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이네이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이네이아스는 그리스 신화와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트로이의 영웅이자 로마 건국 신화의 중요한 인물이다. 그는 아프로디테와 안키세스의 아들로, 트로이 전쟁에서 살아남아 이탈리아로 건너가 새로운 도시를 건설하고 로마인의 조상이 되었다고 전해진다. 베르길리우스의 서사시 《아이네이스》는 그의 일대기를 다루며, 로마 건국 신화와 율리우스 씨족의 기원을 연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로디테의 자식 - 에로스
    에로스는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 욕망을 의미하는 신으로, 초기에는 우주 생성에 관여하고 후기에는 아프로디테의 아들로 묘사되며, 활과 화살로 사랑을 불러일으키며 다양한 신화와 예술 작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아프로디테의 자식 - 하르모니아
    하르모니아는 그리스 신화에서 조화와 화합을 상징하는 여신으로, 카드모스의 아내이자 저주받은 목걸이와 관련된 비극적인 이야기를 가진 인물이다.
  • 전설 속 조상 - 하이크
    하이크는 아르메니아 민족의 시조로, 폭군 벨과의 싸움에서 승리하여 아르메니아인들의 자유를 지킨 전설적인 영웅으로, 그의 이름은 아르메니아와 아르메니아인을 뜻하는 말의 어원으로 여겨지며 아르메니아 문화와 정체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전설 속 조상 - 이스마엘
    이스마엘은 창세기에 등장하는 아브라함과 하갈의 아들이며, 이복동생 이삭이 태어나기 전 사랑받았으나 이후 광야에서 활 쏘는 자가 되었고,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에서 중요한 인물로 여겨지며 특히 이슬람에서는 예언자이자 아랍 민족의 조상으로 존경받는다.
  • 로마 신화 - 변신 이야기
    《변신 이야기》는 로마 시인 오비디우스가 세계 창조부터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죽음까지의 역사를 3음보 6보격으로 구성한 서사시로, 신화 속 변신을 소재로 사랑과 인간의 열정을 다루며 신들의 우스꽝스러운 면모를 드러낸다.
  • 로마 신화 - 피그말리온
    피그말리온은 그리스 신화에서 자신의 조각상 갈라테이아를 사랑하여 아프로디테 여신의 도움으로 결혼하게 되는 키프로스의 조각가이며, 예술가가 창조물에 사랑에 빠지는 이야기의 원형이자 '피그말리온 효과'와 '피그말리오니즘' 용어의 기원이 되었다.
아이네이아스
기본 정보
이아피크스가 아이네이아스의 다리에서 화살촉을 제거하는 모습. 폼페이의 고대 프레스코.
이아피크스가 아이네이아스의 다리에서 화살촉을 제거하는 모습. 폼페이의 고대 프레스코.
유형로마인
역할알바 롱가의 창시자
형제자매리루스
자녀아스카니우스 (크레우사와의 사이에서)
실비우스 (라비니아와의 사이에서)
배우자크레우사
디도
라비니아
거주지알바 롱가
숭배 대상알바 롱가의 창시자
부모안키세스아프로디테
인물 정보
그리스어Αἰνείας (아이네이아스)
로마자 표기Aineíās
그리스어 (고대)Αἰνέας (아이네아스)
로마자 표기 (고대)Aineās
라틴어Aenēās

2. 어원

아이네이아스(Aeneas)는 원래 그리스어 이름 Αἰνείας|아이네이아스grc로마자 표기법으로 표기한 것이다. 아이네이아스는 아프로디테가 그에게 이름을 지어주는 ''호메로스 찬가''에서 처음 등장하는데, 아프로디테는 그 이름의 유래를 형용사 αὶνóν|아이논grc("끔찍한")에서 따왔다. 이는 그가 늙고 죽을 운명의 필멸자로 태어남으로써 아프로디테에게 "끔찍한 슬픔"(αὶνóν ἄχος|아이논 아코스el)을 안겨주었기 때문이다.[4][5] 이 설은 이름을 설명하는 일반적인 어원 풀이로, 일리아스에서 호메로스가 이를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6] 중세 시대 작가들은 ''아이네이스''가 철학자에 의해 쓰여졌으므로 철학적으로 읽어야 한다고 주장했다.[7] 따라서 "자연의 질서"에서 아이네이아스 이름의 의미는 그리스어 ennos|엔노스grc("거주자")와 demas|데마스grc("몸")을 결합한 것으로, ennaios|엔나이오스grc("안에 거주하는 자"), 즉 필멸자의 몸에 거하는 신을 의미한다.[8] 그러나 그의 이름의 기원에 대해서는 확실한 것이 없다.

3. 그리스 신화

아이네이아스는 안키세스아프로디테의 아들이다. 트로이의 시조 트로스에게는 일로스, 아사라코스, 가니메데 세 아들이 있었고, 일로스의 손자가 트로이의 왕 프리아모스이다. 아이네이아스의 아버지 안키세스는 아사라코스의 손자이므로 아이네이아스는 트로이 왕가의 방계에 해당한다.

아이네이아스의 어머니가 아프로디테라는 것은 『일리아스』와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서 언급되어 오래전부터 알려져 있었다. 『호메로스 찬가』에 따르면, 제우스는 아프로디테가 신들을 인간과 맺어주는 것에 불만을 품고, 그녀가 뽐내지 못하도록 안키세스에게 사랑을 불어넣어 아이네이아스를 임신하게 했다.[5] 아이네이아스라는 이름은 안키세스가 아프로디테의 정체를 알고 두려워한 데서 유래한다. 아이네이아스는 5년 동안 님페에게 길러진 후 안키세스에게 보내졌고, 누이 히포다메이아와 남편 알카토오스의 손에서 자랐다. 성장한 아이네이아스는 신을 존경하여 많은 신들의 원조를 받았다. 아킬레우스이데 산을 공격했을 때 뮈르소네스로 도망쳤으나, 아킬레우스가 뮈르소네스를 멸망시켰지만 제우스 덕분에 목숨을 건지고 트로이 전쟁에 참여하여 헥토르 다음가는 용맹을 떨쳤다.[14]

3. 1. 탄생과 어린 시절



아이네이아스의 탄생 이야기는 주요한 호메로스 찬가 중 하나인 ''아프로디테에게 바치는 호메로스 찬가''에 나와 있다. 아프로디테는 신들의 왕인 제우스가 인간 여자와 사랑에 빠지도록 만들었다. 이에 대한 보복으로 제우스는 그녀의 마음에 인간인 안키세스 왕자를 향한 욕망을 심어주기로 결심했는데, 안키세스는 이다 산 근처 언덕에서 소를 돌보고 있었다. 아프로디테는 그를 보자마자 즉시 반하게 되었다. 그녀는 마치 신들의 결혼식에 참석하는 것처럼 자신을 꾸미고 그의 앞에 나타났다. 그는 그녀의 아름다움에 압도되어 그녀가 여신이라고 믿었지만, 아프로디테는 자신이 프리기아 공주라고 신분을 밝혔다. 그들이 사랑을 나눈 후, 아프로디테는 그에게 자신의 진정한 정체를 밝히고, 안키세스는 그들의 관계의 결과로 자신에게 무슨 일이 일어날지 두려워했다. 아프로디테는 그가 보호받을 것이라고 안심시키고, 그에게 아들 아이네이아스를 낳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그녀는 그에게 결코 누구에게도 자신이 여신과 관계를 가졌다는 것을 말해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 아이네이아스가 태어나자, 아프로디테는 그를 이다 산의 님프들에게 데려가 다섯 살까지 아이를 키우도록 지시한 다음 안키세스에게 데려가라고 했다.[5] 다른 자료에 따르면, 안키세스는 나중에 아프로디테와의 만남에 대해 자랑했고, 그 결과 제우스의 벼락에 발을 맞았다. 그 후 그는 그 발을 절게 되었고, 아이네이아스는 트로이의 불길에서 그를 데리고 나와야 했다.[10]

아이네이아스는 안키세스와 아프로디테의 아들이다. 트로이의 시조 트로스에게는 세 아들 일로스, 아사라코스, 가니메데가 있었고, 그 중 일로스의 손자가 트로이의 왕 프리아모스이다. 한편, 아이네이아스의 아버지 안키세스는 아사라코스의 손자이므로 아이네이아스는 트로이 왕가의 방계에 해당한다.

아이네이아스의 어머니가 아프로디테라는 것은 『일리아스』에서 자주 언급되며, 헤시오도스도 『신통기』에서 언급하고 있어, 오래전부터 알려져 있었다. 『호메로스 찬가』에 따르면, 제우스는 아프로디테가 신들을 인간과 맺어주는 것을 보고, 아프로디테가 뽐내지 못하도록 안키세스에게 사랑을 불어넣어 아이네이아스를 임신하게 했다고 한다. 아이네이아스 이름의 유래는 이때 안키세스가 아프로디테의 정체를 알고 매우 두려워한 데 기인한다. 아이네이아스는 태어난 후 5년 동안 님페에게 길러진 후 안키세스에게 데려와졌고, 그 후 누이 히포다메이아와 그녀의 남편 알카토오스의 손에서 길러졌다. 성장한 아이네이아스는 항상 신을 존경하는 인물이었기 때문에 많은 신들의 원조를 받았다. 아킬레우스이데 산을 공격했을 때 아이네이아스는 뮈르소네스로 도망쳤다. 아킬레우스는 더욱 뮈르소네스를 멸망시켰지만, 제우스는 그를 도망치게 했고, 이후 트로이 전쟁에 참여했다. 트로이 전쟁에서는 헥토르에 이은 무용을 떨쳤다.

3. 2. 트로이 전쟁에서의 활약

아이네이아스가 안키세스를 짊어진 모습, 흑색상 오이노코에, 기원전 520–510년경, 루브르 박물관(F 118)


아이네이아스는 ''일리아스''에서 비중이 크지는 않지만, 신들에게 두 번이나 구원받는 명예로운 전사이다. 그는 싸움을 자제하면서도 자신의 용맹함에 걸맞은 명예를 받지 못한다고 프리아모스에게 앙심을 품었다. 데이포보스의 권유로 매형 알카토오스의 시신을 되찾기 위해 이도메네우스를 공격하기도 했다.[11] 그는 트로이 동맹군인 다르다니아의 지도자이자, 트로이 왕 프리아모스의 아들이자 상속자인 헥토르의 사촌이자 주요 부관이었다.

아이네이아스는 아프로디테 여신의 아들로, 어머니의 도움을 자주 받았다. 태양신 아폴론도 그를 아꼈다. 아프로디테와 아폴론은 아르고스디오메데스와의 전투에서 빈사 상태에 빠진 그를 페르가모스로 데려가 치료했다. 심지어 그리스 편이었던 포세이돈조차 아킬레우스에게 공격받는 아이네이아스를 구출하며, 그가 왕족의 방계 혈통이지만 트로이 백성을 다스릴 운명이라고 언급했다.

아킬레우스이데 산을 공격했을 때, 아이네이아스는 뮈르소네스로 피신했다. 아킬레우스가 뮈르소네스를 멸망시켰지만, 제우스 덕분에 그는 목숨을 건졌고 이후 트로이 전쟁에 참전했다. 그는 트로이 전쟁에서 헥토르 다음가는 용맹을 떨쳤다. 로마 신화학자 가이우스 율리우스 히기누스는 저서 ''이야기집(Fabulae)''[14]에서 아이네이아스가 28명의 적을 죽였다고 기록했다.

4. 로마 신화와 문학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에서 아이네이아스는 트로이 전쟁 이후 새로운 터전을 찾아 나선 영웅으로 그려진다. 트로이 함락 후, 아이네이아스는 아버지 안키세스와 아들 아스카니우스를 데리고 탈출하여, 신탁에 따라 조상의 땅인 이탈리아로 향한다.[15] 이 과정에서 시켈리아 섬을 우회하다 아버지 안키세스를 잃고, 카르타고에 표류하여 여왕 디도와 사랑에 빠지기도 한다. 그러나 신들의 뜻에 따라 이탈리아로 건너가 라티움에 정착하고, 그곳 왕 라티누스의 딸 라비니아와 결혼하여 라비니움을 건설한다.

아이네이아스의 이야기는 대 카토의 ''고대 기원''(Origines)을 비롯한 여러 로마 작가들의 기록으로 이어졌다.[15]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시우스의 ''로마 고대사'', 리비우스의 ''로마 건국사'',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 트로구스의 저술(현재는 유스티누스의 요약본만 남아있음) 등 다양한 역사서에도 등장한다.

리비우스와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에 따르면, 아이네이아스는 라티누스 왕 사후 라비니움 도시를 건설하고, 안나 페렌나를 환영했다. 아이네이아스 사후, 비너스는 유피테르에게 아들을 불멸하게 해달라고 요청했고, 유피테르는 동의했다. 아이네이아스는 유피테르 인디게스 신으로 인정받았다.[16]

4. 1. 로마 건국 신화와의 연결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에 따르면, 아이네이아스는 트로이를 떠나 7년간 유랑하다 이탈리아라티움에 상륙했다. 그는 그곳 왕 라티누스의 딸 라비니아와 결혼하여 라비니움을 건설했고, 로마 제국의 건국 시조로 묘사되었다. 아이네이아스가 로물루스와 레무스의 조상이라는 로마 건국 신화도 전해진다.[15]

아이네이아스와 안키세스


아이네이아스 이야기는 대 카토의 ''고대 기원''(Origines)을 비롯한 여러 로마 작가들의 기록으로 이어졌다.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시우스의 ''로마 고대사'', 리비우스의 ''로마 건국사'',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 트로구스의 저술(현재는 유스티누스의 요약본만 남아있음) 등 다양한 역사서에도 등장한다.

기원전 4세기경부터 로마인들 사이에서 아이네이아스 전승이 널리 퍼졌으며,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는 이를 웅대한 서사시로 발전시켜 큰 영향을 주었다. 아우구스투스의 친구 가이우스 마케나스는 시인들에게 아우구스투스를 칭송하는 시를 요청했고, 베르길리우스는 아우구스투스가 속한 율리우스 씨족의 조상 아이네이아스를 노래함으로써 전승을 풍부하게 하고 아우구스투스의 원수정을 공고히 하는 데 기여했다.

전승에 따르면 아이네아스의 장남 아스카니우스는 알바 롱가를 건설했고, 이 도시는 훗날 아이네아스의 이복형제 실비우스에게 양도되었다. 실비우스의 먼 후손인 로물루스와 레무스 형제가 로마를 건국하게 된다. 이는 라틴인과 트로이인의 혈통을 잇는 왕가에서 시작된 것으로, 오래된 민족과 자민족의 연관성을 바랐던 민족 신화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고대 로마의 아이네이아스 신화는 기원전 4세기에 라틴족의 라티누스 신화를 모방한 것으로 여겨진다. 라티누스는 라틴족이 매년 알바노 산(현 Monte Cavo|카보 산fi)에서 유피테르 라티알리스 신에게 제물을 바칠 때 사용한 시조 왕의 명칭이다. 실제로 라티누스의 이름이 새겨진 기원전 6세기 토기 조각이 출토되었고, 로마 서쪽 해안의 라위니움(현 Pratica di Mare|프라티카 디 마레it)에서 발굴된 분묘는 라티누스에게 헌정된 것으로 추정된다.

4. 2.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에 따르면 아이네이아스는 트로이를 떠난 뒤 7년 동안의 유랑 끝에 이탈리아라티움에 상륙하였다. 아이네이아스는 그곳의 왕 라티누스의 딸 라비니아와 결혼하여 새로운 도시 라비니움을 건설하였고 이후 로마 제국의 건국 시조로 묘사되었다. 또한 아이네이아스가 로마 로물루스와 레무스의 조상이라는 로마 건국 신화도 있으며, 아이네이아스의 증손이 영국으로 이주하여 최초의 영국 왕이 되었다고도 한다.[1]

피에트로 다 코르토나 작, ''사냥꾼으로 변신한 비너스가 아이네이아스에게 나타나다''


12권으로 구성된 『아이네이스』는 라비니움 건국의 전설적인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트로이 함락 때 전사하거나 노예가 되지 않은 몇 안 되는 트로이인 중 한 명이 아이네이아스임을 설명한다. 신들의 명령에 따라 도망치기로 결심한 아이네이아스는 아이네아스인으로 알려진 무리를 모아 이탈리아로 항해했고, 고대 로마인들의 조상이 되었다. 아이네아스인에는 아이네이아스의 나팔수 미세누스, 그의 아버지 안키세스, 그의 친구들 아카테스, 세르게스투스, 아크몬, 치료사 이아퓌스, 키잡이 팔리누루스, 그리고 그의 아들 아스카니우스(율루스, 율루스, 또는 아스카니우스 율리우스라고도 함)가 포함되었다. 그는 트로이의 가신(家神)인 라레스와 페나테스의 조각상을 가지고 이탈리아로 옮겨 심었다.[1]

새로운 보금자리를 찾으려는 시도는 여러 번 실패했는데, 그중 한 곳은 시칠리아였다. 섬 서쪽 해안의 트라파니에서 그의 아버지 안키세스가 평화롭게 죽었다.[1]

피에르-나르시스 게랭 작, 아이네이아스가 디도에게 트로이의 몰락에 대해 이야기하다


유노의 요청으로 짧지만 격렬한 폭풍이 아이네이아스 일행을 덮친 후, 아이네이아스와 그의 함대는 6년간의 방랑 끝에 카르타고에 상륙했다. 아이네이아스는 카르타고 여왕 디도(엘리사라고도 함)와 1년간의 관계를 맺었고, 디도는 트로이인들이 자신의 땅에 정착하고 그녀와 아이네이아스가 함께 백성을 다스리자고 제안했다. 유노의 사주로 디도와 아이네이아스 사이에는 일종의 결혼이 성사되었는데, 유노는 자신이 가장 아끼는 도시가 결국 트로이인들의 후손에게 패배할 것이라는 말을 들었기 때문이다. 아이네이아스의 어머니 비너스(아프로디테의 로마식 이름)는 아들과 그의 일행이 앞으로의 여정을 위해 자신들을 재정비할 수 있도록 잠시 휴식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하지만 전령의 신 메르쿠리우스(헤르메스의 로마식 이름)는 유피테르(이 버전에서는 제우스)와 비너스에 의해 보내져 아이네이아스에게 그의 여정과 목적을 상기시키고 몰래 떠나도록 강요했다. 디도는 이 사실을 알고 카르타고와 로마를 영원히 적대하게 만들 저주를 퍼부었는데, 이는 포에니 전쟁으로 절정에 달할 것이다. 그녀는 처음 만났을 때 아이네이아스에게 준 칼로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1]

카르타고 체류 후, 트로이인들은 시칠리아로 돌아가 1년 전에 죽은 그의 아버지를 기리기 위해 아이네이아스는 장례 경기를 열었다. 일행은 항해하여 이탈리아 서해안에 상륙했다. 아이네이아스는 저승으로 내려가 디도(남편에게 돌아가기 위해 그를 외면했다)와 그의 아버지를 만났고, 그의 후손의 미래와 로마의 역사를 보여주었다.[1]

루카 조르다노 작, 1634–1705, 아이네이아스가 투르누스를 물리치다. 아이네이아스의 ''천재''(genius)는 미래의 빛을 바라보며 상승하는 모습으로, 투르누스의 천재는 어둠 속에 휩싸여 쇠퇴하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라틴족의 왕 라티누스는 망명한 트로이인들의 군대인 아이네이아스를 환영했고, 그들이 라티움에서 삶을 재정비하도록 했다. 그의 딸 라비니아는 루툴리의 왕 투르누스와 약혼한 상태였지만, 라티누스는 라비니아가 다른 땅 출신, 즉 아이네이아스와 약혼하게 될 것이라는 예언을 받았다. 라티누스는 예언에 따랐고, 투르누스는 에트루리아인들의 왕 메젠티우스와 라틴족의 여왕 아마타와 동맹을 맺은 유노의 부추김을 받아 아이네이아스에게 전쟁을 선포했다. 아이네이아스의 군대가 승리했다. 투르누스는 죽었고, 베르길리우스의 이야기는 갑작스럽게 끝을 맺는다.[1]

보르게세 미술관 소장, 페데리코 바로치 작, 불타는 트로이에서 탈출하는 아이네이아스 (1598년 그림)


목마의 계략으로 트로이가 함락되었을 때, 아이네이아스는 아버지 안키세스를 등에 업고 어린 아스카니우스의 손을 잡고 불타는 도시에서 탈출했다(이하, 라틴어 표기로 소개한다).[1]

트로이의 함대는 델로스 섬에서 조상의 땅을 찾으라는 신탁을 받고, 처음에는 트로이의 시조 테우크로스가 왔다고 하는 크레테 섬에 상륙했다. 그러나 크레테가 아니라, 마찬가지로 트로이의 조상 다르다노스가 살았다고 하는 이탈리아 반도가 목표로 해야 할 장소임을 알고 다시 바다로 나섰다. 아이네이아스는 메시나 해협을 피해 시켈리아 섬을 시계 방향으로 우회하는 코스를 택해 이탈리아를 목표로 했지만, 도중 기항한 Drepana영어(드레파논)에서 아버지 안키세스가 병사했다.[1]

그 후 여신 유노(헤라)가 일으킨 폭풍 때문에 코스를 크게 벗어나지만, 넵투누스(포세이돈)에 의해 구출되어 북아프리카에 표착한다. 이 땅에서 아이네이아스는 카르타고의 여왕 디도를 만나 서로 사랑하게 된다. 그러나, 이것을 본 유피테르(제우스)가 메르쿠리우스(헤르메스)를 보내 트로이의 부흥을 위해 이탈리아로 건너갈 것을 경고한다. 신의 뜻을 받아 아이네이아스는 카르타고를 떠나고, 남겨진 디도는 자살했다.[1]

이탈리아 반도에 도착한 후 아이네이아스는 쿠마에(큐메)에서 무녀 시빌라(시빌레)의 인도로 명계에 들어가, 거기서 죽은 아버지 안키세스와 재회했다. 안키세스는 아이네이아스의 자손이 미래의 로마의 영웅이 될 것을 알렸다. 명계에서 돌아온 아이네이아스는 북상하여 새로운 트로이를 건설할 땅인 라티움에 상륙했다.[1]

이 땅에서 현지의 왕 라티누스의 딸 라비니아와 약혼하지만, 그 전까지 라비니아와 약혼했던 알데아의 왕 투르누스는 이에 반대하여 트로이인과 투르누스가 이끄는 루툴리인 사이에서 전쟁이 일어났다. 『아이네이스』에서는 주변 라티움의 도시도 투르누스 군에 가세했고, 라티누스도 스스로 바라지 않으면서도 트로이인에 적대했다. 게다가 투르누스에게는 에트루리아의 왕 Mezentius영어도 도움을 주었다. 한편 아이네이아스는 라티움인과 적대하고 있던 아르카디아인을 이끄는 팔란테움(팔란테이온)의 왕 에우안드로스를 아군으로 삼고, 그 아들 팔라스가 군세에 가세했다. 또한 참주였던 메젠티우스를 추방한 에트루리아의 여러 도시도 아이네이아스를 도왔다. 이처럼 양자 사이에서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고, 팔라스나 메젠티우스 등 많은 장수가 목숨을 잃었다. 최종적으로 투르누스와 아이네이아스와의 일기토에서 아이네이아스가 투르누스를 죽이고, 전쟁은 끝났다. 아이네이아스는 라비니아와 결혼하여 신도시 라비니움을 건설했다.[1]

『아이네이스』의 영향으로 이 전승이 일반적이지만, 티투스 리비우스에 따르면 세부 사항이 다르다. 아이네이아스는 라티움 도착 후, 라티누스로부터 라비니아를 아내로 맞이하여 동맹을 맺고 있다. 이를 불복한 투르누스가 아이네이아스와 라티누스에게 싸움을 걸지만, 이 싸움은 트로이 측이 승리한다. 그러나 승리한 아이네이아스 측도 라티누스를 이 싸움에서 잃었다. 패배한 투르누스는 메젠티우스가 이끄는 에트루리아인의 도움을 받아 다시 트로이인과 라티움인에게 싸움을 건다. 이 싸움에서도 다시 아이네이아스 측이 승리했지만, 아이네이아스 자신은 전사했다고 한다. 한편, 오비디우스가 전하는 바에 따르면, 아이네이아스는 그 죽음에 임하여 베누스에 의해 몸을 정화받아 신이 되었다고 한다.[1]

기원전 4세기경부터 로마인들 사이에서 아이네이아스 전승이 널리 퍼졌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그 전승을 웅대한 서사시로 노래하여 후세에 큰 영향을 준 것은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이다. 시인들의 후원자이자 아우구스투스의 친구이기도 했던 가이우스 마케나스는 시인들에게 아우구스투스를 칭송하는 시를 만들도록 요청했다. 베르길리우스는 이에 응하여 아우구스투스가 속한 율리우스 씨족이 조상이라고 주장하는 아이네이아스를 장편의 시로 읊음으로써 아이네이아스 전승을 풍부하게 하고, 율리우스 씨족의 사명을 신비화함으로써 아우구스투스에 의한 원수정을 견고하게 하는 데 기여했다.[1]

덧붙여 전승에 따르면 아이네아스의 장남 아스카니우스는 아버지와 새로운 어머니와 헤어져 멀리 떨어진 땅에 알바 롱가를 건설했다. 후에 이 도시는 의붓어머니와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이복형제 실비우스에게 양도되었고, 실비우스의 먼 후손인 로물루스와 레무스 쌍둥이 형제가 로마를 건국하게 된다. 즉 라틴인과 트로이인의 혈통을 잇는 왕가에서 시작된 것이지만, 이것 또한 더 오래된 민족과 자민족의 연관성을 바랐던 민족 신화의 일종일 것이다.[1]

4. 3. 기타 문헌에서의 묘사

아이네이스에 따르면 아이네이아스는 트로이를 떠난 뒤 카르타고에 닿아 그곳의 여왕 디도와 사랑을 나누는 등 7년 동안의 유랑 끝에 이탈리아라티움에 상륙하였다. 아이네이아스는 그곳의 왕 라티누스의 딸 라비니아와 결혼하여 새로운 도시 라비니움을 건설하였고 이후 로마 제국의 건국 시조로 묘사되었다. 또한 아이네이아스가 로물루스와 레무스의 조상이라는 로마 건국 신화도 있다. 아이네이아스의 증손이 영국으로 이주하여 최초의 영국 왕이 되었다고도 한다.

늑대 젖을 먹는 쌍둥이 로물루스와 레무스


아이네이아스의 나머지 생애는 리비우스와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를 포함한 다른 고대 자료에서 얻을 수 있다. 리비우스에 따르면, 아이네이아스는 승리했지만 라티누스는 전쟁에서 사망했다. 아이네이아스는 그의 아내의 이름을 따서 라비니움이라는 도시를 건설했다. 그는 나중에 디도의 여동생인 안나 페렌나를 환영했는데, 안나는 라비니아의 질투심을 알게 된 후 자살했다. 아이네이아스가 죽은 후, 비너스는 유피테르에게 그녀의 아들을 불멸하게 해달라고 요청했다. 유피테르는 동의했다. 강의 신 누미쿠스는 아이네이아스의 모든 필멸의 부분을 정화했고, 비너스는 그에게 암브로시아와 넥타를 발라 신으로 만들었다. 아이네이아스는 신 유피테르 인디게스로 인정받았다.[16] 프린스 아이네이아스는 로마의 창시자인 쌍둥이 형제 로물루스와 레무스의 조상이라고도 한다. 이들은 늑대의 젖을 먹는 두 고아 소년이다.

5. 중세 시대의 수용

스노리 스투를라손은 산문 에다 서문에서 세계가 아프리카, 아시아, 그리고 에네아(Enea) 또는 유럽이라 불리는 세 부분의 대륙으로 나뉜다고 말했다.[3][20] 스노리는 트로이의 무논(Munon, 또는 Mennon)이라는 사람이 고왕(High King) 프리아모스의 딸 트로안과 결혼하여 머나먼 땅으로 가서 시빌과 결혼해 아들 토르를 얻었는데, 스노리에 따르면 토르는 토르와 동일하다고 한다. 이 이야기는 《아이네이스》의 몇몇 에피소드와 유사하다.[21]

중세 시대의 트로이 관련 이야기는 아이네이아스의 성격에도 영향을 미쳤다. 12세기 프랑스의 《로망 드 에네아》(Roman d'Enéas)는 아이네이아스의 성적 취향을 다룬다. 베르길리우스는 모든 동성애적 성향을 니소스와 에우리알로스에게로 돌리고 아이네이아스를 순수한 이성애자로 묘사했지만, 중세 시대에는 아이네이아스에게 동성애적 성향이 있다는 의심이 적어도 있었다. 《로망 드 에네아》는 아마타 여왕이 아이네이아스와 라비니아의 결혼을 반대할 때 이러한 의혹을 다룬다.[22]

아이네이아스에 대한 중세 시대의 해석은 베르길리우스와 다른 라틴어 자료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특히 13세기 이탈리아 작가 귀도 델레 콜론네가 재작업한 다레스와 딕티스의 이야기는 (《트로이 파괴사》(Historia destructionis Troiae)에서) 이후 많은 해석에 영향을 미쳤다. 예를 들어, 진주 시인과 다른 영국 작가들은 귀도로부터 아이네이아스가 재산과 가족을 이끌고 트로이를 안전하게 떠난 것은 배신에 대한 보상이었으며, 이 때문에 헤카베에게 질책을 받았다는 암시를 얻었다.[24][23] 《가웨인 경과 녹색 기사》(14세기 후반)에서 진주 시인은 다른 많은 영국 작가들처럼 아이네이아스를 사용하여 영국의 기원을 위한 족보를 확립했으며, 아이네이아스가 "그의 배신 행위로 탄핵되었지만, 가장 진실함이 증명되었다"(4행)고 설명했다.[24][25]

6. 영국의 건국 신화와의 연관성

아이네이아스의 후손들이 황량한 영국 땅에 최초로 정착했다는 역사적 주장이 널리 퍼져 있었다.[17] 심지어 르네상스 시대에도 이 이야기는 비잉글랜드인들과 적어도 한 명의 잉글랜드 작가에게는 설득력이 떨어진다고 여겨졌다.[18]

나중에 그레이트 브리튼으로 알려진 섬은 이전에 알바로도 알려졌는데, 이는 아이네이아스의 아들 아스카니우스가 건설한 것으로 알려진 이탈리아 중부의 로마 이전 도시인 알바 롱가와의 연관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영국의 건국 신화의 터무니없는 요소를 무시하더라도, 1529년에 글을 쓴 요하네스 라스텔은 다음과 같은 질문을 했다. 만약 최초의 브리튼인이 아이네이아스의 아들인 실비우스의 아들인 브루테의 라틴 왕족의 후손이었다면, 왜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기원전 48년까지 로마를 위해 정복한 땅을 직접 측량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글에서 그러한 사실이 기록되지 않았는가? 그리고, 실비우스와 아스카니우스를 다루고 "그들의 자녀와 그들에게 일어난 일, 그리고 그들이 왕으로 계승한 방법"을 다루었음에도 불구하고, 왜 아들 브루투스는 라틴 역사에서 완전히 벗어났는가?

라스텔은 초기 브리튼의 주민들이 시리아의 디오클리시안 왕의 32명의 딸과 악마의 결합으로 태어난 거인이었다는 등의 다른 세부 사항들도 신뢰할 수 없다고 보았다.

7. 현대의 묘사

아이네이아스는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 트로일루스와 크레시다에서 트로이 전쟁을 배경으로 등장한다.[36] 17세기 브로드사이드 발라드 "트로이의 방랑 왕자"에서는 디도의 죽음 이후 여러 해 동안 방랑하다가 디도가 자살한 직후 그녀의 영혼에 합류하는 것으로 묘사된다.[36]

현대 문학에서 아이네이아스는 앨런 테이트의 두 시, "워싱턴의 아이네이아스"와 "뉴욕의 아이네이아스"의 화자이다. 어슐러 K. 르 귄의 소설 ''라비니아''에서는 라티움의 왕 라티누스의 딸 라비니아의 시점에서 ''아이네이스''의 마지막 6권을 다시 쓴 주요 등장인물로 나온다. 데이비드 젬멜의 "트로이" 시리즈에서는 헬리카온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릭 라이어던의 ''올림푸스 영웅전''에서는 비너스의 아들이자 최초의 로마 반신으로 여겨진다.

레아 데상드르가 2020년 레자르 플로리상과 함께 헨리 퍼셀의 ''다이도와 아이네이아스''에서 아리아를 부르고 있다.


아이네이아스는 헨리 퍼셀의 오페라 ''다이도와 아이네이아스''와 야코프 그레버의 Enea in Cartagineit(''카르타고의 아이네이아스'') (1711)의 등장인물이며, 엑토르 베를리오즈의 오페라 ''트로이 사람들''과 메타스타시오의 오페라 대본 디도네 아반도나타의 주요 배역 중 하나이다.[37] 캐나다 작곡가 제임스 롤프는 퍼셀의 오페라에 짝을 이루는 작품으로 오페라 ''아이네이아스와 다이도''(2007)를 작곡했다.

영화에서 아이네이아스는 로널드 루이스가 ''트로이의 헬렌''에서, 스티브 리브스가 ''구에라 디 트로이아''(''트로이 전쟁'')와 ''복수자''에서 연기했다. 줄리오 브로기는 1971년 이탈리아 TV 미니시리즈 ''에네이데''에서 아이네이아스를 연기했다. 영화 ''트로이''에서는 파리스에게 트로이 왕족의 정통성과 연속성을 부여받고 로마 문화의 기초를 놓는 청년으로 등장한다.

아이네이아스는 게임에서도 등장하는데, ''뱀파이어: 더 레퀴엠''에서는 벤트루 클랜의 신화적 창시자 중 한 명으로, ''워리어스: 레전드 오브 트로이''에서는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로 등장한다. 2018년 TV 미니시리즈 ''트로이: 도시의 몰락''에서는 알프레드 에녹이 아이네이아스를 연기했다.[38] 2020년 ''토탈 워 사가: 트로이''에서는 다르다니아 진영의 서사시적 파이터로 등장했다.[39]

참조

[1] 웹사이트 Aeneas http://www.merriam-w[...] 2015-07-14
[2] 서적 Exemplary Traits: Reading Characterization in Roman Poet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3] 문서 The Prose Edda of Snorri Sturlson Translated by Arthur Gilchrist Brodeur 2017-11-14
[4] 웹사이트 Homeric Hymn to Aphrodite https://uh.edu/~cldu[...] 2001
[5] 서적 Homeric Hymn to Aphrodite http://www.uh.edu/~c[...] University of Houston 2001
[6] 서적 The Homeric Hymn to Aphrodite: Introduction, Text, and Commentary https://books.google[...] 2008
[7] 서적 Reading Dido: Gender, Textuality, and Medieval Aeneid https://books.google[...] 1994
[8] 문서 Polycraticus and Commentum supra sex libros Eneidos Vergilii
[9] 서적 The Making of Homeric Verse: The Collected Papers of Milman Parry https://books.google[...] 1971
[10] 서적 Aeneid
[11] 웹사이트 The Iliad http://www.gutenberg[...]
[12] abstract Aeneas in the Iliad: The one just man https://camws.org/me[...]
[13] 웹사이트 Epitome https://www.perseus.[...] Tufts University
[14] 서적 Fabulae
[15] 저널 How Vergil Established for Aeneas a Legal Claim to a Home and a Throne in Italy
[16] 웹사이트 The History of Rome http://mcadams.posc.[...] J. M. Dent & Sons, Ltd. 1905
[17] 웹사이트 About the Brut Chronicle and Manuscript 255 https://quod.lib.umi[...] quod.lib.umich.edu 2022-01-20
[18] 서적 The pastyme of people https://archive.org/[...] in chepesyde at the sygne of the mearemayd next to pollys gate 1529
[19] 서적 The St Albans Chronicle https://archive.org/[...] 1400
[20] 웹사이트 Prologus http://heimskringla.[...]
[21] 문서 The Prose Edda of Snorri Sturlson Translated by Arthur Gilchrist Brodeur 2017-11-14
[22] 저널 Negotiations of Homoerotic Tradition
[23] 서적 Historia destructionis Troiae http://www.medievala[...] Medieval Academy of America
[24] 서적 Sir Gawain and the Green Knight Oxford UP
[25] 서적 Sir Gawain and the Green Knight Norton
[26] 서적 Aeneid
[27] 서적 Aeneid
[28] 서적 Selections from Viri Romae https://archive.org/[...]
[29] 웹사이트 Romulus http://www.4literatu[...]
[30] 서적 Roman Antiquities
[31] 서적 Events to be Remembered in the History of Britain https://books.google[...]
[32] 저널 What Does Aeneas Look like?
[33] 웹사이트 History of the Fall of Troy https://www.theoi.co[...]
[34] 서적 Illuminated prophet books: a study of Byzantine manuscripts of the major and minor prophets Penn State Press
[35] 웹사이트 Chronography https://topostext.or[...]
[36] 웹사이트 English Broadside Ballad Archive http://ebba.english.[...]
[37] 서적 Metastasio's Didone Abbandonata was set over eighty times in the period between 1724 and 1824 https://books.google[...] Joseph Farrell, Michael C. J. Putnam
[38] 잡지 'Troy: Fall Of A City': Bella Dayne, Louis Hunter & More Join BBC/Netflix Epic https://deadline.com[...] 2017-03-30
[39] 웹사이트 Total War Troy: Aeneas guide – bonuses, faction units, builds https://guides.gamep[...]
[40] 서적 Opera and Vivald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