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데시미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시미터(dm)는 1미터의 10분의 1에 해당하는 길이의 단위이다. 다양한 사물의 길이, 크기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극초단파의 최단 파장, 광디스크 규격 사이즈의 직경, 참새의 평균 키, 축구공의 지름, A4 용지 세로 길이, 고양이 꼬리의 평균 길이, 신문의 길이, 유럽 싱크대의 깊이, 고양이의 평균 체장, 1야드, 미터 등 다양한 길이를 데시미터 단위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유니코드 문자 ㍷로 표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길이의 단위 - 보어 반지름
    보어 반지름(a_0)은 물리 상수들로 정의되며, 약 5.292 × 10-11 m의 값을 가지고, 보어 모형에서 가장 안쪽 전자 궤도의 반지름으로 제시되어 원자 크기를 나타내는 척도로 사용된다.
  • 길이의 단위 - 피트
    피트는 다양한 정의와 기원을 가진 길이 단위로, 국제적으로는 0.3048 미터로 정의된 국제 피트가 표준이며, 역사적으로 여러 종류가 사용되었고 현재는 특정 분야에서 널리 쓰인다.
데시미터
단위 정보
단위데시미터
기호dm
표준SI
물리량길이
설명
정의미터법 단위계에서 1/10 미터에 해당하는 길이 단위이다.
크기

2. 데시미터 단위의 길이

데시미터(dm)는 다양한 길이 측정의 기준이 된다. 다음은 데시미터 단위로 나타낸 길이의 예시이다.

내용dmcm
극초단파(UHF) 최단 파장[5]1 dm10cm
광디스크 규격 사이즈[6], ISM 밴드(2.45GHz) 파장, 참새 평균 키1 dm12cm ~ 15cm
PHS 전파 파장[7], 딱정벌레 평균 체장, 1.5GHz 대역 휴대전화(2G) 전파 파장, 배구공, A5 용지, 축구공, 농구공 지름/길이2 dm16cm ~ 24cm
식도 평균 길이, B5 용지, A4 용지 세로 길이, 1 피트3 dm25cm ~ 30cm
B4 용지, 고양이 꼬리 평균 길이4 dm36cm ~ 40cm
A3 용지, B3 용지, 신문(타블로이드판) 길이, 큰부리까마귀 평균 길이5 dm ~ 6 dm42cm ~ 56cm
A2 용지 세로 길이, 유럽 싱크대 깊이6 dm59cm ~ 60cm
B2 용지 크기, 고양이 평균 체장(머리 몸통 길이)7 dm ~ 8 dm72cm ~ 75cm
A1 용지 크기, 1야드8 dm ~ 9 dm84cm ~ 91cm
미터10 dm100cm


2. 1. 1~3 dm

내용dmcm
극초단파(UHF)의 최단 파장[5]1 dm10cm
가장 대중적인 광디스크 규격 사이즈[6] 직경1 dm12cm
ISM 밴드(2.45GHz)의 파장1 dm12cm
참새의 평균 키1 dm15cm
PHS 전파의 파장[7]2 dm16cm
세계 최대의 딱정벌레의 평균 체장2 dm17cm
1.5GHz 대역 휴대전화(2G) 전파의 파장2 dm20cm
배구공의 지름2 dm20cm
A5 용지의 세로 길이2 dm21cm
축구공의 지름2 dm22cm
농구공의 지름2 dm24cm
인간 식도의 평균 길이3 dm25cm
B5 용지의 세로 길이3 dm25cm
A4 용지의 세로 길이3 dm29cm
1 피트3 dm30cm


2. 2. 4~6 dm

종류설명길이
B4 용지36cm
고양이꼬리 평균 길이40cm
A3 용지세로 길이42cm
B3 용지세로 길이51cm
신문타블로이드판 길이54cm
큰부리까마귀평균 길이56cm
A2 용지세로 길이59cm
싱크대유럽의 일반적인 깊이60cm


2. 3. 7~10 dm

물건크기(dm)비고
B2 용지[7]
고양이 평균 체장(머리 몸통 길이)
A1 용지
1야드
미터


3. 유니코드

유니코드에서 데시미터 기호 dm은 U+3375이다.

참조

[1] 웹사이트 decimeter - Dictionary Definition https://www.vocabula[...] 2021-01-03
[2] 서적 度量衡制度詳解 https://dl.ndl.go.jp[...] 自治館 1899-02-04
[3] 서적 図解 日本の文字 三省堂 2011
[4] 문서
[5] 문서
[6] 문서
[7]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