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지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충청남도지사는 충청남도의 행정 수반으로, 1945년 미군정 시기부터 존재했다. 초기에는 관선 도지사 체제였으며, 1995년 지방자치제 부활 이후부터는 도민들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는 민선 도지사 체제로 전환되었다. 미군정 시기에는 윌리엄 카프 등이 도지사를 역임했고,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는 이영진, 심대평, 이완구, 안희정, 김태흠 등이 도지사로 활동했다. 1995년 민선 시대 이후 심대평이 3선, 안희정이 재선에 성공했으나, 안희정의 성추행 사건으로 도정에 차질이 발생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김태흠이 '힘쎈 충남, 대한민국의 힘'을 슬로건으로 도정을 이끌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충청남도청 - 충청남도 산림자원연구소
충청남도 산림자원연구소는 1918년 연기사방사업소로 설립되어 임업시험장을 거쳐 현재 명칭으로 개편된 충청남도 산림 연구 및 관리 기관으로, 자연학습원 흡수 및 산림박물관 개관을 통해 기능이 확대되었으며, 현재는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에 위치하여 산림 자원 보존, 연구, 교육, 휴양 시설 운영 등의 사업을 수행한다. - 충청남도청 - 충청남도 부지사
충청남도 부지사는 충청남도의 행정 사무를 총괄하는 직위로, 현재 행정부지사와 정무부지사가 있으며, 미군정 시기 민정관에서 시작되어 부지사 체제로 변화, 1995년부터 행정부지사와 정무부지사 체제로 운영되어 왔다. - 충청남도지사 - 이완구
이완구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국회의원과 충청남도지사를 지냈으며 국무총리를 역임했으나 성완종 리스트 사건 연루 의혹으로 사퇴 후 혈액암으로 사망했다. - 충청남도지사 - 정석모
경찰 출신 행정가이자 정치인인 정석모는 치안국장, 도지사, 차관, 6선 국회의원, 내무부 장관 등을 역임하며 충청권 정치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고, 정계 은퇴 후에는 건양대학교 이사장으로 활동했다. - 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 - 대전광역시장
대전광역시장은 대전광역시의 행정을 책임지는 최고 책임자로, 1949년 충청남도 대전시장으로 시작하여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1995년부터 주민 직선으로 선출되는 민선 시장이 운영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 - 오영훈
오영훈은 1968년생으로 제주대학교 총학생회장, 국회의원을 거쳐 현재 제주특별자치도지사로 재임 중이며, 제주 4·3 사건의 영향으로 학생 운동에 참여하고 국회의원 재임 중 제주 4·3 특별법 개정에 기여했으며, 2022년 제주특별자치도지사 선거에서 당선되었다.
충청남도지사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직위 | 충청남도지사 |
한자 표기 | 忠淸南道知事 |
직위 종류 | 광역자치단체장 |
관할 구역 | 충청남도 |
임기 | 4년 |
선출 방식 | 주민 직접 선거 |
웹사이트 | 충청남도지사 공식 웹사이트 |
첫 지사 | 황인식 |
![]() | |
현직 정보 | |
현직 지사 | 김태흠 |
취임일 | 2022년 7월 1일 |
2. 역대 도지사
== 역대 도지사 ==
충청남도지사는 1945년 8월 15일 광복 이후 미군정 시대부터 존재했다. 초기에는 미군정이 임명한 관선 도지사들이 도정을 이끌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도 1995년 지방자치제 부활 전까지는 대통령이 임명하는 관선 도지사 체제가 유지되었다. 1948년 10월 18일부터 1951년 12월 17일까지 초대 도지사인 이영진을 시작으로, 진헌식, 성낙서, 이기세, 민병기, 김학응, 김홍식, 김량현 등이 연이어 도지사직을 수행했다. 이 시기 도정은 애국애족, 관기확립, 민족친선, 민의존중, 산업부흥, 치안확보 등의 구호 아래 운영되었다. 전쟁과 혼란 속에서 국가 안보와 경제 발전에 초점을 맞춘 보수적인 성향의 도정이었다.
1960년대 이후에도 윤태호, 노명우, 김의창, 김윤환, 민유동, 정석모, 김수학, 서정화, 정석모, 손수익, 이계완, 류흥수, 안응모, 한광수, 심대평, 한청수, 이종국, 홍선기, 이동우, 박태권, 박종배, 김한곤 등이 관선 도지사로 임명되었다. 이 시기는 박정희 정권의 유신체제를 포함하며, 도정 운영은 정부 정책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새로운 충남 건설', '새마을 운동', '지역 균형 발전' 등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 도정 구호가 사용되었다. 민주적인 의사결정 과정의 미흡과 지역 주민 요구의 부족한 반영은 꾸준히 비판받았다.
1995년 지방자치법 개정으로 도지사 직선제가 도입되면서 민선 충청남도지사 시대가 시작되었다. 첫 민선 도지사인 심대평은 1995년부터 2006년까지 3선을 역임하며 '4천만이 살고 싶은 충남 건설'이라는 구호 아래 도정을 운영했다. 이후 이완구, 안희정, 양승조, 김태흠 등이 민선 도지사로 선출되어 각기 다른 정치적 성향과 도정 방침을 가지고 충남의 발전을 위해 노력했다. 민선 시대에는 주민 참여와 지역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정책이 추진되었으나,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른 갈등과 지역 간 불균형 문제는 여전히 과제로 남아 있다. 안희정 지사 시절 '행복한 변화, 새로운 충남'이라는 슬로건 아래 소통과 참여를 강조한 정책이 추진되었으나, 그의 성추행 사건으로 도정 운영에 큰 차질이 발생했다. 최근에는 보수 성향의 김태흠 지사가 '힘쎈 충남, 대한민국의 힘'을 슬로건으로 도정을 이끌고 있다. 일부 도지사들의 경우, 정당 소속이 명확하지 않거나 정보가 부족하여 정당 기입란이 비어있으며, 원본 자료에 일부 가칭 처리된 부분이 있어 추가 정보 확인이 필요하다. 특히, 미군정 시절 도지사였던 윌리엄 카프 등 초기 도지사들에 대한 자료는 부족하다.
2. 1. 미군정 시기 도지사
미군정 시기 충청남도는 관선으로 도지사가 임명되었다. 1945년 8월 15일 광복 후, 조선총독부 충청남도지사였던 박재홍(朴在鴻)이 잠시 직무를 수행했으나, 곧 황인식(黃寅植)이 대리로서 도지사직을 이어받았다. 이후 1945년 9월 3일부터는 미육군 대령이자 주한미군 27연대장인 윌리엄 카프(William A. Karp)가 2대 도지사로 임명되었다. 카프가 물러난 후 황인식이 다시 도지사직을 수행했고, 이후 박종만(朴鍾萬), 정일형(鄭一亨), 그리고 다시 서덕순(徐德淳)(또는 서진순(徐眞淳)으로 기록)이 도지사직을 수행했다. 서덕순은 1947년 11월 16일부터 1947년 12월 21일까지 대리 도지사로서 임무를 수행했으며, 이후 정식으로 6대 도지사가 되었다. 이들은 미군정의 영향 하에 행정 업무를 수행하였다. [3]2. 2. 대한민국 수립 이후 도지사
대한민국 수립 이후 충청남도는 1945년 8월 15일 광복 이후 미군정 시절부터 충청남도지사를 두었다. 초기에는 미군정에 의해 임명된 관선 도지사들이 충남도정을 이끌었다. 이후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도 계속해서 대통령이 임명하는 관선 도지사 체제가 유지되었다. 초대 도지사는 이영진으로, 1948년 10월 18일부터 1951년 12월 17일까지 재임하였다. 이후 진헌식, 성낙서, 이기세, 민병기, 김학응, 김홍식, 김양현 등이 연이어 도지사직을 수행하며, 애국애족, 관기확립, 민족친선, 민의존중, 산업부흥, 치안확보 등의 도정 구호와 방침 아래 도정을 운영하였다. 이 시기 도정은 대체로 보수적인 성향을 띠었으며, 전쟁과 혼란의 시대 속에서 국가 안보와 경제 발전에 초점을 맞추었다.1960년대 이후에도 윤태호, 노명우, 김의창, 김윤환, 민유동, 정석모, 김수학, 서정화, 정석모, 손수익, 이계완, 유흥수, 안응모, 한양수, 심대평, 한청수, 이종국, 홍선기, 이동우, 박태권, 박중배, 김한곤 등이 관선 도지사로 임명되어 도정을 이끌었다. 이 시기는 박정희 정권의 유신체제 시대를 포함하고 있어, 도정 운영에 있어서 정부 정책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도정 구호는 '새로운 충남 건설', '새마을 운동', '지역 균형 발전' 등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 내용으로 변화해 갔다. 이러한 관선 체제 아래에서는 민주적인 의사결정 과정이 미흡하고, 지역 주민들의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1995년 지방자치법 개정으로 도지사 직선제가 도입되면서, 민선 충청남도지사 시대가 개막되었다. 첫 민선 도지사는 심대평으로, 1995년부터 2006년까지 3선을 역임하며, '4천만이 살고 싶은 충남 건설'이라는 도정 구호 아래 도정을 운영했다. 이후 이완구, 안희정, 양승조, 김태흠 등이 민선 도지사로 선출되어 각기 다른 정치적 성향과 도정 방침을 가지고 충남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였다. 민선 시대에는 주민 참여와 지역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정책들이 추진되었지만,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른 갈등과 지역 간 불균형 문제는 여전히 과제로 남아 있다. 특히 안희정 지사 시절에는 '행복한 변화, 새로운 충남'이라는 슬로건 아래 소통과 참여를 강조한 정책들이 추진되었으나, 그의 성추행 사건으로 인해 도정 운영에 큰 차질을 빚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최근에는 보수 성향의 김태흠 지사가 취임하여 '힘쎈 충남, 대한민국의 힘'을 슬로건으로 내걸고 도정을 이끌고 있다.
2. 2. 1. 관선 도지사 (1948년 ~ 1995년)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1995년 민선 시대 개막 전까지 충청남도지사는 대통령이 임명하는 관선직이었다. 초대 도지사인 이영진부터 31대 김한곤까지 총 31명의 관선 도지사가 있었다. 이 시기 도정은 중앙 정부의 정책 방향에 따라 운영되었으며, 각 도지사는 시대적 상황에 맞춰 애국, 산업 부흥, 치안 확보, 농촌 진흥 등 다양한 도정 구호와 방침을 내세웠다. 특히, 1960년대 이후 유신체제 시기에는 박정희 정권의 정책 기조인 새마을 운동 등에 따라 도정이 운영되었다. 민주화 이후에도 관선 도지사 체제는 지속되었으나, 점차 민주적인 요구가 커짐에 따라 1995년 마침내 민선 도지사 시대가 열리게 되었다. 이 기간 동안의 도지사들의 정치적 성향은 다양했으나, 대체로 중앙정부의 정책 방향에 따랐다는 점은 공통적이다. 이들의 업적과 한계에 대한 평가는 시대적 배경과 정치적 입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일부 도지사들의 경우, 정당 소속이 명확하지 않거나 정보가 부족하여 정당 기입란이 비어있다. 또한, 원본 자료에 일부 가칭 처리된 부분이 있어 이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 확인이 필요하다. 특히, 미국 군정 시절 충남도지사였던 윌리엄 카프 등 초기 도지사들에 대한 자료는 부족한 실정이다. 향후 추가적인 연구와 자료 확보를 통해 더욱 정확하고 상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2. 2. 2. 민선 도지사 (1995년 ~ 현재)
1995년 지방자치제 부활 이후 충청남도지사는 도민들의 직접 선거를 통해 선출되고 있다. 민선 도지사 시대는 도민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도정 운영을 목표로 한다. 역대 민선 충청남도지사는 다음과 같다.- 32대 심대평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자유민주연합 소속으로, '4천만이 살고 싶은 충남 건설'을 도정 구호로 내세웠다. 인본 행정 구현, 지역 경제 육성, 개발과 보전의 조화, 충남 정신 발양을 도정 방침으로 삼았다. 심대평 시장은 보수 성향 인물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정책들이 실제로 충남 발전에 얼마나 기여했는지에 대해서는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가 공존한다. [1]
- 33대 심대평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자유민주연합 소속으로 재선에 성공하였다. 32대와 동일한 도정 구호와 방침을 유지했다.
- 34대 심대평 (2002년 7월 1일 ~ 2006년 3월 24일): 자유민주연합 소속으로 3선에 성공했다. 충남 정신 발양, 참여 복지 구현, 미래 인재 양성, 지역 균형 발전을 중점 과제로 삼았다. 그러나, 그의 장기 집권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었다. [1]
- 권한대행 유덕준 (2006년 3월 24일 ~ 2006년 6월 30일): 심대평 지사의 사퇴 이후 권한대행으로 도정을 이끌었다. 무소속이었던 유덕준 권한대행은 짧은 임기 동안 도정의 안정을 유지하는 데 집중하였다.
- 35대 이완구 (2006년 7월 1일 ~ 2009년 12월 4일): 한나라당 소속으로 선출되었다. '한국 중심, 강한 충남도'를 구호로 내걸고, 균형 있는 지역 발전, 함께하는 복지 사회, 활력 있는 농어촌, 역동적인 산업 경제, 건강한 자연 환경을 도정 방침으로 제시했다. 이완구 지사는 보수 성향 인물로, 그의 정책들이 실제로 얼마나 효과적이었는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4]
- 권한대행 이인화 (2009년 12월 4일 ~ 2010년 6월 30일): 이완구 지사의 사퇴 이후 권한대행으로 도정을 이끌었다. 무소속이었다.
- 36대 안희정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민주당(2010~2011), 민주통합당(2011~2013), 민주당(2013~2014), 새정치민주연합(2014~2015) 소속으로 '행복한 변화, 새로운 충남'을 기치로 내걸었다. 대화와 소통, 참여와 창의, 공정과 투명, 견제와 균형을 도정 방침으로 삼았다. 안희정 지사는 진보 성향 인물로, 그의 정책들은 상대적으로 진보적인 가치를 반영했다. [5]
- 37대 안희정 (2014년 7월 1일 ~ 2018년 3월 6일): 재선에 성공했으나, 성추행 혐의로 중도 사퇴했다. 대화와 소통, 참여와 자치, 공정과 투명, 상생과 균형을 강조했다. 그의 사퇴는 큰 사회적 파장을 불러왔다. [5]
- 권한대행 남궁영 (2018년 3월 7일 ~ 2018년 6월 30일): 안희정 지사의 사퇴 이후 권한대행으로 도정을 이끌었다.
- 38대 양승조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대한민국의 중심, 더 행복한 충남'을 도정 구호로 삼았다. 진보적인 정책들을 추진했으나, 그 효과에 대한 평가는 다양하게 나타난다.
- 39대 김태흠 (2022년 7월 1일 ~ 현재): 국민의힘 소속으로, '힘쎈 충남, 대한민국의 힘'을 도정 구호로 내세웠다. 보수 성향의 정책들을 추진하고 있다.
3. 역대 선거 결과
== 역대 선거 결과 ==
충청남도지사 선거 결과를 연도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998년 민선 2기 선거에서는 자유민주연합 심대평 후보가 656,795표(84.63%)를 획득, 한나라당 한충수 후보(119,216표, 15.36%)를 크게 앞지르며 압승했다. 투표율은 59.49%였다. 심대평 후보의 압승 배경에는 당시 지역 정치 상황과 그의 정치적 기반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분석된다. 한충수 후보의 저조한 득표율은 여러 요인의 복합적인 결과로 볼 수 있다. 자세한 후보 공약 및 선거 과정에 대한 정보는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
2002년 민선 3기 선거에서는 자유민주연합 심대평 후보가 508,796표(66.96%)를 얻어 한나라당 박태권 후보(251,005표, 33.03%)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투표율은 56.24%였다. 심대평 후보의 압승은 지역 정서와 당시 정치 상황을 반영하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당시 후보들의 구체적인 공약 내용은 현재 자료 부족으로 확인이 어렵다.
2006년 민선 4기 선거에서는 한나라당 이완구 후보가 379,420표(46.31%)를 얻어 국민중심당 이명수 후보(209,254표, 25.54%), 열린우리당 오영교 후보(178,169표, 21.74%), 민주노동당 이용길 후보(52,417표, 6.39%)를 제치고 승리했다. 투표율은 55.78%였다. 이 결과는 충청남도의 보수 성향을 반영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완구 후보는 지역 현안 해결과 경제 활성화를 주요 공약으로 내세웠고, 이는 지역민들의 지지를 얻은 것으로 보인다. 반면, 진보 성향 후보들은 저조한 득표율을 기록했다.
2010년 민선 5기 선거에서는 민주당 안희정 후보가 367,288표(42.25%)로 자유선진당 박상돈 후보(347,265표, 39.94%), 한나라당 박해춘 후보(154,723표, 17.79%)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투표율은 56.52%였다. 각 후보의 구체적인 공약은 자료 부족으로 확인되지 않는다.
2014년 민선 6기 선거에서는 새정치민주연합 안희정 후보가 465,994표(52.21%)를 얻어 새누리당 정진석 후보(392,315표, 43.95%), 무소속 김기문 후보(34,204표, 3.83%)를 제치고 당선되었다. 투표율은 55.71%였다. 안희정 후보의 진보적 정책과 지역 현안에 대한 대응이 승리 요인으로 분석되며, 정진석 후보는 보수적 정책 기조와 지역민 기대치를 충족시키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2018년 민선 7기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양승조 후보가 615,870표(62.55%)의 압도적인 득표율로 자유한국당 이인제 후보(345,577표, 35.10%), 바른미래당 차국환 후보(23,012표, 2.33%)를 제치고 당선되었다. 투표율은 58.12%였다. 이인제 후보의 저조한 득표율은 보수층 분열과 민주당 지지세 강화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양승조 후보는 서민 경제 활성화와 지역 균형 발전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2022년 민선 8기 선거에서는 국민의힘 김태흠 후보가 468,658표(53.87%)를 얻어 더불어민주당 양승조 후보(401,308표, 46.12%)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투표율은 49.82%였다. 김태흠 후보의 승리는 충청 지역의 보수 성향 지지를 바탕으로 이루어졌으나, 낮은 투표율은 지역 사회의 정치적 무관심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두 후보의 구체적인 공약은 각 후보의 선거 자료를 참고하는 것이 좋다. 김태흠, 양승조
3. 1. 1995년 민선 1기 선거
1995년 제1회 지방 선거에서 충청남도지사 선거는 자유민주연합의 심대평 후보가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심대평 후보는 616,006표를 얻어 67.88%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당선되었다. 신한국당의 박종배 후보는 174,117표(19.18%)를, 민주당의 조중윤 후보는 117,300표(12.92%)를 얻는 데 그쳤다. 전체 투표율은 73.77%였다. 당시 선거는 지역 정서와 후보들의 공약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심대평 후보의 압승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 있다. 심대평 후보의 당선은 지역 발전을 위한 그의 구체적인 공약과 당시 지역민들의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반면, 박종배 후보와 조중윤 후보는 지역민들의 지지를 얻지 못하며 상대적으로 저조한 득표율에 머물렀다. 각 후보의 구체적인 공약 내용은 당시 선거 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3. 2. 1998년 민선 2기 선거
1998년 충청남도지사 선거에서는 심대평 후보(당시 자유민주연합)가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심대평 후보는 656,795표(84.63%)를 획득하여 한나라당의 한충수 후보(119,216표, 15.36%)를 크게 제쳤다. 총 투표율은 59.49%였다. 심대평 후보의 압승은 당시 지역 정치 상황과 그의 정치적 기반 등을 고려하여 분석해야 할 것이다. 한편, 한충수 후보의 득표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는데, 이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자세한 후보들의 공약이나 선거 과정에 대한 정보는 추가적인 자료 조사가 필요하다.3. 3. 2002년 민선 3기 선거
2002년 충청남도지사 선거에서는 자유민주연합의 심대평 후보가 508,796표(66.96%)를 얻어 당선되었다. 한나라당의 박태권 후보는 251,005표(33.03%)를 얻는데 그쳤다. 전체 투표율은 56.24%였다. 심대평 후보의 압도적인 승리는 지역 정서와 당시 정치 상황을 반영하는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당시 심대평 후보의 주요 공약과 박태권 후보의 공약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현재 자료가 부족하여 확인할 수 없다.3. 4. 2006년 민선 4기 선거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충청남도지사 선거는 한나라당의 이완구 후보가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이완구 후보는 379,420표를 획득하여 46.31%의 득표율을 기록했으며, 2위인 국민중심당 이명수 후보(209,254표, 25.54%)를 크게 앞질렀다. 열린우리당 오영교 후보는 178,169표(21.74%)를 얻는 데 그쳤고, 민주노동당 이용길 후보는 52,417표(6.39%)에 머물렀다. 전체 투표율은 55.78%였다. 이 선거 결과는 보수 성향이 강한 충청남도의 정치적 성향을 반영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당시 이완구 후보는 지역 현안 해결과 경제 활성화를 주요 공약으로 내세웠으며, 이러한 공약들이 지역민들의 지지를 얻은 것으로 보인다. 반면, 진보 성향의 후보들은 상대적으로 저조한 득표율을 기록하며 지역 내에서의 영향력 확대에 어려움을 겪었다.3. 5. 2010년 민선 5기 선거
2010년 충청남도지사 선거에서는 안희정 후보(당시 민주당)가 367,288표(42.25%)를 얻어 당선되었다. 자유선진당의 박상돈 후보는 347,265표(39.94%)로 안희정 후보에 근소한 차이로 패배했으며, 한나라당의 박해춘 후보는 154,723표(17.79%)에 그쳤다. 총 투표율은 56.52%였다. 각 후보들의 구체적인 공약은 자료 부족으로 확인되지 않는다.3. 6. 2014년 민선 6기 선거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충청남도지사 선거는 새정치민주연합의 안희정 후보가 당선되었다. 안희정 후보는 465,994표를 얻어 52.21%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새누리당의 정진석 후보(392,315표, 43.95%)를 제치고 승리하였다. 무소속 김기문 후보는 34,204표(3.83%)를 획득하는데 그쳤다. 전체 투표율은 55.71%였다. 이 선거는 안희정 후보의 진보적 정책과 지역 현안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이 주효했다는 분석이 있다. 반면 정진석 후보는 보수적인 정책 기조와 지역민들의 기대치를 충족시키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았다.3. 7. 2018년 민선 7기 선거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충청남도지사 선거는 더불어민주당의 양승조 후보가 압승을 거두었다. 양승조 후보는 615,870표를 얻어 62.55%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자유한국당의 이인제 후보(345,577표, 35.10%)를 크게 따돌렸다. 이인제 후보의 득표율은 예상보다 낮았으며, 이는 보수층의 분열과 민주당 지지세 강화를 반영하는 결과로 해석된다. 그 외 바른미래당 차국환 후보는 23,012표(2.33%)를 얻는 데 그쳤다. 전체 투표율은 58.12%였다. 양승조 후보는 서민 경제 활성화 및 지역균형발전을 주요 공약으로 내세웠으며, 이는 지역민들의 높은 지지를 얻는 데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 이인제 후보의 공약은 지역민들의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3. 8. 2022년 민선 8기 선거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충청남도지사 선거는 국민의힘 김태흠 후보와 더불어민주당 양승조 후보의 대결로 치러졌다. 김태흠 후보는 468,658표(53.87%)를 얻어 당선되었고, 양승조 후보는 401,308표(46.12%)를 획득했다. 전체 투표율은 49.82%였다. 김태흠 후보의 승리는 보수 성향의 충청 지역에서의 압도적인 지지에 힘입은 것으로 분석되지만, 상대적으로 낮은 투표율은 지역 사회의 정치적 무관심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두 후보의 주요 공약은 선거 과정에서 자세히 공개되었으나, 각 후보의 구체적인 공약 내용은 해당 후보자들의 선거 관련 자료를 참고하는 것이 좋다. 김태흠, 양승조참조
[1]
웹사이트
Previous Governors - Introducing Chungnam
http://www.chungnam.[...]
[2]
웹사이트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http://info.nec.go.k[...]
2019-10-05
[3]
뉴스
충남、강원兩知事認准
현대일보
1947-12-21
[4]
간행물
이명박 정부의 세종시 수정안에 반발하여 사퇴
[5]
간행물
성폭력 사건으로 사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