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관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관소는 프랑스에서 유래된 용어로, 왕의 대리인을 의미한다. 앙시앵 레짐 시대 프랑스에서 국왕의 대관으로서 사법 집행, 행정 통제를 담당하는 bailli(바이예)와 sénéchal(세네샬)이 존재했다. 카페 왕조 이후 국왕은 왕령 확장에 따라 대관소를 설치하여 통치했으며, 재정, 군사, 행정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했다. 앙리 4세 이후 앙탕당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대관소는 점차 형식적인 존재가 되었고, 프랑스 혁명으로 폐지되었다. 영국에서는 비스터 마켓 엔드 대관구와 같이 영주 권리를 부여하는 형태로 존재하기도 했다. 건지 관할구, 저지 관할구 등 다양한 지역에 대관소가 존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행정 구역 - 내륙주
내륙주는 바다와 접하지 않은 지역을 의미하며, 국가 또는 행정 구역 내에서 해안선이 없는 지역을 포괄하고, 한국의 충청북도, 세종특별자치시 등이 이에 해당한다. - 행정 구역 - 연방구
연방구는 각국에서 연방 정부가 직접 통치하며 수도, 행정 중심지, 특별 경제 구역 등으로 지정되는 특별 지역을 의미한다. - 중세 - 장미 전쟁
장미 전쟁은 1455년부터 1487년까지 랭커스터 가문과 요크 가문의 왕위 계승 분쟁으로 시작되어 헨리 7세의 승리로 튜더 왕조가 건국되면서 종결된 일련의 내전입니다. - 중세 - 잉글랜드 왕국
잉글랜드 왕국은 9세기에 정치적 통일을 이루었고, 바이킹 침략과 노르만 정복을 거친 후 봉건 제도가 확립되었으며, 1707년 스코틀랜드와의 통합으로 대영제국이 성립되면서 잉글랜드 왕국은 독립적인 정치적 실체로서의 역사를 마감했다.
대관소 | |
---|---|
관할구역 정보 | |
어원 | 프랑스어 'bailie' + 영어 '-wic' |
의미 | bailiff의 관할 지역 |
설명 | 본래 집달리의 관할 구역을 의미하며, 현재는 특정 개인이나 기관의 책임 또는 전문 분야를 지칭하는 데 사용됨. |
역사적 맥락 | |
프랑스 | 세네샬관구 (sénéchaussée) 바이이관구 (bailliage) |
독일 | 발라이 (Ballei) |
일본 | 다이칸쇼 (代官所, 지방 관청) |
2. 역사
카페 왕조 이후 역대 프랑스 국왕은 왕령을 늘려갔고, 국왕 혼자서는 왕령 전토를 통치하는 것이 어려워졌다. 왕령의 북·동부에서는 바이예, 남·서부에서는 세네샬이라고 불리는 관리들이 왕의 대관으로서 통치하게 되었다. 양 관구는 왕령이 늘어남에 따라 그 수와 관리도 증가하였고, 점차 세율이나 징세 등도 관구별로 이루어졌으며, 과세 대상도 관구별로 달라졌다. 또한 관구 관리는 해당 관구 내의 주 군의 관리도 수행하여 징병 및 군사 관련 관리도 진행했다.
그러나 앙리 4세 이후 국왕은 부패한 주 총독이나 세네샬 관구, 바이예 관구보다 앙탕당(이 당시에는 재정 앙탕당)을 중요시하게 되었고, 루이 14세 시대부터는 재정, 군사, 행정 등도 앙탕당에 의해 빼앗겨 완전히 형식적인 것이 되었다.
이후 프랑스 혁명 중에 주, 앙탕당과 함께 세네샬 관구와 바이예 관구도 폐지되었다.
거의 모든 세네샬 관구가 바이예 관구보다 관할 범위가 광범위하다.
2. 1. 프랑스의 대관소
"대관소"라는 용어는 프랑스에서 유래되었다(프랑스어의 "bailie"는 대리인을 뜻하는 고대 프랑스어 용어이다). 앙시앵 레짐 시대 프랑스에서 '''bailli프랑스어'''는 왕의 대리인으로서 '''bailliage프랑스어'''에서 사법 집행과 행정 통제를 담당했다. 프랑스 남부에서는 일반적으로 '''sénéchal프랑스어'''(seneschal)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며, 이들은 '''sénéchaussée프랑스어'''에서 직무를 수행했다.[2]카페 왕조 이후 역대 프랑스 국왕은 왕령을 늘려갔고, 국왕 혼자서는 왕령 전토를 통치하는 것이 어려워졌다. 왕령의 북·동부에서는 바이예, 남·서부에서는 세네샬이라고 불리는 관리들이 왕의 대관으로서 통치하게 되었다. 양 관구는 왕령이 늘어남에 따라 그 수와 관리도 증가하게 되었고, 점차 세율이나 징세 등도 관구별로 이루어졌으며, 과세 대상도 관구별로 달라졌다. 또한 관구 관리는 해당 관구 내의 주 군의 관리도 수행하여 징병 및 군사 관련 관리도 진행했다.
그러나 앙리 4세 이후 국왕은 부패한 주 총독이나 세네샬 관구, 바이예 관구보다 앙탕당(이 당시에는 재정 앙탕당)을 중요시하게 되었고, 루이 14세 시대부터는 재정, 군사, 행정 등도 앙탕당에 의해 빼앗겨 완전히 형식적인 것이 되었다.
이후 프랑스 혁명 중에 주, 앙탕당과 함께 세네샬 관구와 바이예 관구도 폐지되었다.
또한 거의 모든 세네샬 관구가 바이예 관구보다 관할 범위가 광범위하다.
2. 2. 영국의 대관소
옥스퍼드셔 비스터에서 마켓 엔드의 영주는 1597년에 31명의 주요 세입자에게 9,999년 임대차 계약을 판매했는데, 이는 사실상 임차인들에게 영주 권리를 부여하는 것이었다.[3] 임차인들은 대관구에서 얻는 수익(주로 시장 관리)을 받고 주주들에게 분배할 집행관을 선출했다.[3] 이 계약은 비스터 마켓 엔드 대관구로 알려지게 되었다.[3] 1752년까지 원래 임대차 계약은 모두 10명의 남자의 손에 들어갔고, 이들은 시장의 대관구 관리권을 두 명의 지역 상인에게 임대했다.[3]3. 주요 대관소 목록
- 건지 관할구
- 저지 관할구
- 브란덴부르크 관할구
- 프랑코니아 관할구
- 코블렌츠 관할구
- 부아르 르 뒤크 관할구
- 슈타데 관할구
- 트웨스카드
- 위트레흐트 관할구
- 안 데어 에치 관할구
- Deutschordensballei Schwaben-Elsass-Burgund|알자스 및 부르고뉴 관할구de
- 랭커셔의 스탈민 관할구
참조
[1]
웹사이트
Definition of Bailiwick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21-01-16
[2]
서적
The King's Bench: Bailiwick Magistrates and Local Governance in Normandy, 1670-1740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3]
웹사이트
The market town of Bicester.
http://www.british-h[...]
Victoria County History
2022-06-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