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양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양이는 고양이과에 속하는 포유류로,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며 인간과 오랜 역사를 함께 해 온 애완동물이다. '고양이'라는 단어는 옛 문헌에서 '괴'로 기록된 것이 변하여 유래되었으며, 학명은 'Felis catus'이다. 고양이는 뛰어난 신체 능력과 감각을 가지고 있으며, 사냥과 생존에 최적화된 특성을 보인다. 또한, 다양한 품종으로 나뉘며, 털색, 체형, 습성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고양이는 인간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성을 발달시켰으며, 문화적으로도 다양한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야생 고양이는 생태계에 위협이 될 수 있으며 멸종 위기종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양이 - 검은 고양이
    검은 고양이는 털 색깔이 검은색인 고양이를 통칭하며, 털 색깔, 태비 무늬, 햇빛 노출에 따른 색 변화 등 다양한 특징을 가지고 있고, 여러 문화권에서 행운 또는 불운의 상징으로 여겨지거나 무정부주의 및 노동 운동의 상징, 대중문화 캐릭터로 활용된다.
  • 고양이 - 고양이 범백혈구 감소증
    고양이 범백혈구 감소증은 고양이 파보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성 질환으로, 어린 고양이에게 치명적이며 구토, 설사, 백혈구 감소 등의 증상을 보이고, 백신 접종을 통해 예방한다.
  • 고양이속 - 들고양이
    들고양이는 고양이과의 야생 동물로, 유럽들고양이와 코카서스들고양이 두 아종이 있으며, 집고양이보다 크고 튼튼하며 줄무늬가 있는 털을 가지고 있지만, 잡종화와 서식지 파괴로 인해 보존 노력이 필요한 종이다.
  • 고양이속 - 정글고양이
    정글고양이는 ''Felis''속에 속하는 다리가 긴 중간 크기의 고양이로, 습지나 늪과 같이 물과 초목이 있는 환경에서 작은 포유류를 사냥하며 중동, 코카서스, 아시아 지역에 서식하지만 서식지 감소와 밀렵으로 위협받고 있어 일부 지역에서 보호받고 있다.
  • 모델 생물 - 옥수수
    옥수수는 멕시코 남부 원산의 벼과 식물로, 오래전부터 재배되어 전 세계로 퍼져나갔으며 식용, 사료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옥수수 또는 maize라고 불린다.
  • 모델 생물 -
    개는 회색늑대의 가축화된 아종으로, 오랜 가축화 과정을 거쳐 다양한 견종으로 분화되었으며, 반려동물과 다양한 직업 분야에서 인간과 함께 생활하며 여러 사회적 문제도 야기한다.
고양이 - [생물]에 관한 문서
고양이
다양한 유형의 고양이
다양한 유형의 고양이
분류
상태가축화됨
고양이속
고양이
학명Felis catus
명명자린네, 1758
이명Catus domesticus 에르슬레벤, 1777
F. angorensis 그멜린, 1788
F. vulgaris 피셔 ,1829
특징
지질 시대홀로세 ~ 현재 (9,500년 전)
한국어
국립생물자원관야생화된 동물
일본어
일본어 이름이예네코, 네코
영어
영어 이름Cat, Domestic cat, Housecat
중국어
중국어 이름
독일어
독일어 이름Hauskatze, Katze
프랑스어
프랑스어 이름Chat (domestique)
러시아어
러시아어 이름(домашняя) кошка
핀란드어
핀란드어 이름kesykissa, kotikissa
스페인어
스페인어 이름gato (doméstico)
포르투갈어
포르투갈어 이름gato (doméstico)
아랍어
아랍어 이름القط المنزلي
페르시아어
페르시아어 이름گربهٔ خانگی
힌디어
힌디어 이름पालतू बिल्ली

2. 어원

‘고양이’의 옛 형태 중 가장 오래된 기록 중 하나는 《능엄경언해》(1461)에 등장하는 ‘괴’이다. 또한 《고려사》(1451)에는 고흥현에 고려 이전에 고이부곡(高伊部曲)이란 지명이 있었고 ‘고이’가 고양이(猫)를 뜻한다고 기록하고 있다.[413]

고양이는 중세어 ‘괴’에서 왔다. ‘괴’가 ‘괴앙이’로 변했고, 이것이 ‘괭이’를 거쳐 오늘날의 ‘고양이’가 됐다.[417]

학명 ''Felis catus''는 라틴어로 고양이를 뜻하는 fēlēsla와 cattusla에서 온 것이다. cattusla는 6세기부터 쓰기 시작했으며[414]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이 있는데, 콥트어 ϣⲁⲩ|šaucop에 여성형 접미사 가 붙은 단어에서 온 것이라는 설,[415] 고대 게르만어에서 왔다는 설, 아랍어 قِطَّة|qiṭṭaar에서 왔다는 설[416] 등이 있다.

영어 단어 "cat"의 어원은 고대 영어 cattang로 여겨지며, 6세기 초 처음 사용된 후기 라틴어 cattusla에서 유래한 것으로 생각된다.[2] 후기 라틴어 단어는 아직 확인되지 않은 아프리카 언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3] 누비아어 kaddîskanub '야생 고양이'와 노비인어 kadīsnub는 가능한 근원어 또는 동족어이다.[4]

이 단어들은 라틴어, 그리고 그리스어, 시리아어, 아랍어로 흡수된 고대 게르만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도 있다.[5] 이 단어는 게르만어와 북유럽 언어에서 유래했고, 궁극적으로 우랄어에서 차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북사미어 gáđfise, '암컷 족제비', 그리고 헝가리어 hölgyhu, '숙녀, 암컷 족제비'; 원시 우랄어 *käďwämis, '털이 있는 동물의 암컷'에서 유래한다.[6]

"puss"는 "pussy"와 "pussycat"으로 확장되었으며, 16세기부터 증명되었고, 네덜란드어 poesnl 또는 저지 독일어 puuskattends에서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는 스웨덴어 kattepussv 또는 노르웨이어 pusno, pusekattno과 관련이 있다. 리투아니아어 puižėlt와 아일랜드어 puisínga 또는 puiscínga에도 유사한 형태가 존재한다. 이 단어의 어원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고양이를 부르는 데 사용되는 소리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7][8]

수컷 고양이는 "tom" 또는 "tomcat"[9](또는 중성화된 경우 "gib"[10])이라고 부른다. 암컷 고양이는 "queen"[11][12](때로는 중성화된 경우 "molly"[13])라고 부른다. 어린 고양이는 "새끼 고양이"라고 한다. 초기 현대 영어에서 "kitten"이라는 단어는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 "catling"이라는 단어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다.[14]

3. 생태

집고양이는 약 1,000만~1,500만 년 전 공통 조상을 가진 고양이과(Felidae)에 속하는 과의 일원이다.[26] 고양이과의 진화 방산은 중신세(Miocene)인 약 838만~1,445만 년 전 아시아에서 시작되었다.[27] 속 ''Felis''는 약 600만~700만 년 전 다른 고양이과와 유전적으로 분화되었다.[27] 계통 발생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 속의 야생 종들은 동소적 또는 근소적 종 분화를 통해 진화한 반면, 집고양이는 인위 선택을 통해 진화했다.[29] 집고양이와 가장 가까운 야생 조상은 모두 이배체이며 38개의 염색체[30]와 약 20,000개의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31]

들고양이(왼쪽 위), 집고양이(오른쪽 위), 그리고 두 종의 잡종(가운데 아래)의 두개골


기원전 15세기 이집트 무덤 벽화에 그려진 의자 아래서 물고기를 먹는 고양이


고양이의 가축화는 기원전 3100년경부터 고양이를 숭배했던 고대 이집트에서 시작된 것으로 오랫동안 여겨져 왔다.[32][33] 그러나 아프리카 야생 고양이 길들이기에 대한 가장 오래된 흔적은 기원전 7500~7200년경 키프로스 남부 실루로캄보스의 인간 신석기 시대 무덤 근처에서 발굴되었다. 키프로스에는 토착 포유류 동물상이 없으므로, 이 신석기 시대 마을 주민들은 중동 본토에서 고양이와 다른 야생 포유류를 섬으로 가져왔을 것으로 추정된다.[34] 과학자들은 아프리카 야생 고양이들이 집쥐 (''Mus musculus'')와 같은 설치류 때문에 비옥한 초승달 지대의 초기 인간 정착지에 모여들었고 신석기 시대 농부들에 의해 길들여졌다고 추정한다. 초기 농부와 길들여진 고양이 사이의 상호 이익 관계는 수천 년 동안 지속되었으며, 농업 관행이 확산됨에 따라 길들여진 고양이도 함께 확산되었다.[35][36] 이후 이집트의 야생 고양이들이 집고양이의 모계 유전자 풀에 기여했다.[37]

그리스에서 집고양이 존재에 대한 가장 오래된 증거는 기원전 12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리스, 페니키아인, 카르타고인, 에트루리아인 상인들이 집고양이를 남유럽으로 소개했다.[38] 기원전 5세기에는 마그나 그라이키아에트루리아 정착지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동물이었다.[39] 로마 제국 시대에는 서기 1세기가 시작되기 전에 코르시카와 사르디니아로 소개되었다.[40] 5세기 서로마 제국 멸망 무렵에는 이집트 집고양이 계통이 북부 독일발트해 항구에 도착했다.[37]

표범 고양이 (''Prionailurus bengalensis'')는 기원전 5500년경 중국에서 독립적으로 길들여졌다. 이 부분적으로 길들여진 고양이 계통은 오늘날 집고양이 개체군에는 흔적을 남기지 않았다.[41]

가축화 과정에서 고양이는 해부학적 및 행동적 변화가 거의 없었고 여전히 야생에서 생존할 수 있다. 야생 고양이의 여러 자연스러운 행동과 특징은 애완동물로서 가축화를 위해 선행 적응되었을 수 있다. 여기에는 작은 크기, 사회성, 명확한 신체 언어, 놀이에 대한 애정, 높은 지능 등이 포함된다. 엄격한 위생 습관을 실천하고 소변과 배설물을 묻고 숨기는 본능적인 욕구가 있어 다른 가축 동물보다 훨씬 깔끔하다. 사육되는 ''레오파르두스속'' 고양이도 인간에게 애정을 보일 수 있지만 길들여지지는 않았다.[42] 집고양이는 종종 야생 고양이와 교배하며,[43] 집고양이와 다른 고양잇과 동물 종간의 잡종화도 가능하여 스코틀랜드켈라스 고양이와 같은 잡종을 낳는다.[185][44]

고양이 품종 발달은 19세기 중반에 시작되었다.[45] 집고양이 게놈 분석 결과, 특정 돌연변이가 선택되어 고양이 품종이 개발됨에 따라 가축화 과정에서 조상 야생 고양이 게놈이 상당히 변형되었음을 보여준다.[46] 대부분의 품종은 무작위 교배된 집고양이를 기반으로 하며, 이 품종들의 유전적 다양성은 지역에 따라 다르고 순종 개체군에서 가장 낮으며 20가지 이상의 해로운 유전 질환을 보인다.[47]

러시아 알타이 산맥 유르트에서 목동들과 함께 사는 샴 고양이


집고양이는 세계적인 종이며 세계 대부분 지역에 서식한다.[47] 적응력이 뛰어나 남극 대륙을 제외한 모든 대륙과 131개 주요 섬 그룹 중 118개 섬, 심지어 고립된 케르겔렌 제도에서도 발견된다.[179][180] 거의 모든 육상 서식지에서 번성할 수 있어 세계에서 가장 침입종 중 하나이다.[181] 사람이 살지 않는 작은 섬에서도 서식하며,[182] 들고양이는 숲, 초원, 툰드라, 해안 지역, 농경지, 관목지, 도시 지역 및 습지에서 살 수 있다.[183]

집고양이는 야생 고양이와 거의 변하지 않아 쉽게 교잡할 수 있기 때문에 침입종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잡종화는 특히 스코틀랜드, 헝가리, 이베리아 반도, 남아프리카 공화국 크루거 국립공원과 같이 보호되는 자연 지역이 인간이 지배하는 풍경에 가까운 곳에서 야생 고양이 개체군의 유전적 독특성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184][185] 그러나 토착 고양잇과 동물이 없는 곳에 도입된 것도 토착 종 감소에 기여한다.[197]

들개가 된 농장 고양이


들고양이는 집고양이가 야생 상태에서 태어났거나 야생 상태로 돌아간 고양이로, 사람에게 익숙하지 않고 경계하며 도시와 시골 지역을 자유롭게 돌아다닌다.[186] 미국의 들고양이 개체 수는 2,500만~6,000만 마리로 추산된다.[186] 들고양이는 혼자 살 수도 있지만, 대부분은 특정 지역을 차지하고 보통 먹이 공급원과 관련된 큰 무리를 이루어 산다.[187] 로마 콜로세움과 로마 포럼 주변에는 유명한 들고양이 무리가 있으며, 이곳 고양이들은 자원봉사자들에 의해 먹이를 받고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는다.[188]

야외 고양이는 조류 사망의 가장 큰 인위적 원인이다.


섬에서는 조류가 고양이 식단의 최대 60%를 차지할 수 있다.[190] 거의 모든 경우에 고양이를 섬 조류 개체 수 감소의 유일한 원인으로 단정 지을 수 없으며, 어떤 경우에는 고양이 퇴치가 "중간 포식자 증가" 효과를 초래했다.[191] 집고양이는 여러 종의 감소에 기여하는 요인이며, 어떤 경우에는 멸종으로 이어진 요인이기도 하다. 남섬피오피오(Turnagra capensis), 채텀뜸부기(Rallus modestus),[142] 뉴질랜드흰뺨오리(New Zealand merganser)[192]는 그 예시이며, 가장 극단적인 경우는 발견된 지 몇 년 만에 멸종된 비행 능력이 없는 라이얼참새(Lyall's wren)이다.[193][194] 뉴질랜드의 한 길고양이는 7일 만에 102마리의 뉴질랜드소형짧은꼬리박쥐를 죽였다.[195] 미국에서는 길고양이와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집고양이가 매년 약 63억~223억 마리의 포유류를 죽이는 것으로 추산된다.[140]

호주에서는 한 연구에서 길고양이가 매년 4억 6,600만 마리의 파충류를 죽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양이에게 포식당하는 것으로 확인된 파충류 종은 258종이 넘는다.[196] 고양이는 나바사곱슬꼬리도마뱀과 ''키오니니아 코크테이(Chioninia coctei)''의 멸종에 기여했다.[197]

집고양이의 원종으로 여겨지는 리비아산고양이. 가축화 이전의 특징을 유지하고 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하우텐주, 요하네스버그 동물원.


집고양이는 형태학적 분석을 주로 하는 전통적인 생물학적 지식에 의해 이전부터 유럽산고양이의 아종 리비아산고양이가 원종으로 여겨져 왔다.[253] 20세기 후반부터 발전한 분자계통학(유전자 연구) 등에 의한 새로운 지식도 이를 뒷받침한다. 미국, 영국, 독일 등의 국제 팀은 2007년 6월 29일 『사이언스』 지(전자판)에 세계 집고양이 총 979마리를 샘플로 한 미토콘드리아DNA 해석 결과를 발표했다. 이 결과에 따르면 집고양이 조상은 약 13만 1,000년 전 (홍적세 말기)에 중동 사막 등에 서식하고 있던 아종 리비아산고양이로 판명되어,[254] 종래의 형태학적 분석을 뒷받침했다.[255]

농업이 시작되고 마을이 출현한 시기 중동 주변에서, 산야에서 토끼를 쫓던 고양이가 쥐가 많이 모이는 곡물 저장 장소에 나타나 정착한 것이 시작으로 추정된다. 곡물에는 손을 대지 않고, 그것을 식해하는 해충, 해로운 동물만을 포식하는 것으로 양쪽 이익이 일치하여, 곡물을 지키는 고양이는 익충으로서 소중하게 여겨지게 되었고 마침내 가축화로 이어졌다.

처음으로 사람에게 길러진 고양이로부터 현재 집고양이에 직접 혈통이 계속되고 있는지 여부는 불명확하다. 가장 오래된 사육 예는 2004년 4월에 보고된 키프로스의 약 9,500년 전 유적이다.[253] 이 묘는 약 30세 고귀한 인물의 것으로, 인골로부터 약 40cm 떨어져 매장되었다.[253] 키프로스에는 야생 고양잇과 동물은 분포하지 않아 사람이 가지고 온 것으로 추정된다.[253] 오늘날 집고양이의 직접적인 계통 기원은 명확하지 않지만, 기원전 3000년경 고대 이집트에서 고정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원전 1600년경 고대 이집트 왕묘에 그려진 고양이 벽화가 확실한 증거이다.[253]

일본에는 헤이안 시대에 창고 곡물이나 경전류 수호자로서 수입되어 도래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256][257] 그러나 2000년대 무렵부터 미노 고분군 수혜기에 발자국이 보이는 등의 흔적으로부터 유입 시기가 기원전 2세기 야요이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갈 가능성이 생겼다.[258][259] 조몬 시대에 해당하는 출토골도 존재하지만, 가축으로서 고양이인지는 불명확하다.[260][261]

고양이 감각은 사냥에 맞추어져 있다. 고양이는 고도로 발달된 청각, 시각, 미각, 촉각을 지녀 다른 포유류보다 극도로 예민하다.

고양이의 코. 고양이 후각은 매우 민감하다.


고양이 야간 시력은 사람보다 우수하나 낮 시간 시력은 사람보다 열악하다. 고양이 눈에는 휘막이 있으며, 푸른 눈은 일반적으로 멜라닌 색소가 부족하여 적목현상을 보일 수 있다. 사람과 고양이는 저음대에서는 비슷한 청음 구간을 보이나, 고음대에서는 64kHz 음을 들을 수 있으며 후각은 사람보다 약 14배 강하다. 초기 고양이 조상들의 돌연변이로 인해 고양이는 단맛을 느끼는 데 필요한 두 유전자 중 하나를 잃었다. 이동과 지각을 돕기 위해 고양이는 십여 개 움직일 수 있는 수염을 얼굴 부위에 가지고 있다.

thumb'']]

제3의 반투명한 눈꺼풀이 각 눈의 일부를 덮고 있는 얼룩무늬 고양이
눈을 깜빡일 때 나타나는 고양이 눈꺼풀


고양이는 뛰어난 야간 시력을 가지며, 사람이 볼 수 있는 빛의 1/6 수준 빛에서도 볼 수 있다.[52] 이는 부분적으로 고양이 눈에 있는 ''반사판'' 때문인데, 이는 망막을 통과하는 빛을 다시 눈 안으로 반사시켜 어두운 빛에 대한 눈의 민감도를 높인다.[68] 큰 동공은 어두운 빛에 대한 적응이다. 집고양이는 세로로 긴 동공을 가지고 있어 색수차 없이 밝은 빛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69] 어두운 빛에서는 고양이 동공이 확장되어 눈 노출 표면 대부분을 덮는다.[70] 집고양이는 색각이 다소 좋지 않으며, 청색과 황록색에 대한 감도가 최적화된 두 가지 유형 원추세포만 가지고 있다. 빨간색과 녹색을 구별하는 능력은 제한적이다.[71] 간상세포가 아닌 다른 시스템으로부터 중간 파장에 대한 반응은 세 번째 유형 원추세포 때문일 수 있다. 이것은 진정한 삼색 시력을 나타내는 것이라기보다는 낮은 조도에 대한 적응으로 보인다.[72] 고양이는 또한 눈꺼풀(제3의)을 가지고 있어 시력을 방해하지 않고 눈을 깜빡일 수 있다.

고양이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다른 동물보다 더 많이 잠으로써 에너지를 보존한다. 하루 수면 시간은 다양하나 주로 12~16시간이며 평균 13~14시간이다. 어떤 고양이는 24시간 중 20시간을 자는 경우도 있다. 고양이잠이라는 용어는 고양이의 짧은 시간 동안 가볍게 자는 능력을 말한다.

고양이는 전형적인 육식동물로, 생리 작용은 고기를 소화시키는 데 최적화되어 있다. 식물을 소화시키는 능력은 제한적이다.[253] 고양이는 주로 곤충, 작은 , , 토끼, 땃쥐, 두더지, 물고기, 가재, 와 같은 작은 동물을 잡아먹는다. 먹이가 부족하면 이나 오리와 같은 가금류를 잡아먹기도 한다.[253]

어미 고양이가 어린 고양이에게 젖을 먹이고 있다.


고양이용 우유로 어린 고양이를 먹이고 있다.


고양이는 타우린아르기닌(필수 아미노산 중 하나)을 스스로 생성하지 못하므로 살코기로부터 얻어야 한다. 따라서 생존을 위해 반드시 고기를 먹어야 한다. 고양이 소화관은 육식에 최적화되어 길이가 짧으며, 고기에서 얻어지는 단백질과 지방을 빠르게 분해한다. 이러한 특징은 식물성 음식을 흡수, 소화, 대사하는 데 일부 제한 요인이 된다. 예를 들어 타우린은 식물에는 희귀하고 고기에는 풍부하며, 고양이 눈 건강에 중요한 아미노산이다. 타우린 결핍은 망막 퇴화를 일으켜 황반변성을 유발, 돌이킬 수 없는 맹시를 만들 수 있으며, 혈액 응고, 면역 기능 약화를 초래한다.[253] 아르기닌은 육류, 어류, 유제품, 견과류 등에서 얻을 수 있으며, 부족할 경우 구토, 침 흘림, 운동 실조, 떨림 등 증상이 나타난다.[253]

고양이가 사냥한 집쥐를 물고 간다.


육식 중심 생리에도 불구하고, 고양이는 소량의 풀, 잎, 관목, 화초 등을 섭취한다. 이는 소화가 안 될 때 역류시키기 위한 것이라는 설과, 섬유소나 미네랄 섭취를 위한 것이라는 설이 있다.[253]

백합 잎은 고양이에게 치명적인 신장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고양이에게 독성이 있는 식물이 있다. 캣 팬시어 협회는 고양이에게 위험한 식물 목록을 제공하고 있다.[253] 아보카도 또한 독성이 있으나, 열매는 아보덤 고양이 사료에도 있다. 그러나 ASPCA는 이것이 아보카도가 어떻게 작용하는지 자세히 알기 전까지는 안전한지에 대해서 이야기할 수 없다고 선언한 바 있다.[253]

몇몇 식물성 성분이 많은 고양이 사료에서 영양학적으로 부족함을 보충하기 위해 화학적으로 조성한 타우린과 여러 영양 성분을 공급하기도 한다.[253]

고양이는 선택적인 식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간 손상 없이 36시간 이상 공복을 견딜 수 없다. 고양이는 후각 신경을 자극하는 캣닙이나 개다래를 매우 좋아하며, 그 위에서 구르고, 가지고 놀고, 때때로 씹기도 한다. 침을 흘리며 마약에 취한 듯한 모습을 보이는 개체부터 전혀 관심이 없는 개체까지 개체별 차이가 있다.[253]

고양이는 귀리 등 키가 낮은 을 먹는 습성이 있다. 그 이유는 명확하지 않지만, 털 손질 시 삼킨 털을 풀 섬유에 걸어서 배설하기 위한 것이라는 설, 식물성 비타민이나 엽산을 직접 섭취하고 있다는 설 등이 있다.[310] 벼과 식물을 좋아하며, 접란이나 관음죽 등 단자엽식물 잎을 먹기도 한다. 양배추나 배추 등 잎 채소나 무, 순무 등 근채류 잎에 관심을 보이고 먹으려고 하는 개체도 있다. 애완동물 가게에서는 애완묘용으로 "캣그라스"로 귀리 싹이나 씨앗, 재배 키트 등이 판매되고 있다.[310]

건조한 지역을 진화상 고향으로 생각되는 고양잇과는 음수량이 적은 동물이며, 체내에서 물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소변 농축률이 높고 진한 소변을 배출한다. 따라서 신장에 대한 부담이 높고, 고양이 질병 7~8할은 신장 질병이다. 특히 염분 과잉 섭취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물은 수돗물이 가장 이상적이다(일본 대부분 지역에서는 수돗물은 미네랄 함유량이 적은 연수이다). 일부 미네랄워터 경수에 포함된 마그네슘은 고양이에게 고농도에 해당하므로, 신장 등에 대한 영향으로부터 가능한 한 마시지 않도록 해야 한다.[310]

;필수 아미노산과 강아지 사료

필수 아미노산 11종류는 체내에서 합성할 수 없으므로 음식으로 보충해야 한다. 11종류는 아르기닌, 히스티딘, 류신, 이소류신, 발린, 리신,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트레오닌, 트립토판, 타우린이다. 특히 아르기닌과 타우린은 중요하다. 아르기닌을 섭취하지 않는 사료를 먹은 경우 1시간 이내에 영양실조로 Hyperammonemia|고암모니아혈증영어을 일으켜 중증 상태가 되어 5시간 이내에 사망하는 경우도 있다.[311][312]

고양이에게 필수 영양소인 타우린은 강아지 사료에는 많이 배합되어 있지 않다(개는 타우린을 합성할 수 있으므로, 필수 아미노산은 고양이 11종류에서 타우린을 제외한 10종류이다). 고양이는 타우린 생합성 능력이 매우 낮으므로, 타우린을 섭취하지 않으면 타우린 결핍을 일으켜 실명하거나 심근증을 발병하거나, 발육 지연 등이 발생한다.[313][312] 타우린의 안정적인 섭취가 어려운 상황이 계속되는 경우에는, 수의사와 상담하여 타우린을 함유한 고양이용 영양 보충제를 처방받아 고양이에게 복용시킬 필요가 있다. 그 외, 맥주 효모 보충제나 무알코올 맥주를 좋아해서 간식으로 주는 예도 많다. 당연히 알코올이 들어있는 일반 맥주를 고양이에게 주는 것은 금지이다.

필요한 것은 균형이며, 과잉 급여는 건강을 해칠 우려가 있다.[314]

단백질지방탄수화물칼슘나트륨칼륨마그네슘구리
사료의 28% 이상. 새끼 고양이의 경우 2배.9% 이상40% 이하1g0.8g0.2g0.4g0.05g10mg0.5mg
망간아연요오드비타민 A비타민 B1비타민 B2비타민 B6판토텐산엽산니코틴산
1.0mg4.0mg0.1mg550국제단위0.5mg0.5mg0.4mg1.0mg0.1mg4.5mg
비타민 B12콜린타우린비타민 C비타민 D비타민 E비타민 K수분
0.02mg200mg100mg필요량 없음100국제단위8.0mg필요량 없음1kg당 50-70ml



고양이 에너지 요구량은 생활 단계에 따라 다르다. 새끼 고양이 성장기에는 체중에 대한 에너지 요구량이 많으며, 임신의 경우 5주부터 점차 사료량을 늘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전용 사료를 급여한다.[315]

하루 사료 필요량은 「안정 시 칼로리 에너지 요구량 × 생활 단계 계수 ÷ 사료 칼로리 × 100」으로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안정 시 에너지 요구량 계산 방법과 계수는 여러 가지가 있다.


  • 안정 시 에너지 요구량(RER) = 체중(kg)의 0.75승 × 70


:하루 에너지 요구량 = RER × 생활 단계 계수[312]

  • 안정 시 에너지 요구량(RER) = 체중(kg) × 30 + 70


:하루 에너지 요구량 = RER × 생활 단계 계수[317]

생활 단계 계수
연령·상태생활 단계 계수
성장기 4개월 - 12개월2-3
성묘기 1세 - 7세1.2-1.6
중성화 수술 후1.2-1.4
고령기 7세 이후1.1-1.4
노령기 10세 이후1.1-1.6


3. 1. 골격

고양이는 대부분의 포유류와 같이 7개의 경추를 가지고 있으며, 13개의 흉추, 7개의 요추, 3개의 천추를 가지며 맹크스를 제외하고는 22개나 23개의 미추를 가진다.[418] 여분의 요추와 천추 덕분에 고양이는 사람과 비교했을 때, 보다 향상된 척추 운동성과 유연성을 가진다. 미추꼬리를 형성하고 있으며 빠르게 움직일 때 몸의 균형을 잡는 데 이용된다. 높은 곳에 뛰어 오를 때 고양이는 꼬리를 앞으로 세워 몸의 중심을 잡으며 걸을 때는 꼬리를 좌우로 움직여서 방향을 잡는다.[419]

또한 고양이는 자유롭게 움직이는 쇄골을 가지고 있어서 어떠한 공간이라도 머리만 들어간다면 이 지나는 게 가능하다. 척추에는 13개의 갈비뼈, 어깨, 그리고 골반이 부착되어 있다.[50] 사람의 팔과 달리 고양이의 앞다리는 쇄골에 의해 자유롭게 어깨에 연결되어 있어 머리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라면 몸 전체를 통과할 수 있다.[51]

일반적인 생리[263]
체온섭씨 38.6
심박수120 - 140bpm
호흡수16 - 40회/분


3. 2. 입

고양이는 사냥감을 물기 좋고, 고기를 찢기에 좋은 아주 특수한 이빨을 가지고 있다. 앞 어금니와 첫 번째 어금니는 육식용으로 입 양쪽에 쌍을 이루고 있으며, 한 쌍이 가위와 같이 고기를 효율적으로 자를 수 있는 기능을 한다. 고양이의 어금니를 다른 말로 열육치라고 부른다. 보통 고양이는 이빨로 음식을 씹는다기보다는 음식을 잘라서 먹는다고 볼 수 있다.[52]

고양이 두개골


이빨과 발톱을 드러낸 고양이


고양이의 두개골은 다른 포유류와 달리 매우 큰 안와와 강력하고 특화된 턱을 가지고 있다.[52] 턱에는 먹잇감을 죽이고 고기를 찢는 데 적합한 이빨이 있다. 고양이는 먹잇감을 제압하면 두 개의 긴 송곳니를 사용하여 먹잇감의 두 개의 척추뼈 사이에 꽂아 척수를 절단하여 돌이킬 수 없는 마비와 죽음을 초래하는 치명적인 목덜미 물기를 가한다.[53] 다른 고양잇과 동물과 비교하여 집고양이는 턱 크기에 비해 송곳니 간의 간격이 좁은데, 이는 작은 척추뼈를 가진 작은 설치류를 선호하는 먹이 습성에 대한 적응이다.[53]

소구치와 첫 번째 어금니는 입의 양쪽에 있는 육식치 쌍을 구성하며, 마치 가위처럼 고기를 효율적으로 작은 조각으로 자른다. 고양이는 대부분 저작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빨은 먹이를 먹는 데 매우 중요하다.[52]

3. 3. 귀

고양이의 귀


에 있는 32개의 개별 근육들은 고양이가 각각의 를 별도로 움직여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해준다. 이러한 운동성 덕분에 고양이는 을 한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를 다른 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대부분의 고양이들은 위로 향하는 곧은 를 가지고 있다. 와 달리, 접힌 를 가진 종은 극히 드물다. 스코티시 폴드가 그러한 예외적인 변종이다.

화가 났을 때나 무서울 때, 고양이는 으르렁거리거나 하악거리는 소리를 내며 를 뒤로 젖힌다. 또한 고양이는 놀거나 뒤에서 나는 소리를 들을 때 를 뒤로 젖힌다. 의 각도는 고양이 감정을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이다.

3. 4. 발

개와 마찬가지로 고양이는 발가락으로 걷는 지행동물이다. 고양이의 발 뼈는 다리의 아래 부분이 되며, 직접 발가락으로 걷는다. 고양이는 거의 정확하게 상응하는 앞발의 발자국에 놓음으로써 소음과 흔적을 최소화한다. 이것은 또한 고양이들이 거친 지역을 다닐 때 뒷발에 확실한 발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50][51]

고양잇과 동물들은 오므릴 수 있는 발톱을 가지고 있다. 보통 긴장이 풀린 상태에서 발톱은 발바닥 근처의 피부와 털로 덮여 있어 지면과의 접촉으로 인해 닳는 것을 방지하고 발톱을 날카롭게 유지하며, 사냥감을 조용히 따라갈 수 있게 한다. 앞발의 발톱은 일반적으로 뒷발톱보다 날카롭다.[56] 고양이는 의도적으로 하나 이상의 발톱을 꺼낼 수 있다. 사냥이나 자기 방어, 타고 오르기, 반죽 행위, 또는 부드러운 표면에 추가 마찰을 위해 발톱을 꺼낼 수 있다. 굽은 고양이 발톱은 카펫이나 다른 두꺼운 천 등에 걸리기도 하며, 스스로 빼낼 수 없을 경우 고양이가 다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고양이는 앞발에 다섯 개, 뒷발에 네 개나 다섯 개의 발톱을 가지고 있으나, 오랜 돌연변이의 결과로 집고양이는 다지증에 걸리기 쉬워 여섯 개나 일곱 개의 발가락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다섯 번째 앞발톱은 다른 발톱에 인접해 있으며, 좀 더 인접하여 여섯 번째 손가락인 돌출부가 있다. 발목 안쪽에 위치한 앞발의 이러한 특수한 모양은 손목관절의 패드로, 큰 고양이나 개의 발에서도 발견된다. 이것은 보통 걸음걸이에는 기능하지 않으나 도약할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해주는 기능을 한다고 믿어진다.[58][59]

고양이의 발바닥

3. 5. 피부

고양이는 다소 느슨한 피부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은 고양이가 사람과 같은 포식자나 다른 고양이와 싸울 때 그들에게 잡히더라도 몸을 돌려서 마주볼 수 있도록 해준다. 이것은 또한 수의학적으로도 주사를 쉽게 놓게 하는 이점이 있다. 실제로, 고양이의 천적인 신부전증이 있는 고양이들의 생명은 때때로 투석치료 대신 정기적으로 다량의 약을 피부에 주사함으로써 몇 년씩 연장되기도 한다.

목뒤의 특히 느슨한 피부는 뒷덜미이며, 어미 고양이가 새끼를 운반 할 때 새끼를 잡는 부위이다. 따라서, 고양이들은 그 부위를 잡혔을 때 조용해지고 순종적으로 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행동은 다 자라서도 이어져, 수컷이 교미를 위하여 암컷에 올라 탔을 때 뒷덜미를 잡음으로써 암컷을 움직이지 못하게 하며 교미 중 암컷이 도망가지 못하도록 한다.

이 방법은 비협조적인 고양이를 치료하거나 옮기려고 시도할 때 유용할 수 있다. 그러나 성체는 아기 고양이보다 무거워서 절대로 뒷덜미를 사용하여 옮기면 안되며 엉덩이와 뒷다리 쪽 그리고 가슴과 앞발 쪽으로 무게를 지탱해야 한다. 어린 아기와 마찬가지로 고양이는 머리와 앞발을 사람의 어깨에 올리고 뒷발과 엉덩이를 사람의 팔로 떠받치며 안기게 된다.

3. 6. 감각

고양이의 감각은 사냥에 맞추어져 있다. 고양이는 고도로 발달된 청각, 시각, 미각 그리고 촉각이 있어 다른 포유류들보다 극도로 예민하다.

고양이의 야간 시력은 사람보다 우수하나 낮 시간의 시력은 사람보다 열악하다. 고양이의 눈에는 휘막이 있으며, 푸른 눈은 일반적으로 멜라닌 색소가 부족하여 적목현상을 보일 수 있다.

사람과 고양이는 저음대에서는 비슷한 청음구간을 보이나 고음대에서는 64 kHz 음을 들을 수 있으며 후각은 사람보다 약 열네 배가 강하다.

초기 고양이 조상들의 돌연변이로 인하여 고양이는 단맛을 느끼는 데 필요한 두 개의 유전자 중 하나를 잃었다. 이동과 지각을 돕기 위해, 고양이는 십여 개의 움직일 수 있는 수염을 얼굴 부위에 가지고 있다.

thumb'']]

고양이는 뛰어난 야간 시력을 가지고 있으며, 사람이 볼 수 있는 빛의 1/6 수준의 빛에서도 볼 수 있다.[52] 이는 부분적으로 고양이의 눈에 있는 ''반사판'' 때문인데, 이는 망막을 통과하는 빛을 다시 눈 안으로 반사시켜 어두운 빛에 대한 눈의 민감도를 높인다.[68] 큰 동공은 어두운 빛에 대한 적응이다. 집고양이는 세로로 긴 동공을 가지고 있어 색수차 없이 밝은 빛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69] 어두운 빛에서는 고양이의 동공이 확장되어 눈의 노출된 표면의 대부분을 덮는다.[70] 집고양이는 색각이 다소 좋지 않으며, 청색과 황록색에 대한 감도가 최적화된 두 가지 유형의 원추세포만 가지고 있다. 빨간색과 녹색을 구별하는 능력은 제한적이다.[71] 간상세포가 아닌 다른 시스템으로부터 중간 파장에 대한 반응은 세 번째 유형의 원추세포 때문일 수 있다. 이것은 진정한 삼색 시력을 나타내는 것이라기보다는 낮은 조도에 대한 적응으로 보인다.[72] 고양이는 또한 눈꺼풀(제3의)을 가지고 있어 시력을 방해하지 않고 눈을 깜빡일 수 있다.

3. 7. 물질대사

고양이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다른 동물들보다 더 많이 잠으로써 에너지를 보존한다. 하루 수면시간은 다양하나 주로 12~16시간이며 평균 13~14시간이다. 어떤 고양이들은 24시간 중 20시간을 자는 경우도 있다. 고양이잠이라는 용어는 고양이의 짧은 시간 동안 가볍게 자는 능력을 말한다.

정상적인 고양이의 체온은 38에서 39℃이다. 체온이 39.5℃ 이상이면 고온이며, 37.5℃ 이하이면 저체온으로 인정된다. 집고양이의 정상 심장 박동수는 분당 140에서 220이며 고양이가 얼마나 흥분되었나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쉬고 있는 고양이의 평균 심박동수는 150에서 180bpm으로 인간 평균 80bpm의 약 두 배이다.

고양이의 에너지 요구량은 생활 단계에 따라 다르다. 새끼 고양이의 성장기에는 체중에 대한 에너지 요구량이 많으며, 임신의 경우 5주부터 점차 사료량을 늘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전용 사료를 급여한다.[315] 하루 사료 필요량은 '안정 시 칼로리 에너지 요구량 × 생활 단계 계수 ÷ 사료의 칼로리 × 100'으로 계산할 수 있다. 안정 시 에너지 요구량의 계산 방법과 계수는 여러 가지가 있다.

  • 안정 시 에너지 요구량(RER) = 체중(kg)의 0.75승 × 70

: 하루 에너지 요구량 = RER × 생활 단계 계수[312]

  • 안정 시 에너지 요구량(RER) = 체중(kg) × 30 + 70

: 하루 에너지 요구량 = RER × 생활 단계 계수[317]

생활 단계 계수
연령·상태생활 단계 계수
성장기 4개월 - 12개월2-3
성묘기 1세 - 7세1.2-1.6
중성화 수술 후1.2-1.4
고령기 7세 이후1.1-1.4
노령기 10세 이후1.1-1.6


3. 8. 먹이와 식이

고양이는 전형적인 육식동물로, 생리 작용은 고기를 소화시키는 데 최적화되어 있다. 식물을 소화시키는 능력은 제한적이다.[253] 고양이는 주로 곤충, 작은 , , 토끼, 땃쥐, 두더지, 물고기, 가재, 와 같은 작은 동물을 잡아먹는다. 먹이가 부족하면 이나 오리와 같은 가금류를 잡아먹기도 한다.[253]

고양이는 타우린아르기닌(필수 아미노산 중 하나)을 스스로 생성하지 못하기 때문에 살코기로부터 얻어야 한다. 따라서 생존을 위해 반드시 고기를 먹어야 한다. 고양이의 소화관은 육식에 최적화되어 길이가 짧으며, 고기에서 얻어지는 단백질과 지방을 빠르게 분해한다. 이러한 특징은 식물성 음식을 흡수, 소화, 대사하는 데 일부 제한 요인이 된다. 예를 들어 타우린은 식물에는 희귀하고 고기에는 풍부하며, 고양이 눈 건강에 중요한 아미노산이다. 타우린 결핍은 망막 퇴화를 일으켜 황반변성을 유발, 돌이킬 수 없는 맹시를 만들 수 있으며, 혈액 응고, 면역 기능 약화를 초래한다.[253] 아르기닌은 육류, 어류, 유제품, 견과류 등에서 얻을 수 있으며, 부족할 경우 구토, 침 흘림, 운동 실조, 떨림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253]

육식 중심의 생리에도 불구하고, 고양이는 소량의 풀, 잎, 관목, 화초 등을 섭취한다. 이는 소화가 안 될 때 역류시키기 위한 것이라는 설과, 섬유소나 미네랄 섭취를 위한 것이라는 설이 있다.[253]

백합 잎은 고양이에게 치명적인 신장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고양이에게 독성이 있는 식물이 있다. 캣 팬시어 협회는 고양이에게 위험한 식물 목록을 제공하고 있다.[253] 아보카도 또한 독성이 있으나, 열매는 아보덤 고양이 사료에도 있다. 그러나 ASPCA는 이것이 아보카도가 어떻게 작용하는지 자세히 알기 전까지는 안전한지에 대해서 이야기할 수 없다고 선언한 바 있다.[253]

몇몇 식물성 성분이 많은 고양이 사료에서 영양학적으로 부족함을 보충하기 위해 화학적으로 조성한 타우린과 여러 영양성분을 공급하기도 한다.[253]

고양이는 선택적인 식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간 손상 없이 36시간 이상 공복을 견딜 수 없다. 고양이는 후각 신경을 자극하는 캣닙이나 개다래를 매우 좋아하며, 그 위에서 구르고, 가지고 놀고, 때때로 씹기도 한다. 침을 흘리며 마약에 취한 듯한 모습을 보이는 개체부터 전혀 관심이 없는 개체까지 개체별 차이가 있다.[253]

고양이는 귀리 등 키가 낮은 을 먹는 습성이 있다. 그 이유는 명확하지 않지만, 털 손질 시 삼킨 털을 풀의 섬유에 걸어서 배설하기 위한 것이라는 설, 식물성 비타민이나 엽산을 직접 섭취하고 있다는 설 등이 있다.[310] 벼과 식물을 좋아하며, 접란이나 관음죽 등의 단자엽식물 잎을 먹기도 한다. 양배추나 배추 등의 잎 채소나 무, 순무 등의 근채류 잎에 관심을 보이고 먹으려고 하는 개체도 있다. 애완동물 가게에서는 애완묘용으로 "캣그라스"로 귀리의 싹이나 씨앗, 재배 키트 등이 판매되고 있다.[310]

건조한 지역을 진화상의 고향으로 생각되는 고양잇과는 음수량이 적은 동물이며, 체내에서 물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소변의 농축률이 높고, 진한 소변을 배출한다. 따라서 신장에 대한 부담이 높고, 고양이 질병의 7~8할은 신장 질병이다. 특히 염분의 과잉 섭취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물은 수돗물이 가장 이상적이다(일본의 대부분 지역에서는 수돗물은 미네랄 함유량이 적은 연수이다). 일부 미네랄워터의 경수에 포함된 마그네슘은 고양이에게 고농도에 해당하므로, 신장 등에 대한 영향으로부터 가능한 한 마시지 않도록 해야 한다.[310]

;필수 아미노산과 강아지 사료

필수 아미노산 11종류는 체내에서 합성할 수 없으므로, 음식으로 보충할 필요가 있다. 11종류는 아르기닌, 히스티딘, 류신, 이소류신, 발린, 리신,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트레오닌, 트립토판, 타우린이다. 특히 아르기닌과 타우린은 중요하다. 아르기닌을 섭취하지 않는 사료를 먹은 경우 1시간 이내에 영양실조로 Hyperammonemia|고암모니아혈증영어을 일으켜 중증 상태가 되어 5시간 이내에 사망하는 경우도 있다.[311][312]

고양이에게 필수 영양소인 타우린은 강아지 사료에는 많이 배합되어 있지 않다(개는 타우린을 합성할 수 있으므로, 필수 아미노산은 고양이의 11종류에서 타우린을 제외한 10종류이다). 고양이는 타우린 생합성 능력이 매우 낮으므로, 타우린을 섭취하지 않으면 타우린 결핍을 일으켜 실명하거나 심근증을 발병하거나, 발육 지연 등이 발생한다.[313][312] 타우린의 안정적인 섭취가 어려운 상황이 계속되는 경우에는, 수의사와 상담하여 타우린을 함유한 고양이용 영양 보충제를 처방받아 고양이에게 복용시킬 필요가 있다. 그 외, 맥주 효모 보충제나 무알코올 맥주를 좋아해서 간식으로 주는 예도 많다. 당연히 알코올이 들어있는 일반 맥주를 고양이에게 주는 것은 금지이다.

필요한 것은 균형이며, 과잉 급여는 건강을 해칠 우려가 있다.[314]

단백질지방탄수화물칼슘나트륨칼륨마그네슘구리
사료의 28% 이상. 새끼 고양이의 경우 2배.9% 이상40% 이하1g0.8g0.2g0.4g0.05g10mg0.5mg
망간아연요오드비타민 A비타민 B1비타민 B2비타민 B6판토텐산엽산니코틴산
1.0mg4.0mg0.1mg550국제단위0.5mg0.5mg0.4mg1.0mg0.1mg4.5mg
비타민 B12콜린타우린비타민 C비타민 D비타민 E비타민 K수분
0.02mg200mg100mg필요량 없음100국제단위8.0mg필요량 없음1kg당 50-70ml



고양이의 에너지 요구량은 생활 단계에 따라 다릅니다. 새끼 고양이의 성장기에는 체중에 대한 에너지 요구량이 많으며, 임신의 경우 5주부터 점차 사료량을 늘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전용 사료를 급여합니다.[315]

하루 사료 필요량은 「안정 시 칼로리 에너지 요구량 × 생활 단계 계수 ÷ 사료의 칼로리 × 100」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안정 시 에너지 요구량의 계산 방법과 계수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 안정 시 에너지 요구량(RER) = 체중(kg)의 0.75승 × 70

:하루 에너지 요구량 = RER × 생활 단계 계수[312]

  • 안정 시 에너지 요구량(RER) = 체중(kg) × 30 + 70

:하루 에너지 요구량 = RER × 생활 단계 계수[317]

생활 단계 계수
연령·상태생활 단계 계수
성장기 4개월 - 12개월2-3
성묘기 1세 - 7세1.2-1.6
중성화 수술 후1.2-1.4
고령기 7세 이후1.1-1.4
노령기 10세 이후1.1-1.6


3. 9. 독에 대한 민감성

고양이의 간은 사람이나 와 같은 다른 동물에 비해 해독력이 떨어지는 편이다. 그래서 가정에서 안전하다고 생각되는 물질도 고양이에게는 위험할 수 있으며, 환경오염에도 더 민감하다.

일반적인 진통제인 파라세타몰(파나돌)이나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은 고양이에게 매우 독성이 강하다. 고양이에게는 이러한 물질을 해독할 효소가 없기 때문에 사람에게 안전한 양이라도 고양이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다. 고양이 관절염에 쓰이는 아스피린조차도 사람에 비해 독성이 강해 용량을 조절해야 한다. 발모제인 미녹시딜을 고양이 털 빠진 곳에 발라주었다가 고양이가 핥아서 치명적인 경우도 있다.

살서제, 살충제, 제초제, 좀약, 나프탈렌 제제 등도 고양이에게 위험하다. 파인솔, 데톨, 헥사클로로펜과 같은 페놀 기반 세정제도 고양이에게 치명적이다. 부동액으로 쓰이는 에틸렌 글리콜은 한 숟갈만 먹어도 치명적이다. 에센셜 오일도 고양이에게 독성을 나타내는데, 티트리 오일이나 티트리 오일 베이스의 화장품, 샴푸로 인해 심각한 질환을 앓은 고양이도 보고되었다. 일반적으로 고양이에게 가장 많이 중독을 일으키는 것은 살서제나 부동액이다.

사람이 먹는 음식도 고양이에게 독성을 띨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콜릿을 먹으면 테오브로민 중독을 일으킬 수 있다. 많은 양의 양파, 마늘, 부추도 고양이에게 독성을 띤다. 많은 관상용 화초도 고양이에게 독성이 있다. 백합, 튤립, 히아신스 등의 백합과 식물은 급성 신부전증이나 신장 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필로덴드론속 식물 또한 독성이 있다.

4. 천적

고양이는 천적이 없는 대표적인 육식동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여러 천적에게 위협받는다. 몸집이 작기 때문에 먹잇감이 되거나, 먹이를 빼앗기거나, 공격당하거나, 질병에 걸리는 등 다양한 위험에 취약하다.

고양이의 생명을 위협하고 서식지를 앗아가는 천적은 다음과 같다.



고양이가 걸리는 질병으로는 고양이 전염성 복막염, 고양이 광묘병, 파상풍, 구내염, 신장 손상, 신부전증, 설사 등이 있다.[420][421]

5. 습성

밤에 눈동자가 커지고 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있는 고양이


고양이는 야외 활동 시 낮과 밤 모두 활동하지만, 밤에 조금 더 활동적인 경향이 있다.[89] 집고양이는 대부분 집 주변에서 시간을 보내지만, 중심 지점에서 수백 미터까지 활동 범위를 넓힐 수 있다. 고양이의 활동 시간은 유동적이고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박명 활동성을 보여 새벽과 해질녘에 더 활동적이다. 그러나 집고양이의 행동은 사람의 활동에 영향을 받으며, 어느 정도는 주인의 수면 패턴에 적응할 수 있다.[91][92]

고양이는 다른 동물보다 더 많이 잠을 자서 에너지를 절약하며, 나이가 들수록 수면 시간이 늘어난다. 하루 평균 수면 시간은 13~14시간이며, 최대 20시간까지 자는 고양이도 있다. 짧은 휴식을 가리키는 "낮잠"이라는 용어는 고양이가 잠시 동안 (가볍게) 잠드는 경향을 나타낸다. 고양이는 수면 중에 근육 경련을 동반하는 짧은 급속 안구 운동 수면을 경험하는데, 이는 꿈을 꾸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93]

혀로 다른 고양이를 핥는 사회적 그루밍


고양이의 는 얇고 단단하며, 표면에 갈고리 모양의 돌기가 많아 거칠다. 이 돌기는 뼈에 붙은 살을 핥아 먹거나 털 손질, 물을 마실 때 도움이 된다. 유두라고 불리는 이 돌기는 관을 반으로 가른 듯한 형태이며, 등을 담을 수 있다.[287][288]

고양잇과 동물은 다른 포유류와 달리 미뢰단맛을 인식하지 못한다.[289] 육식동물인 고양이는 당신생의 효소 활성이 높아 단백질에서 분해된 당원성 아미노산으로부터 필요한 당분을 생성한다.[290] 아미노산 중 특히 쓴맛을 인식하는 미뢰가 많아 썩은 고기를 피하는 데 도움이 된다.

고양이의 울음소리는 일본에서는 「냐ー」, 「묘ー」, 미국에서는 "meow", 영국에서는 "miaow" 등으로 표현된다. 「냐ー」 외에도 경계·위협의 으르렁거림, 먹이를 먹을 때의 위협, 발정기의 독특한 소리, 클래킹(채터링) 등 다양한 소리를 낸다. 「냐ー」는 새끼 고양이가 어미 고양이에게 주의를 끌기 위한 울음소리이며, 어른 고양이는 사람의 관심을 끌기 위해 이 소리를 낸다.

을 진동시켜 내는 "고르르(purr)" 소리는 부모와 자식 간의 의사소통에 사용된다. 사자호랑이를 포함한 고양잇과 동물은 성대가 아닌 흉강의 일부에서 고르르 소리를 낸다.[349] 편안할 때, 몸 상태가 좋지 않을 때, 출산 시, 죽기 직전에도 고르르거린다는 보고가 있으며, 저주파 소리를 발생시켜 골격을 튼튼하게 하거나 통증을 완화하고 호흡을 편하게 한다는 설이 있다.[350]

고양이가 "카카카"와 같이 이를 부딪히는 듯한 소리를 내는 현상은 '''클래킹'''(영어권에서는 '''채터링'''(chattering))이라고 하며, 고양잇과 동물 중 고양이만이 내는 소리이다.[351]

발톱갈이는 두꺼운 나무줄기, 벽, 기둥 등을 할퀴거나 발톱을 물고 잡아당기는 행동이다. 사냥하는 동물에게서 흔히 볼 수 있으며, 발톱을 날카롭게 손질하고 세력권을 표시하는 의미가 있다.[354] 이행행동으로 하는 경우도 있으며, 무언가를 시작할 때의 신호로 여겨지기도 한다. 집고양이의 경우 발톱갈이용 기구나 캣타워(고양이 기둥) 등을 준비해 주는 것이 좋다. 발톱을 자를 때는 뿌리 쪽의 살, 신경, 혈관을 피해 끝 부분만 조심스럽게 잘라야 한다. 외과적 발톱 제거 수술은 본능과 연결된 도구를 잃게 하여 스트레스나 문제 행동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많은 나라에서 금지하고 있다.[355]

꾹꾹이는 새끼 고양이가 어미 고양이의 젖을 빨 때 앞발로 유방을 문질러 모유가 잘 나오도록 하는 행동이다. 어른 고양이가 담요나 수건 등 부드러운 것을 앞발로 주무르는 행동은 새끼 고양이 시절의 습성이 남은 것으로, 눈을 감고 꾹꾹이를 할 때는 어미 고양이의 젖을 빨았을 때의 기분 좋은 기억이 되살아나 쾌적한 상태에 있다고 생각된다.

배를 보이며 누워있는 삼색 고양이


배를 보이며 눕는 행동은 주인을 신뢰하고 안전감을 느끼거나, 함께 놀고 싶다는 마음, 친해지고 싶은 다른 고양이에게 경계심을 풀어주기를 바라는 의사 표시 등 다양한 이유로 해석된다.[360]

꼬리 움직임으로 알 수 있는 감정은 다음과 같다.

꼬리 상태감정
똑바로 세움비교적 기분이 좋음[361]
빠르고 크게 옆으로 흔듦불쾌함[361]
살짝 몇 번 흔듦주인의 부름에 대한 응답 (울음소리 대신)[361]
사냥이나 놀이 등으로 흥분옆으로 흔듦
편안함천천히 크게 흔듦[361]
뒷다리 사이에 감춤겁먹음[361] (귀를 뒤로 젖히는 것을 동반)[362]
크게 부풀림위협하거나 놀람 (온몸의 털을 곤두세우는 것을 동반)[363]
다른 고양이 또는 사람에게 감음애정



고양이 자세라고도 불리는 앉는 자세.

보통은 모래와 같은 곳에 배설하는 습성이 있지만, 잘 훈련된 고양이는 사람용 화장실을 사용하기도 한다.

상자나 가방 등에 들어가거나, 가구 뒤나 소파 아래에 숨거나, 좁은 장소를 좋아한다.

몸을 핥는 모습

털 손질(그루밍) 직접 핥을 수 없는 귀 뒤쪽 등은 먼저 앞발에 침을 묻힌 후, 그 젖은 앞발로 닦는다. 사진은 앞발을 핥는 모습.

고양이는 보통 깨어 있는 시간의 30~50%를 털 손질에 사용한다. 몸이 유연하기 때문에 머리 주위를 제외하고는 온몸을 핥아 공기층을 만들어 보온하고, 으로 체온 저하, 청결을 유지한다.[358] 또한, 젖은 털을 말린다. 혀가 닿지 않는 부위(얼굴, 목, 머리 등)는 앞발에 침을 묻혀 닦는다. "고양이가 세수하면 비가 온다"고 하지만, 맑은 날씨에도 얼굴을 닦는다. 발을 핥는 동안 발톱을 물어뜯고 잡아당겨 발톱갈이를 한다.

높은 곳을 좋아하는 습성이 있으며, 캣타워가 대표적인 장난감이다.

물을 조금씩 마시는 습성이 있다.[62]

창밖을 보는 고양이는 바깥의 새와 곤충들을 보면서 사냥 욕구를 해소한다.

5. 1. 사회성

고양이는 무리 생활을 하지는 않지만, 자신보다 높은 서열의 고양이의 식사 순서를 지키는 등 서열 의식이 갖춰져 있다. 고양이 울음소리의 사회적 역할은 침입자에 대한 것과 나머지 세 가지 소리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422] 로 내는 가르랑 소리는 고양이 간의 인사 혹은 다치거나 아픈 고양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표현하는 것이다. 비음을 섞은 떨림 소리는 인사를 위한 것이다. 천천히 다가오며 『야옹』과 같이 입을 열며 내는 울음소리는 종류가 많은데, 주로 다른 고양이나, 개와 인간같은 다른 동물과의 인사내지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상황에서 내는 것이다. 입을 열면서 내는 소리, 『하-악』이나 으르렁거림은 주로 고양이의 공격성과 관련된다.[422]

사람, 가축, 다른 애완동물과 가까이 생활하면서 고양이는 점차 공생할 수 있는 사회적 적응을 하게 되었고, 사람이나 다른 동물에게 애정 표현을 잘하게 되었다. 동물행동학에서는 고양이를 키우는 사람이 고양이에게 어미와 같은 역할을 한다고 한다.[423] 또한 집에서 자란 어른 고양이는 새끼 고양이 시절의 연장처럼 행동하는데, 이를 행동적 유형성숙이라고 한다. 집고양이가 배고픈 어린 고양이의 울음소리를 모방해서 먹이를 달라고 높은 소리로 조르면, 특히 사람에게는 거부하기가 힘들다.[424]

집고양이의 사회적 행동은 넓게 퍼져 사는 개체부터, 협력하는 암컷 집단을 기반으로 먹이 근원 주변에 모이는 들고양이 무리까지 다양하다.[95][96] 이러한 무리 안에서는 보통 한 마리가 다른 고양이들보다 우위를 차지한다.[97] 각 고양이는 고유한 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성적으로 활동적인 수컷 고양이는 암컷 고양이보다 약 10배나 큰 영역을 가지고 여러 암컷의 영역과 겹칠 수 있다. 이러한 영역은 소변 분무, 얼굴샘 분비물로 머리 높이의 물체를 문지르는 행위, 배설을 통해 표시된다.[98] 영역들 사이에는 고양이들이 영역 다툼 없이 서로를 관찰하고 인사하는 중립 지역이 있다. 중립 지역 밖에서는 영역을 차지한 고양이들이 낯선 고양이들을 쫓아내는데, 처음에는 응시, 쉿 소리, 으르렁거림으로 시작하고, 효과가 없으면 짧고 격렬하며 시끄러운 공격을 한다. 고양이는 사회적 생존 전략이나 무리 행동을 가지고 있지 않지만, 항상 혼자 사냥한다.[130]

인간과 다른 가축과 가까이 생활하면서 고양이는 공생적인 사회적 적응을 하게 되었고, 인간이나 다른 동물에게 큰 애정을 표현할 수 있다. 동물행동학적으로, 고양이의 인간 보호자는 대리 어미 역할을 한다.[99] 성묘는 일종의 연장된 새끼 시절, 즉 행동적 신생아화의 형태로 삶을 산다. 고양이의 높은 울음소리는 배고픈 인간 아기의 울음을 모방하여 인간이 무시하기 어렵게 만든다.[100] 일부 애완묘는 사회화가 제대로 되지 않은 경우가 있다. 특히 나이든 고양이는 새로 온 새끼 고양이에게 물고 할퀴는 등의 공격성을 보이는데, 이러한 행동은 고양이 비사회적 공격성으로 알려져 있다.[101]

전이 공격성은 다묘 가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일반적인 공격성의 형태이다. 전이 공격성은 고양이를 자극하는 시각, 청각 또는 불안감이나 흥분을 유발하는 다른 자극원이 있을 때 발생한다. 고양이가 자극을 공격할 수 없다면, 가장 가까운 고양이, 애완동물, 인간 또는 다른 존재를 공격하거나 공격성을 돌려 분노를 표출할 수 있다.[102][103] 집고양이의 인간이나 다른 고양이에 대한 냄새 문지르기 행동은 고양이의 사회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수단으로 여겨진다.[104]

지역의 길고양이 밀도가 높은 경우에는 독립적인 세력권을 갖기 어렵고, 어느 정도의 서열이 존재한다. 그러한 고양이들은 같은 장소에 정기적으로 모여 "고양이 모임" 등으로 불린다. 서로 안전 확인 등을 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여러 마리와 함께 사는 경우에는 서로 장난을 치거나 서로 그루밍을 하는 등의 의사소통을 한다. 처음 만나는 고양이끼리 코를 맞대는 경우가 있는데, 상대를 확인하는 인사로 여겨진다.

Kristyn R. Vitale 등의 2019년 연구에 따르면, 고양이는 자신에게 익숙한 사람보다 자신에게 관심을 보이는 사람과 더 오래 접촉하는 경향이 있었다.[365] 사이토 지코(齋藤慈子)의 2019년 연구에 따르면, 개만큼 열정적인 반응은 아니지만, 고양이는 사람의 제스처를 이해하고 자신의 이름을 구분한다고 한다.[366] 함께 사는 사람의 생활주기에 적응할 수 있다는 사실도 밝혀졌으며, "고양이가 새벽에 주인을 깨운다"는 이유에 대해 오스트레일리아 애들레이드 대학교 수의학부의 수석 강사인 Susan Hazel은 아침에 사료를 주는 것과의 관련성을 언급하며 "고양이에게 먹이를 주는 것은 행동에 대한 보상을 주는 것이며, 고양이가 그것을 반복할 가능성을 높입니다"라고 말했다. Hazel은 "먹이를 받는다는 것을 학습한 고양이가 다시 새벽에 깨우러 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주인이 여행을 가거나, 가구를 이동하거나, 이사를 하거나, 다른 애완동물을 기르기 시작하는 것"으로 인해 정기적인 일상을 유지하지 못하고 스트레스를 받거나, 고양이 자체가 에너지를 넘치게 가지고 있어 새벽에 주인을 깨우러 올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367][368]

5. 2. 싸움

고양이는 암컷보다 수컷이 더 자주 싸운다.[425] 길고양이의 경우에는 한 마리의 암컷을 두고 두 마리의 수컷이 싸우는 경우가 많은데, 대개는 더 무거운 고양이가 승리한다.[426]

집고양이 싸움의 또 다른 원인은 좁은 집에서 같이 살아서 자신의 영역을 만들기 어려울 때이다.[425] 암컷 고양이 또한 영역을 지키거나 새끼를 지키기 위해 싸운다. 중성화 수술은 이러한 싸움을 줄이거나 없애는데, 아마도 그 원인은 성호르몬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427]

고양이는 등을 아치형으로 구부리기, 털 세우기, 몸 옆으로 돌리기, 하악거리기, 꼬리 부풀리기로 방어 행동을 한다.


집고양이는 수컷이 암컷보다 싸움을 더 많이 하는 경향이 있다.[120] 야생 고양이의 경우, 고양이 싸움의 가장 흔한 이유는 암컷과 교미하기 위한 두 수컷 사이의 경쟁이다. 이러한 경우, 대부분 더 무거운 수컷이 이긴다.[121] 집고양이가 싸우는 또 다른 흔한 이유는 작은 집 안에서 세력권을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120] 암컷 고양이도 세력권을 두고 싸우거나 새끼를 지키기 위해 싸운다. 중성화 수술은 많은 경우 이러한 행동을 감소시키거나 없애는데, 이는 이러한 행동이 성호르몬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122]

고양이가 공격적이 되면 털을 세우고, 등을 활처럼 구부리고, 옆으로 돌리고, 쉭쉭거리거나 침을 뱉는 등 자신을 더 크고 위협적으로 보이려고 한다.[123] 종종 귀는 아래쪽과 뒤쪽으로 향하는데, 이는 안쪽 귀의 손상을 피하고 앞쪽에 집중하면서 뒤쪽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서이다. 고양이는 상대를 더 위협하기 위해 큰 소리로 울거나 이빨을 드러낼 수도 있다. 싸움은 대개 붙잡고 앞발로 얼굴과 몸에 손바닥으로 때리고 물어뜯는 것으로 구성된다. 고양이는 또한 방어 자세를 취하기 위해 바닥에 몸을 던져 뒷발로 상대의 배를 할퀴기도 한다.[124]

싸움의 지속 시간이 짧기 때문에 심각한 피해는 드물며, 패배자는 얼굴과 귀에 몇 군데 긁힌 상처만 입고 도망친다. 짝짓기 권리를 위한 싸움은 일반적으로 더 심각하며, 상처에는 깊은 자상과 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싸움으로 인한 심각한 부상은 긁히고 물린 상처로 인한 감염으로 제한되지만, 치료하지 않으면 고양이를 죽일 수도 있다. 또한, 물리는 것이 고양이 면역 결핍 바이러스의 주요 전염 경로일 가능성이 높다.[125] 성적으로 활동적인 수컷은 일반적으로 평생 동안 많은 싸움에 참여하며, 종종 귀와 코에 눈에 띄는 흉터와 상처가 있는 낡은 얼굴을 하고 있다.[126] 고양이는 자신의 세력권을 방어하기 위해 개와 여우와 같은 자신보다 큰 동물을 위협하는 것을 서슴지 않는다.[127]

오랜 위협 행동 후에도 양측이 물러서지 않으면 충돌로 이어지며, 위협에는 한쪽이 저음으로 으르렁거리면 다른 쪽이 고음으로 응수하는 등의 특징이 보인다. 보통 1대1 싸움이기 때문에, 사람이 싸움 소리 비슷하게 끼어들면, 섬뜩해하며 싸움을 중단하는 경우도 있다. 싸움은 뛰어오르기 쉽고 유리한 고지를 차지한 쪽이 유리하여, 그 때문에 전략적 위치를 탐색하면서 위협이 장시간 지속된다. 격투가 되면 단 몇 초 만에 결판이 난다. 대부분의 경우, 상대에게 상처를 입힐 정도의 싸움이 되기 전에 승패가 결정된다.

싸우고 있는 고양이를 들어 올리면, 격분한 고양이는 주저 없이 주인에게라도 물어 사람이 다칠 가능성이 있다.

5. 3. 사냥과 먹이

고양이는 주로 , 다람쥐, 청설모, 저빌, 하늘다람쥐, 날다람쥐와 같은 설치류, 토끼멧토끼 등의 초식 동물, 검은머리갈매기, 메추라기, 따오기와 같은 , 물고기두더지, 땃쥐 등을 사냥하며, 때로는 새알이나 가재, 등을 먹이로 삼는다. 가끔은 이나 오리와 같은 가금류를 습격하기도 한다.[428] 그러나 사람들은 해충을 없애기 위해 자주 고양이를 이용한다.[429][430]

고양이가 막 사냥한 쥐를 가지고 놀고 있다. 고양이는 죽이기 전에 사냥감의 힘을 빼기 위해 잡은 짐승을 가지고 논다.


미국에서는 약 8000만 마리에 이르는 주인 없는 길고양이에 의해 연간 14억~37억 마리의 새와 69억~207억 마리의 포유류가 목숨을 잃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31][432]

5. 4. 번식

암컷 고양이는 하나의 자궁을 가지고 있으며 연간 발정을 자주 하는 편이다. 수컷 고양이들은 집단 강간을 즐길 수도 있다.[433] 초봄에서 늦가을 사이에 발정을 한다. 발정은 2주에 한 번 주기로 약 4일에서 7일간 한다. 임신 중에 발정이 나는 경우도 종종 있다. 한 번에 많게는 6마리, 적게는 한두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품종 및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봄과 여름 초에 발정, 교미를 한다. 개체 차이가 있지만, 대개 생후 6개월에서 12개월 사이에 성적으로 성숙하고, 그 후 정기적으로 발정한다. 고양이는 장일성 번식 동물이기 때문에 따뜻한 시기와 일조 시간이 14시간 정도 되는 시기에 발정이 온다. 일본의 경우 2월부터 4월과 6월부터 8월에 해당한다.[302] 인공 조명도 발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완전 실내 사육의 경우 발정 기간이 길어져 계절에 관계없이 연 3~4회 발정하는 경우도 있다.[302] 발정 기간은 3~6일 정도이지만, 그 사이에 교미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10일 정도로 길어지기도 한다. 발정하면 바닥이나 기둥, 때로는 사람의 무릎 등에 몸을 비비는 등 행동 변화가 나타나고, 때로는 무슨 일이 있어도 밖으로 나가려고 난동을 부리기도 한다.

암컷보다 2~3개월 정도 늦게 성숙하지만 개체차가 크다. 주기적인 발정기는 없고, 발정한 암컷의 페로몬을 맡고 반응한다. 발정하면 스프레이(즉, 뇨 마킹)라고 불리는 특징적인 행동을 하게 되고, 수컷끼리의 싸움도 많아진다. 드물게 암컷도 스프레이를 하는 경우가 있다.

일부 품종은 발정기라도 울음소리를 내지 않거나, 아주 적게 우는 경우도 있지만,[303] 구애 행동으로 "사카리 고에"(발정의 울음소리)라고 불리는 시끄러운 울음소리를 낸다. 이 습성은 그 소리를 소음으로 여겨 귀찮아하는 사람도 많아, 주인과의 사이에서 문제로 발전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교미는 수컷이 암컷의 등에 올라타 수컷이 암컷의 목덜미를 물어 암컷이 도망가지 못하도록 하면서 이루어진다. 고양이의 교미는 상대가 한 마리로 한정되지 않으며, 기회가 있으면 수컷과 암컷 모두 여러 마리의 이성과 교미한다. 따라서 동시에 태어난 새끼 고양이의 아비 고양이가 다른 고양이인 경우가 흔하다. 수컷의 음경에는 가시 모양의 돌기(Penile spines영어)가 있어 이 자극으로 암컷의 배란을 유발하기 때문에 임신율이 매우 높다. 이러한 배란 메커니즘을 교미 배란(Induced ovulation (animals)|label=교미 배란영어)이라고 하며, 고양이와 토끼 등 매우 일부 동물에게서만 볼 수 있는 드문 임신 형태이다.[304]

북큐슈시립자연사·역사박물관의 학예사 야마네 아키히로에 따르면 30년 이상 조사가 계속되고 있는 아이노시마의 야생 고양이의 DNA를 조사한 결과, 같은 집단에서 가장 암컷에 가까운 곳에 있는 강한 수컷보다 다른 집단에서 온 수컷의 새끼 고양이가 더 많다는 사실이 밝혀졌다.[305]

고양이의 출산


암컷 고양이는 보통 2~6마리 정도의 새끼를 임신한다. 젖꼭지는 4쌍 8개가 일반적이지만(개체에 따라 6~12개 차이가 있다), 임신 기간은 약 65일이다.[306] 출산은 일반적으로 가볍고 사람이나 수의사의 도움이 필요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새끼 고양이는 출산 직후에는 양수에 젖어 있지만, 어미 고양이가 핥아서 말리고 몇 시간 후에는 부드러운 털이 된다. 어미 고양이는 출산 당일에는 수유에 전념하고, 식사는 거의 하지 않는 것 같다. 대신 태반을 영양분으로 먹는 경우가 많다.

암컷 고양이는 연 3~4회 출산이 가능하며, 연 2회 출산도 드물지 않다. 수유 중에도 교미·임신한다. 생후 얼마 안 된 새끼 고양이의 성별 판단은 매우 어렵고, 수의사라도 80%밖에 판별할 수 없다고 한다. 생후 4주가 되면 거의 확실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수컷과 암컷의 구별은 항문과 요도의 거리로 판별한다. 수컷은 길고, 암컷은 짧다. 또한, 수컷의 경우에는 장래 음낭이 되는 작은 혹이 있다. 생후 2개월이 되면 명확하게 고환으로 판단할 수 있을 정도가 된다. 암컷은 이 부분이 평평하다. 수컷과 암컷을 비교하면 알아보기 쉽지만, 한 마리만 있는 경우에는 판별이 어렵다.[307]

5. 5. 위생 (그루밍)

갈고리처럼 휘어진 고양이의 유두돌기는 마치 빗과 같이 털을 닦고, 엉킨 털을 가지런히 한다


고양이(트라네코)(사바트라), 몸을 핥는 모습

'''털 손질'''(그루밍) 직접 핥을 수 없는 귀 뒤쪽 등은 먼저 앞발에 침을 묻힌 후, 그 젖은 앞발로 닦는다. 사진은 앞발을 핥는 모습.

고양이의 혀에는 목구멍쪽을 향해 고리처럼 뻗은 케라틴을 함유한 혀 유두가 있다. 고양이는 이 케라틴 돌기와 침으로 털을 핥아 스스로를 단장한다. 혀는 얇고 단단하며, 표면에는 많은 갈고리 모양의 돌기가 있어 거칠다. 이 돌기는 털 손질에 도움이 된다. 고양이 혀에는 약 0.5mm 길이의 뒤쪽을 향한 돌기, 즉 혀 유두가 있는데, 이는 케라틴을 함유하여 단단하다.[118] 유두는 솔처럼 작용한다.

많은 고양이들은 다른 고양이나 사람을 단장해 주기도 하는데, 종종 집단의 서열 상에서 우위에 있음을 보여주기 위해 다른 고양이를 핥아 단장해 주기도 한다.[434]

어떤 고양이들은 때때로 이러한 몸단장으로 인하여 위장에 쌓인 털 뭉치를 토해내기도 한다. 이러한 털 뭉치는 특정 고양이 사료나 털제거를 돕는 약, 그리고 이나 로 주기적으로 빗질을 해줌으로써 예방될 수 있다. 특히 장모종 고양이는 위에 모여 있는 털을 2~3cm 길이의 소시지 모양의 털 뭉치로 토해내는 경우가 있다. 털 뭉치는 소화관을 통한 털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치료법과 빗이나 뻣뻣한 브러시로 털을 정기적으로 손질함으로써 예방할 수 있다.[119] 그러나 일각에선 헤어볼 사료에 첨가된 식이섬유가 수분을 흡수해서 고양이의 수분 섭취량을 줄여 장기적이고 점진적인 신장 손상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고양이는 보통 깨어 있는 시간의 30~50%를 털 손질에 사용한다. 몸이 유연하기 때문에 머리 주위를 제외하고는 온몸을 핥아 공기층을 만들어 보온하고, 으로 체온 저하, 청결을 유지한다.[358] 또한, 젖은 털을 말린다. 혀가 닿지 않는 부위(얼굴, 목, 머리 등)는 앞발에 침을 묻혀 닦는다. "고양이가 세수하면 비가 온다"고 하지만, 맑은 날씨에도 얼굴을 닦는다. 발을 핥는 동안 발톱을 물어뜯고 잡아당겨 발톱갈이를 한다.

5. 6. 높은 곳을 좋아하는 습성

고양이는 다른 고양이과 동물들처럼 높은 곳을 좋아하는 습성이 있다고 한다. 그래서 고양이의 습성에 알맞은 장난감은 바로 캣타워이다. 하지만 캣타워를 좋아하지 않는 고양이도 있을 수도 있다. 또, 이 습성 때문에 고양이가 창문 밖으로 뛰어내리는 경우도 있는데 이것을 하이라이즈 신드롬 이라고 한다. 이 상황을 막으려면 창문에 고양이 방충망을 설치해야 한다. 그렇게만 해도 많은 하이라이즈 현상을 막을 수 있다.[89]

5. 7. 물을 조금씩 마시는 습성

고양이는 사람과 달리 땀으로 열을 관리하지 않기 때문에 몸에서 많은 수분을 요구하지 않아 물을 적게 먹는 습성을 가졌다.[62]

5. 8. 창밖을 보는 고양이

고양이를 키우는 사람들 중에는 고양이가 창밖을 내려다보면 나가고 싶어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고양이에게 창밖이란 인간이 TV를 시청하는 것과 같다. 밖에 보이는 새와 곤충들을 보면서 안에서 할 수 없는 사냥 욕구를 창밖을 보면서 해소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고양이가 나가고 싶어 한다고 착각하여 밖에 나가 놀게 해준다면, 영역 동물인 고양이는 낯선 환경의 외부세계에 대해 긴장감이 높아지고, 예민해져 오히려 스트레스를 야기한다고 한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고양이가 실제로 나가고 싶어 하는 것은 아니라고 말한다. 만약 이러한 문제가 있는 고양이가 있다면 외부 세계의 호기심을 집 안에서 풀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게 좋다고 한다.

6. 고양이의 생활

암고양이는 주기적으로 발정을 하는데, 발정 중에 교미를 하지 못하면 다음 발정은 더 빨리 온다. 대체로 이러한 발정은 암고양이가 임신할 때까지 계속된다. 발정은 1년에 몇 번 있으며 3~15일간 계속된다. 임신 기간은 약 9주일이며, 한배에 3~5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갓 태어난 새끼의 몸무게는 보통 약 100g이다. 어미는 새끼들을 핥아 몸을 말리고 호흡과 다른 생체 기능을 자극한다. 건강한 새끼 고양이는 태어난 지 10~14일이면 눈을 뜨고 귀가 들리게 되며, 첫 이빨이 난다. 약 3주 정도면 걷게 되고, 주위를 눈여겨보며 환경에 익숙해진다. 4주면 모든 이가 나고 6주 정도면 완전하게 성숙하여 어미의 보살핌 없이 혼자 살아가게 된다.[435]

출생 후 3시간


5일


2주


8주


고양이는 소리, 몸짓, 냄새 등을 통한 다양한 방법으로 다른 고양이나 동물, 사람과 의사 소통을 할 수 있다. 고양이는 앞 이마와 입 주변, 꼬리 밑동 가까이에 냄새샘이 있다. 이 샘을 이용해 사람이나 물건에 냄새를 묻히는데, 이 냄새는 고양이와 몇몇 다른 동물만이 맡을 수 있다. 수고양이는 오줌을 뿌려 자신의 짝짓기 영역을 표시하는데, 이 냄새는 사람도 맡을 수 있으며 매우 지독하다.

야외 고양이는 낮과 밤 모두 활동적이지만, 밤에 조금 더 활동적인 경향이 있다.[89] 집고양이는 대부분의 시간을 집 주변에서 보내지만, 중심 지점에서 수백 미터까지 활동 범위를 넓힐 수 있다. 고양이의 활동 영역은 매우 다양하며, 한 연구에서는 7ha에서 28ha에 달했다.[90] 고양이의 활동 시간은 유동적이고 다양하지만, 저조도 포식자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박명 활동성을 보인다. 즉, 새벽과 해질녘에 더 활동적이다. 그러나 집고양이의 행동은 사람의 활동에도 영향을 받으며, 어느 정도는 주인의 수면 패턴에 적응할 수 있다.[91][92]

고양이는 다른 동물보다 더 많이 수면을 취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하며, 특히 나이가 들수록 더 그렇다. 하루 수면 시간은 보통 12~16시간이며, 평균 13~14시간이다. 일부 고양이는 최대 20시간까지 잔다. 짧은 휴식을 가리키는 "낮잠"이라는 용어는 고양이가 잠시 동안 (가볍게) 잠드는 것을 말한다. 수면 중 고양이는 근육 경련을 동반하는 짧은 급속 안구 운동 수면을 경험하는데, 이는 꿈을 꾸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93]

털 색깔과 고양이의 행동 및 성격 특성이 일치한다는 것은 일반적인 오해이다. 이러한 특성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 간의 복잡한 상호 작용에 따라 달라진다.[94]

집고양이의 사회적 행동은 넓게 퍼져 사는 개체부터, 협력하는 암컷 집단을 기반으로 먹이 근원 주변에 모이는 들고양이 무리까지 다양하다.[95][96] 이러한 무리 안에서는 보통 한 마리가 다른 고양이들보다 우위를 차지한다.[97] 무리의 각 고양이는 고유한 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성적으로 활동적인 수컷은 암컷보다 약 10배나 큰 영역을 가지고 여러 암컷의 영역과 겹칠 수 있다. 영역은 소변 분무, 얼굴샘 분비물로 머리 높이의 물체를 문지르는 행위, 배설을 통해 표시된다.[98] 영역들 사이에는 고양이들이 영역 다툼 없이 서로를 관찰하고 인사하는 중립 지역이 있다. 중립 지역 밖에서는 영역을 차지한 고양이들이 낯선 고양이를 쫓아내는데, 처음에는 응시, 쉿 소리, 으르렁거림으로 시작하고, 그래도 효과가 없으면 짧고 격렬하며 시끄러운 공격을 한다. 고양이는 사회적 생존 전략이나 무리 행동을 가지고 있지 않지만, 항상 혼자 사냥한다.[130]

인간과 다른 가축과의 근접 생활은 고양이에게 공생적인 사회적 적응을 가져왔고, 고양이는 인간이나 다른 동물에게 큰 애정을 표현할 수 있다. 동물행동학적으로, 고양이의 인간 보호자는 대리 어미 역할을 한다.[99] 성묘는 일종의 연장된 새끼 시절, 즉 행동적 신생아화의 형태로 삶을 산다. 고양이의 높은 울음소리는 배고픈 인간 아기의 울음을 모방하여 무시하기 어렵게 만든다.[100] 일부 애완묘는 사회화가 제대로 되지 않은 경우가 있다. 특히 나이든 고양이는 새로 온 새끼 고양이에게 물고 할퀴는 등의 공격성을 보이는데, 이러한 행동은 고양이 비사회적 공격성으로 알려져 있다.[101]

전이 공격성은 다묘 가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일반적인 공격성의 형태이다. 전이 공격성의 경우, 고양이를 자극하는 것이 있는데, 이것은 시각, 청각 또는 불안감이나 흥분을 유발하는 다른 자극일 수 있다. 고양이가 자극을 공격할 수 없다면, 가장 가까운 고양이, 애완동물, 인간 또는 다른 존재를 공격하거나 공격성을 돌려 분노를 표출할 수 있다.[102][103]

집고양이의 인간이나 다른 고양이에 대한 냄새 문지르기 행동은 고양이의 사회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수단으로 여겨진다.[104]

생후 얼마 안 된 새끼 고양이는 스스로 배설을 할 수 없고, 어미 고양이가 배설기를 핥아 자극하여 대변과 소변을 배설시키고 어미 고양이가 먹는다. 따라서 어미로부터 떨어진 새끼 고양이를 사람이 기르는 경우에는 배설을 도와주어야 한다. 미지근한 물을 적신 거즈로 항문을 자극하거나 손가락으로 가볍게 두드리면 배설을 한다. 싱크대 등에서 미지근한 물을 흘리면서 젖은 손가락으로 항문을 자극하면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다. 특히 인공젖을 먹이는 새끼 고양이는 배설량이 많기 때문에 자주 해 줄 필요가 있다. 생후 1~1.5개월에 화장실에서 배설 훈련을 시작한다.[308]

안전한 환경과 충분한 먹이가 있는 고양이는 잘 잔다. 사진은 애완용 침대에서 서로 몸을 기대고 자는 세 마리 고양이들이다.


가끔 눈을 뜨면 어미 고양이의 젖을 빤다.


고양이의 어원이 '寢子(침자)'라는 설도 있을 정도로[352] 집고양이의 수면 시간은 사람에 비해 길다. 일반적으로 고양이는 하루의 대부분을 잠을 자는 데 보낸다. 고양이 사육법 책에서는 보통 14시간 또는 16시간 정도로 설명하는 경우가 많다. "긴 경우 20시간 정도 잔다"는 설명도 많다.[353] 수면 시간이 긴 것은 고양잇과 동물, 육식동물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이다. 초식동물에 비해 먹이를 얻을 기회가 적은 반면, 그 먹이는 초식동물보다 고칼로리이며, 일단 먹이를 얻으면 당분간 먹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아무것도 하지 않는 시간은 잠을 자 칼로리 소모를 억제한다고 생각된다.

외부 방문객이 적은 주택에서 가족이나 이웃에게 귀여움을 받고, 먹이가 충분히 공급되는 안전한 환경이라면 고양이는 하루 20시간 가까이 잠만 잔다. 애완동물로 기르는 고양이는 먹이를 찾으러 갈 필요가 없고, 안전한 잠자리도 확보되어 있으므로, 특별히 할 일이 없어 안심하고 잠을 계속 잘 수 있다. 자는 동안 가끔 경련하거나 울음소리를 내기도 하는데, 꿈을 꾸기 때문이다. 주로 새끼 고양이 시절의 꿈(어미 고양이의 젖꼭지를 빨고 있는 장면)이나 사냥을 하고 있을 때의 꿈을 꾼다고 알려져 있다.

사람과 함께 실내에서 사는 새끼 고양이는 특히 수면 시간이 길며, 서적에서는 20시간 정도로 설명하는 경우가 많다. 거의 잠만 자고, 가끔 눈을 뜨면 어미 고양이의 을 빨고, 그 후 조금 놀았나 싶으면 바로 다시 잠들어 버리는 상태이다. 또한 새끼 고양이의 경우 대부분이 렘수면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렇기 때문에 부르거나 만지면 깨는 경우가 있다.

길고양이는 외부의 적에 대한 경계를 게을리 할 수 없기 때문에, 사람에게 길러지는 고양이보다 수면 시간이 훨씬 짧아지고, 잠도 얕다.

배를 바닥에 대고, 네 발을 접고, 꼬리를 몸 쪽으로 당긴 상태에서 등을 구부리고 웅크리는 고양이의 자세를 '香箱(향상)을 만든다'(香箱앉기)라고 표현한다. 향상자 뚜껑의 둥글게 부풀어 오른 등의 형태에서 유래했다. 향상자 앉기는 앞발을 완전히 접고 있기 때문에, 특히 편안한 상태이다.

반면 완전 실내 사육 고양이의 경우에는 외부의 적에 대한 경계가 필요 없기 때문에, 仰向け(앙와위) 또는 그에 가까운 자세로 편안하게 자는 경우도 볼 수 있다. 같은 고양잇과 야생동물에서도, 마찬가지 자세가 생태계의 정점에 위치하여 천적이 없는 사자에게서 볼 수 있다.

7. 계통 분류

다음은 고양이과의 계통 분류이다.[436]

계통 분류


8. 고양이의 품종

집고양이, 특히 어린 새끼 고양이는 놀이를 좋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행동은 사냥을 모방하며, 새끼 고양이가 먹이를 추적하고, 포획하고, 죽이는 법을 배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146] 고양이는 사람이나 다른 고양이와 함께 장난 싸움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행동은 고양이가 실제 전투에 필요한 기술을 연습하는 방법일 수 있으며, 다른 동물을 공격하는 것과 관련된 두려움을 줄일 수도 있다.[147]

고양이는 배가 고플 때 장난감으로 더 많이 놀곤 한다.[148] 놀이와 사냥의 유사성 때문에 고양이는 빠르게 움직이는 작은 털 장난감과 같이 먹이와 비슷한 물체로 노는 것을 선호하지만, 금방 흥미를 잃는다. 그들은 이전에 가지고 놀았던 장난감에 익숙해진다.[149] 실은 종종 장난감으로 사용되지만, 고양이가 삼키면 고양이의 혀 바닥에 걸린 후 으로 이동하여 심각한 질병, 심지어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는 의료적 응급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150]

14주 된 새끼 고양이의 장난 싸움

9. 문화

고양이는 인류로부터 오랫동안 반려동물사랑받아 왔다. 고대 이집트벽화에는 고양이를 사냥에 이용하는 그림이 있지만, 고양이와 인간의 공생관계는 농경의 발달로 이집트 문명이 발생했을 무렵 곡식을 저장하는 창고에 모여든 를 잡으러 따라간 것이 시작으로 알려져 있다. 때문에 고양이는 길들여진 동물인 가축의 특성을 전혀 지니고 있지 않으며, 가축이라기보다는 인간과 공생관계라고 보는 것이 맞다. 이후 아라비아 상인들의 실크로드를 통해 유럽과 아시아 전역으로 퍼져나갔으며, 항해를 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어 인간과 함께 항해를 동행하면서 전 세계로 퍼져나갔다. 중국의 십이지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베트남네팔에서는 토끼 대신 고양이가 십이지 중 하나다.

북악산의 고양이


대한민국에서는 고양이를 ‘요물’로 취급하고 있으나, 이는 요괴마녀라는 인식을 두고 있다. 사냥의 습성이 강하다는 본능을 가지고 있고 충성심도 부족하다는 느낌이 있는 사악한 동물로 여겨져 올 정도로 여우와 같은 두려운 존재로 여겨진다.[437] 그러나 벵갈 고양이 등은 충성심이 강하다.

러시아에는 새로 이사한 집에 고양이(길고양이 포함)가 드나들면 행운이 생긴다는 미신이 있다. 그래서 러시아 사람들은 이사를 하면 고양이들이 드나들기를 빌기도 한다. 이를 위해서 러시아 국영은행에서 고양이 대출 시스템이 있는데 10개의 종 중 하나를 빌릴 수 있다. 단 2시간 동안 빌릴 수 있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고양이를 풍요의 여신 바스테트의 화신이라 믿었다. 사람처럼 고양이도 죽으면 미라로 만드는 관습이 있었다.

일본에서는 마네키네코(복고양이)라는 도자기 장식품이 있다. 서양의 민간전승에서는 걸어다니고 말을 하는 고양이를 카트시라고 한다. 영어 속담 중에는 '고양이의 목숨은 9개나 있다'라는 속담이 있다. 그래서 대한민국에서는 9월 9일을 '고양이의 날'로 정했다. 9월 9일의 뜻은 '고양이는 목숨이 9개다.'라는 속담에서 따왔다. 9개의 목숨만큼 질기고 강한 생명력으로 살아남길 기원하는 '아홉 구(九)'와 아프지 않고 오래 주어진 삶을 누리길 응원하는 '오랠 구(久)'가 담겨져 있다. 그리고 일본에서 인기가 많은 만화나 애니메이션에 종종 나오는 주로 여성 캐릭터가 착용하며, 다소 모에스러운 느낌을 주는 네코미미가 있다. 또한 베트남의 12띠는 토끼띠 대신 고양이띠가 있다.

서양에서는 검은 고양이를 불길한 징조로 여긴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고양이가 숭배의 대상이었으며, 고양이 모습으로 묘사되는 여신 바스테트는 때로는 사자와 같은 전투적인 모습을 취하기도 했다. 그리스 역사가 헤로도토스는 고양이를 죽이는 것이 금지되었고, 집고양이가 죽으면 온 가족이 애도하며 눈썹을 밀었다고 전했다. 가족들은 죽은 고양이를 신성한 도시 부바스티스로 가져가 미라로 만들어 신성한 장소에 묻었다. 헤로도토스는 이집트의 집고양이에 놀라움을 표했는데, 그 이전까지는 야생 고양이만 보았기 때문이다.[229]

고대 그리스와 로마인들은 설치류를 잡는 데 이상적인 동물로 여겨 족제비를 애완동물로 길렀다. 그리스인들이 집고양이를 기르고 있었다는 가장 명확한 초기 증거는 기원전 5세기 중반의 마그나 그라이키아에서 나온 두 개의 동전으로, 각각 레기온과 타란토의 전설적인 창시자 이오카스토스와 팔란토스가 애완 고양이와 함께 노는 모습이 새겨져 있다. 고대 그리스어에서 '고양이'를 뜻하는 일반적인 단어는 였으며, '흔들리는 꼬리를 가진 것'이라는 뜻이다. 고양이는 고대 그리스 문학에서 거의 언급되지 않는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동물지''에서 "암컷 고양이는 본능적으로 음탕하다"고 언급했다. 그리스인들은 나중에 자신의 여신 아르테미스를 이집트 여신 바스테트와 동일시하여 바스테트가 고양이와 관련된 속성들을 아르테미스에게 적용했다.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에서 신들이 이집트로 피신하여 동물의 형상을 취할 때, 여신 디아나는 고양이로 변한다.[230][231]

결국 고양이는 집에서 기르기에 더 쾌적하고 쥐 사냥에도 더 열정적이었기 때문에 해충 구제 수단으로 족제비를 대체했다. 중세 동안 아르테미스와 관련된 고양이에 대한 많은 속성들이 성모 마리아에게 이어졌다. 고양이는 수태고지와 성가족의 이콘에 자주 등장하며, 이탈리아 민속 신화에 따르면 마리아가 예수를 낳은 밤 베들레헴의 고양이도 새끼 고양이를 낳았다고 한다.[232] 집고양이는 대항해 시대 동안 선박의 쥐를 잡고 행운의 부적으로 여겨져 배의 고양이로 범선에 실려 전 세계로 퍼져나갔다.[38]

몇몇 고대 종교에서는 고양이를 높은 영혼, 인간의 동반자 또는 안내자로 믿었으며, 모든 것을 아는 존재이지만 침묵하여 인간의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없다고 여겼다. 일본에서는 고양이가 행운의 상징이다.[233] 노르드 신화에서 사랑, 아름다움, 다산의 여신 프레이야는 고양이가 끄는 마차를 타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234] 유대인 전설에서 첫 번째 고양이는 아담의 집에 살면서 를 잡는 애완동물이였다. 고양이는 한때 첫 번째 개와 함께 협력했지만, 후자가 맹세를 어기면서 두 동물의 후손 사이에 적대감이 생겼다. 또한 고양이나 여우는 물속에 나타나지 않지만, 다른 모든 동물은 물속에 화신 종이 있다고도 기록되어 있다.[235] 이슬람교에서는 어떤 종도 신성시하지 않지만, 고양이는 무슬림들에게 존경받는 동물이다. 일부 서구 작가들은 무함마드가 ''무에자''라는 애완 고양이를 매우 좋아했다고 주장한다.[236] 그는 고양이를 매우 사랑해서 "고양이가 자고 있는 겉옷 위에 눕기보다는 겉옷 없이 있겠다"고 했다고 한다.[237] 이 이야기는 초기 무슬림 작가들의 글에는 없으며, 무함마드보다 수세기 후의 수피 성인 아흐메드 알리파이의 이야기를 혼동한 것으로 보인다.[238] 무함마드의 동료 중 한 명은 고양이에 대한 애정으로 유명한 아부 후라이라("새끼 고양이의 아버지")로 알려져 있다.[239]

1903년 에블린 드 모건(Evelyn De Morgan)이 그린 그림 ''사랑의 묘약(The Love Potion)'', 마녀와 검은 고양이를 묘사하고 있음


많은 문화권에서 고양이에 대한 부정적인 미신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검은 고양이를 만나는 것(길을 건너는 것)이 불운을 가져온다는 믿음이나, 고양이가 마녀의 식신으로서 마녀의 힘과 기술을 증폭시키는 데 사용된다는 믿음 등이 있다. 중세 시대 벨기에의 이프르에서 고양이를 죽인 사건은 오늘날 무해한 카텐스토에트(Kattenstoet)(고양이 퍼레이드)로 기념된다.[241] 16세기 중반 프랑스에서는 특히 한여름 축제 기간 동안 고양이를 산 채로 태우는 것이 오락의 한 형태였다. 노먼 데이비스(Norman Davies)에 따르면, 모인 사람들은 "고통스러워하며 울부짖는 동물들이 그을리고, 구워지고, 마침내 탄화되는 것을 보고 웃음을 터뜨렸다."라고 한다.[242] 남은 재는 때때로 사람들이 행운을 빌며 집으로 가져가기도 했다.[243]

많은 문화권의 신화에 따르면, 고양이는 여러 개의 목숨을 가지고 있다. 많은 국가에서는 고양이가 아홉 개의 목숨을 가지고 있다고 믿지만, 이탈리아, 독일, 그리스, 브라질 및 일부 스페인어권 지역에서는 일곱 개의 목숨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244][245] 아랍 전통에서는 여섯 개의 목숨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246] 이 신화에 대한 초기 언급은 존 헤이우드(John Heywood)의 ''존 헤이우드의 속담(The Proverbs of John Heywood)''(1546)에서 찾아볼 수 있다.[247]

이 신화는 고양이가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해 보이는 자연스러운 유연성과 민첩성 때문이라고 한다.[248] 또한 이 신화에 대한 신빙성을 더하는 것은 고양이가 떨어질 때 종종 발을 먼저 짚고 착지하는데, 이는 본능적인 자세 교정 반사를 이용하여 몸을 돌리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양이는 높은 곳에서 떨어져 부상을 입거나 죽을 수 있다.[249]

인류와 고양이의 역사 기록은 고양이의 가축화가 인정되는 고대 이집트부터 시작되며,[376] 관련 문화, 풍습, 창작물, 또는 일상생활 및 사회적 관계에 대해서는 “고양이의 문화”에서 설명한다.

일본에서는 울음소리의 말장난(냐-냐-냐)으로 인해 펫푸드협회의 제정에 따라 2월 22일이 고양이의 날로 지정되었다.[377][378]

10. 인간과의 상호작용

고양이는 인류로부터 오랫동안 반려동물사랑받아 왔다. 고대 이집트벽화에는 고양이를 사냥에 이용하는 그림이 있을 정도다. 고양이와 인간의 공생 관계는 농경이 발달하면서 이집트 문명이 발생했을 무렵, 곡식 창고에 모여든 를 잡기 위해 고양이가 따라간 것이 시작으로 알려져 있다. 고양이는 가축의 특성을 전혀 지니고 있지 않으며, 가축이라기보다는 인간과 공생 관계라고 보는 것이 맞다.[437] 이후 아라비아 상인들의 실크로드를 통해 유럽과 아시아 전역으로 퍼져나갔으며, 항해에도 도움이 되어 인간과 함께 전 세계로 퍼져나갔다. 중국의 십이지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베트남네팔에서는 토끼 대신 고양이가 십이지 중 하나이다.

대한민국에서는 고양이를 ‘요물’로 취급하는 인식이 있었는데, 이는 요괴마녀라는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고양이는 사냥 습성이 강하고 충성심도 부족하다는 느낌 때문에 여우와 같은 두려운 존재로 여겨지기도 했다.[437] 그러나 벵갈 고양이 등은 충성심이 강하다.

러시아에는 새로 이사한 집에 고양이(길고양이 포함)가 드나들면 행운이 온다는 미신이 있다. 그래서 러시아 사람들은 이사를 하면 고양이들이 드나들기를 바라기도 한다. 이를 위해 러시아 국영은행에서 고양이 대출 시스템을 운영하기도 하는데, 10개 품종 중 하나를 2시간 동안 빌릴 수 있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고양이를 풍요의 여신 바스테트의 화신으로 여겼다. 사람처럼 고양이도 죽으면 미라로 만드는 관습이 있었다.

일본에서는 마네키네코(복고양이)라는 도자기 장식품이 있다. 서양 민간전승에서는 걸어 다니고 말하는 고양이를 카트시라고 한다. 영어 속담 중에는 '고양이 목숨은 9개'라는 속담이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9월 9일을 '고양이의 날'로 정했는데, 이는 '고양이는 목숨이 9개다.'라는 속담에서 따온 것이다. '아홉 구(九)'는 질기고 강한 생명력을, '오랠 구(久)'는 아프지 않고 오래 살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고 있다. 일본 만화나 애니메이션에는 네코미미라는 고양이 귀 모양 장식이 등장하기도 한다. 베트남의 12띠는 토끼띠 대신 고양이띠가 있다.

서양에서는 검은 고양이를 불길한 징조로 여기기도 한다.

긴털 칼리코 고양이가 바닥에 앉은 남자의 무릎에 앉아 있다.
남자의 무릎에 누워있는 고양이


고양이는 전 세계적으로 흔한 애완동물이며, 2007년 기준 전 세계 고양이 개체 수는 5억 마리를 넘었다.[198] 2017년 미국에서 고양이는 9,560만 마리가 사육되었고,[199][200] 약 4,200만 가구가 적어도 한 마리 이상의 고양이를 기르는 등 두 번째로 인기 있는 애완동물이었다.[201] 영국에서는 성인의 26%가 고양이를 키우며, 2020년 기준 애완 고양이 수는 약 1,090만 마리로 추산된다.[202] 2021년 기준으로 전 세계적으로 약 2억 2천만 마리의 사육 고양이와 4억 8천만 마리의 길고양이가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203]

고양이는 수천 년 동안 설치류를 퇴치하는 데 사용되어 왔으며, 특히 곡물 저장고 주변과 선박에서의 사용은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204][205] 고양이는 국제적인 모피 무역[206] 및 가죽 산업에서 코트, 모자, 담요, 봉제 장난감,[207] 신발, 장갑, 악기 제작 등에 사용되기도 한다.[208] 고양이 모피 코트 하나를 만드는 데 약 24마리의 고양이가 필요하다.[209] 이러한 용도는 2000년 미국과 2007년 유럽 연합(영국 포함)에서 금지되었다.[210] 고양이 가죽은 마법의 일부로 미신적인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211] 스위스에서는 류머티즘 치료 민간 요법으로 여겨지는 담요로 만들어지기도 한다.[212]

칼리코 고양이를 안고 있는 남자


캐나다 인도적 사회 연합[213] 등 여러 기관에서 고양이 개체 수 조사를 위한 시도가 있었다.[214][215] 가정 고양이의 세계적인 개체 수 추정치는 2억 마리에서 6억 마리까지 다양하다.[216][217][218][219][220] 월터 찬도하는 1949년 길고양이 "Loco" 사진을 발표한 후 고양이 사진작가로 활동했다. 그는 9만 마리의 고양이 사진을 찍었고, 22만 5천 장의 이미지를 보관했다.[221]

애완동물 인간화는 고양이를 가족 구성원처럼 대하는 의인화의 한 형태이다.[222] 이러한 애완동물 문화는 고양이에게 더 높은 수준의 보살핌, 관심, 사치스러운 것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223]

고양이 쇼는 고양이 주인들이 고양이를 출품하여 혈통 표준에 따라 심사받고 타이틀을 획득하기 위해 경쟁하는 이벤트이다.[224] 고양이 쇼 참가를 위해서는 고양이가 건강하고 예방 접종을 받아야 하는 경우가 많다.[224] 혈통서가 있는 고양이와 없는 반려묘("믹스묘") 모두 허용되지만, 규정은 기관에 따라 다르다. 경쟁하는 고양이는 품종 표준과 비교되고 기질이 평가된다.[224]

고양이는 인간에게 질병을 옮길 수 있는 바이러스, 세균, 균류, 원생동물, 절지동물, 벌레에 감염될 수 있다.[227] 어떤 경우에는 고양이가 질병 증상을 보이지 않을 수도 있지만,[225] 같은 질병이 인간에게 나타날 수 있다.[226] 감염 가능성은 사람의 나이와 면역 상태에 따라 다르다. 고양이와 함께 살거나 가까이 지내는 사람들이 감염될 가능성이 높다. 고양이 배설물이나 기생충으로부터 감염될 수도 있다.[227][228] 주요 감염에는 살모넬라증, 고양이 할퀴기병, 톡소플라스마증 등이 있다.[225]

고양이는 포유류 중에서도 높은 지능을 가진 종류에 속하며,[299] 인간과의 의사소통도 잘 할 수 있다는 점이 개와 함께 애완동물로서의 지위를 얻게 된 요인이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고양이는 주인의 목소리와 모르는 사람의 목소리를 구분할 뿐만 아니라, 주인이 자신에게 말할 때의 목소리까지 구분한다.[300] 반복해서 가르치면 "밥", "간식" 등 간단한 말을 구분하고 이해하는 개체도 있다. "고양이는 영리하고, 개는 똑똑하다"라는 말은 지능보다는 순종성을 의미한다. 메인쿤 같은 대형종은 인간에게 순종적이며 개처럼 행동하기도 한다.

2019년 연구에 따르면, 고양이는 익숙한 사람보다 자신에게 관심을 보이는 사람과 더 오래 접촉한다.[365] 사이토 지코(齋藤慈子)의 연구에 따르면, 고양이는 사람의 제스처를 이해하고 자신의 이름을 구분한다.[366] 함께 사는 사람의 생활주기에 적응할 수 있으며, 고양이가 새벽에 주인을 깨우는 이유는 아침에 먹이를 주는 것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고양이에게 먹이를 주는 것은 행동에 대한 보상이며, 반복될 가능성을 높인다"라고 오스트레일리아 애들레이드 대학교 수의학부 수석 강사인 Susan Hazel은 설명했다. 또한 주인이 여행, 이사 등으로 일상을 유지하지 못하고 스트레스를 받거나, 고양이 자체가 에너지가 넘쳐서 새벽에 주인을 깨울 수 있다고 지적한다.[367][368]

인류와 고양이의 역사 기록은 고양이 가축화가 시작된 고대 이집트부터이며,[376] 관련 문화, 풍습, 창작물 등은 “고양이의 문화”에서 설명한다.

일본에서는 울음소리(냐-냐-냐)로 인해 펫푸드협회 제정 2월 22일이 고양이의 날로 지정되었다.[377][378]

영국과 미국에서는 개와 고양이 사육 두수가 거의 같으며, 미국에서는 30% 이상, 유럽에서는 24% 이상 가정에서 고양이를 사육하고 있으며, 이 수치는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다.[383]

일본에서도 개와 함께 애완동물로 사육되고 있다. 일본 애완동물식품협회 조사에 따르면, 2016년에는 984.7만 마리였다.[379] 이 수치는 개 987.8만 마리보다 약간 적었다. 그러나 2017년에는 고양이 952.6만 마리, 개 892.0만 마리로 역전되었다.[380] 이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사육 용이성[381]2010년대 "고양이 경제" 붐의 영향이다.

이슬람권에서는 무함마드가 고양이를 사랑했다는 순나가 남아 있어 귀하게 여겨지며, 애완동물로도 인기가 있다("이슬람교와 고양이" 참조).[382]

애완동물로서 세계에서 사육되고 있는 고양이의 수[383][384]
국가마릿수(만 마리)
이탈리아600
스페인170
벨기에160
스웨덴110
네덜란드220
독일500
프랑스840
영국690
미국6000
일본985
호주280
덴마크60



고양이는 자신의 눈높이보다 크고 높은 것을 무서워하는 경향이 있다. 인간은 고양이에게 경계 대상이 될 수 있지만, 개체 성격이나 신뢰 관계에 따라 도망치지 않는 경우도 있다.[385] 고양이는 쓰다듬을 때 만져도 되는 부위와 안 되는 부위를 행동으로 보여준다.

영국 노팅엄 트렌트 대학교의 로런 핀카(Lauren Finka) 교수는 "모든 고양이는 개성이 있으며, 인간과 어떻게 교류할 것인가에 대해 특정한 취향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최대한 편안하게 지내고 각각의 필요가 충족되도록 하기 위해 따라야 할 일반 원칙도 있다"라고 설명한다.[386]

컴퓨터 작업을 방해하는 고양이


고양이는 주인이 컴퓨터 작업 등을 할 때 방해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주인을 의존하거나, 주인이 자신을 잊고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불안감 때문으로 설명된다. 주인의 시선이 향하는 곳에 앉거나, 작업을 방해하는 장난으로 관심을 끌면 고양이는 안심한다. 주인이 열중하는 것에 고양이도 궁금해하는 심리가 작용하며, 특히 컴퓨터 조작은 손가락 움직임에 눈길이 가거나 놀이로 착각하여 장난을 치기도 한다. 고양이는 주인의 행동을 잘 관찰하고 반응한다.[387]

11. 멸종위기종과 고양이



섬에서는 조류가 고양이 식단의 최대 60%를 차지할 수 있다.[190] 거의 모든 경우에 고양이를 섬 조류 개체 수 감소의 유일한 원인으로 단정 지을 수 없으며, 어떤 경우에는 고양이 퇴치가 "중간 포식자 증가" 효과를 초래했다.[191] 즉, 최상위 포식자의 억제는 더 작은 포식자의 번성으로 이어져, 이들이 공유하는 먹이가 심각하게 감소하는 결과를 낳는다. 집고양이는 여러 종의 감소에 기여하는 요인이며, 어떤 경우에는 멸종으로 이어진 요인이기도 하다. 남섬피오피오(Turnagra capensis), 채텀뜸부기(Rallus modestus),[142] 뉴질랜드흰뺨오리(New Zealand merganser)[192]는 멸종 위기에 처한 종들의 일부 예시이며, 가장 극단적인 경우는 발견된 지 몇 년 만에 멸종된 비행 능력이 없는 라이얼참새(Lyall's wren)이다.[193][194] 뉴질랜드의 한 길고양이는 7일 만에 102마리의 뉴질랜드소형짧은꼬리박쥐를 죽였다.[195] 미국에서는 길고양이와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집고양이가 매년 약 63억~223억 마리의 포유류를 죽이는 것으로 추산된다.[140]

호주에서는 한 연구에서 길고양이가 매년 4억 6600만 마리의 파충류를 죽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양이에게 포식당하는 것으로 확인된 파충류 종은 258종이 넘는다.[196] 고양이는 나바사곱슬꼬리도마뱀과 ''키오니니아 코크테이(Chioninia coctei)''의 멸종에 기여했다.[197]

현대에 거의 전 세계적으로 존재하는 집고양이는 인위적으로 퍼져나간 것이며, 각 지역의 생태계에서 외래종인 집고양이는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이 선정한 「세계 침입종 100선」에도 포함되어 있다.[388][389][390] 인간에 의해 유입된 고양이가 지역의 고유종을 포함한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는 사례가 있다.

생물 멸종의 주요 원인은 인간에 의한 서식지 파괴, 환경 오염, 남획이지만,[391] 생물다양성 위기와 관련하여,[391] 2010년대에 들어 고양이가 전 세계적으로 자연 보전에 있어 위협적인 존재임이 과학적으로 밝혀지고 있다.[392] 고양이는 사람이 모이는 지역에서 서식 밀도가 높으며, 같은 크기의 야생 포식자보다 10배에서 100배에 달하는 경우도 있어 그 영향력은 자연계 포식동물보다 크다. 전 세계의 에서 멸종한 조류, 포유류, 파충류의 14%가 고양이가 주요 원인으로 멸종한 것으로 나타났으며,[392] 이는 포식에 의한 멸종의 26%에 해당한다.[391]

집고양이는 원래 사냥을 하는 동물이기 때문에 충분히 먹이를 공급받았더라도 야생 생물을 포획한다.[392] 조지아 대학교의 소니아 에르난데스(Sonia Hernandez)가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매일 먹이를 주는 31마리의 길고양이에 카메라를 부착하여 추적한 결과, 그 중 18마리가 하루 평균 6.15마리의 희귀종 쥐를 포획했다.[392] 미국에서는 고양이에 의해 매년 1억 마리의 작은 새가 포획된다는 연구 결과도 나와 있다.[393]

일본에서는 오키나와현의 얀바루쿠이나나 가고시마현 아마미오섬의 아마미검은토끼 등의 희귀종이 들고양이에 포식되어 문제가 되고 있다.[394][395][396] 도쿄도의 오가사와라 제도에서는 들고양이에 의해 해당 지역을 번식지로 하는 가다랑어잡이새와 해당 지역에서만 볼 수 있는 멸종위기종인 아카가시라카라스바토 등이 습격당했지만, 들고양이를 포획하여 해당 지역에서 제거함으로써 아카가시라카라스바토의 개체 수를 회복시켰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천적이었던 고양이가 없어짐으로써 외래종인 쥐가 증가하여 고유종 식물이 피해를 입어 개체 수가 감소하게 되었다.[397][398] 뉴질랜드에서도 희귀종 보호를 목적으로 고양이만을 제거함으로써, 마찬가지로 희귀종의 천적이었던 외래종 쥐가 증가하여 희귀종 보호로 이어지지 않은 사례가 있다. 따라서 대책에 대해서는 각각의 환경을 정밀하게 조사하여 고양이뿐만 아니라 중간 포식자에 대한 대책도 병행하는 등 효과적인 접근 방식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395] 또한, 아마미오섬에서는 고양이 포획 사업에서 설치한 고양이용 올무에 보호 대상인 희귀 동물이 걸려 죽은 사례가 있어 포획 방법을 재검토하게 되었다.[399]

한편, 오키나와현 이리오모테섬에서는 들고양이에서 이리오모테야마묘로의 고양이 에이즈 감염이 우려되었기 때문에,[400][401] 들고양이를 포획한 후 입양처를 찾아 양도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395]

뉴질랜드의 스티븐스섬 사례에서는, 고유종인 스티븐스섬종지휘새의 마지막 한 마리가 등대지기가 사육하던 한 마리의 집고양이에 의해 포식되어 멸종했다. 그러나 원래 스티븐스섬종지휘새는 선사시대에는 뉴질랜드 전역에 서식했지만,[402][403][404] 마오리와 함께 뉴질랜드에 도착한 폴리네시아쥐의 포식에 의해 19세기 시점에서는 스티븐스섬에서 집고양이가 멸종시킨 15마리만 확인되었다.[405]

또한, 스코틀랜드나 헝가리에도 유사한 문제가 있지만, 포획이나 포식에 의한 영향뿐만 아니라, 스위스의 야생 고양이와 집고양이처럼 근연종과의 잡종화에 의한 고유종 멸종도 우려되고 있다.[406]

참조

[1] 서적 Systema regni animalis per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varietates cvm synonymia et historia animalivm. Classis I. Mammalia Weygandt 1777
[2] 서적 English Words and Their Background D. Appleton and Company 1923
[3] 서적 Les origines indo-européennes ou les Aryas primitifs : essai de paléontologie linguistique Joël Cherbuliez 1859
[4] 서적 Die antike Tierwelt Walther von Wartburg 1909
[5] 서적 Classical Arabic Humanities in Their Own Terms: Festschrift for Wolfhart Heinrichs on his 65th Birthday Brill 2020-10-25
[6]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Proto-Germanic Brill Publishers 2013
[7] 웹사이트 Puss http://www.oed.com/v[...] Oxford University Press 2012-10-01
[8] 서적 Webster's Encyclopedic Unabridged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Gramercy (Random House) 1996
[9] 웹사이트 tom cat, tom-cat http://www.oed.com/v[...] Oxford University Press 2012-10-01
[10] 웹사이트 gib, n.2 http://www.oed.com/v[...] 2012-10-01
[11] 웹사이트 queen cat http://www.oed.com/v[...] 2012-10-01
[12] 웹사이트 Cat Parenting 101: Special Considerations for Your Female Cat https://www.prettyli[...] 2024-05-01
[13] 웹사이트 7 fascinating facts about female cats https://www.cats.org[...] 2024-04-30
[14] 웹사이트 catling http://www.oed.com/v[...] 2012-10-01
[15] 웹사이트 What do you call a group of ...? http://oxforddi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2-10-01
[16] 웹사이트 Terms we use for cats https://www.humaneso[...] 2024-08-02
[17] 서적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Laurentii Salvii 1758
[18] 간행물
[19] 학술지 The Black Wild Cat of Transcaucasia https://archive.org/[...]
[20] 서적 Catalogue of the Specimens of Caucasian Large Mammalian Fauna in the Collection http://caucasian-lar[...] National Museum of Georgia 2019-01-19
[21] 학술지 Opinion 2027 https://archive.org/[...] International Commission on Zoological Nomenclature
[22] 학술지 The naming of wild animal species and their domestic derivatives http://www.rhinoreso[...] 2019-01-19
[23] 학술지 In the Light of Evolution III: Two Centuries of Darwin Sackler Colloquium: From Wild Animals to Domestic Pets – An Evolutionary View of Domestication
[24] 간행물
[25] 학술지 A revised taxonomy of the Felidae: The final report of the Cat Classification Task Force of the IUCN Cat Specialist Group https://repository.s[...] 2018-12-21
[26] 학술지 Phylogenetic Reconstruction of the Felidae Using 16S rRNA and NADH-5 Mitochondrial Genes https://zenodo.org/r[...] 2018-10-01
[27] 학술지 The late Miocene radiation of modern Felidae: A genetic assessment https://zenodo.org/r[...] 2018-10-01
[28] 학술지 Phylogenomic evidence for ancient hybridization in the genomes of living cats (Felidae)
[29] 학술지 Phylogeny and speciation of Felids
[30] 학술지 The genome phylogeny of domestic cat, red panda and five Mustelid species revealed by comparative chromosome painting and G-banding
[31] 학술지 Initial sequence and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at genome
[32] 서적 The Cat in ancient Egypt, illustrated from the collection of cat and other Egyptian figures form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40
[33] 서적 The Cat in Ancient Egypt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97
[34] 학술지 Early taming of the cat in Cyprus
[35] 학술지 The Near Eastern Origin of Cat Domestication
[36] 논문 The taming of the cat
[37] 논문 The palaeogenetics of cat dispersal in the ancient world https://research.rug[...] 2021-10-18
[38] 논문 An archaeological and historical review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Felids and people
[39] 논문 The wildcat in central-northern Italian peninsula: a biogeographical dilemma https://cloudfront.e[...] 2019-08-29
[40] 논문 Zooarchaeology and the biogeographical history of the mammals of Corsica and Sardinia since the last ice age
[41] 논문 Earliest 'domestic' cats in China identified as leopard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42] 논문 Evidence suggesting pre-adaptation to domestication throughout the small Felidae https://www.gwern.ne[...] 2019-10-10
[43] 논문 Feral cats: Their role in the population dynamics of ''Felis catus'' https://www.gwern.ne[...]
[44] 논문 The taxonomic status of black wild felids in Scotland
[45] 서적 Feline Husbandry: Diseases and management in the multiple-cat environment American Veterinary Publications 1991
[46] 논문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omestic cat genome reveals genetic signatures underlying feline biology and domestication
[47] 논문 The ascent of cat breeds: Genetic evaluations of breeds and worldwide random-bred populations
[48] 논문 Wild or domestic? Biometric variation in the cat ''Felis silvestris'' http://eprints.white[...] 2019-01-20
[49] 서적 Wild Cats of the World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2
[50] 서적 Study of the Cat with Reference to Human Beings Cengage|Thomson Learning/Cengage 1982
[51] 웹사이트 Cat Skeleton http://bioweb.uwlax.[...]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2012-09-07
[52] 서적 The Cat: Its behavior, nutrition, and health Iowa State University Press 2003
[53] 서적 Structure, Function, and Evolution of Teeth Freund Publishing House 1992
[54] 서적 The New Basic Book of the Cat https://archive.org/[...] Scribner's 1978-01-01
[55] 서적 Biology and Conservation of wild felids Oxford University Press 2019-10-10
[56] 논문 Outline of cat lessons https://books.google[...] 2020-06-05
[57] 논문 The structure of the cornified claw sheath in the domesticated cat (''Felis catus''): Implications for the claw-shedding mechanism and the evolution of cornified digital end organs
[58] 논문 Heredity of polydactyly in the cat
[59] 논문 Point mutations in a distant sonic hedgehog cis-regulator generate a variable regulatory output responsible for preaxial polydactyly
[60] 논문 VII — On the external characters of the Felidæ https://archive.org/[...]
[61] 서적 Outwitting Cats https://archive.org/[...] Globe Pequot 2004
[62] 논문 The neurology of balance: Function and dysfunction of the vestibular system in dogs and cats 2010-09
[63] 논문 The labyrinthine posture reflex (righting reflex) in the cat during weightlessness https://spacemedicin[...] 2019-04-27
[64] 웹사이트 How does a cat always land on its feet? http://helix.gatech.[...]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2007-05-15
[65] 논문 Falling cats, parallel parking, and polarized light http://philsci-archi[...] 2022-09-13
[66] 논문 Molecular Genetics and Evolution of Melanism in the Cat Family 2003-03-04
[67] 논문 Molecular Genetics and Evolution of Melanism in the Cat Family https://www.cell.com[...] 2024-03-26
[68] 논문 Comparative morphology of the ''Tapetum Lucidum'' (among selected species)
[69] 논문 Pupil shapes and lens optics in the eyes of terrestrial vertebrates
[70] 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feline pupil size and luminance
[71] 논문 Cat color vision: The effect of stimulus size
[72] 논문 The spectral sensitivity of dark- and light-adapted cat retinal ganglion cells
[73] 논문 Hearing range of the domestic cat https://www.utoledo.[...] 2019-10-10
[74] 논문 Auditory awareness
[75] 논문 Primate hearing from a mammalian perspective
[76] 서적 Wild Cats of the World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0-10-25
[77] 논문 Rodent ultrasonic short calls: Locomotion, biomechanics, and communication
[78] 논문 Socio-spatial cognition in cats: Mentally mapping owner's location from voice
[79] 논문 Olfaction in mammals https://academic.oup[...] 2019-11-22
[80] 논문 A major urinary protein of the domestic cat regulates the production of felinine, a putative pheromone precursor 2006-10
[81] 논문 Catnip: Its uses and effects, past and present 1990-06
[82] 잡지 How does catnip work its magic on cats? http://www.scientifi[...] 2007-05-29
[83] 논문 Catnip and the catnip response
[84] 웹사이트 Do cats have a sense of taste? http://www.cathealth[...]
[85] 논문 Major taste loss in carnivorous mammals 2012-03-12
[86] 논문 The evolutionary basis for the feeding behavior of domestic dogs (''Canis familiaris'') and cats (''Felis catus'') 2006-07-01
[87] 논문 Umami taste perception and preferences of the domestic cat (''Felis catus''), an obligate carnivore 2023-01-01
[88] 논문 Why do cats love tuna so much? 2023-10-01
[89] 논문 Spatio-temporal Sharing between the European Wildcat, the Domestic Cat and their Hybrids
[90] 논문 Home Range Size, Habitat Utilisation and Movement Patterns of Suburban and Farm Cats ''Felis catus''
[91] 논문 Circadian rhythms in food intake and activity in domestic cats
[92] 웹사이트 Why do cats sleep so much? https://www.sciencef[...] 2023-04-03
[93] 논문 What Does a Cat Dream About?
[94] 논문 CATastrophic myths part 2: Common misconceptions about the environmental, nutritional, and genetic management of domestic cats and their welfare implications
[95] 논문 Social Organization in the Cat: A Modern Understanding https://web.archive.[...]
[96] 서적 The domestic cat: the biology of its behaviou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10-25
[97] 논문 Patterns of social interaction in cats (''Felis domestica'') 1957-01-01
[98] 논문 Olfactory Awareness
[99] 서적 Encyclopedia of Applied Animal Behaviour and Welfare https://books.google[...] 2010
[100] 논문 The Cry Embedded within the Purr
[101] 논문 Intercat aggression in households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a new cat https://web.archive.[...]
[102] 뉴스 Cat Behavior Problems - Aggression Redirected https://vcahospitals[...] VCA Animal Hospitals 2022-06-16
[103] 뉴스 Redirected Aggression in Cats: Recognition and Treatment Strategies https://iaabc.org/ca[...]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Animal Behavior Consultants 2022-06-16
[104] 논문 Responses of cats to petting by humans
[105] 논문 Vocalizing in the House-cat; A Phonetic and Functional Study
[106] 논문 The Social Function of Tail Up in the Domestic Cat (''Felis silvestris catus'')
[107] 서적 The Ethology of Domestic Animals Centre for Agriculture and Bioscience International 2009
[108] 웹사이트 Solving the Cat's Purr Mystery Using Accelerometers http://www.bksv.com/[...] Brüel & Kjær 2010-02-11
[109] 웹사이트 The Cat's Remarkable Purr http://www.isnare.co[...] 2008-08-06
[110] 서적 Feline behavior : a guide for veterinarians Saunders 2003
[111] 서적 The Behaviour of the Domestic Cat https://books.google[...] CABI 2022-07-06
[112] 논문 Neural and mechanical mechanisms of feline purring
[113] 논문 How cats purr
[114] 논문 Feline Faces: Unraveling the Social Function of Domestic Cat Facial Signals
[115] 논문 Facial expressions of pain in cats: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Feline Grimace Scale
[116] 논문 Can cat caregivers reliably assess acute pain in cats using the Feline Grimace Scale? A large bilingual global survey
[117] 논문 Cats use hollow papillae to wick saliva into fur
[118] 논문 Filiform Papillae of Cat Tongue
[119] 웹사이트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Hairballs http://www.dewintonv[...] 2016-08-23
[120] 논문 Intercat Aggression: A Retrospective Study Examining Types of Aggression, Sexes of Fighting Pairs, and Effectiveness of Treatment
[121] 논문 Mating Behaviors, Courtship Rank and Mating Success of Male Feral Cat (''Felis catus'')
[122] 논문 Determining the Optimal age for Gonadectomy of Dogs and Cats
[123] 웹사이트 Cat Behavior: Body Language http://animal.discov[...] 2012-09-07
[124] 웹사이트 Aggression Between Family Cats and Feline Social Behavior https://www.paws.org[...] 2022-09-06
[125] 논문 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Infection
[126] 서적 Understanding and Training Your Cat or Kitten Sunstone Press 1994
[127] 뉴스 Cat v fox: what made Downing Street's Larry so brave? https://www.theguard[...] 2022-10-13
[128] 논문 How cats lap: Water uptake by ''Felis catus''
[129] 논문 Natural drinking strategies https://dspace.mit.e[...] 2019-09-23
[130] 논문 Food selection by the domestic cat, an obligate carnivore
[131] 논문 Nutritional peculiarities and diet palatability in the cat
[132] 논문 Blood sugar levels and renal sugar excretion after the intake of high carbohydrate diets in cats http://jn.nutrition.[...]
[133] 논문 Factors affecting pica in the domestic cat
[134] 논문 Predation of wildlife by domestic cats ''Felis catus'' in Great Britain
[135] 서적 Clones, Cats, and Chemicals: Thinking scientifically about controversial issues https://archive.org/[...] NSTA Press 2004
[136] 서적 Pests of Crops in Warmer Climates and their Control https://archive.org/[...] Springer 2008
[137] 웹사이트 Cats Have A Killer Impact on Reptiles: Experiments in Australia reveal that kitties are catching more than birds https://www.national[...] 2023-11-24
[138] 뉴스 How cats evolved to win the Internet https://www.nytimes.[...] 2016-11-13
[139] 서적 The Domestic Cat: The biology of its behaviou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140] 논문 The impact of free-ranging domestic cats on wildlife of the United States
[141] 논문 Predation by domestic cats in an English village
[142] 논문 Ringed birds killed by cats
[143] 논문 Mesopredator release and avifaunal extinctions in a fragmented system http://www38.homepag[...] 2011-07-20
[144] 서적 Cat Behavior: The predatory and social behavior of domestic and wild cats Garland STPM Press 1978
[145] 서적 Catwatching: Why cats purr and everything else you ever wanted to know Ebury Press 2020-10-25
[146] 논문 Nonhuman Primate Learning: The Importance of Learning from an Evolutionary Perspective
[147] 서적 Animal Play: Evolutionary, Comparative, and Ecological Perspectiv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10-25
[148] 논문 The Influence of Hunger on Object Play by Adult Domestic Cats
[149] 논문 Object Play in Adult Domestic Cats: The Roles of Habituation and Disinhibition
[150] 논문 Gastrointestinal obstruction
[151] 논문 Tom-cat odour and other pheromones in feline reproduction https://www.gwern.ne[...] 2019-05-15
[152] 논문 A survey of sexual behaviour and reproduction of female cats
[153] 서적 Feline Reproduction https://www.cabidigi[...] 2023-08-18
[154] 논문 Penile Spines of the Domestic Cat: Their Endocrine-behavior Relations http://www.catcollec[...]
[155] 논문 Effect of Copulatory Stimuli on Incidence of Ovulation and on Serum Luteinizing Hormone in the Cat
[156] 웹사이트 Prolific Cats: The Estrous Cycle http://vlsstore.com/[...] Veterinary Learning Systems 2009-06-19
[157] 논문 In Vivo Embryogenesis, Embryo Migration and Embryonic Mortality in the Domestic Cat
[158] 논문 Biology of Ovarian Cycles, Pregnancy and pseudopregnancy in the Domestic Cat
[159] 논문 Reproductive capacity of free-roaming domestic cats and kitten survival rate
[160] 서적 The Complete Book of Cat Care: How to Raise a Happy and Healthy Cat Barron's Educational Series 1991
[161] 논문 Early-age Neutering of Dogs and Cats in the United States (A Review)
[162] 논문 Determining the optimal age for gonadectomy of dogs and cats http://www.imom.org/[...]
[163] 논문 Population characteristics and neuter status of cats living in households in the United States
[164] 논문 Geriatrics in canine and feline internal medicine
[165] 논문 Study of the feline and canine populations in the greater Las Vegas area
[166] 논문 Longevity and mortality of cats attending primary care veterinary practices in England
[167] 논문 Life expectancy tables for dogs and cats derived from clinical data
[168] 논문 Neutering in dogs and cats: current scientific evidence and importance of adequate nutritional manage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CUP) 2020-01-14
[169] 논문 Effects of neutering on hormonal concentrations and energy requirements in male and female cats Americ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AVMA) 2002-05-01
[170] 논문 Effects of feeding regimens on bodyweight, composition and condition score in cats following ovariohysterectomy Wiley
[171] 논문 Effects of neutering on bodyweight, metabolic rate and glucose tolerance of domestic cats Elsevier BV
[172] 논문 Weight Gain in Gonadectomized Normal and Lipoprotein Lipase–Deficient Male Domestic Cats Results from Increased Food Intake and Not Decreased Energy Expenditure Elsevier BV
[173] 논문 Overweight in adult cats: a cross-sectional study 2018-01-19
[174] 논문 Opinions of veterinarians about the age at which kittens should be neutered
[175] 논문 State of Cat Genomics
[176] 논문 Inherited Metabolic Disease in Companion Animals: Searching for Nature's Mistakes
[177] 논문 The Feline Genome Project https://zenodo.org/r[...] 2019-07-11
[178] 웹사이트 Veterinary Care for Your New Cat http://www.petmd.com[...] 2017-01-31
[179] 논문 Spatio-temporal variation in cat population density in a sub-Antarctic environment
[180] 논문 Biological Invasions in the Antarctic: Extent, Impacts and Implications
[181] 논문 A global review of the impacts of invasive cats on island endangered vertebrates
[182] 논문 A Review of Feral Cat Eradication on Islands https://digital.csic[...] 2019-09-24
[183] 웹사이트 Ecology of ''Felis catus'' http://www.issg.org/[...] IUCN 종보존위원회, 국제자연보전연맹 2009-08-31
[184] 논문 Genetic analysis shows low levels of hybridization between African wildcats (Felis silvestris lybica) and domestic cats (F. s. catus) in South Africa https://www.research[...] 2021-11-14
[185] 논문 Hybridization Versus Conservation: Are Domestic Cats Threatening the Genetic Integrity of Wildcats (''Felis silvestris silvestris'') in Iberian Peninsula?
[186] 서적 The Welfare of Cats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2007
[187] 웹사이트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a stray cat and a feral cat? http://www.hsus.org/[...] 미국 인도주의 협회 2008-01-02
[188] 웹사이트 Torre Argentina cat shelter. http://www.romancats[...] 2009-06-17
[189] 서적 The State of the Animals II: 2003 미국 인도주의 협회 2003-11
[190] 서적 The Domestic Cat: The Biology of its Behaviour
[191] 논문 Cats protecting birds: Modelling the mesopredator release effect
[192] 서적 Endemic Bird Areas of the World: Priorities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 Burlington Press 1998
[193] 서적 New Zealand Bird Life Past and Present Cawthron Institute 1955
[194] 논문 The Tale of the Lighthouse-keeper's Cat: Discovery and Extinction of the Stephens Island Wren (''Traversia lyalli'') http://www.notornis.[...]
[195] 논문 Cat predation of short-tailed bats (''Mystacina tuberculata rhyocobia'') in Rangataua Forest, Mount Ruapehu, Central North Island, New Zealand
[196] 논문 How many reptiles are killed by cats in Australia? CSIRO Publishing
[197] 논문 Invasive predators and global biodiversity loss
[198] 뉴스 Study Traces Cat's Ancestry to Middle East https://www.nytimes.[...] 2008-04-02
[199] 웹사이트 Pet Industry Market Size & Ownership Statistics https://www.american[...] 미국 애완동물 제품 협회 2019-02-25
[200] 웹사이트 The 5 Most Expensive Cat Breeds in America https://www.moneytal[...] 2019-02-25
[201] 웹사이트 61 Fun Cat Statistics That Are the Cat's Meow! (2022 UPDATE) https://petpedia.co/[...] 2022-02-18
[202] 웹사이트 How many pets are there in the UK? https://www.pdsa.org[...] 2021-03-29
[203] 웹사이트 Statistics on cats https://carocat.eu/s[...] 2021-02-15
[204] 서적 Cat Simon and Schuster 1979
[205] 서적 Toolbox: Ship's Cat on the Kalmar Nyckel https://books.google[...] Bay Oak Publishers 2020-07-17
[206] 웹사이트 What Is That They're Wearing? http://www.hsus.org/[...] 미국 인도주의 협회 2009-10-22
[207] 서적 A Primer on Animal Rights: Leading Experts Write about Animal Cruelty and Exploitation Lantern Books 2002
[208] 뉴스 Japan: Finale for the world's most elegant use of a dead cat https://www.independ[...] 1997-11-15
[209] 뉴스 EU proposes cat and dog fur ban http://news.bbc.co.u[...] 2009-10-22
[210] 웹사이트 EU Announces Strict Ban on Dog and Cat Fur Imports and Exports http://www.hsus.org/[...] 2011-12-14
[211] 서적 Witchcraft and Magic in Europe Athlone 2002
[212] 뉴스 Switzerland Finds a Way to Skin a Cat for the Fur Trade and High Fashion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09-10-23
[213] 뉴스 Humane society launches national cat census https://www.cbc.ca/n[...] CBC News 2012-09-18
[214] 웹사이트 Cats Be http://www.catsbe.co[...] 2012-09-18
[215] 웹사이트 The Supreme Cat Census http://www.supremeca[...] 2012-09-18
[216] 웹사이트 About Pets http://www.ifaheurop[...] Animal Health Europe 2014-10-03
[217] 논문 Sur une tentative d'estimation du nombre total de chats domestiques dans le monde
[218] 서적 Urban Carnivores: Ecology, Conflict, and Conservation https://books.googl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4-10-03
[219] 서적 The Welfare of Cat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4-10-03
[220] 웹사이트 Cats: Most interesting facts about common domestic pets http://english.pravd[...] Pravda 2006-01-09
[221] 뉴스 Walter Chandoha, Photographer Whose Specialty Was Cats, Dies at 98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9-01-18
[222] 웹사이트 The Rise of Pet Humanization https://static1.squa[...] 2024-03-29
[223] 웹사이트 The Humanization of Pets https://advantagesol[...] 2024-03-29
[224] 뉴스 All About Cat Shows https://animals.hows[...] How Stuff Works 2018-06-08
[225] 웹사이트 Cats http://www.odh.ohio.[...] Ohio Department of Health 2015-01-21
[226] 논문 Diseases Transmitted by Cats https://journals.asm[...] 2023-08-08
[227] 논문 Emerging and Re-Emerging Zoonoses of Dogs and Cats
[228] 논문 Reducing the risk of pet-associated zoonotic infections
[229] 서적 The Cat in Ancient Egypt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97
[230] 서적 Classical Cats: The Rise and Fall of the Sacred Cat https://archive.org/[...] Routledge 2001
[231] 서적 Cat Reaktion Books 2020-06-05
[232] 서적 Cat https://archive.org/[...] Simon & Schuster 1977
[233] 간행물 Maneki Neko: Feline Fact & Fiction http://www.darumamag[...]
[234] 서적 Edda 1995
[235] 서적 The Legends of the Jews, Vol. I: The Sixth Day http://www.swartzent[...] Jewish Publication Society 2018-02-19
[236] 서적 When Cats Reigned Like Kings: On the Trail of the Sacred Cats https://archive.org/[...] Andrews McMeel Publishing 2004
[237] 서적 Muhammad in Europe https://archive.org/[...] New York University Press 2000
[238] 웹사이트 Biography of al-Rifai http://library.islam[...] 2014-11-11
[239] 웹사이트 Abu Hurairah and Cats http://pictures-of-c[...] Pictures-of-Cats.org 2018-03-05
[240] 서적 A Natural History of Domesticated Mammal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10-25
[241] 웹사이트 Are Black Cats Really Bad Luck? [Hoax] http://socialnewsdai[...] Social News Daily 2015-12-19
[242] 서적 Europe: A Histor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243] 서적 The Golden Bough: A Study in Magic and Religion http://www.bartleby.[...] Dover Publications 2017-02-28
[244] 뉴스 Las vidas del gato http://elcomercio.pe[...] El Comercio (Peru) 2010-03-19
[245] 웹사이트 Qual é a origem da lenda de que os gatos teriam sete vidas? http://mundoestranho[...] Abril Media 2015-11-15
[246] 뉴스 Tall tails: Pet myths busted https://www.theguard[...] 2010-03-18
[247] 서적 The Proverbs of John Heywood https://archive.org/[...] 1874
[248] 웹사이트 Can Cats Cheat Death? https://be.chewy.com[...] 2017-10-06
[249] 웹사이트 The ASPCA Warns About High-rise Falls by Cats: High-rise Apartments, Windows, Terraces and Fire Escapes Pose Risk to Urban Cats http://cats.about.co[...] American Society for the Prevention of Cruelty to Animals 2005
[250] 논문 In the Light of Evolution III: Two Centuries of Darwin Sackler Colloquium: From wild animals to domestic pets, an evolutionary view of domestication
[251] 서적 今泉 2004, p.105
[252] 논문 Opinion 2027 (Case 3010). Usage of 17 specific names based on wild species which are pre-dated by or contemporary with those based on domestic animals (Lepidoptera, Osteichthyes, Mammalia): conserved https://www.biodiver[...] London International Trust for Zoological Nomenclature
[253] 서적 今泉 2004, p.172
[254] 논문 イエネコの祖先は近東由来のリビアヤマネコだった エヌ・ティー・エス
[255] 웹사이트 イエネコの祖先は近東出身 // Tabby’s Ancestors Traced to the Near East(今週のハイライト) http://www.sciencema[...] 2007-06-29
[256] 뉴스 奈良文化財研究所 読売新聞 2008-06-22
[257] 서적 ネコ 平凡社
[258] 웹사이트 日本に猫がやって来た! 伝来の新事実、続々と発見 https://sippo.asahi.[...]
[259] 웹사이트 猫はいつから日本にいるのか https://webronza.asa[...] 朝日新聞社 WEBRONZA 2019-03-25
[260] 논문 [研究ノート] 『直良信夫コレクション目録』の訂正ほか https://doi.org/10.1[...] 国立歴史民俗博物館 2017-03
[261] 일반 縄文時代の日本列島にもオオヤマネコなどの野生のヤマネコ類は存在していたものの、ネコ科動物の家畜化やリビアヤマネコを起源とするイエネコの日本列島への移入はまだ縄文時代には行われていなかった可能性が大きい。
[262] 웹사이트 飼いネコの始まり 遺跡が伝える新石器時代の人猫交流 https://www.u-tokyo.[...] 東京大学 2018-12-11
[263] 서적 The Merck/Merial Manual for Pet Health Merck & Co. 2007
[264] 웹사이트 猫や犬は汗をかけるのは肉球だけ? 飼い主が知っておくべき熱中症対策と応急処置〈dot.〉 https://dot.asahi.co[...] 2020-07-21
[265] 웹사이트 猫の汗腺 - 本牧通り動物病院 https://honmokudori.[...] 2014-06-23
[266] 뉴스 ギネス更新か!? イギリスで172歳のネコちゃん発見 http://rocketnews24.[...] 2011-01-13
[267]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268] 서적 もっともくわしいネコの病気百科 : ネコの病気・ケガの知識と治療 https://hon.gakken.j[...] 学研
[269] 서적 エドニー先生の猫と楽しく暮らす本
[270] 서적 日本と世界の猫のカタログ '96 - ネコのボディタイプ
[271] 일반 1.頭蓋骨, 2.下顎骨, 3.肩甲骨, 4.胸骨, 5.上腕骨, 6.橈骨, 7.指骨, 8.中手骨, 9.手根骨, 10.尺骨, 11.肋骨, 12.膝蓋骨, 13.脛骨, 14.中足骨, 15.足根骨, 16.腓骨, 17.大腿骨, 18.骨盤, A~E.脊椎 A.頸骨(7個), B.胸骨(13個、其々に肋骨がある), C. 腰骨(7個), D.仙骨(3個), E.尾骨(19~21個)
[272] 서적 エドニー先生の猫と楽しく暮らす本 - 動作と平衡感覚
[273] 일반 無論個体差があるほか、ネコ以外のネコ科動物にも水辺に暮らし水中の魚を捕るスナドリネコや、食性が幅広く水中にも行動圏を持つ傾向のあるイリオモテヤマネコ等の例外がある。
[274] 웹사이트 哺乳類の体重の進化には歩行様式(足の着き方)が関係していた https://www.u-tokyo.[...]
[275] 일반 「ネコの眼が光を増幅する原理は暗視鏡(ナイトビジョン)に活用されている」といわれることがあるが、暗視装置ではマイクロチャンネルプレートで電気的に増幅しているものであるため、出鱈目である。
[276] 웹사이트
[277] 웹사이트 ネコ https://kotobank.jp/[...]
[278] 서적 ネコの気持ちがよーくわかる本
[279] 논문 広島大学公開講座・数学の基礎と展望 音の波と三角関数 http://www.math.sci.[...] 日本評論社 2007-07
[280] 논문 Olfaction in Mammals https://doi.org/10.1[...] 1967-08
[281] 논문 哺乳動物の嗅覚コミュニケーション https://doi.org/10.2[...] 2016-01-01
[282] 웹사이트 寄り道も「猫」にはすべてお見通し?すごい嗅覚 https://toyokeizai.n[...] 2022-02-28
[283] 웹사이트 猫とマタタビの不思議な関係|anicom you(アニコムユー) https://mag.anicom-s[...] 2023-07-21
[284] 웹사이트 ネコマタタビ反応の謎を解く 第2弾! ~完全肉食のネコがマタタビを舐めたり噛んだりする理由が明らかに~ https://www.nagoya-u[...] 2023-07-21
[285] 웹사이트 トラックポイント・キャップ・コレクション:Lenovo https://www.lenovo.c[...]
[286] 웹사이트 ネコの舌応用 ゴミ圧縮ブレード:SHARP https://jp.sharp/nat[...]
[287] 뉴스 ネコの舌は「唾液のブラシ」 毛づくろいの秘密解明 https://www.afpbb.co[...] 2018-11-22
[288] 웹사이트 Cats use hollow papillae to wick saliva into fur https://www.pnas.org[...] 미국과학아카데미 2019-06-19
[289] 뉴스 Cats Lack a Sweet Tooth, Study Says: Scientists find that felines don't have a taste for goodies because of a dysfunctional gene. http://articles.lati[...] Los Angeles Times 2005-07-25
[290] 웹사이트 栄養に関する猫の特性について https://www1.hills.c[...] 일본힐즈·콜게이트 2014-06-22
[291] 웹사이트 猫の歯が抜けた│猫のよくあるご相談│猫と暮らすお役立ち情報│ニャンとも清潔トイレ│花王株式会社 https://www.kao.co.j[...] 2023-07-19
[292] 서적 ねこのきもち 베네세코포레이션 2008-07-01
[293] 서적 日本と世界の猫のカタログ '96 - ヒゲの秘密
[294] 서적 エドニー先生の猫と楽しく暮らす本 - 猫の感覚器
[295] 뉴스 <尾曲がり猫>本当に長崎に多いの? 市民の「学会」発足 http://headlines.yah[...] 야후뉴스 2009-01-09
[296] 웹사이트 【獣医師監修】猫の首の後ろをつかむと大人しくなる。それはなぜ? https://peco-japan.c[...] 2024-05-27
[297] 웹사이트 犬の爪と猫の爪 | 動物の医学 | 浦和美園にある犬猫専門の動物病院 ドルフィンアニマルホスピタル https://www.dolphin-[...] 2023-07-21
[298] 웹사이트 猫の薄い爪がよく落ちているのですが大丈夫でしょうか。|ねこのきもちWEB MAGAZINE https://cat.benesse.[...] 2015-10-07
[299] 서적 猫脳がわかる! 文藝春秋 2019-01-01
[300] 뉴스 猫は飼い主が自分に話しかけているのがわかっているという研究結果 https://www.gizmodo.[...] 2022-10-29
[301] 웹사이트 雄猫の発情サイン♂♂ https://nekopedia.jp[...] 2013-03-27
[302] 웹사이트 猫の発情期と対策について【獣医師が解説】/服部幸 https://nyanpedia.co[...] 아이펫손해보험주식회사 2019-02-28
[303] 서적 日本と世界の猫のカタログ '96 - ペルシャ
[304] 웹사이트 さいたま市/猫は繁殖力の強い動物です https://www.city.sai[...] 2023-07-19
[305] 서적 ねこの秘密 文藝春秋社 2014-09-01
[306] 서적 エドニー先生の猫と楽しく暮らす本 - 妊娠と分娩前の管理
[307] 웹사이트 ♀ 子猫のオスとメスの見分け方 ♂ https://nekopedia.jp[...] 山本宗伸 2019-01-04
[308] 웹사이트 生後0日~45日位までの 赤ちゃん猫(乳飲み子仔猫)の育て方 / にゃんこのおうち http://tukichan.jp/b[...] 2019-01-04
[309] 논문 Food selection by the domestic cat, an obligate carnivore https://www.scienced[...] 1996-07-01
[310] 서적 エドニー先生の猫と楽しく暮らす本
[311] 웹사이트 猫の栄養学講座 タンパク質 https://allabout.co.[...] 2007-05-20
[312] 논문 (14)イヌ・ネコのライフステージと栄養(その2) https://doi.org/10.1[...] 2004-01-01
[313] 웹사이트 タウリンの生理作用に関する研究~タウリントランスポーターノックアウトマウス https://web.archive.[...] 兵庫医療大学 2014-06-23
[314] 서적 NRC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986) Washington,DC. 2019-01-04
[315] 서적 エドニー先生の猫と楽しく暮らす本
[316] 보고서 補助犬使用者及び訓練事業者のための 補助犬衛生管理の手引き 第1版 https://www.mhlw.go.[...] 2021-03
[317] 보고서 飼い主のためのペットフード・ガイドライン ~犬・猫の健康を守るために~ https://www.env.go.j[...] 2021-05
[318] 웹사이트 与えてはいけない食べ物 http://www.nisshin-p[...] 日清ペットフード株式会社 2016-08-05
[319] 웹사이트 猫に与えてはいけない食べ物 https://web.archive.[...] 花王 2016-08-05
[320] 웹사이트 絶対に猫に与えてはいけない食べ物【獣医師監修】 https://nyanpedia.co[...] アイペット損害保険株式会社 2019-06-19
[321] 서적 海洋動物の毒 成山堂書店
[322] 웹사이트 自然毒のリスクプロファイル:巻貝:ピロフォルバイドa(光過敏症)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14-06-23
[323] 웹사이트 乳の成分 https://www.env.go.j[...] 環境省 2018-05-23
[324] 뉴스 【もう一度見直したい】犬や猫に与えてはいけない食材とは? https://news.cookpad[...] 2014-08-13
[325] 뉴스 子猫のミルクの与え方はどうすれば?量、頻度、飲まない時の対処法は? http://psnews.jp/cat[...] (株)Petsmile 2016-10-20
[326] 웹사이트 【獣医師が解説】1粒でも危険!?猫×チョコレートの致死量とは? https://cat.benesse.[...] ベネッセコーポレーション 2018-05-24
[327] 웹사이트 ペット豆知識29-犬猫の毒物とその対処法・その2-MRT「ペット・ラジオ診察室」6/11・6/18放送分 http://tabaru.9syu.n[...] 2009-06-10
[328] 서적 愛しのペットアロマセラピー さんが出版 2004
[329] 서적 猫から飼い主への手紙 http://itunes.apple.[...] ブログハウス 2007
[330] 웹사이트 日本アニマルアロマセラピー協会 http://www.animalaro[...] 2012-07-02
[331] 웹사이트 日本アニマルアロマセラピー協会アニマルアロマセラピー10箇条 http://www.animalaro[...] 2012-07-02
[333] 기타
[334] 웹사이트 猫のアセトアミノフェン中毒 https://www.irisplaz[...] アイリスオーヤマ 2019-05-17
[335] 웹사이트 αリポ酸は猫には大変危険です http://www.saitama-v[...] 埼玉県獣医師会 2019-05-17
[336] 뉴스 オーストラリアの猫、飼い主の育毛剤なめて生死さまよう https://jp.reuters.c[...] ロイター 2019-05-17
[337] 웹사이트 ペットの相次ぐ不審死、原因は塗り薬―米当局が注意呼びかけ https://web.archive.[...] あなたの健康百科 2015-04-24
[338] 웹사이트 FDA Warns of Illnesses and Deaths in Pets Exposed to Prescription Topical Pain Medications Containing Flurbiprofen http://www.fda.gov/A[...]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5-04-24
[339] 웹사이트 猫の寿命を30年に 腎臓病の治療薬 完成間近 東大辞め起業の宮崎さん:東京新聞 TOKYO Web https://www.tokyo-np[...] 2023-01-30
[340] 웹사이트 愛猫を病気から守るために。年齢別にかかりやすい病名と症状まとめ|アクサダイレクト https://www.axa-dire[...] 2024-03-29
[341] 웹사이트 猫の健康診断について。受ける内容と期間の目安、費用について。 KINS WITH 動物病院 https://kinswith-vet[...] 2024-03-29
[342] 웹사이트 犬・猫の定期健康診断を受ける年齢と頻度は?|兵庫みなと動物病院 https://hyogominato-[...] 2024-03-29
[343] 서적 エドニー先生の猫と楽しく暮らす本 - 人に伝染する病気
[344] 웹사이트 東大ネコ研究に2日余りで寄付3千万円 担当者「驚き」: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1-07-16
[345] 웹사이트 ネコと腎臓病とAIM研究 2020年 記事一覧 医学界新聞 医学書院 https://www.igaku-sh[...] 2021-07-16
[346] 웹사이트 宮崎 徹 教授による猫の腎臓病治療薬研究へのご寄付について https://www.u-tokyo.[...] 2021-07-16
[347] 잡지 ニューズウィーク日本版(2023年11月14日号) CCCメディアハウス 2023-11-07
[348] 웹사이트 AIMが腎臓結石の成長を抑制、体外への排出促進 人間とネコの結石再発防止薬の開発も AIM医研・宮崎徹所長インタビュー:時事ドットコム https://www.jiji.com[...] 2023-01-30
[349] 서적 エドニー先生の猫と楽しく暮らす本
[350] 웹사이트 ネコの「ゴロゴロ声」に秘められた能力を探れ! http://www.ntv.co.jp[...] Far East Research Co. 2014-06-23
[351] 웹사이트 猫が「カカカ」って鳴くのは何?猫の変わった鳴き方とその意味について https://にゃん.com/know[...] にゃんこむ 2018-06-22
[352] 웹사이트 「猫・犬」 https://kangaeruhito[...] 新潮社 2024-07-30
[353] 웹사이트 動物病院VERDE 獣医師の解説 http://www.verde-ah.[...] 2014-06-23
[354] 서적 エドニー先生の猫と楽しく暮らす本
[355] 서적 エドニー先生の猫と楽しく暮らす本 - 爪の手入れ
[356] 서적 ペット用語事典犬・猫編
[357] 서적 ペット用語事典犬・猫編
[358] 웹사이트 猫の舌、毛づくろいに唾液活かす仕組みを解明 https://natgeo.nikke[...] ナショナル ジオグラフィック 2019-04-10
[359] 서적 Bone loss and osteoporosis: an anthropological perspective Kluwer Academic/Plenum Publishers
[360] 뉴스 猫がくねくねお腹見せる理由5つ!甘えたいときだけじゃない? https://news.yahoo.c[...] Yahoo!NEWS 2024-04-15
[361] 서적 ネコの気持ちがよーくわかる本 - しっぽで気持ちが一目瞭然
[362] 서적 ネコの気持ちがよーくわかる本 - 耳の角度と猫の気持ち
[363] 서적 ネコの気持ちがよーくわかる本 - 気持ちを伝える猫のボディランゲージ
[364] 논문 ネコ科を中心とした食肉目の社会構造とその可塑性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2012-06
[365] 논문 The quality of being sociable: The influence of human attentional state, population, and human familiarity on domestic cat sociability https://www.scienced[...] Elsevier 2019-01
[366] 웹사이트 ネコは自分の名前を聞き分ける、上智大ほか研究 https://natgeo.nikke[...] 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 2019-04-11
[367] 뉴스 Why does my cat wake me up so early, and what can I do about it? https://theconversat[...] 2022-04-19
[368] 뉴스 ネコがやたら早朝に飼い主を起こしに来るのはなぜなのか? https://gigazine.net[...] 2022-04-20
[369] 뉴스 機器開発に盲点、家庭用ファクス焼損の原因は猫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370] 웹사이트 大和本草巻之十六 https://web.archive.[...]
[371] 웹사이트 どら猫観察記 https://www.aozora.g[...] 青空文庫 2018-12-05
[372] 서적 キャット・ウォッチング〈Part2〉/キャットウォッチング2 猫に超能力はあるか? 平凡社 2018-12-05
[373] 웹사이트 猫は死ぬ前に姿を消す~猫に関する迷信や都市伝説を検証する https://www.konekono[...] 子猫のへや
[374] 서적 ねこの秘密 文藝春秋社
[375] 웹사이트 猫は死期が近づくと姿を消すのは本当か エンジェルタイムの重要性 https://www.news-pos[...] NEWSポストセブン 2018-12-02
[376] 서적 猫の歴史と奇話 築地書館
[377] 뉴스 ねとらぼ:2月22日「猫の日」に、NHK「デジタル猫暦」をどうぞ https://www.itmedia.[...] ITmedia News 2010-02-22
[378] 뉴스 あす平成22年2月22日 2並び記念入場券を発売 北総鉄道 http://www.chibanipp[...] 2010-02-21
[379] 간행물 平成28年 全国犬猫飼育実態調査 主要指標サマリー http://www.petfood.o[...]
[380] 간행물 平成29年 全国犬猫飼育実態調査 主要指標サマリー http://www.petfood.o[...]
[381] 뉴스 猫の飼育数、犬を逆転へ 年々差縮まる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6-01-30
[382] 서적 岩波イスラーム辞典 岩波書店
[383] 서적 エドニー先生の猫と楽しく暮らす本
[384] 간행물 平成28年 全国犬猫飼育実態調査 主要指標サマリー http://www.petfood.o[...]
[385] 웹사이트 猫が撫でようとすると逃げるのはなぜ?4つのワケと注意点 https://nekochan.jp/[...] ねこちゃんホンポ 2020-10-08
[386] 웹사이트 ネコ好きの人の多くはネコが望まない触れ合い方で愛情を与えようとしている https://gigazine.net[...] GIGAZINE 2022-08-18
[387] 웹사이트 みんなのペットライフ - 猫が邪魔してくる! 猫が飼い主の作業を妨害する理由 https://www.min-petl[...] 2022-09-21
[388] 웹사이트 ネコ https://www.nies.go.[...] 국립환경연구소 2018-06-24
[389] 간행물 鹿児島県侵略的外来種カルテ「ノネコ」 https://www.pref.kag[...] 鹿児島県 2017-03
[390] 뉴스 飼い猫を外に放す双方向のリスクとは? https://www.discover[...] 2017-12-01
[391] 논문 世界の島嶼地域における侵略的外来種問題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2006-06
[392] 잡지 ネコを殺さず希少ネズミを守る 日経サイエンス 2020-09
[393] 서적 人と動物の政治共同体 尚学社 2016
[394] 뉴스 希少種を襲う野ネコ 捨てられて野生化、アマミノクロウサギ狙う https://sippo.asahi.[...] 2017-03-24
[395] 간행물 「奄美の明日を考える奄美国際ノネコ・シンポジウム」記録集 http://kankyo.rdc.ka[...] 鹿児島大学 鹿児島環境学研究会 2017-06
[396] 간행물 「奄美の明日を考える奄美国際ノネコ・シンポジウム」記録集 https://kagoshima-ka[...] 鹿児島大学鹿児島環境学研究会 2016
[397] 뉴스 小笠原で異変…外来ネコ捕獲、明暗分けた固有種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13-11-15
[398] 뉴스 島で野生化したネコが希少動物を襲う 一歩先を進む小笠原の対策とは https://www.huffingt[...] 2017-02-23
[399] 뉴스 猫捕獲のわな、絶滅危惧種が捕まり死ぬ 環境省見直しへ https://www.asahi.co[...] 朝日新聞社 2019-09-11
[400] 웹사이트 イリオモテヤマネコ https://www.env.go.j[...] 環境省 2018-06-24
[401] 논문 「希少野生動物の保護と自治行政」によせて http://www.law.kanag[...] 神奈川大学法学研究所 2009-03
[402] 논문 Scraps from an owl's table — predator activity as a significant taphonomic process newly recognised from New Zealand Quaternary deposits https://doi.org/10.1[...] Taylor & Francis
[403] 논문 New Zealand theses in Earth Sciences: The Ouaternarv avifauna of the North Island.
[404] 논문 Contributions to New Zealand's Late Quaternary avifauna. 1: Pachyplichas, a new genus of wren (Aves: Acanthisittidae), with two new species https://doi.org/10.1[...] Taylor & Francis
[405] 웹사이트 Xenicus lyalli exterminated by Polynesias rats and lighthousekeepers cats https://eurekamag.co[...]
[406] 뉴스 スイスのヤマネコ、「セクシーすぎて」絶滅の危機 https://www.afpbb.co[...] フランス通信社 2020-10-04
[407] 웹사이트 야생화된 동물 https://species.nibr[...] 대한민국 환경부
[408] 서적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http://gallica.bnf.f[...] Holmiae (Laurentii Salvii) 2008-04-02
[409] 서적 Systema regni animalis per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varietates cvm synonymia et historia animalivm. Classis I. Mammalia Weygandt 1777
[410] 데이터베이스
[411] 데이터베이스
[412] 뉴스 중동의 고양이 조상을 찾아서(Study Traces Cat's Ancesty to Middle East) http://www.nytimes.c[...] 뉴욕 타임스 2009-06-17
[413] 웹사이트 고려사 卷五十七 중 보성군 http://db.history.go[...]
[414] 서적 English Words and Their Background D. Appleton and Company 1923
[415] 서적 Dictionnaire français-gaulois Errance 2004
[416] 서적 Qitta: Arabic Cats Brill
[417] 웹사이트 '살쾡이'와 '고양이'의 어원 https://www.korean.g[...]
[418] 논문
[419] 논문
[420] 웹사이트 https://mypetlife.co[...]
[421] 웹사이트 https://www.cat-lab.[...]
[422] harvnb
[423] 서적 Encyclopedia of Applied Animal Behaviour and Welfare http://books.google.[...]
[424] 저널 The Cry Embedded within the Purr
[425] 저널 Intercat Aggression: A Retrospective Study Examining Types of Aggression, Sexes of Fighting Pairs, and Effectiveness of Treatment 1997-12
[426] 저널 Mating Behaviors, Courtship Rank and Mating Success of Male Feral Cat (''Felis catus'')
[427] 저널 Determining the Optimal age for Gonadectomy of Dogs and Cats http://avmajournals.[...] 2007
[428] 저널 Predation of wildlife by domestic cats Felis catus in Great Britain
[429] 서적 Clones, Cats, And Chemicals: Thinking Scientifically About Controversial Issues
[430] 서적 Pests of Crops in Warmer Climates and Their Control
[431] 저널 The impact of free-ranging domestic cats on wildlife of the United States 2013-01-29
[432] 뉴스 That Cuddly Kitty Is Deadlier Than You Think http://www.nytimes.c[...] 2013-01-29
[433] Youtube https://m.youtube.co[...]
[434] harvnb
[435] 백과사전 고양이의 생활
[436] 저널 The Evolution of CATS http://sehrg.at.ua/_[...]
[437] 웹인용 고양이는 초상집에 못 간다 https://local.ncultu[...] 문화체육관광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