기 우주의 탐사 |
우에다 마사히토 | 인력 상호작용하는 원자기체의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의 이론적 연구 | |
하야노 류고 | 반양성자헬륨 원자의 연구 | |
2009 | 오구리 히로시 | 토폴로지컬 끈 이론의 연구 |
다무라 히로카즈 | 하이퍼 핵 감마선 스펙트로스코피의 연구 | |
2010 | 가네코 구니히코 | 대자유도 혼돈 이론 |
마에노 요시테루 | 스핀 3중항 초전도 현상루테늄산화물의 발견 | |
2011 | 아키바 야스유키 | 충돌형 중이온 반응에 관한 제연구, 특히 경입자대생성(対生成)에 의한 고온상의 검증 |
후지사와 아키히데, 이다 가쓰미 | 고온 플라스마에 있어서의 자발전자장의 실험적 검증 | |
2012 | 이노우에 구니오 | 지구내부 기원의 반중성미자의 검출 |
호소노 히데오 | 철계 초전도 현상의 발견 | |
하쓰다 데쓰오, 아오키 신야, 이시이 오사무 | 격자 양자 색역학에 기초한 핵력의 도출 | |
2013 | 가토리 히데토시 | 광 격자시계의 발명 |
다카하시 요시로 | 이터븀 초저온 양자계의 창출 | |
곤도 다카히코, 고바야시 도미오, 아사이 쇼진 | 힉스 보손 발견에 대한 공헌 | |
2014 | 마쓰다 유지 | 무거운 페르미온의 2차원 폐쇄에 의한 새로운 전자 상태의 창출 |
고바야시 다카시, 나카야 쓰요시 | 뮤온 중성미자 빔으로부터 전자 중성미자 출현 현상의 발견 | |
2015 | 가사 마사오, 후루사키 아키라 | 위상절연체・초전도체의 분류 이론 |
모토바야시 도루, 사쿠라이 히로요시 | 중성자 과승핵에 있어서의 마법수의 이상성의 발견 | |
2016 | 다카야나기 다다시 | 홀로그래피 원리를 이용한 얽힘 엔트로피 공식의 발견과 전개 |
2017 | 다케스에 히로키 | 대규모 코히어런트이징머신의 실현 |
아다치 지와야 | 열 활성화 지연 형광 현상을 이용한 고효율 유기 EL 실현 | |
고모토 마히토 | 토폴로지컬 양자물성 물리학의 창시 | |
2018 | 시바타 마사루 | 수치상대론에 의한 연성 중성자성합체의 발견 |
다나카 고이치로 | 고체에 있어서의 테라헤르츠 극단비선형광학의 개척 | |
2019 | 이와사 요시히로 | 전계유기 2차원 초전도의 발견 |
요시다 시게루, 이시하라 아야 | 초고에너지 우주 뉴트리노의 발견 | |
2020 | 가노다 가즈시 | 유기전도체에 있어서의 강상관 양자액체의 연구 |
나카자와 가즈마 | 원자핵 건판을 이용한 더블 스트레인지니스 원자핵 연구 | |
2021 | 아리마 다카히사, 기무라 쓰요시 | 스핀을 유기하는 멀티페로익스의 발견과 개척 |
다키타 마사토 | 서브PeV감마선 천문학의 창시와 은하우주선의 기원 해석 | |
미야자키 사토시 | 스바루 망원경 광시야 카메라의 개발에 의한 관측우주론의 전개 | |
2022 | 사이토 에이지 | 스핀류 물리학의 개척 |
고마쓰 에이이치로 |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을 이용한 표준우주론에 대한 공헌 | |
2023 | 이치카와 아츠코 | 뉴트리노 진동에서의 CP 비보존 위상각 δ에 대한 제한 |
2024 | 시모우라 타카시 | 4중성자 상태의 실험적 연구 |
아오키 다이 | 악티늄 화합물에서의 초전도 선구적 연구 | |
무라카미 슈이치 | 스핀 홀 효과와 위상학적 물질의 이론 |
4. 1. 주요 수상자 (노벨상 수상자)
수상 연도 | 이름 | 노벨상 수상 연도 |
---|---|---|
1959년 | 에사키 레오나 | 1973년 노벨 물리학상[2] |
1979년 | 고바야시 마코토 | 2008년 노벨 물리학상[2] |
1979년 | 마스카와 도시히데 | 2008년 노벨 물리학상[2] |
1987년 | 고시바 마사토시 | 2002년 노벨 물리학상[2] |
1996년 | 나카무라 슈지 | 2014년 노벨 물리학상[2] |
1999년 | 가지타 다카아키 | 2015년 노벨 물리학상[2] |
4. 2. 전체 수상자 목록
연도 | 수상자 | 업적 |
---|---|---|
1955 | 니시지마 가즈히코 | 소립자의 상호 변환 |
1956 | 요시다 케이 | 강자성체에서의 자기이방성 에너지 |
미쓰이 신고, 니시가키 스스무, 에가와 토모지, 시오타 츠네조 | 동위 원소에 의한 식물의 영양 및 토양비료학적 연구 | |
1957 | 구보 료고 | 비가역과정의 통계역학 |
1958 | 스기모토 겐조 | 원자핵의 여기상태의 자성 능률 및 전기4극자능률의 측정 |
사와다 가쓰로 | 전자기체의 상관 에너지에 관한 연구 | |
1959 | 에사키 레오나 | 에사키 다이오드의 발명 및 그 기능의 이론적 규명 |
나카네 료헤이 | 화학교환방응에 의한 동위원소 농축 | |
1960 | 요시모리 아키오 | 자성결정에 있어서 스핀의 나선상 배열의 이론 |
1961 | 니우 기요시 | 중간자 다중발생 불덩어리 모형 |
후쿠이 다카토키, 미야모토 시게노리 | 디스차지체임버의 연구과 개발 | |
마쓰바라 다케오 | 양자통계역학의 방법 | |
1962 | 다카야마 가즈오 | 저밀도 플라스마연구, 특히 공명탐침법의 발명 |
사사키 와타루 | 게르마늄의 뜨거운 전자의 이방성 연구 | |
1963 | 하야시 주시로 | 천체 핵현상의 연구 |
1964 | 이와타 요이치 | 정전자장에 있어서 전자 및 이온 운동에 관한 연구 |
세야 마사오 | 진공 분광계에 관한 연구 | |
1965 | 미타니 겐지, 다나카 시게토시 | 약전리 플라스마의 사이클로트론 주파수에 있어서 부흡수(負吸収)의 연구 |
미야케 사부로 | 우주선 뮤 중간자 및 뉴트리노 연구 | |
1966 | 오다 미노루 | SCO-X-1의 위치결정 |
도요자와 유타카 | 고체 광물성의 동력학적 이론 | |
1967 | 오가와 슈조, 야마구치 요시오 | 기본입자의 대칭성에 관한 연구 |
니시무라 준 | 초고에너지 상호작용에 의한 횡방향 운동량의 연구 | |
1968 | 모리 하지메 | 비평형상태의 통계역학 |
곤도 준 | 희박합금계의 저항 극소의 규명 | |
1969 | 마쓰다 히사시 | 원자 질량 정밀측정용 대분산 질량분석장치의 개발 |
이케지 히로유키, 니시카와 교지 | 이온파 에코의 연구 | |
1970 | 기코시 구니히코 | 탄소14에 의한 연대측정에 관한 연구 |
니시카와 데쓰지 | 선형가속기에 관한 기초연구 | |
1971 | 스가와라 히로타카 | 기본입자 대칭성의 응용 |
모리나가 하루히코 | 빔내 스펙트로스코피의 창출 및 원자핵 구조의 연구 | |
1972 | 가와사키 교지 | 임계현상의 동력학적 이론 |
마키 가즈미 | 초전도체의 이론적 연구 | |
1973 | 나카니시 노보루 | 장의 양자론에 있어서의 산란진폭의 제성질의 분석 |
사토 후미타카, 도미마쓰 아키라 | 동력장방정식의 새로운 엄밀해의 발견 및 그들의 우주물리학에의 응용 | |
1974 | 오쓰카 에이조 | 반도체전자수송현상의 사이클로트론 공명에 의한 연구 |
사키타 분지 | 소립자의 초다중항이론 및 이중성 이론의 연구 | |
1975 | 야마자키 도시미쓰 | 핵자기 능률에 있어서의 중간자 효과의 발견 |
하나무라 에이이치 | 다여기자계(多励起子系)의 이론적 연구 | |
1976 | 이소야 아키라 | 정전고압가속기의 연구 및 그 신기축(新機軸)의 개발 |
오쿠보 스스무, 이이즈카 주고로 | 강한 상호작용에 의한 소립자 반응에 대한 선택관측의 발견 | |
1977 | 시오타니 시게오 | 피코초 분광법에 의한 반도체의 고밀도 여기효과의 연구 |
마키 지로, 하라 야스오 | 소립자의 4원 모델 | |
1978 | 히로타 에이지 | 고분해능 고감도 분광법에 의한 유리 라디칼의 연구 |
아리마 아키토, 마루모리 도시오 | 원자핵의 집단운동현상의 규명 | |
1979 | 모리야 도루 | 편력(遍歴)전자강자성의 이론 |
고바야시 마코토, 마스카와 도시히데 | 기본입자의 모형에 관한 연구 | |
1980 | 다테 무네유키 | 초강자성의 발견 |
도리즈카 요시하루 | 원자핵의 거대공명의 연구 | |
구고 다이치로, 고지마 이즈미 | 비가환 게이지 장의 공변적 양자화 이론 | |
1981 | 스기모토 다이이치로 | 근접 쌍성계의 별의 진화 |
요시무라 모토히코 | 우주의 중입자 수의 기원 | |
1982 | 안도 쓰네야 | MOS 반전층에 있어서의 이차원전자계의 이론적 연구 |
도노무라 아키라 | 전자선 홀로그래피법의 개발과 그 응용 | |
1983 | 야마노우치 다이지 | 입실론 입자의 발견에 대한 공헌 |
마스다 아키마사 | 희토류 원소의 미량정밀 측정 및 우주・지구과학에의 응용 | |
1984 | 에구치 도루, 가와이 히카루 | 격자 게이지 이론 |
이시카와 요시카즈 | 중성자 산란에 의한 금속 강자성의 연구 | |
가와지 신지 | 2차원 전자계에 있어서의 부자기저항 및 양자 홀 효과의 실험적 연구 | |
1985 | 다나카 도요이치 | 겔의 상전이 현상의 연구 |
이지마 스미오 | 소수 원자집단의 동적 관찰 | |
다나카 야스오 | 덴마 위성에 의한 중성자 별의 연구 | |
1986 | 스즈키 마스오 | 상전이 질서 형성 및 양자 다체계의 통계 물리학 |
후지카와 가즈오 | 양자장론에 있어서의 이상 항의 연구 | |
사토 데쓰야 | 산일성 자기유체 플라스마의 비선형 다이나믹스 | |
1987 | 다카야나기 구니오 | 실리콘 표면 구조의 연구 |
모리모토 마사키, 가이후 노리오 | 밀리미터파 천문학의 개척 | |
고시바 마사토시, 도쓰카 요지, 스다 히데오 | 초신성 폭발에 따른 뉴트리노의 검출 | |
1988 | 마쓰모토 도시마사 | 우주 배경 복사선의 서브밀리미터파 스펙트럼의 관측 |
요시카와 게이지 | 끈 이론 | |
사이토 군지 | 유기초전도체의 새로운 분자 설계 및 합성 | |
1989 | 다니하타 이사오 | 불안정 원자핵 빔에 의한 원자핵 연구 |
노모토 겐이치 | 초신성의 이론적 연구 | |
1990 | 사토 가쓰히코 | 소립자론적 우주론 |
도쿠라 요시노리 | 전자형 동산화물 초전도체의 발견 | |
요코야 가오루 | 선형 충돌기에 있어서의 빔 상호작용의 연구 | |
1991 | 기타무라 히데오 | 투입형 방사광원의 개발연구 |
사이토 슈지 | 성간 분자의 분광학적 연구 | |
와다치 미키 | 솔리톤 물리학과 그 응용 | |
1992 | 야마모토 요시히사 | 광자수 스퀴즈 상태의 형성 및 자연방사의 제어 |
오누키 아키라, 하세가와 아키라 | 편력하는 무거운 전자계의 페르미면에 관한 연구 | |
야나기다 쓰토무 | 뉴트리노 질양에 있어서의 시소 기구 | |
1993 | 이토 기미타카, 이토 사나에 | 고온 플라스마에 있어서의 이상수송과 L-H 천이의 이론 |
가쓰마타 고이치 | 새로운 형의 자기상전이 연구 | |
이와사키 요이치, 우카와 아키라, 오카와 마사노리, 후쿠기타 마사타카 | 격자 양자 색역학의 대규모 수치 시뮬레이션에 의한 연구 | |
1994 | 가와바타 아리사토 | 앤더슨 국소존재 및 메조스코픽 계에 있어서의 양자 수송현상의 이론 |
다나베 데쓰미 | 쿨러 링을 이용한 전자・분자 이온 충돌의 정밀연구 | |
1995 | 사토 다케오 | 초저온에 있어서의 양자적 상분리현상의 실험적 연구 |
가와카미 노리오, 량성길 | 공형장이론(共形場理論)에 기초한 1차원 전자계의 연구 | |
1996 | 나카무라 슈지 | 단파장 반도체 레이저 연구 |
이타야 긴고 | 고체액체 계면에서의 원자 프로세스의 규명에 관한 연구 | |
나카이 나오마사, 이노우에 마코토, 미요시 마코토 | 은하 중심 거대 블랙홀의 발견 | |
1997 | 기후네 다다시, 다니모리 도루 | 초고에너지 감마천체 연구 |
미타 이치로 | B중간자계에서의 CP 대칭성의 깨어짐의 이론 | |
야스오카 히로시 | 고온초전도체에 있어서의 스핀 갭의 발견 | |
1998 | 아키미쓰 준 | 사다리형 물질에서의 초전도의 발견 |
시미즈 후지오 | 원자파 홀로그래피의 개척 | |
곤도 미토루 | 꼭대기 쿼크 발견에 대한 공헌 | |
1999 | 이노우에 겐조, 가쿠토 아키라 | 초대칭 표준이론에 있어서의 전약대칭성의 양자적 깨어짐 |
가지타 다카아키 | 대기 뉴트리노 이상의 발견 | |
나카무라 야스노부 | 초전도소자를 이용한 결맞는 2준위계의 관측과 제어 | |
2000 | 오리토 쇼지, 야마모토 아키라 | 우주선 반양성자의 관측 |
고니시 겐이치 | 고니시 아노말리의 발견 | |
호리우치 히사시 | 페르미 입자 분자동역학에 의한 원자핵 연구 | |
2001 | 스즈키 요이치로, 나카하타 마사유키 | 태양 뉴트리노의 정밀 관측에 의한 뉴트리노 진동의 발견 |
다카사키 후미히코, 이쿠데 가쓰노부 | B중간자에 있어서의 CP 대칭성 위반의 발견 | |
아마야 기이치, 시미즈 가쓰야 | 초고압하에서의 산소 및 철의 초전도 현상의 발견 | |
2002 | 고야마 가쓰지 | 초신성 잔해에서의 우주선 가속 |
다루차 세이고 | 인공원자・분자의 구현 | |
나가이 야스키, 이가시라 마사유키 | 원자핵에 의한 고속 중성자 포획현상의 연구 | |
2003 | 기타오카 요시오 | 핵자기 공명법에 의한 새로운 초전도 상태의 규명 |
스즈키 아쓰토 | 원자로 반전자 뉴트리노 소멸의 관측 | |
나카노 다카시 | 레이저 전자 감마선에 의한 새로운 입자의 발견 | |
2004 | 차이 자오선 | 조셉슨 접합 소자를 이용한 2개의 양자 비트 사이의 양자 얽힘 상태의 실현 |
니와 기미오 | 원자핵 건판 전자동 주사기에 의한 타우 중성미자의 발견 | |
2005 | 나가나가 나오토 | 이상 홀 효과의 이론적 연구 |
니시카와 고이치로 | 가속기 빔에 의한 장기선(長基線) 뉴트리노 진동의 관측 | |
모리타 고스케 | 새로운 초중량113번 원소의 합성 | |
2006 | 다지마 도시유키 | 레이저를 이용한 플라스마 가속의 선구적 연구 |
니시모리 히데토시 | 랜덤스핀계에 있어서의 니시무라 선(西森線)의 발견 | |
미시마 오사무 | 물・비정질 얼음의 상전이・폴리아몰피즘의 실험적 연구 | |
2007 | 호소야 유 | 하세가와 기구(細谷機構)의 발견 |
2008 | 이에 마사노리 | 스바루 망원경에 의한 초기 우주의 탐사 |
우에다 마사히토 | 인력 상호작용하는 원자기체의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의 이론적 연구 | |
하야노 류고 | 반양성자헬륨 원자의 연구 | |
2009 | 오구리 히로시 | 토폴로지컬 끈 이론의 연구 |
다무라 히로카즈 | 하이퍼 핵 감마선 스펙트로스코피의 연구 | |
2010 | 가네코 구니히코 | 대자유도 혼돈 이론 |
마에노 요시테루 | 스핀 3중항 초전도 현상루테늄산화물의 발견 | |
2011 | 아키바 야스유키 | 충돌형 중이온 반응에 관한 제연구, 특히 경입자대생성(対生成)에 의한 고온상의 검증 |
후지사와 아키히데, 이다 가쓰미 | 고온 플라스마에 있어서의 자발전자장의 실험적 검증 | |
2012 | 이노우에 구니오 | 지구내부 기원의 반중성미자의 검출 |
호소노 히데오 | 철계 초전도 현상의 발견 | |
하쓰다 데쓰오, 아오키 신야, 이시이 오사무 | 격자 양자 색역학에 기초한 핵력의 도출 | |
2013 | 가토리 히데토시 | 광 격자시계의 발명 |
다카하시 요시로 | 이터븀 초저온 양자계의 창출 | |
곤도 다카히코, 고바야시 도미오, 아사이 쇼진 | 힉스 보손 발견에 대한 공헌 | |
2014 | 마쓰다 유지 | 무거운 페르미온의 2차원 폐쇄에 의한 새로운 전자 상태의 창출 |
고바야시 다카시, 나카야 쓰요시 | 뮤온 중성미자 빔으로부터 전자 중성미자 출현 현상의 발견 | |
2015 | 가사 마사오, 후루사키 아키라 | 위상절연체・초전도체의 분류 이론 |
모토바야시 도루, 사쿠라이 히로요시 | 중성자 과승핵에 있어서의 마법수의 이상성의 발견 | |
2016 | 다카야나기 다다시 | 홀로그래피 원리를 이용한 얽힘 엔트로피 공식의 발견과 전개 |
2017 | 다케스에 히로키 | 대규모 코히어런트이징머신의 실현 |
아다치 지와야 | 열 활성화 지연 형광 현상을 이용한 고효율 유기 EL 실현 | |
고모토 마히토 | 토폴로지컬 양자물성 물리학의 창시 | |
2018 | 시바타 마사루 | 수치상대론에 의한 연성 중성자성합체의 발견 |
다나카 고이치로 | 고체에 있어서의 테라헤르츠 극단비선형광학의 개척 | |
2019 | 이와사 요시히로 | 전계유기 2차원 초전도의 발견 |
요시다 시게루, 이시하라 아야 | 초고에너지 우주 뉴트리노의 발견 | |
2020 | 가노다 가즈시 | 유기전도체에 있어서의 강상관 양자액체의 연구 |
나카자와 가즈마 | 원자핵 건판을 이용한 더블 스트레인지니스 원자핵 연구 | |
2021 | 아리마 다카히사, 기무라 쓰요시 | 스핀을 유기하는 멀티페로익스의 발견과 개척 |
다키타 마사토 | 서브PeV감마선 천문학의 창시와 은하우주선의 기원 해석 | |
미야자키 사토시 | 스바루 망원경 광시야 카메라의 개발에 의한 관측우주론의 전개 | |
2022 | 사이토 에이지 | 스핀류 물리학의 개척 |
고마쓰 에이이치로 |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을 이용한 표준우주론에 대한 공헌 | |
2023 | 이치카와 아츠코 | 뉴트리노 진동에서의 CP 비보존 위상각 δ에 대한 제한 |
2024 | 시모우라 타카시 | 4중성자 상태의 실험적 연구 |
아오키 다이 | 악티늄 화합물에서의 초전도 선구적 연구 | |
무라카미 슈이치 | 스핀 홀 효과와 위상학적 물질의 이론 |
5. 니시나 아시아상
2012년, 재단은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 지역의 젊은 물리학자들의 뛰어난 업적을 기리기 위해 니시나 아시아상을 제정했다. 이 상은 매년 한 명의 물리학자에게 수여되었다.[1]
5. 1. 역대 수상자
니시나 아시아상(Nishina Asia Award영어)은 2012년 재단에서 제정한 상이다. 기초 물리학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이룬,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의 젊은 과학자에게 매년 수여되었다.연도 | 수상자 |
---|---|
2013년 | 시라즈 민왈라 |
2014년 | 위안보 장 |
2015년 | 허커 |
2016년 | 김석 |
2017년 | 원홍밍 |
2018년 | 유틴 황 |
2019년 | 루차오양 |
2020년 | 잉 장 |
2021년 | 왕야오 |
2022년 | 수브라트 라주 |
6. 영향 및 의의
니시나 기념상은 일본 물리학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상 중 하나로, 일본 과학 기술 발전의 중요한 이정표 역할을 해왔다. 이 상은 젊은 과학자들에게 연구 의욕을 고취시키고, 창의적인 연구를 장려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27][28][29][30][31][32][33] 특히, 노벨상 수상자를 다수 배출함으로써 일본 기초 과학 연구의 우수성을 국제적으로 알리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Hirosi Ooguri wins Nishina Memorial Prize - We Hear That
http://blogs.physics[...]
2009-12-21
[2]
웹사이트
Nishina Memorial Foundation
http://www.nishina-m[...]
[3]
웹사이트
Nishina Memorial Prize; Nishina Memorial Foundation
https://www.nishina-[...]
2021-04-20
[4]
웹사이트
UCSB College of Engineering
http://engineering.u[...]
2014-01-26
[5]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2014
https://www.nobelpri[...]
[6]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2015
https://www.nobelpri[...]
2024-10-24
[7]
웹사이트
Shigeru Yoshida and Aya Ishihara receive 2019 Nishina Memorial Prize
https://icecube.wisc[...]
2019-11-08
[8]
웹사이트
AAPPS Bulletin
https://aappsbulleti[...]
2024-10-22
[9]
간행물
News and views
https://link.springe[...]
2022-02-08
[10]
간행물
News and views (1 & 2)
https://link.springe[...]
2024-02-01
[11]
웹사이트
Chinese physicist honored with Nishina Asia Award - Xinhua {{!}} English.news.cn
http://www.xinhuanet[...]
2024-10-22
[12]
웹사이트
HKU Physicist Professor YAO Wang Being Awarded of the 2021 (the Ninth) Nishina Asia Award
https://www.scifac.h[...]
2024-10-22
[13]
웹사이트
Prof. Ying Jiang of Peking University was awarded Nishina Asia Award-SCHOOL OF PHYSICS,PEKING UNIVERSITY
https://english.phy.[...]
2024-10-22
[14]
웹사이트
AAPPS Bulletin
https://aappsbulleti[...]
2024-10-24
[15]
웹사이트
AAPPS Bulletin
https://aappsbulleti[...]
2024-10-24
[16]
웹사이트
AAPPS Bulletin
https://aappsbulleti[...]
2024-10-24
[17]
웹사이트
AAPPS Bulletin
https://aappsbulleti[...]
2024-10-24
[18]
웹사이트
AAPPS Bulletin
https://aappsbulleti[...]
2024-10-24
[19]
간행물
News and views (11&12)
https://link.springe[...]
2022-12-22
[20]
뉴스
仁科記念賞に鹿野田氏ら
https://www.asahi.co[...]
2020-11-10
[21]
뉴스
仁科賞に鹿野田氏と仲沢氏 量子や原子核の研究
https://www.47news.j[...]
2020-11-09
[22]
웹사이트
今年の仁科記念賞に超伝導研究の岩佐氏とニュートリノ観測の吉田、石原の両氏に
https://scienceporta[...]
科学技術振興機構
2019-11-11
[23]
웹사이트
仁科記念賞に柴田大、田中耕一郎の2氏
https://scienceporta[...]
科学技術振興機構
2018-11-14
[24]
웹사이트
仁科記念賞に武居、安達、甲元の3氏に
https://scienceporta[...]
科学技術振興機構
2017-11-15
[25]
웹사이트
仁科記念賞に高柳氏 「量子もつれ」を公式で説明
https://scienceporta[...]
科学技術振興機構
2016-11-11
[26]
웹사이트
仁科記念賞に松田祐司、小林隆、中家剛氏
https://scienceporta[...]
科学技術振興機構
2014-11-12
[27]
뉴스
仁科記念賞に鹿野田氏ら
https://www.asahi.co[...]
2020-11-10
[28]
뉴스
仁科賞に鹿野田氏と仲沢氏 量子や原子核の研究
https://www.47news.j[...]
共同通信社
2020-11-09
[29]
웹인용
今年の仁科記念賞に超伝導研究の岩佐氏とニュートリノ観測の吉田、石原の両氏に
https://scienceporta[...]
科学技術振興機構
2019-11-11
[30]
웹인용
仁科記念賞に柴田大、田中耕一郎の2氏
https://scienceporta[...]
科学技術振興機構
2018-11-14
[31]
웹인용
仁科記念賞に武居、安達、甲元の3氏に
https://scienceporta[...]
科学技術振興機構
2017-11-15
[32]
웹인용
仁科記念賞に高柳氏 「量子もつれ」を公式で説明
https://scienceporta[...]
科学技術振興機構
2016-11-11
[33]
웹인용
仁科記念賞に松田祐司、小林隆、中家剛氏
https://scienceporta[...]
科学技術振興機構
2014-1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