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군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동군은 일제강점기인 1914년 평양부 이북과 이남 지역 일부를 통합하여 신설된 행정구역이다. 현재는 대부분 평양직할시에 편입되었으며, 일부 지역은 평안남도에 속해 있다. 대동군은 고평면, 용산면, 김제면, 대보면, 남형제산면, 재경리면, 용악면, 부산면, 시족면, 임원면, 청룡면, 율리면, 용연면, 남관면으로 구성되었다. 현재 평양직할시의 만경대구역, 형제산구역, 순안구역, 용성구역, 삼석구역, 대성구역, 사동구역, 승호구역, 역포구역, 낙랑구역 등에 해당하며, 김제면, 대보면 일부, 남형제산면 일부, 재경리면 일부는 평안남도에 잔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안남도의 행정 구역 (대한민국) - 평안남도 (대한민국)
평안남도는 1896년 평안도에서 분리되어 대한민국이 이북5도위원회를 통해 명목상 행정 체계를 유지하는 도이며, 도청 소재지는 평양시이고 16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 평안남도의 행정 구역 (대한민국) - 안주군 (대한민국)
안주군은 일제강점기 및 해방 이후 대한민국에 존재했던 행정 구역 단위로, 여러 면과 읍으로 구성되었으며 대니면, 동면, 신안주면, 연호면, 용화면, 운곡면, 입석면, 안주읍 등이 속해 있었다. - 대한민국의 광역 행정 구역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광역 행정 구역 - 노원구
노원구는 서울특별시 북동부에 위치한 자치구로, 주변 도시와 접하며 갈대밭 또는 여관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불리고, 수락산, 불암산 등의 자연환경과 여러 전철 노선 및 교육기관이 위치해 있다.
대동군 (대한민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유형 | 군 |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평안남도 |
지방 관청 | 이북5도위원회 |
군수 | 김나영 |
면적 | 949.39 |
시간대 | 한국 표준시 |
UTC | +09:00 |
공용어 | 한국어 |
지역어 | 서북 방언 |
행정 구역 | |
면 | 14 |
2.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1914년~1945년)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평양부를 제외한 대동강 이북 지역과 이남 지역 일부를 통합하여 대동군이 신설되었다.
대동강 이북 | 대동강 이남 |
---|---|
2. 1. 대동강 이북 지역
대동강 북쪽에 위치한 지역으로 현재 대부분 평양직할시에 편입되었다.면 | 면적(km2) | 리 숫자 | 리(里) | 북한 행정구역상 (대략적으로) |
---|---|---|---|---|
고평면(古平面) | 55.7km2 | 16 | 광탄(廣灘), 내(內), 서송(西松), 산(山), 남(南), 차(車), 장광(長光), 망일(望日), 추자(楸子), 하단(下端), 중단(中端), 상단(上端), 금천(金泉), 시산(匙山), 일화(日和), 신흥(新興) | 평양직할시 만경대구역 |
용산면(龍山面) | 69.61km2 | 13 | 전촌(全村), 조전(趙全), 하(下), 상(上), 초담(草潭), 오류(五柳), 용봉(龍峰), 용악(龍岳), 구촌(龜村), 원로(元魯), 하구로(下九老), 소룡(小龍), 상구로(上九老) | 평양직할시 만경대구역 |
김제면(金祭面) | 66.3km2 | 16 | 원장(院場), 상지(上池), 산수(山水), 가정(加井), 노하(路下), 은적(隱跡), 맥산(麥山), 정(井), 대정(大井), 황용(黃用), 외제(外祭), 부창(孚暢), 목당(木堂), 위전(偉磚), 학림(鶴林), 이인(里仁) | 대동군 (대동읍 부근) |
대보면(大寶面) | 67.82km2 | 9 | 대평외(大平外), 대평내(大平內), 문현(文峴), 반천(反川), 용인(龍仁), 안정(安靜), 서기(西綺), 용담(龍潭), 팔청(八淸) | 대동군 천리마군 |
남형제산면(南兄弟山面) | 58.8km2 | 21 | 내(內), 자류(紫柳), 당촌(棠村), 사(寺), 고천(古泉), 이계(二溪), 천남(川南), 하당(下堂), 남교(南橋), 고산(孤山), 자정(紫井), 작산(鵲山), 사포(沙浦), 과로(菓魯), 마흘(麻屹), 승황(承況), 적갈(摘葛), 장산(長山), 와우(臥牛), 학교(鶴橋), 노포(蘆浦) | 대동군 또는 평양직할시 형제산구역 |
재경리면(在京里面) | 57.99km2 | 16 | 빙장(氷庄), 다원(茶院), 망덕(望德), 천(泉), 천서(川西), 신중(新中), 천동(川東), 간(間), 현암(玄巖), 오금(梧琴), 사당(社堂), 하석화(下石花), 중석화(中石花), 갈산(葛山), 송림(松林), 판교(板橋) | 대동군 또는 평양직할시 형제산구역, 순안구역 |
용악면(龍岳面) | 89.9km2 | 9 | 동북(東北), 마산(馬山), 동남(東南), 서(西), 상(上), 하(下), 원(元), 하차(下次), 상차(上次) | 평양직할시 용성구역 |
부산면(斧山面) | 85.92km2 | 18 | 남궁(南宮), 수산(壽山), 화곡(花谷), 용성(龍城), 용궁(龍宮), 삼봉(三峰), 학산(鶴山), 서양(西陽), 신흥(新興), 서산(西山), 신미(新美), 신안(新安), 중(中), 대양(大陽), 하삼(下三), 중이(中二), 상일(上一), 범사(凡沙) | 평양직할시 용성구역 |
시족면(柴足面) | 89.05km2 | 18 | 노산(魯山), 삼산(三山), 토포(土浦), 남경(南京), 호남(湖南), 연화(蓮花), 철봉(鐵峰), 성문(聖文), 내(內), 청운(靑雲), 송학(松鶴), 대천(大泉), 송화(松花), 지산(芝山), 건지(乾芝), 석삼(石三), 삼석(三石), 성산(聖山) | 평양직할시 삼석구역 |
임원면(林原面) | 74.31km2 | 16 | 노성(魯聖), 북사(北四), 남사(南四), 고산(高山), 양암(陽巖), 청호(淸湖), 상오(上五), 청계(淸溪), 상동(上東), 서룡(西龍), 동포(東浦), 와산(臥山), 운월(雲月), 화성(和盛), 기암(奇巖), 송암(松巖) | 평양직할시 대성구역, 용성구역 |
2. 2. 대동강 이남 지역
대동강 남쪽에 위치한 지역으로, 현재 대부분 평양직할시에 편입되었다.면 | 면적(km2) | 리 숫자 | 리(里) | 북한 행정구역상 (대략적으로) |
---|---|---|---|---|
청룡면(靑龍面) | 46.26 | 19 | 이현(梨峴), 대원(大園), 회(晦), 산사(山寺), 삼합(三合), 추미(楸美), 대수(大水), 모운(茅雲), 내도(萊島), 기림(岐林), 소오류(小五柳), 양합(兩合), 대오류(大五柳), 양지(陽池), 사도(泗島), 지탄(芝灘), 법수(法水), 이목(梨木), 이천(梨川) | 평양직할시 사동구역, 승호구역 |
율리면(栗里面) | 78.4 | 12 | 무진(戊辰), 남당(藍塘), 추빈(湫斌), 답현(畓峴), 유신(柳新), 현교(絃橋), 원북(院北), 대중(大中), 석정(石井), 중(中), 조촌(趙村), 한간(鷳間) | 평양직할시 역포구역, 사동구역 |
용연면(龍淵面) | 60.08 | 16 | 검포(檢浦), 한정(寒井), 천(泉), 도제(道濟), 파장(坡長), 삼정(三井), 소신(小新), 가작(加鵲), 산음(山陰), 지양(池陽), 냉정(冷井), 소(巢), 유(柳), 당정(堂井), 양지(陽池), 향목(香木) | 평양직할시 역포구역, 낙랑구역 |
남관면(南串面) | 50.25 | 23 | 원암(猿巖), 남정(南井), 유사(柳寺), 석사(石寺), 간(間), 황룡(黃龍), 보성(甫城), 노남(魯南), 월내(月內), 장매(長梅), 두단(斗團), 조왕(助王), 대송(大松), 문발(文發), 용포(龍浦), 효남(孝南), 평호(坪湖), 이신(鯉新), 각금(覺今), 애포(艾浦), 소이도(小耳島), 대이도(大耳島), 벽지도(碧只島) | 평양직할시 낙랑구역 |
현재 대동군은 한국 전쟁 이후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대부분 평양직할시에 편입되었고, 일부 지역만 평안남도에 남았다.
3. 현재 행정구역
이는 북한의 행정구역 개편에 따른 것으로, 일제강점기의 행정구역과는 차이가 있다.
3. 1. 평양직할시 편입 지역
(이전 출력이 비어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전과 동일하게 빈칸으로 출력합니다.)
3. 2. 평안남도 잔류 지역
(빈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