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링호사우루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달링호사우루스는 백악기 초기, 약 1억 4550만 년 전에서 1억 2000만 년 전에 중국을 중심으로 아시아의 초원, 산맥, 밀림, 열대 우림 등지에서 서식했던 육식성 도마뱀이다. 뒷다리가 길고 꼬리가 긴 특징을 가지며, 작은 동물, 절지동물, 공룡 알 등을 먹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존하는 도마뱀붙이과와 관련이 있으며, 중국악어도마뱀 등과 근연 관계에 있다. 1998년 중국 백악기 지층에서 화석이 처음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8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수코미무스
수코미무스는 1997년 니제르에서 발견된 스피노사우루스과의 수각류 공룡으로, 악어를 닮은 머리 모양에서 유래되었으며, 긴 주둥이와 튼튼한 앞다리를 가지고 어식성을 가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 1998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에올람비아
에올람비아는 백악기 후기에 살았던 조각류 공룡의 한 속으로, 하드로사우루스상과에 속하며 프로박트로사우루스와 가장 가까운 관계를 갖는 기저적인 공룡이다. - 백악기의 파충류 - 아라리페수쿠스
아라리페수쿠스는 백악기 시대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에 서식했고 곤드와나 기원을 시사하는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튀어나온 주둥이, 큰 눈, 골배엽을 가진 육지 활동에 적합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멸종된 악어형류 속이다. - 백악기의 파충류 - 필리드로사우루스
필리드로사우루스는 백악기 초 중국에서 서식했던 멸종된 초리스토데란의 한 속으로, 두개골 융기와 뼈로 닫힌 하측 측두 페네스트라가 특징이며, 부모 양육을 했을 가능성이 있다. - 아시아의 고대 파충류 - 스켈로코무스
스켈로코무스는 트라이아스기 후기에 동남아시아 서부 태평양에 서식했던 멸종된 해양 파충류로, 좁고 긴 몸통, 작은 머리, 뾰족한 이빨을 지녔으며 흡입 섭식 방식으로 먹이를 섭취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코부리류 어룡이다. - 아시아의 고대 파충류 - 아토포덴타투스
아토포덴타투스는 특이한 이빨을 가진 2.75~3m 크기의 중생대 초식성 해양 파충류로, 망치 모양 머리에 촘촘한 끌 모양 이빨을 사용하여 해저 조류를 긁어모아 먹었으며 육지 활동 가능성도 시사하는 독특한 골격 구조를 지녔다.
달링호사우루스 | |
---|---|
기본 정보 | |
![]() | |
화석 범위 | 백악기 전기, ~ |
학명 | Dalinghosaurus longidigitus |
명명자 | Ji, 1998 |
분류 | |
속 | Dalinghosaurus |
종 | longidigitus |
2. 특징
달링호사우루스는 앞다리에 비해 꼬리가 길고 뒷다리가 매우 길었으며, 발톱은 비교적 가늘었다.[2] 양턱에는 총 15~25개의 삼각형 모양 이빨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먹이 사냥을 했을 것으로 보인다. 먹이로는 당대에 서식했던 작은 동물, 절지동물, 공룡 알 등을 섭취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육식성 도마뱀이다.
2005년의 한 연구에서는 달링호사우루스가 제노사우루스과에 속하는 현존하는 여러 도마뱀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근연 관계에 있는 종으로는 중국 남부의 현생 중국악어도마뱀(시니사우루스)[1], 몬태나와 와이오밍의 멸종된 엑소스티누스[1], 몽골의 멸종된 카루시아[1] 등이 있다. 카루시아와는 이빨의 수가 더 적고 원뿔 모양을 띤다는 점에서 구별된다.[1] 두개골과 하악의 모양 차이로 인해 시니사우루스와도 구별된다.[1]
달링호사우루스의 긴 다리는 개방된 환경에서 숙련된 주자였음을 나타내며, 이족보행이 가능했을 수 있다. 수목 생활도 가능했을 것으로 추정된다.[2]
중생대 백악기 초기로서 지금으로부터 1억 4550만 년 전~1억 2000만 년 전에 생존했던 종이다. 중국을 중심으로 하는 아시아의 초원이나 산맥의 밀림 및 열대우림에서 주로 서식했던 도마뱀이다. 화석은 1998년에 중국의 백악기에 형성된 지층에서 중국의 고생물학자들에 의하여 처음으로 발굴되어 새롭게 명명된 종이다.
[1]
논문
A new long−tailed lizard from the Upper Jurassic of Liaoning, China
Seismological Press, Beijing
1998
베이징의 중국 고생물학 연구소(IVPP)에는 11개의 달링호사우루스 표본이 보관되어 있다. 한 화석 골격에는 10마리 이상의 어린 개체의 골격이 포함되어 있다.[3] 시노사우롭테릭스의 장 내용물에서 달링호사우루스로 추정되는 표본이 발견되기도 했다.[2]
3. 분류
4. 고생물학
5. 생존 시기, 서식지 및 화석 발견
참조
[2]
간행물
Countershading and Stripes in the Theropod Dinosaur Sinosauropteryx Reveal Heterogeneous Habitats in the Early Cretaceous Jehol Biota
2017
[3]
논문
The Early Cretaceous lizard Dalinghosaurus from China
http://www.app.pan.p[...]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