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키 토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키 토랑은 마카오 국적의 축구 선수이다. 2005년 카사 피아 AC에서 프로 선수 경력을 시작하여, 윈저 아치 카이, 벤피카 지 마카오 등 마카오 리그에서 주로 활동했다. 윈저 아치 카이 소속으로 리그 2연패를 달성했으며, 벤피카 지 마카오에서는 리그 5연패와 마카오컵 2회 우승을 이끌었다. 마카오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2016년 AFC 솔리대리티컵에서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대회 득점왕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니키 토랑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전체 이름 | 니콜라스 마리오 토랑 드 알메이다 |
출생일 | 1987년 11월 18일 (36세) |
출생지 | 남아프리카 공화국 요하네스버그 |
키 | 180 cm |
포지션 | 공격수 |
등번호 | 10 |
클럽 경력 | |
유소년 클럽 | 2003–2006: 이스트렐라 아마도라 |
클럽 | 2005–2007: 카사 피아 2007–2008: 이그레자 노바 2008–2009: 아틀레티쿠 카셈 2009–2010: 첼레이렌세 2010–2011: 보칼 2011–2013: 윈저 아치 카이 2014–2019: 벤피카 드 마카오 2020–2021: 스포르팅 드 마카오 2021–현재: MUST CPK |
출장 및 득점 | MUST CPK: 55경기 (84골) 스포르팅 드 마카오: 8경기 (5골) 벤피카 드 마카오: 87경기 (80골) 윈저 아치 카이: 41경기 (45골) 아틀레티쿠 카셈: 12경기 (1골) |
국가대표 경력 | |
국가대표팀 | 마카오 |
국가대표팀 출장 및 득점 | 21경기 (9골) |
국가대표팀 업데이트 | 2023년 10월 17일 |
기타 정보 |
2. 선수 경력
2. 1. 클럽 경력
니키 토랑은 2005년 포르투갈 2부 리그의 카사 피아 AC에서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마카오 리그에서 주로 활동했다.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윈저 아치 카이 소속으로 35경기 49골을 기록하며 팀의 리가 드 엘리트 2연패(2011, 2012)에 기여했다. 2014년부터 2019년까지는 벤피카 지 마카오에서 뛰며 78경기 42골을 기록, 팀의 리그 5연패(2014-2018)와 마카오컵 2회 우승(2014, 2017)을 이끌었다. 2020년에는 스포르팅 마카오로 이적해 8경기 5골을 기록하며 리그 4위에 기여했고, 2021년 차오 팍 케이로 이적했다.클럽 | 시즌 | 리그 | 출장 | 골 | 대륙 대회 | 출장 | 골 | 총합 | 출장 | 골 |
---|---|---|---|---|---|---|---|---|---|---|
아틀레치쿠 카셈 | 2008-09 | III 디비상 | 12 | 1 | 0 | 0 | 12 | 1 | ||
윈저 아치 카 I | 2011 | 리가 드 엘리트 | 10 | 8 | 0 | 0 | 10 | 8 | ||
2012 | 13 | 14 | 0 | 0 | 13 | 14 | ||||
2013 | 18 | 23 | 0 | 0 | 18 | 23 | ||||
총합 | 41 | 45 | 0 | 0 | 41 | 45 | ||||
벤피카 드 마카오 | 2014 | 리가 드 엘리트 | 13 | 7 | 0 | 0 | 13 | 7 | ||
2015 | 15 | 8 | 0 | 0 | 15 | 8 | ||||
2016 | 15 | 14 | 2 | 1 | 17 | 15 | ||||
2017 | 14 | 20 | 2 | 1 | 16 | 21 | ||||
2018 | 15 | 20 | 5 | 2 | 20 | 22 | ||||
2019 | 15 | 11 | 0 | 0 | 15 | 11 | ||||
총합 | 87 | 80 | 9 | 4 | 96 | 84 | ||||
스포르팅 마카오 | 2020 | 리가 드 엘리트 | 8 | 5 | 0 | 0 | 8 | 5 | ||
차오 파크 케이 | 2021 | 리가 드 엘리트 | 17 | 22 | 0 | 0 | 17 | 22 | ||
2022 | 15 | 32 | 0 | 0 | 15 | 32 | ||||
2023 | 10 | 14 | 5 | 6 | 15 | 20 | ||||
2024 | 13 | 16 | 13 | 16 | ||||||
통합 | 55 | 84 | 5 | 6 | 60 | 90 | ||||
전체 통산 | 203 | 215 | 14 | 10 | 217 | 225 |
2. 2. 국가대표팀 경력
2011년 6월 11일 홍콩 U-21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인터포트컵에 출전하여 결승골을 기록하며 마카오의 1-0 승리를 이끌었다. 2014년 10월 14일 싱가포르와의 친선 경기에서 국제 A매치 첫 골을 기록했다.2016년 AFC 솔리대리티컵에서 5경기 4골을 터뜨리는 맹활약으로 마카오 축구 역사상 첫 국제 대회 준우승을 이끌었으며, 브루나이의 샤라젠 사잇, 라오스의 사이송캄 참파통과 함께 공동 득점왕에 올랐다.
2019년 AFC 아시안컵 3차 예선 인도와의 A조 4차전과 키르기스스탄과의 5차전에서 각각 1골씩을 기록했다. 2023년 10월 12일,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1차 예선 미얀마전에서 득점을 기록하였다.
국가대표팀 | 연도 | 출장 | 골 |
---|---|---|---|
마카오 | 2011 | 2 | 0 |
2014 | 1 | 1 | |
2015 | 3 | 0 | |
2016 | 4 | 4 | |
2017 | 5 | 3 | |
2019 | 1 | 0 | |
2023 | 5 | 1 | |
합계 | 21 | 9 |
;국가대표팀 득점 기록
# | 날짜 | 장소 | 상대팀 | 점수 | 결과 | 대회 |
---|---|---|---|---|---|---|
1. | 2014년 10월 14일 | 캄푸 데스포르티부 스타디움, 타이파, 마카오 | 싱가포르 | 2–2 | 2–2 | 친선 경기 |
2. | 2016년 11월 3일 | 사라왁 스타디움, 쿠칭, 말레이시아 | 몽골 | 1–0 | 2–1 | 2016년 AFC 솔리다리티컵 |
3. | 2–1 | |||||
4. | 2016년 11월 6일 | 사라왁 스타디움, 쿠칭, 말레이시아 | 라오스 | 3–1 | 4–1 | 2016년 AFC 솔리다리티컵 |
5. | 4–1 | |||||
6. | 2017년 10월 2일 | 캄푸 데스포르티부 스타디움, 타이파, 마카오 | 라오스 | 3–1 | 3–1 | 친선 경기 |
7. | 2017년 10월 11일 | 스리 칸티라바 스타디움, 벵갈루루, 인도 | 인도 | 1–1 | 1–4 | 2019년 AFC 아시안컵 예선 |
8. | 2017년 11월 14일 | 캄푸 데스포르티부 스타디움, 타이파, 마카오 | 키르기스스탄 | 2–3 | 3–4 | 2019년 AFC 아시안컵 예선 |
9. | 2023년 10월 12일 | 투우나 스타디움, 양곤, 미얀마 | 미얀마 | 1–1 | 1–5 | 2026년 FIFA 월드컵 예선 |
2. 2. 1. 국가대표팀 득점 기록
wikitable# | 날짜 | 장소 | 상대팀 | 점수 | 결과 | 대회 |
---|---|---|---|---|---|---|
1. | 2014년 10월 14일 | 캄푸 데스포르티부 스타디움, 타이파, 마카오 | 싱가포르 | 2–2 | 2–2 | 친선 경기 |
2. | 2016년 11월 3일 | 사라왁 스타디움, 쿠칭, 말레이시아 | 몽골 | 1–0 | 2–1 | 2016년 AFC 솔리다리티컵 |
3. | 2–1 | |||||
4. | 2016년 11월 6일 | 사라왁 스타디움, 쿠칭, 말레이시아 | 라오스 | 3–1 | 4–1 | 2016년 AFC 솔리다리티컵 |
5. | 4–1 | |||||
6. | 2017년 10월 2일 | 캄푸 데스포르티부 스타디움, 타이파, 마카오 | 라오스 | 3–1 | 3–1 | 친선 경기 |
7. | 2017년 10월 11일 | 스리 칸티라바 스타디움, 벵갈루루, 인도 | 인도 | 1–1 | 1–4 | 2019년 AFC 아시안컵 예선 |
8. | 2017년 11월 14일 | 캄푸 데스포르티부 스타디움, 타이파, 마카오 | 키르기스스탄 | 2–3 | 3–4 | 2019년 AFC 아시안컵 예선 |
9. | 2023년 10월 12일 | 투우나 스타디움, 양곤, 미얀마 | 미얀마 | 1–1 | 1–5 | 2026년 FIFA 월드컵 예선 |
3. 수상 내역
3. 1. 클럽
니키 토랑은 윈저 아치 카이에서 리가 드 일리트 우승 2회(2011, 2012)를 달성했다. 벤피카 지 마카오에서는 리가 드 일리트 5회 우승(2014, 2015, 2016, 2017, 2018)과 마카오컵 2회 우승(2014, 2017)을 기록했다.
3. 2. 국가대표팀
마카오는 2016년 AFC 솔리대리티컵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3. 3. 개인
니키 토랑은 AFC 솔리대리티컵에서 득점왕을 차지했다.
4. 경력 통계
4. 1. 클럽
wikitable클럽 | 시즌 | 리그 | 대륙 대회 | 총합 | ||||
---|---|---|---|---|---|---|---|---|
디비전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
아틀레치쿠 카셈 | 2008-09 | III 디비상 | 12 | 1 | 0 | 0 | 12 | 1 |
윈저 아치 카 I | 2011 | 리가 드 엘리트/Liga de Elitepor | 10 | 8 | 0 | 0 | 10 | 8 |
2012 | 13 | 14 | 0 | 0 | 13 | 14 | ||
2013 | 18 | 23 | 0 | 0 | 18 | 23 | ||
총합 | 41 | 45 | 0 | 0 | 41 | 45 | ||
벤피카 드 마카오/S.L. 벤피카 드 마카오por | 2014 | 리가 드 엘리트 | 13 | 7 | 0 | 0 | 13 | 7 |
2015 | 15 | 8 | 0 | 0 | 15 | 8 | ||
2016 | 15 | 14 | 2 | 1 | 17 | 15 | ||
2017 | 14 | 20 | 2 | 1 | 16 | 21 | ||
2018 | 15 | 20 | 5 | 2 | 20 | 22 | ||
2019 | 15 | 11 | 0 | 0 | 15 | 11 | ||
총합 | 87 | 80 | 9 | 4 | 96 | 84 | ||
스포르팅 마카오 | 2020 | 리가 드 엘리트 | 8 | 5 | 0 | 0 | 8 | 5 |
차오 파크 케이 | 2021 | 리가 드 엘리트 | 17 | 22 | 0 | 0 | 17 | 22 |
2022 | 15 | 32 | 0 | 0 | 15 | 32 | ||
2023 | 10 | 14 | 5 | 6 | 15 | 20 | ||
2024 | 13 | 16 | 13 | 16 | ||||
통합 | 55 | 84 | 5 | 6 | 60 | 90 | ||
전체 통산 | 203 | 215 | 14 | 10 | 217 | 225 |
4. 2. 국가대표팀
국가대표팀 | 연도 | 출장 | 골 |
---|---|---|---|
마카오 | 2011 | 2 | 0 |
2014 | 1 | 1 | |
2015 | 3 | 0 | |
2016 | 4 | 4 | |
2017 | 5 | 3 | |
2019 | 1 | 0 | |
2023 | 5 | 1 | |
합계 | 21 | 9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