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모도코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모도코스는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에 등장하는 맹인 음유시인이다. 그는 알키노오스 궁전의 연회에서 트로이 전쟁과 관련된 노래를 부르며 오디세우스의 기억을 자극하여 눈물을 흘리게 만들었다. 데모도코스는 아레스와 아프로디테의 불륜, 트로이 목마와 트로이 함락에 대한 노래도 불렀다. 무사 여신은 데모도코스에게 시력을 빼앗는 대신 노래의 재능을 주었다고 묘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데모도코스 | |
|---|---|
| 기본 정보 | |
| 그리스어 | Δημόδοκος |
| 로마자 표기 | Dēmódokos |
| 역할 | 음유 시인 |
| 등장 작품 | 오디세이아 |
| 특징 | |
| 시력 | 맹인 |
| 재능 | 신들로부터 특별한 재능을 부여받음 |
| 주요 활동 | 페이아케스 족의 궁정에서 노래를 부름 오디세우스의 이야기를 들려줌 트로이아 전쟁과 관련된 노래를 부름 |
| 에피소드 | |
| 오디세우스의 반응 | 트로이아 목마 이야기를 듣고 눈물을 흘림 자신의 정체를 숨긴 채 감동을 표현 |
| 알키노오스의 반응 | 오디세우스에게 자신의 신분을 밝히도록 권유 |
| 아레스와 아프로디테 이야기 | 헤파이스토스의 그물에 걸린 아레스와 아프로디테 이야기를 노래함 신들의 웃음거리가 된 사건을 묘사 |
| 중요성 | |
| 작품 내 역할 | 이야기의 중요한 부분을 전달하는 역할 오디세우스의 영웅적인 면모를 부각시키는 역할 |
| 문학적 의미 | 호메로스 시대의 음유 시인의 중요성을 보여줌 구전 서사시의 특징을 드러냄 |
2. 오디세이아에서의 역할
데모도코스는 알키노오스 왕의 궁정에서 열린 연회에서 처음 등장한다. 그는 이 연회에서 세 가지 노래를 불렀다.[6][1]
- 첫 번째 노래는 트로이아에서의 오디세우스와 아킬레우스 사이의 불화에 대한 것이었다.
- 두 번째 노래는 아레스와 아프로디테의 사랑에 대한 것이었다.
- 세 번째 노래는 트로이아의 목마와 트로이아 함락에 대한 것이었다.
데모도코스는 맹인으로 묘사된다. "그때 전령이 소중한 가인을 데리고 왔다. 무사 여신은 누구보다도 가인을 사랑하시어 좋은 것과 나쁜 것 두 가지를 다 그에게 주셨으니, 그에게서 시력을 빼앗고 달콤한 노래의 재능을 주신 것이다."[7]
2. 1. 첫 번째 노래: 오디세우스와 아킬레우스의 불화

데모도코스는 알키노오스가 오디세우스에게 안전한 귀향을 위한 배를 제공하기로 승인한 후 알키노오스의 궁전에서 열린 연회에 처음 등장한다. 연회 중 데모도코스는 트로이아에서의 오디세우스와 아킬레우스 사이의 불화에 대해 노래한다. 오디세우스를 제외한 모든 사람이 노래를 즐기지만, 오디세우스는 그 노래가 상기시키는 고통과 괴로움 때문에 눈물을 터뜨린다. 오디세우스는 노래가 잠시 멈출 때마다 잔을 들어 신들에게 술을 바쳤지만, 데모도코스가 다시 노래를 시작하면 눈물을 감추기 위해 망토로 얼굴을 가렸다. 오직 알키노오스만이 오디세우스의 눈물을 눈치채고 연회를 중단시킨 뒤 모두가 밖으로 나가 운동 경기에 참가할 것을 제안한다.[6]
2. 2. 두 번째 노래: 아레스와 아프로디테의 사랑
데모도코스는 아레스와 아프로디테의 사랑을 노래했다. 아프로디테의 남편 헤파이스토스는 헬리오스가 아레스와 아프로디테가 함께 있는 것을 보았다고 말해주어 그들의 불륜을 알게 되었다. 헤파이스토스는 침대 위에 벗어날 수 없는 덫을 설치했다. 아레스와 아프로디테가 잠자리에 들자 그들은 덫에 걸려 헤파이스토스에게 잡혔다.[1]2. 3. 세 번째 노래: 트로이 목마
오디세우스는 데모도코스에게 세 번째 노래를 불러 달라고 요청한다. 오디세우스는 자신이 받은 몫에서 상당한 크기의 돼지고기를 잘라 전령에게 주며 데모도코스에게 가져다주라고 말한다. 데모도코스는 감사해하며 트로이아의 목마와 트로이아 함락에 대한 노래를 시작한다. 오디세우스는 다시 한번 참을 수 없는 눈물을 흘렸고, 알키노오스를 제외한 모든 사람에게 이를 숨긴다. 알키노오스는 노래를 중단시키고 오디세우스에게 그의 정체를 묻는다.[6]3. 묘사
데모도코스는 맹인으로 묘사된다. 무사 여신은 그에게서 시력을 빼앗는 대신 달콤한 노래의 재능을 주었다.[7][2]
4. 기타
소행성 11429 데모도쿠스는 데모도코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데모도코스는 아이네이아스의 부하로도 언급된다.[5]
참조
[1]
서적
Odyssey
Hackett Pub.
2000
[2]
서적
Odyssey
[3]
문서
[4]
서적
オデュッセイア
[5]
서적
アエネーイス
[6]
서적
Odyssey
Hackett Pub.
2000
[7]
서적
오뒷세이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