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니케아 공방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케아 공방전은 1097년 제1차 십자군이 룸 술탄국의 수도였던 니케아를 공격한 사건이다. 십자군은 5월 초 니케아를 포위하고 공성전을 시작했다. 킬리지 아르슬란 1세가 군대를 이끌고 반격했으나 패배했고, 비잔티움 제국의 알렉시우스 1세는 비밀리에 니케아를 항복시켰다. 십자군은 약탈 기회를 잃고 알렉시우스 1세의 개입에 불만을 가졌지만, 결국 니케아를 떠나 예루살렘으로 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97년 분쟁 - 안티오키아 공방전
    1097년부터 1098년까지 제1차 십자군 전쟁 중 십자군이 안티오키아를 점령하기 위해 벌인 안티오키아 공방전은 십자군의 승리였으나 소유권 분쟁과 질병으로 진군이 지연되었다.
  • 1097년 분쟁 - 도릴라이움 전투
    1097년 7월 1일, 제1차 십자군이 킬리지 아르슬란 1세의 셀주크 군을 아나톨리아 도릴라이움 인근에서 격파하여 아나톨리아 횡단과 소아시아 일부 셀주크 영토 회복에 기여한 전투이다.
  • 1097년 아시아 - 안티오키아 공방전
    1097년부터 1098년까지 제1차 십자군 전쟁 중 십자군이 안티오키아를 점령하기 위해 벌인 안티오키아 공방전은 십자군의 승리였으나 소유권 분쟁과 질병으로 진군이 지연되었다.
  • 1097년 아시아 - 도릴라이움 전투
    1097년 7월 1일, 제1차 십자군이 킬리지 아르슬란 1세의 셀주크 군을 아나톨리아 도릴라이움 인근에서 격파하여 아나톨리아 횡단과 소아시아 일부 셀주크 영토 회복에 기여한 전투이다.
니케아 공방전 - [전쟁]에 관한 문서
전투 개요
전투명니케아 공방전
분쟁제1차 십자군 및 비잔티움-셀주크 전쟁
시기1097년 5월 14일 ~ 6월 19일
장소니케아 (현재의 이즈니크, 튀르키예)
결과십자군/동로마 제국의 승리
영토니케아가 동로마 제국에 반환됨
교전 세력
교전국 1십자군, [[파일:Simple Labarum.svg|20px]]동로마 제국
교전국 2룸 술탄국
지휘관 및 지도자
지휘관 1[[파일:Blason province fr Provence.svg|20px]]생질의 레몽
지휘관 2킬리지 아르슬란 1세
병력 규모
병력 1십자군: ~30,000명 (보병), ~4,200-4,500명 (기병)
병력 2~10,000명 + 니케아 수비병
사상자 규모
사상자 1알 수 없음
사상자 2~4,000명
추가 정보
니케아 공방전
13세기 미니어처 (BNF Fr. 779)

2. 배경

니케아는 이즈니크 호 동쪽 해안에 위치한 도시로, 1077년 셀주크 투르크에게 함락되어 룸 술탄국의 수도가 되었다. 1096년 군중 십자군이 니케아 주변을 약탈했으나 룸 술탄국킬리지 아르슬란 1세에게 격퇴당했다. 이로 인해 킬리지 아르슬란 1세는 제1차 십자군을 과소평가하게 되었다. 킬리지 아르슬란 1세는 가족과 재물을 니케아에 남겨둔 채 멜리테네 지배권을 두고 다니슈멘드 왕조와 전쟁을 벌이러 떠났다.

3. 십자군의 공성전

1097년 4월 말, 십자군은 콘스탄티노플을 출발하여 니케아로 진군했다. 부용의 고드프루아가 가장 먼저 도착했고, 타란토의 보에몽, 그의 조카 탕크레드, 툴루즈의 레몽 4세, 플랑드르의 로베르 2세가 뒤따랐다. 은자 피에르와 군중 십자군의 생존자들, 비잔티움 제국의 장군 마누엘 부투미테스 휘하의 소규모 부대도 합류했다.[6]

5월 6일, 십자군은 니케아에 도착했다. 보에몽은 육로와 해로를 통해 식량을 조달하여 식량 부족 문제를 해결했다.[6] 5월 14일, 십자군은 200개의 탑으로 방어되는 니케아 성벽을 포위하고 각 부분을 분담하여 공격했다. 보에몽은 도시 북쪽, 고드프루아는 동쪽, 레몽과 르퓌의 아데마르는 남쪽 문에 진영을 쳤다.[7]

4. 킬리지 아르슬란의 패배

5월 16일, 투르크 수비대가 십자군을 공격했으나 200명의 병력을 잃고 패배했다. 투르크 인들은 킬리지 아르슬란 1세에게 구원을 요청했고, 십자군의 힘을 깨달은 킬리지 아르슬란은 급히 귀환했다.[14]

5월 20일, 킬리지 아르슬란의 선발대가 레몽과 플랑드르의 로베르 2세에게 패배했다. 5월 21일, 킬리지 아르슬란의 주력 부대가 밤늦게까지 이어진 전투 끝에 십자군에게 패배했다. 양측 모두 큰 피해를 입었지만, 결국 킬리지 아르슬란은 니케아 수비대의 간청에도 불구하고 후퇴했다. 이 전투 후, 승리한 십자군은 투석기로 셀주크 군의 목을 성벽 안의 시가지에 던져, 안에 틀어박혀 있는 시민들을 위협했다고 한다.[14]

이후 십자군의 증원 부대가 도착했고, 노르망디 공작 로베르 2세와 블루아 백작 에티엔느 2세의 부대도 6월 초에 도착했다. 레몽과 아데마르는 공성탑을 건설하여 공격했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14]

5. 비잔티움 제국의 개입

비잔티움 황제 알렉시오스 1세는 십자군과 함께하지 않고 그 뒤를 따라 행군하여 근처 펠레카눔에 진영을 세웠다. 거기서 그는 배를 보내 육지로 옮겨 십자군이 아스카니우스 호수를 봉쇄하는 것을 돕게 했다. 그때까지 투르크인들은 이 호수를 이용해 니케아에 식량을 공급해왔다. 6월 17일 마누엘 부투미테스의 지휘 아래 배들이 도착했고, 타티키오스 장군도 2,000명의 보병과 함께 파견되었다.

알렉시오스는 부투미테스에게 십자군 몰래 비밀리에 도시의 항복을 협상하도록 지시했다. 타티키오스는 십자군과 합류하여 성벽을 직접 공격하라는 지시를 받았고, 부투미테스는 마치 비잔티움군이 전투에서 도시를 점령한 것처럼 보이도록 같은 행동을 가장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이것이 이루어졌고, 6월 19일 투르크인들은 부투미테스에게 항복했다.

십자군은 알렉시오스가 한 일을 알게 되자 매우 화가 났다. 도시를 약탈하여 돈과 보급품을 얻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그러나 부투미테스는 니케아의 ''두크스''(Dux)로 임명되어 십자군이 10명 이상의 그룹으로 들어오는 것을 금지했다. 또한 신뢰할 수 없다고 생각한 터키 장군들을 추방했고, 킬리치 아르슬란의 가족은 콘스탄티노플로 보내져 결국 무보상으로 석방되었다. 알렉시오스는 십자군에게 돈, 말, 그리고 다른 선물들을 주었지만, 십자군은 만족하지 않았다. 그들이 스스로 니케아를 점령했다면 더 많은 것을 얻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믿었기 때문이다. 부투미테스는 콘스탄티노플에서 이미 그렇게 하지 않았다면 알렉시오스에게 충성 맹세를 할 때까지 그들이 떠나도록 허락하지 않았다. 탕크레드는 처음에 거절했지만, 결국에는 굴복했다.

6. 니케아의 항복과 십자군의 불만

6월 19일, 니케아의 투르크 수비대는 마누엘 부투미테스에게 항복했다. 알렉시우스 1세가 비밀 협상을 한 것을 알게 된 십자군은 매우 분노했다. 십자군은 니케아를 약탈하여 재물과 보급품을 얻으려 했으나, 부투미테스가 니케아의 지도자가 되면서 십자군의 도시 출입을 10명 이상 집단으로 들어오는 것을 금지했기 때문이다. 부투미테스는 또한 신뢰할 수 없다는 이유로 투르크 장군들을 추방했고, 킬리지 아르슬란 1세의 가족들을 콘스탄티노플로 보낸 후 결국 몸값 없이 풀어주었다.

알렉시우스 1세는 십자군에게 금전, 말, 그리고 다른 선물들을 주었지만, 십자군은 니케아를 스스로 점령했더라면 더 많은 것을 가질 수 있었을 것이라 믿고 만족하지 않았다. 부투미테스는 십자군에게 알렉시우스 1세에 대한 충성 맹세를 요구했고, 탕크레드는 콘스탄티노플에서 이미 맹세했다며 처음에는 거부했으나, 결국에는 맹세했다.[11]

7. 결과

십자군은 6월 26일에 니케아를 떠났다. 보에몽, 탕크레드, 플랑드르의 로베르 2세, 타티키오스가 선봉에 섰고 고드프루아, 불로뉴의 보두앵, 스테판, 베르망두아의 위그가 뒤따라갔다. 타티키오스는 점령한 도시를 비잔티움 제국에 반환하라는 임무를 받았다.[8] 십자군의 사기는 높았고, 스테판은 그의 아내 아델라에게 5주 안에 예루살렘에 도착할 것 같다고 편지를 보냈다. 7월 1일, 십자군은 도릴라이움 전투에서 킬리지 아르슬란 1세를 격파했다.[8] 10월에 십자군은 안티오크에 도착하여 안티오크 공방전을 시작했고, 니케아를 떠난 지 2년 후인 1099년에 예루살렘에 도착했다.[8]

참조

[1] 서적 The First Crusade 1096-1099: Conquest of the Holy Land
[2] 서적 Crusades: The Illustrated History
[3] 서적 Logistics of Warfare in the Age of the Crusades
[4] 논문 Chapter IX. The First Crusade: Constantinople to Antioch http://images.librar[...] Th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69
[5] 서적 The First Crusade: A New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6] 백과사전 The Crusades – An Encyclopedia 2006
[7] 백과사전 Dāneśmand https://iranicaonlin[...]
[8] 서적 Letters of the crusaders https://catalog.hath[...] The Dept. of history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1902
[9] 서적 The First Crusade 1096-1099: Conquest of the Holy Land
[10] 서적 Crusades: The Illustrated History
[11] 서적 Logistics of Warfare in the Age of the Crusades
[12] 서적 The First Crusade 1096-1099: Conquest of the Holy Land
[13] 서적 Crusades: The Illustrated History
[14] 서적 Logistics of Warfare in the Age of the Crusad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