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대구광역시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대구광역시장은 대구광역시의 행정 수반으로, 1945년 광복 이후부터 현재까지 대구 지역을 관할해 온 시장들을 의미한다. 1945년부터 1995년까지는 대통령이 임명했으며, 1995년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부터는 민선으로 선출된다. 역대 시장으로는 이경희, 허억, 문희갑, 조해녕, 김범일, 권영진, 홍준표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광역시장 - 홍준표
    홍준표는 1954년 경상남도 창녕군에서 태어나 '모래시계 검사'로 이름을 알린 후 정계에 입문하여 국회의원, 경상남도지사, 자유한국당 대표 등을 역임하고 대선 후보로도 출마했으며, 현재는 대구광역시장으로 재임 중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대구광역시장 - 문희갑
    문희갑은 대한민국의 경제 관료이자 정치인으로, 경제기획원에서 예산실장과 경제기획국장을 지내며 경제 정책 수립에 참여했고, 국회의원과 대구광역시장을 역임하며 지방자치단체경영대상 수상 및 하계 유니버시아드 대회 유치에 기여했다.
  • 대구광역시청 - 대구광역시 부시장
    대구광역시 부시장은 대구광역시의 행정 사무를 분담하여 처리하는 직위이며, 일제강점기부터 대구부 부부윤, 대구시 부시장으로 시작하여 대구직할시 승격 이후 행정부시장과 정무부시장으로 분리되었다가, 2014년부터 정무부시장이 경제부시장으로 변경되어 현재는 행정부시장과 경제부시장으로 구성된다.
  • 대구광역시청 - 대구의료원
    대구의료원은 대구광역시의 공공 의료를 담당하는 의료기관으로, 다양한 진료과목 운영과 시설 확충을 통해 지역 사회의 의료 수요에 대응하며 감염병 유행 시기 공공 의료 시스템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 - 충청남도지사
    충청남도지사는 충청남도의 행정 수반으로, 1945년 미군정 시기부터 존재했으며, 1995년 지방자치제 부활 이후 도민들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는 민선 도지사 체제로 운영된다.
  • 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 - 대전광역시장
    대전광역시장은 대전광역시의 행정을 책임지는 최고 책임자로, 1949년 충청남도 대전시장으로 시작하여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1995년부터 주민 직선으로 선출되는 민선 시장이 운영되고 있다.
대구광역시장
기본 정보
직위대구광역시장
원어 명칭대구광역시장 (大邱廣域市長)
신조 아베와 홍준표
홍준표 대구광역시장
현직홍준표
취임일2022년 7월 1일
임기4년
최초 취임이경희
웹사이트대구광역시장 공식 웹사이트
상세 정보
관할 기관대구광역시
임명 방식시민 선거
이전 직위대구시장
기원1945년 8월 16일

2. 역대 시장

1945년부터 1995년까지 대구광역시장은 대통령이 임명하는 방식이었다. 1995년 지방자치제도가 부활하면서 지방자치법에 따라 대구광역시장은 시민들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임기사진이름
한자한국어
재임 기간정당선출
취임퇴임재임 기간
1대
문희갑
文熹甲한국어
1995년 7월 1일2002년 6월 30일7년무소속
한나라당
1995
2대1998
3대--조해녕
曺海寧한국어
2002년 7월 1일2006년 6월 30일4년한나라당2002
4대
김범일
金範鎰한국어
2006년 7월 1일2014년 6월 30일8년한나라당 →
새누리당
2006
5대2010
6대--권영진
權泳臻한국어
2014년 7월 1일2022년 6월 30일8년새누리당 →
자유한국당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2014
7대2018
8대
홍준표
洪準杓한국어
2022년 7월 1일현직1년국민의힘2022


2. 1. 경상북도 대구부윤

1945년 광복 직후부터 1949년 대구부 설치 이전까지 대구 지역을 관할했던 행정 책임자는 다음과 같다.

선출 방식대수이름임기
관선초대이경희1945년 8월 16일~1945년 10월 9일
2대존 P. 콘치 (John P. Conch)1945년 10월 10일~1945년 11월 17일
3대조지 마이어스 (George W. Myers)1945년 11월 18일~1946년 1월 17일
4대이경희1946년 1월 18일~1946년 9월 5일
5대권영세1946년 9월 5일~1947년 4월 30일
6대한보용(韓普容)1947년 5월 1일~1948년 8월 14일
7대조용해(趙龍海)1948년 8월 15일~1949년 1월 7일
8대허억(許億)1949년 1월 8일~1949년 8월 14일


2. 2. 경상북도 대구시장

1949년 대구부가 대구시로 승격된 이후부터 1981년 대구직할시로 승격되기 전까지 대구시정을 이끌었던 시장이다.[1]

선출 방식대수이름임기시정 구호시정 방침
관선초대허억1949년 8월 15일~1951년 9월 10일
민선2대이호석1951년 9월 19일~1952년 5월 5일rowspan=2 |rowspan=2 |
1952년 5월 5일~1952년 10월 24일
3대김종환1952년 11월 1일~1954년 8월 31일
4대허흡1954년 10월 5일~1958년 10월 4일
5대조준영1958년 10월 5일~1959년 5월 29일
관선직무대리이종왕1959년 5월 29일~1959년 6월 11일
6대이종왕1959년 6월 12일~1960년 5월 6일
직무대리정도환1960년 5월 6일~1960년 5월 9일부시장으로 직무대리
7대박기서1960년 5월 12일~1960년 10월 31일
직무대리이백희1960년 10월 31일~1960년 12월 1일시장출마를 위한 사퇴
민선8대김종환1960년 12월 28일~1961년 5월 24일
관선9대강원채1961년 5월 25일~1963년 12월 11일
10대강계원1964년 1월 11일~1966년 5월 24일
11대태종학1966년 5월 25일~1969년 10월 24일
12대김수학1969년 10월 2일~1972년 6월 29일뭉치자 백만 가꾸자 새대구대개발의 촉진, 생활환경의 정비, 방문행정의 추진, 새 공무원도의 확립
13대이규이1972년 6월 30일~1974년 7월 17일강력한 총화체제 확립, 명랑한 푸른도시 조성, 활기찬 생산도시 건설, 과감한 부조리 제거, 사랑받는 시정상 구현
14대김무연1974년 7월 18일~1976년 10월 11일창의로 개발 총화로 전진시민 총화체제의 강화, 조화있는 도시건설, 산업기반의 재정비, 복지 문화시책의 확대, 성실한 봉사행정
15대정채진1976년 10월 22일~1979년 1월 14일밝고 푸르고 활기찬 도시총화유신의 생활화, 생활환경의 개선, 지역경제력의 배양, 문화복지의 향상, 창조적 봉사행정
16대박창규1979년 1월 15일~1980년 7월 8일발전시정의 구현유신총화의 정착화, 새마을운동의 지속발전, 도시개발의 기반정립, 문화복지의 향상, 봉사체질의 획기적 개선
17대장병구1980년 8월 1일~1981년 6월 30일밝은 새대구 복지대구 건설대민봉사의 쇄신, 도시환경의 향상, 시민생활의 안정, 지역산업의 발전, 향토문화의 개발


2. 3. 대구직할시장

1981년 7월 1일 대구시가 직할시로 승격되면서 대구직할시장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었으며, 1995년 광역시 승격 전까지 존속했다.

선출 방식대수이름임기시정 구호시정 방침
관선18대정채진1981년 7월 1일~1982년 5월 2일활기찬 새대구 긍지높은 시민시민존중의 봉사, 균형있는 도시개발, 지역경제의 활성화, 건강한 시민질서
19대이상희1982년 5월 3일~1985년 2월 20일밝은거리 푸른도시 복지대구 건설생활환경 개선, 지역산업 진흥, 도시질서 정착, 문화복지 향상, 책임행정 구현
20대이상연1985년 2월 21일~1987년 5월 29일긍지높은 시민 건강한 도시참여시정 확대, 생활편익 증진, 도시기반 완비, 지역산업 육성
21대박배근1987년 5월 30일~1988년 12월 12일건강한 도시 신뢰받는 시정안정이 다져진 지역, 미래를 내다본 개발, 활기가 넘치는 경제, 전통이 숨쉬는 문화, 민의를 받드는 시정
22대박성달1988년 12월 13일~1990년 12월 27일참여하는 시민 희망찬 도시민주질서의 정착, 서민생활의 보호, 도시개발의 촉진, 지역경제의 진흥, 향토문화의 창달
23대이해봉1990년 12월 28일~1992년 4월 20일새질서 새생활 새대구민주시정, 화합안정, 서민복지, 경제진흥, 도시개발
24대한명환1992년 4월 21일~1993년 3월 3일화합하는 시민 봉사하는 시정봉사시정의 구현, 자치기반의 확충, 지역경제의 진흥, 도시환경의 정비, 문화예술의 창달
25대이의익1993년 3월 4일~1993년 12월 27일
26대조해녕1993년 12월 28일~1994년 12월 31일대구는 우리모두의 자랑입니다


2. 4. 대구광역시장

한나라당 (1998~2002)화합하는 시민 거듭나는 대구경제도시 건설, 교통문제 해결, 생활환경 향상, 향토문화 창달, 봉사행정 실천29대아름다운 도시 품위있는 대구아름다운 환경도시, 격조높은 문화도시, 함께사는 복지도시, 활력있는 경제도시, 세계적인 패션도시30대조해녕2002년 7월 1일~2006년 6월 30일한나라당마음을 하나로 대구를 세계로기업하기 좋은 도시, 신명나는 문화도시, 살기좋은 환경도시, 하나되는 복지도시, 밝은 시정 열린 도시31대김범일2006년 7월 1일~2014년 6월 30일한나라당 (2006~2012)
새누리당 (2012~2014)희망의 도시, 일류 대구미래 성장동력 창출, 영남권 중추도시 위상 확립, 활력있고 살고싶은 도시 건설, 시민과 함께하는 열린시정 구현32대33대권영진2014년 7월 1일~2022년 6월 30일새누리당 (2014~2017)
자유한국당 (2017~2020)
미래통합당 (2020)
국민의힘 (2020~2022)오로지 시민행복 반드시 창조대구창조경제, 문화융성, 안전복지, 녹색환경, 소통협치34대행복한 시민 자랑스러운 대구35대홍준표2022년 7월 1일~현재국민의힘자유와 활력이 넘치는 파워풀 대구


3. 역대 선거

1995년 이후 치러진 역대 대구광역시장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1]

2002년 대구광역시장 선거
정당#후보득표수득표율
한나라당1조해녕452,94361.18%
무소속3이재용287,39638.81%
합계740,339100.00%
투표율41.45%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무소속 문희갑 후보가, 1998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한나라당 문희갑 후보가,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자유한국당 김범일 후보가,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새누리당 권영진 후보가,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국민의힘 홍준표 후보가 당선되었다.

3. 1.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1995년 대구광역시장 선거
정당#후보득표수득표율
무소속3문희갑383,27236.79%
자유민주연합2이의익230,66822.14%
무소속5이해봉222,40921.35%
민주자유당1조해녕175,74916.87%
무소속4안유호29,6172.84%
합계1,041,715100.00%
투표율63.97%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무소속 문희갑 후보가 36.7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자유민주연합 이의익 후보는 22.14%, 무소속 이해봉 후보는 21.35%, 민주자유당 조해녕 후보는 16.87%, 무소속 안유호 후보는 2.84%를 득표했다.

3. 2. 1998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1998년 대구광역시장 선거
정당#후보득표수득표율
한나라당1문희갑570,16771.98%
자유민주연합3이의익163,65320.66%
새정치국민회의4유성환58,2437.35%
합계792,063100.00%
투표율46.81%


3. 3.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02년 대구광역시장 선거
정당후보득표수득표율
한나라당조해녕452,94361.18%
무소속이재용287,39638.81%
합계740,339100.00%
투표율41.45%


3. 4.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18년 대구광역시장 선거
정당#후보득표수득표율
자유한국당2권영진619,16553.73%
더불어민주당1임대윤458,11239.75%
바른미래당3김형기74,9556.50%
합계1,152,232100.00%
투표율57.26%


3. 5.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22년 대구광역시장 선거
정당#후보득표수득표율
국민의힘2홍준표685,15978.75%
더불어민주당1서재헌156,42917.97%
정의당3한민정20,9042.40%
기본소득당4신원호7,5420.86%
총합870,034100.00%
투표율43.1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