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스틴 우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더스틴 우드는 캐나다 출신의 아이스하키 선수로, 수비수 포지션에서 활동했다. 그는 온타리오 하키 리그, 이스트 코스트 하키 리그, 아메리칸 하키 리그 등 북미 리그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으며, 독일, 영국, 아시아 리그 등 유럽과 아시아 리그에서도 활동했다. 특히 안양 한라에서 두 번의 아시아 리그 챔피언을 달성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HL 안양 아이스하키단 선수 - 김원중 (아이스하키 선수)
김원중은 대한민국의 아이스하키 선수로, 안양 한라에서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 2연패에 기여하고 대명 상무에서 활약했으며, 국가대표로도 활동했으나 합숙소 무단 이탈 사건으로 논란이 있었다. - HL 안양 아이스하키단 선수 - 맷 돌턴
맷 돌턴은 캐나다 출신으로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하여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 대한민국 아이스하키 국가대표로 출전한 선수이자 코치이며,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에서 뛰어난 활약과 다수의 우승 경력을 가지고 2024-2025 시즌부터 선수 겸 코치로 활동할 예정이다. - 토론토 출신 - 마이클 이그나티에프
마이클 이그나티에프는 캐나다의 저명한 역사가, 소설가, 정치인이자 국제적 지식인으로, 인권, 국제 관계, 국가 건설에 관한 저술 활동과 하버드 케네디 스쿨 교수, 그리고 캐나다 연방 하원의원을 역임했다. - 토론토 출신 - 데이비드 이스턴
캐나다 출신 정치학자 데이비드 이스턴은 행태주의 정치학의 선구자이자 정치 시스템 이론가로서, "사회에 대한 가치의 권위적인 배분"으로 정치 체제를 정의하고, 정치 시스템을 인풋, 아웃풋, 환경의 상호작용으로 분석하는 시스템 이론을 정립하여 정치학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캐나다의 남자 아이스하키 선수 - 댄 보일
댄 보일은 캐나다 출신의 은퇴한 아이스하키 선수이며, 대학 아이스하키 선수 시절 여러 상을 수상하고 프로 선수로 활동하며 스탠리 컵 우승과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NHL 통산 1,093경기에 출전했다. - 캐나다의 남자 아이스하키 선수 - 맷 돌턴
맷 돌턴은 캐나다 출신으로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하여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 대한민국 아이스하키 국가대표로 출전한 선수이자 코치이며,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에서 뛰어난 활약과 다수의 우승 경력을 가지고 2024-2025 시즌부터 선수 겸 코치로 활동할 예정이다.
| 더스틴 우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더스틴 우드 |
| 원어명 | Dustin Wood |
| 출생일 | 1981년 5월 21일 |
| 출생지 | 스카버러, 온타리오주, 캐나다 |
| 신장 | 6 피트 1 인치 (약 185 cm) |
| 체중 | 207 파운드 (약 94 kg) |
| 포지션 | 수비수 |
| 슈팅 방향 | 좌투 |
| 드래프트 | 미지명 |
| 선수 생활 시작 | 2002년 |
| 선수 생활 종료 | 2017년 |
| 선수 경력 | |
| 북미 | AHL 브리지포트 사운드 타이거스 스프링필드 팰컨스 유타 그리즐리스 휴스턴 에어로스 시러큐스 크런치 마니토바 무스 |
| 유럽 | DEL ERC 잉골슈타트 카셀 허스키스 |
| 아시아 | ALH HL 안양 |
| 영국 | EIHL 코번트리 블레이즈 |
| 카자흐스탄 | KHC 아리스탄 테미르타우 아를란 콕셰타우 |
2. 선수 경력
더스틴 우드는 온타리오 하키 리그의 피터버러 피츠에서 아마추어 선수 생활을 하였다. 이후, 2002-03 시즌에 이스트 코스트 하키 리그의 트렌턴 타이탄스에서 프로 선수로 데뷔했다.
아메리칸 하키 리그에서 5년간 활동 후, 2007-08 시즌을 앞두고 독일 팀인 ERC 잉골슈타트와 계약, 플레이오프 진출에 기여했다. 2008-09 시즌을 앞두고는 DEL의 카셀 허스키스와 계약했다.
2009년 10월, 존 아웨의 대체 선수로 안양 한라와 3개월 계약을 맺었다. 2009년 12월 16일, 안양 한라는 우드의 계약을 시즌 잔여 기간까지 연장했고,[1] 2010년 5월에는 1년 재계약을 체결했다.[2]
2011년 10월 2일, 영국 EIHL의 코번트리 블레이즈와 계약하여 방출된 존 고든을 대체했다.[3]
2013년 8월, 다시 안양 한라와 1년 계약을 맺었고, 2014년 8월에는 카자흐스탄 최고 리그 팀인 아리스탄 테미르타우와 계약했다.[3]
2. 1. 북미 리그
더스틴 우드는 온타리오 하키 리그의 피터버러 피츠에서 아마추어 시절을 보냈다. 2002–03 시즌에 이스트 코스트 하키 리그의 트렌턴 타이탄스에서 프로 데뷔를 했다. 아메리칸 하키 리그에서 5년간 활동한 후, 2007-08 시즌을 앞두고 독일 팀인 ERC 잉골슈타트와 계약을 맺었다. 잉골슈타트가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는데 기여한 후, 2008–09 시즌을 앞두고 DEL의 카셀 허스키스와 계약을 맺었다.2. 1. 1. 상세 기록
| 시즌 | 팀 | 리그 | GP | G | A | Pts | PIM | GP | G | A | Pts | PIM |
|---|---|---|---|---|---|---|---|---|---|---|---|---|
| 1998–99 | 피터버러 피츠 | OHL | 62 | 1 | 8 | 9 | 14 | 5 | 0 | 0 | 0 | 0 |
| 1999–00 | 피터버러 피츠 | OHL | 66 | 2 | 13 | 15 | 29 | 5 | 0 | 1 | 1 | 0 |
| 2000–01 | 피터버러 피츠 | OHL | 64 | 5 | 20 | 25 | 41 | 7 | 0 | 3 | 3 | 11 |
| 2001–02 | 피터버러 피츠 | OHL | 68 | 13 | 38 | 51 | 57 | 6 | 2 | 1 | 3 | 4 |
| 2002–03 | 트렌톤 타이탄스 | ECHL | 63 | 4 | 23 | 27 | 28 | 3 | 0 | 1 | 1 | 2 |
| 2002–03 | 브리지포트 사운드 타이거스 | AHL | 6 | 0 | 0 | 0 | 2 | — | — | — | — | — |
| 2003–04 | 애디론댁 아이스호크스 | UHL | 1 | 0 | 0 | 0 | 0 | — | — | — | — | — |
| 2003–04 | 스프링필드 팰컨스 | AHL | 75 | 2 | 6 | 8 | 22 | — | — | — | — | — |
| 2004–05 | 유타 그리즐리스 | AHL | 80 | 2 | 8 | 10 | 39 | — | — | — | — | — |
| 2005–06 | 휴스턴 에어로스 | AHL | 64 | 1 | 6 | 7 | 48 | — | — | — | — | — |
| 2005–06 | 시러큐스 크런치 | AHL | 14 | 0 | 3 | 3 | 14 | 6 | 0 | 0 | 0 | 8 |
| 2006–07 | 매니토바 무스 | AHL | 62 | 4 | 12 | 16 | 36 | 13 | 0 | 1 | 1 | 0 |
| 2007–08 | ERC 잉골슈타트 | DEL | 53 | 4 | 9 | 13 | 73 | 3 | 2 | 1 | 3 | 0 |
| 2008–09 | 카셀 허스키스 | DEL | 52 | 3 | 7 | 10 | 78 | — | — | — | — | — |
| 2009–10 | 안양 한라 | AL | 33 | 6 | 14 | 20 | 36 | 9 | 0 | 7 | 7 | 14 |
| 2010–11 | 안양 한라 | AL | 36 | 3 | 9 | 12 | 45 | 4 | 0 | 1 | 1 | 6 |
| 2011–12 | 코번트리 블레이즈 | EIHL | 51 | 12 | 17 | 29 | 20 | 2 | 0 | 0 | 0 | 2 |
| 2012–13 | 아르스탄 테미르타우 | KHC | 54 | 5 | 14 | 19 | 20 | 13 | 1 | 1 | 2 | 6 |
| 2013–14 | 안양 한라 | AL | 42 | 5 | 20 | 25 | 28 | — | — | — | — | — |
| 2014–15 | 아르스탄 테미르타우 | KHC | 19 | 3 | 6 | 9 | 10 | — | — | — | — | — |
| 2014–15 | 아를란 콕셰타우 | KHC | 16 | 0 | 4 | 4 | 8 | 14 | 1 | 5 | 6 | 12 |
| AHL 합계 | 301 | 9 | 35 | 44 | 161 | 19 | 0 | 1 | 1 | 8 | ||
2. 2. 유럽 리그
더스틴 우드는 아메리칸 하키 리그에서 5년간 활동한 후, 2007-08 시즌을 앞두고 독일 팀인 ERC 잉골슈타트와 계약을 맺었다. 잉골슈타트가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는데 기여한 후, 우드는 2008-09 시즌을 앞두고 DEL의 카셀 허스키스와 계약을 맺었다.2011년 10월 2일, 그는 영국 EIHL의 코번트리 블레이즈와 계약하여 팀에서 방출된 존 고든을 대체하였다.[3]
2. 2. 1. 상세 기록
| 시즌 | 팀 | 리그 | GP | G | A | Pts | PIM | GP | G | A | Pts | PIM |
|---|---|---|---|---|---|---|---|---|---|---|---|---|
| 1998–99 | 피터버러 피츠 | OHL | 62 | 1 | 8 | 9 | 14 | 5 | 0 | 0 | 0 | 0 |
| 1999–00 | 피터버러 피츠 | OHL | 66 | 2 | 13 | 15 | 29 | 5 | 0 | 1 | 1 | 0 |
| 2000–01 | 피터버러 피츠 | OHL | 64 | 5 | 20 | 25 | 41 | 7 | 0 | 3 | 3 | 11 |
| 2001–02 | 피터버러 피츠 | OHL | 68 | 13 | 38 | 51 | 57 | 6 | 2 | 1 | 3 | 4 |
| 2002–03 | 트렌톤 타이탄스 | ECHL | 63 | 4 | 23 | 27 | 28 | 3 | 0 | 1 | 1 | 2 |
| 2002–03 | 브리지포트 사운드 타이거스 | AHL | 6 | 0 | 0 | 0 | 2 | — | — | — | — | — |
| 2003–04 | 애디론댁 아이스호크스 | UHL | 1 | 0 | 0 | 0 | 0 | — | — | — | — | — |
| 2003–04 | 스프링필드 팰컨스 | AHL | 75 | 2 | 6 | 8 | 22 | — | — | — | — | — |
| 2004–05 | 유타 그리즐리스 | AHL | 80 | 2 | 8 | 10 | 39 | — | — | — | — | — |
| 2005–06 | 휴스턴 에어로스 | AHL | 64 | 1 | 6 | 7 | 48 | — | — | — | — | — |
| 2005–06 | 시러큐스 크런치 | AHL | 14 | 0 | 3 | 3 | 14 | 6 | 0 | 0 | 0 | 8 |
| 2006–07 | 매니토바 무스 | AHL | 62 | 4 | 12 | 16 | 36 | 13 | 0 | 1 | 1 | 0 |
| 2007–08 | ERC 잉골슈타트 | DEL | 53 | 4 | 9 | 13 | 73 | 3 | 2 | 1 | 3 | 0 |
| 2008–09 | 카셀 허스키스 | DEL | 52 | 3 | 7 | 10 | 78 | — | — | — | — | — |
| 2009–10 | 안양 한라 | AL | 33 | 6 | 14 | 20 | 36 | 9 | 0 | 7 | 7 | 14 |
| 2010–11 | 안양 한라 | AL | 36 | 3 | 9 | 12 | 45 | 4 | 0 | 1 | 1 | 6 |
| 2011–12 | 코번트리 블레이즈 | EIHL | 51 | 12 | 17 | 29 | 20 | 2 | 0 | 0 | 0 | 2 |
| 2012–13 | 아르스탄 테미르타우 | KHC | 54 | 5 | 14 | 19 | 20 | 13 | 1 | 1 | 2 | 6 |
| 2013–14 | 안양 한라 | AL | 42 | 5 | 20 | 25 | 28 | — | — | — | — | — |
| 2014–15 | 아르스탄 테미르타우 | KHC | 19 | 3 | 6 | 9 | 10 | — | — | — | — | — |
| 2014–15 | 아를란 콕셰타우 | KHC | 16 | 0 | 4 | 4 | 8 | 14 | 1 | 5 | 6 | 12 |
| AHL 합계 | 301 | 9 | 35 | 44 | 161 | 19 | 0 | 1 | 1 | 8 | ||
2. 3. 아시아 리그
존 아웨의 대체 선수로 2009년 10월 안양 한라와 3개월 계약을 맺었다. 2009년 12월 16일, 안양 한라는 우드의 계약을 시즌 잔여 기간까지 연장했고,[1] 2010년 5월에는 1년 재계약을 체결했다.[2] 2013년 8월, 다시 안양 한라와 1년 계약을 맺었다.2. 3. 1. 상세 기록
| 시즌 | 팀 | 리그 | GP | G | A | Pts | PIM | GP | G | A | Pts | PIM |
|---|---|---|---|---|---|---|---|---|---|---|---|---|
| 1998–99 | 피터버러 피츠 | OHL | 62 | 1 | 8 | 9 | 14 | 5 | 0 | 0 | 0 | 0 |
| 1999–00 | 피터버러 피츠 | OHL | 66 | 2 | 13 | 15 | 29 | 5 | 0 | 1 | 1 | 0 |
| 2000–01 | 피터버러 피츠 | OHL | 64 | 5 | 20 | 25 | 41 | 7 | 0 | 3 | 3 | 11 |
| 2001–02 | 피터버러 피츠 | OHL | 68 | 13 | 38 | 51 | 57 | 6 | 2 | 1 | 3 | 4 |
| 2002–03 | 트렌톤 타이탄스 | ECHL | 63 | 4 | 23 | 27 | 28 | 3 | 0 | 1 | 1 | 2 |
| 2002–03 | 브리지포트 사운드 타이거스 | AHL | 6 | 0 | 0 | 0 | 2 | — | — | — | — | — |
| 2003–04 | 애디론댁 아이스호크스 | UHL | 1 | 0 | 0 | 0 | 0 | — | — | — | — | — |
| 2003–04 | 스프링필드 팰컨스 | AHL | 75 | 2 | 6 | 8 | 22 | — | — | — | — | — |
| 2004–05 | 유타 그리즐리스 | AHL | 80 | 2 | 8 | 10 | 39 | — | — | — | — | — |
| 2005–06 | 휴스턴 에어로스 | AHL | 64 | 1 | 6 | 7 | 48 | — | — | — | — | — |
| 2005–06 | 시러큐스 크런치 | AHL | 14 | 0 | 3 | 3 | 14 | 6 | 0 | 0 | 0 | 8 |
| 2006–07 | 매니토바 무스 | AHL | 62 | 4 | 12 | 16 | 36 | 13 | 0 | 1 | 1 | 0 |
| 2007–08 | ERC 잉골슈타트 | DEL | 53 | 4 | 9 | 13 | 73 | 3 | 2 | 1 | 3 | 0 |
| 2008–09 | 카셀 허스키스 | DEL | 52 | 3 | 7 | 10 | 78 | — | — | — | — | — |
| 2009–10 | 안양 한라 | AL | 33 | 6 | 14 | 20 | 36 | 9 | 0 | 7 | 7 | 14 |
| 2010–11 | 안양 한라 | AL | 36 | 3 | 9 | 12 | 45 | 4 | 0 | 1 | 1 | 6 |
| 2011–12 | 코번트리 블레이즈 | EIHL | 51 | 12 | 17 | 29 | 20 | 2 | 0 | 0 | 0 | 2 |
| 2012–13 | 아르스탄 테미르타우 | KHC | 54 | 5 | 14 | 19 | 20 | 13 | 1 | 1 | 2 | 6 |
| 2013–14 | 안양 한라 | AL | 42 | 5 | 20 | 25 | 28 | — | — | — | — | — |
| 2014–15 | 아르스탄 테미르타우 | KHC | 19 | 3 | 6 | 9 | 10 | — | — | — | — | — |
| 2014–15 | 아를란 콕셰타우 | KHC | 16 | 0 | 4 | 4 | 8 | 14 | 1 | 5 | 6 | 12 |
| AHL 합계 | 301 | 9 | 35 | 44 | 161 | 19 | 0 | 1 | 1 | 8 | ||
2. 4. 카자흐스탄 리그
2014년 8월, 우드는 아시아 리그를 떠나 카자흐스탄 최고 리그 팀인 아리스탄 테미르타우와 2013-14 시즌 계약을 맺었다. 그는 2012-13 시즌에도 이 팀에서 뛰었다.[3]2. 4. 1. 상세 기록
| 시즌 | 팀 | 리그 | GP | G | A | Pts | PIM | GP | G | A | Pts | PIM |
|---|---|---|---|---|---|---|---|---|---|---|---|---|
| 1998–99 | 피터버러 피츠 | OHL | 62 | 1 | 8 | 9 | 14 | 5 | 0 | 0 | 0 | 0 |
| 1999–00 | 피터버러 피츠 | OHL | 66 | 2 | 13 | 15 | 29 | 5 | 0 | 1 | 1 | 0 |
| 2000–01 | 피터버러 피츠 | OHL | 64 | 5 | 20 | 25 | 41 | 7 | 0 | 3 | 3 | 11 |
| 2001–02 | 피터버러 피츠 | OHL | 68 | 13 | 38 | 51 | 57 | 6 | 2 | 1 | 3 | 4 |
| 2002–03 | 트렌톤 타이탄스 | ECHL | 63 | 4 | 23 | 27 | 28 | 3 | 0 | 1 | 1 | 2 |
| 2002–03 | 브리지포트 사운드 타이거스 | AHL | 6 | 0 | 0 | 0 | 2 | — | — | — | — | — |
| 2003–04 | 애디론댁 아이스호크스 | UHL | 1 | 0 | 0 | 0 | 0 | — | — | — | — | — |
| 2003–04 | 스프링필드 팰컨스 | AHL | 75 | 2 | 6 | 8 | 22 | — | — | — | — | — |
| 2004–05 | 유타 그리즐리스 | AHL | 80 | 2 | 8 | 10 | 39 | — | — | — | — | — |
| 2005–06 | 휴스턴 에어로스 | AHL | 64 | 1 | 6 | 7 | 48 | — | — | — | — | — |
| 2005–06 | 시러큐스 크런치 | AHL | 14 | 0 | 3 | 3 | 14 | 6 | 0 | 0 | 0 | 8 |
| 2006–07 | 매니토바 무스 | AHL | 62 | 4 | 12 | 16 | 36 | 13 | 0 | 1 | 1 | 0 |
| 2007–08 | ERC 잉골슈타트 | DEL | 53 | 4 | 9 | 13 | 73 | 3 | 2 | 1 | 3 | 0 |
| 2008–09 | 카셀 허스키스 | DEL | 52 | 3 | 7 | 10 | 78 | — | — | — | — | — |
| 2009–10 | 안양 한라 | AL | 33 | 6 | 14 | 20 | 36 | 9 | 0 | 7 | 7 | 14 |
| 2010–11 | 안양 한라 | AL | 36 | 3 | 9 | 12 | 45 | 4 | 0 | 1 | 1 | 6 |
| 2011–12 | 코번트리 블레이즈 | EIHL | 51 | 12 | 17 | 29 | 20 | 2 | 0 | 0 | 0 | 2 |
| 2012–13 | 아르스탄 테미르타우 | KHC | 54 | 5 | 14 | 19 | 20 | 13 | 1 | 1 | 2 | 6 |
| 2013–14 | 안양 한라 | AL | 42 | 5 | 20 | 25 | 28 | — | — | — | — | — |
| 2014–15 | 아르스탄 테미르타우 | KHC | 19 | 3 | 6 | 9 | 10 | — | — | — | — | — |
| 2014–15 | 아를란 콕셰타우 | KHC | 16 | 0 | 4 | 4 | 8 | 14 | 1 | 5 | 6 | 12 |
| AHL 합계 | 301 | 9 | 35 | 44 | 161 | 19 | 0 | 1 | 1 | 8 | ||
[1]
웹사이트
Halla Extend Wood's Contract
https://web.archive.[...]
Anyang Halla
2010-10-16
3. 개인 통산 기록
시즌 팀 리그 정규 시즌 플레이오프 GP 골 어시스트 포인트 페널티 GP 골 어시스트 포인트 페널티 1998–99 피터버러 피츠 OHL 62 1 8 9 14 5 0 0 0 0 1999–00 피터버러 피츠 OHL 66 2 13 15 29 5 0 1 1 0 2000–01 피터버러 피츠 OHL 64 5 20 25 41 7 0 3 3 11 2001–02 피터버러 피츠 OHL 68 13 38 51 57 6 2 1 3 4 2002–03 트렌톤 타이탄스 ECHL 63 4 23 27 28 3 0 1 1 2 2002–03 브리지포트 사운드 타이거스 AHL 6 0 0 0 2 — — — — — 2003–04 애디론댁 아이스호크스 UHL 1 0 0 0 0 — — — — — 2003–04 스프링필드 팰컨스 AHL 75 2 6 8 22 — — — — — 2004–05 유타 그리즐리스 AHL 80 2 8 10 39 — — — — — 2005–06 휴스턴 에어로스 AHL 64 1 6 7 48 — — — — — 2005–06 시러큐스 크런치 AHL 14 0 3 3 14 6 0 0 0 8 2006–07 매니토바 무스 AHL 62 4 12 16 36 13 0 1 1 0 2007–08 ERC 잉골슈타트 DEL 53 4 9 13 73 3 2 1 3 0 2008–09 카셀 허스키스 DEL 52 3 7 10 78 — — — — — 2009–10 안양 한라 AL 33 6 14 20 36 9 0 7 7 14 2010–11 안양 한라 AL 36 3 9 12 45 4 0 1 1 6 2011–12 코번트리 블레이즈 EIHL 51 12 17 29 20 2 0 0 0 2 2012–13 아르스탄 테미르타우 KHC 54 5 14 19 20 13 1 1 2 6 2013–14 안양 한라 AL 42 5 20 25 28 — — — — — 2014–15 아르스탄 테미르타우 KHC 19 3 6 9 10 — — — — — 2014–15 아를란 콕셰타우 KHC 16 0 4 4 8 14 1 5 6 12 AHL 합계 301 9 35 44 161 19 0 1 1 8
4. 수상 경력
연도 대회 비고 2009-2010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 챔피언 2010-2011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 챔피언
참조
[2]
웹사이트
Wood re-signs with Halla
https://web.archive.[...]
Anyang Halla
2010-05-29
[3]
웹사이트
Wood agrees to terms in return with Arystan
https://web.archive.[...]
2014-08-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