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광역시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구광역시장은 대구광역시의 행정 수반으로, 1945년 광복 이후부터 현재까지 대구 지역을 관할해 온 시장들을 의미한다. 1945년부터 1995년까지는 대통령이 임명했으며, 1995년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부터는 민선으로 선출된다. 역대 시장으로는 이경희, 허억, 문희갑, 조해녕, 김범일, 권영진, 홍준표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광역시장 - 홍준표
홍준표는 1954년 경상남도 창녕군에서 태어나 '모래시계 검사'로 이름을 알린 후 정계에 입문하여 국회의원, 경상남도지사, 자유한국당 대표 등을 역임하고 대선 후보로도 출마했으며, 현재는 대구광역시장으로 재임 중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대구광역시장 - 문희갑
문희갑은 대한민국의 경제 관료이자 정치인으로, 경제기획원에서 예산실장과 경제기획국장을 지내며 경제 정책 수립에 참여했고, 국회의원과 대구광역시장을 역임하며 지방자치단체경영대상 수상 및 하계 유니버시아드 대회 유치에 기여했다. - 대구광역시청 - 대구광역시 부시장
대구광역시 부시장은 대구광역시의 행정 사무를 분담하여 처리하는 직위이며, 일제강점기부터 대구부 부부윤, 대구시 부시장으로 시작하여 대구직할시 승격 이후 행정부시장과 정무부시장으로 분리되었다가, 2014년부터 정무부시장이 경제부시장으로 변경되어 현재는 행정부시장과 경제부시장으로 구성된다. - 대구광역시청 - 대구의료원
대구의료원은 대구광역시의 공공 의료를 담당하는 의료기관으로, 다양한 진료과목 운영과 시설 확충을 통해 지역 사회의 의료 수요에 대응하며 감염병 유행 시기 공공 의료 시스템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 - 충청남도지사
충청남도지사는 충청남도의 행정 수반으로, 1945년 미군정 시기부터 존재했으며, 1995년 지방자치제 부활 이후 도민들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는 민선 도지사 체제로 운영된다. - 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 - 대전광역시장
대전광역시장은 대전광역시의 행정을 책임지는 최고 책임자로, 1949년 충청남도 대전시장으로 시작하여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1995년부터 주민 직선으로 선출되는 민선 시장이 운영되고 있다.
대구광역시장 | |
---|---|
기본 정보 | |
직위 | 대구광역시장 |
원어 명칭 | 대구광역시장 (大邱廣域市長) |
![]() | |
현직 | 홍준표 |
취임일 | 2022년 7월 1일 |
임기 | 4년 |
최초 취임 | 이경희 |
웹사이트 | 대구광역시장 공식 웹사이트 |
상세 정보 | |
관할 기관 | 대구광역시 |
임명 방식 | 시민 선거 |
이전 직위 | 대구시장 |
기원 | 1945년 8월 16일 |
2. 역대 시장
1945년부터 1995년까지 대구광역시장은 대통령이 임명하는 방식이었다. 1995년 지방자치제도가 부활하면서 지방자치법에 따라 대구광역시장은 시민들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임기 | 사진 | 이름 한자한국어 | 재임 기간 | 정당 | 선출 | ||
---|---|---|---|---|---|---|---|
취임 | 퇴임 | 재임 기간 | |||||
1대 | ![]() | 문희갑 文熹甲한국어 | 1995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 7년 | 무소속 → 한나라당 | 1995 |
2대 | 1998 | ||||||
3대 | -- | 조해녕 曺海寧한국어 |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 4년 | 한나라당 | 2002 |
4대 | ![]() | 김범일 金範鎰한국어 | 2006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8년 | 한나라당 → 새누리당 | 2006 |
5대 | 2010 | ||||||
6대 | -- | 권영진 權泳臻한국어 | 2014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 8년 | 새누리당 → 자유한국당 →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 2014 |
7대 | 2018 | ||||||
8대 | ![]() | 홍준표 洪準杓한국어 | 2022년 7월 1일 | 현직 | 1년 | 국민의힘 | 2022 |
2. 1. 경상북도 대구부윤
1945년 광복 직후부터 1949년 대구부 설치 이전까지 대구 지역을 관할했던 행정 책임자는 다음과 같다.선출 방식 | 대수 | 이름 | 임기 |
---|---|---|---|
관선 | 초대 | 이경희 | 1945년 8월 16일~1945년 10월 9일 |
2대 | 존 P. 콘치 (John P. Conch) | 1945년 10월 10일~1945년 11월 17일 | |
3대 | 조지 마이어스 (George W. Myers) | 1945년 11월 18일~1946년 1월 17일 | |
4대 | 이경희 | 1946년 1월 18일~1946년 9월 5일 | |
5대 | 권영세 | 1946년 9월 5일~1947년 4월 30일 | |
6대 | 한보용(韓普容) | 1947년 5월 1일~1948년 8월 14일 | |
7대 | 조용해(趙龍海) | 1948년 8월 15일~1949년 1월 7일 | |
8대 | 허억(許億) | 1949년 1월 8일~1949년 8월 14일 |
2. 2. 경상북도 대구시장
1949년 대구부가 대구시로 승격된 이후부터 1981년 대구직할시로 승격되기 전까지 대구시정을 이끌었던 시장이다.[1]선출 방식 | 대수 | 이름 | 임기 | 시정 구호 | 시정 방침 |
---|---|---|---|---|---|
관선 | 초대 | 허억 | 1949년 8월 15일~1951년 9월 10일 | ||
민선 | 2대 | 이호석 | 1951년 9월 19일~1952년 5월 5일 | rowspan=2 | | rowspan=2 | |
1952년 5월 5일~1952년 10월 24일 | |||||
3대 | 김종환 | 1952년 11월 1일~1954년 8월 31일 | |||
4대 | 허흡 | 1954년 10월 5일~1958년 10월 4일 | |||
5대 | 조준영 | 1958년 10월 5일~1959년 5월 29일 | |||
관선 | 직무대리 | 이종왕 | 1959년 5월 29일~1959년 6월 11일 | ||
6대 | 이종왕 | 1959년 6월 12일~1960년 5월 6일 | |||
직무대리 | 정도환 | 1960년 5월 6일~1960년 5월 9일 | 부시장으로 직무대리 | ||
7대 | 박기서 | 1960년 5월 12일~1960년 10월 31일 | |||
직무대리 | 이백희 | 1960년 10월 31일~1960년 12월 1일 | 시장출마를 위한 사퇴 | ||
민선 | 8대 | 김종환 | 1960년 12월 28일~1961년 5월 24일 | ||
관선 | 9대 | 강원채 | 1961년 5월 25일~1963년 12월 11일 | ||
10대 | 강계원 | 1964년 1월 11일~1966년 5월 24일 | |||
11대 | 태종학 | 1966년 5월 25일~1969년 10월 24일 | |||
12대 | 김수학 | 1969년 10월 2일~1972년 6월 29일 | 뭉치자 백만 가꾸자 새대구 | 대개발의 촉진, 생활환경의 정비, 방문행정의 추진, 새 공무원도의 확립 | |
13대 | 이규이 | 1972년 6월 30일~1974년 7월 17일 | 강력한 총화체제 확립, 명랑한 푸른도시 조성, 활기찬 생산도시 건설, 과감한 부조리 제거, 사랑받는 시정상 구현 | ||
14대 | 김무연 | 1974년 7월 18일~1976년 10월 11일 | 창의로 개발 총화로 전진 | 시민 총화체제의 강화, 조화있는 도시건설, 산업기반의 재정비, 복지 문화시책의 확대, 성실한 봉사행정 | |
15대 | 정채진 | 1976년 10월 22일~1979년 1월 14일 | 밝고 푸르고 활기찬 도시 | 총화유신의 생활화, 생활환경의 개선, 지역경제력의 배양, 문화복지의 향상, 창조적 봉사행정 | |
16대 | 박창규 | 1979년 1월 15일~1980년 7월 8일 | 발전시정의 구현 | 유신총화의 정착화, 새마을운동의 지속발전, 도시개발의 기반정립, 문화복지의 향상, 봉사체질의 획기적 개선 | |
17대 | 장병구 | 1980년 8월 1일~1981년 6월 30일 | 밝은 새대구 복지대구 건설 | 대민봉사의 쇄신, 도시환경의 향상, 시민생활의 안정, 지역산업의 발전, 향토문화의 개발 |
2. 3. 대구직할시장
1981년 7월 1일 대구시가 직할시로 승격되면서 대구직할시장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었으며, 1995년 광역시 승격 전까지 존속했다.선출 방식 | 대수 | 이름 | 임기 | 시정 구호 | 시정 방침 |
---|---|---|---|---|---|
관선 | 18대 | 정채진 | 1981년 7월 1일~1982년 5월 2일 | 활기찬 새대구 긍지높은 시민 | 시민존중의 봉사, 균형있는 도시개발, 지역경제의 활성화, 건강한 시민질서 |
19대 | 이상희 | 1982년 5월 3일~1985년 2월 20일 | 밝은거리 푸른도시 복지대구 건설 | 생활환경 개선, 지역산업 진흥, 도시질서 정착, 문화복지 향상, 책임행정 구현 | |
20대 | 이상연 | 1985년 2월 21일~1987년 5월 29일 | 긍지높은 시민 건강한 도시 | 참여시정 확대, 생활편익 증진, 도시기반 완비, 지역산업 육성 | |
21대 | 박배근 | 1987년 5월 30일~1988년 12월 12일 | 건강한 도시 신뢰받는 시정 | 안정이 다져진 지역, 미래를 내다본 개발, 활기가 넘치는 경제, 전통이 숨쉬는 문화, 민의를 받드는 시정 | |
22대 | 박성달 | 1988년 12월 13일~1990년 12월 27일 | 참여하는 시민 희망찬 도시 | 민주질서의 정착, 서민생활의 보호, 도시개발의 촉진, 지역경제의 진흥, 향토문화의 창달 | |
23대 | 이해봉 | 1990년 12월 28일~1992년 4월 20일 | 새질서 새생활 새대구 | 민주시정, 화합안정, 서민복지, 경제진흥, 도시개발 | |
24대 | 한명환 | 1992년 4월 21일~1993년 3월 3일 | 화합하는 시민 봉사하는 시정 | 봉사시정의 구현, 자치기반의 확충, 지역경제의 진흥, 도시환경의 정비, 문화예술의 창달 | |
25대 | 이의익 | 1993년 3월 4일~1993년 12월 27일 | |||
26대 | 조해녕 | 1993년 12월 28일~1994년 12월 31일 | 대구는 우리모두의 자랑입니다 |
2. 4. 대구광역시장
한나라당 (1998~2002)새누리당 (2012~2014)
자유한국당 (2017~2020)
미래통합당 (2020)
국민의힘 (2020~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