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데라니야갈라부리고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라니야갈라부리고래는 한때 은행이빨부리고래의 이명으로 여겨졌으나, 유전적 연구를 통해 별도의 종으로 확인된 부리고래이다. 현재까지 7마리의 개체만이 발견되었으며, 스리랑카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나, 1965년 은행이빨부리고래로 잘못 동정되었다.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결과, 은행이빨부리고래와의 유전적 차이가 나타났으며, 1963년 데라냐갈라에 의해 처음 인지되어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인도양과 남태평양의 여러 섬 해안에서 좌초된 상태로 발견되었으며, 다른 부리고래류와 마찬가지로 오징어류와 물고기를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리고래과 - 아르누부리고래
    아르누부리고래는 투구고래속의 해양 포유류로, 남극해에 주로 분포하며 무리를 지어 생활하고 인간을 피하는 경향이 있어 생태 정보가 부족하지만, 혼획, 선박 충돌, 지구 온난화 등의 위협으로 보호받고 있다.
  • 부리고래과 - 롱맨부리고래
  • 1963년 기재된 포유류 - 펠튼밭쥐
    발칸반도에서 발견되는 펠튼밭쥐는 23~39mm 꼬리 길이, 83~105mm 몸길이, 16~28g 몸무게, 짧은 귀와 작은 눈을 가진 작은 쥐로, 세르비아 남부, 마케도니아 서부, 알바니아, 그리스 북서부 등의 개활지에서 서식한다.
  • 1963년 기재된 포유류 - 난쟁이바랄
데라니야갈라부리고래 - [생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이름데라니야갈라부리고래
학명Mesoplodon hotaula
명명자P. E. P. Deraniyagala, 1963
보전 상태평가 불가 (NE)
보전 상태 기준iucn3.1
학명 이명해당 없음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우제목/경우제목
아목경하마형아목
하목고래하목
소목이빨고래소목
부리고래과
이빨부리고래속
분포
데라니야갈라부리고래의 분포 지역
데라니야갈라부리고래의 분포 지역
크기 비교
사람과의 크기 비교
사람과의 크기 비교
참고 문헌

2. 분류

데라니야갈라부리고래는 한때 은행이빨부리고래의 이명으로 알려졌으나, 여러 연구를 통해 유전적으로 별개의 종임이 확인되었다. 1963년 데라냐갈라(Paules Edward Pieris Deraniyagala)에 의해 처음 인지되었으며, 이후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3]

2. 1. 유전적 특징

은행이빨부리고래와 유전적으로 다른 별도의 종이라는 사실이 여러 연구를 통해 확인되었다. 모든 부리고래와 마찬가지로 데라냐갈라부리고래도 표류하다가 발견된 7마리의 개체만이 알려져 있다. 유전자 분석을 위해 채취된 7마리 개체의 미토콘드리아 DNA(mtDNA) 상의 조절 부위, 시토크롬 b, 시토크롬 산화효소, 그리고 인트론에 대한 다양한 기관에서 실시된 유전자 분석을 통해 두 종이 분리되었다.[2][3]

데라냐갈라부리고래와 은행이빨부리고래 사이의 시토크롬 b 유전적 변이(Dα)는 8.2% ± 1.79%인 반면, 다른 이빨부리고래속 종들 사이의 유전적 변이 범위는 5.5%~16.6%이다(퍼센트(%)가 작을수록 두 종 사이의 유전적 차이가 작다).[2][3]

2. 2. 발견 및 명명

은행이빨부리고래의 이명으로 알려졌지만, 여러 연구를 통해 유전적으로 별도의 종이라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모든 부리고래와 마찬가지로 데라냐갈라부리고래도 표류하다가 발견된 7마리의 개체만이 알려져 있다. 스리랑카에서 처음 발견되었지만, 1965년 무어(Moore)와 길모어(Gilmore)가 은행이빨부리고래로 잘못 동정했다.[2][3] 유전자 분석을 위해 채취된 7마리 개체의 미토콘드리아 DNA(mtDNA) 상의 조절부위, 시토크롬 b, 시토크롬 산화효소, 그리고 인트론에 대한 다양한 기관에서 실시된 유전자 분석을 통해 두 종이 분리되었다.

데라냐갈라부리고래와 은행이빨부리고래 사이의 시토크롬 b의 유전적 변이(Dα)가 8.2% ± 1.79%인 반면에, 다른 이빨부리고래속 종들 사이의 유전적 변이 범위는 5.5%~16.6%이다(퍼센트(%)가 작을 수록 두 종 사이의 유전적 차이가 작다). 1963년 데라냐갈라(Paules Edward Pieris Deraniyagala)가 처음 인지했으며, 그후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했다.[2][3]

3. 분포

인도양과 남태평양의 여러 섬(세이셸, 몰디브, 스리랑카, 길버트 제도, 키리바시, 라인 제도) 해안에서 좌초된 7마리가 발견되었다.[4] 민부리고래처럼 도서개체군(고립된 군집 생활)으로 사는 것으로 추정된다.[4]

3. 1. 서식지

인도양과 남태평양의 여러 섬(세이셸, 몰디브, 스리랑카, 길버트 제도, 키리바시, 라인 제도) 해안에서 7마리가 좌초된 상태로만 발견되었다. 민부리고래처럼 도서개체군(고립된 군집 생활)으로 사는 것으로 간주된다.[4]

4. 생태

다른 이빨부리고래처럼, 데라냐갈라부리고래는 주로 오징어류와 물고기를 먹는다.

4. 1. 먹이

다른 이빨부리고래처럼, 데라냐갈라부리고래는 주로 오징어류와 물고기를 먹는다.

참조

[1] 저널 Mesoplodon hotaula: Resurrection of Mesoplodon hotaula Deraniyagala, 1963: A New Species of Beaked Whale in the tropical Indo-Pacific .
[2] 저널 Resurrection of ''Mesoplodon hotaula'' Deraniyagala 1963: A new species of beaked whale in the tropical Indo-Pacific http://ir.library.or[...]
[3] 웹인용 A Newly Recognised Beaked Whale (Ziphiidae) in the Tropical Indo-Pacific: ''Mesoplodon hotaula'' or ''M. ginkgodens hotaula''
[4] 저널 Deraniyagala’s beaked whale, Mesoplodon hotaula: A review of current status, biology, threats and future research need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