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네이션웨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네이션웨어는 소프트웨어 배포 방식의 하나로, 사용자가 소프트웨어를 무료로 사용하되, 개발자에게 자발적인 기부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1980년대 애플 매킨토시용 통신 소프트웨어인 레드 라이더가 초기 사례 중 하나이며, 아타리 ST용 비디오 게임 Ballerburg도 도네이션웨어 방식으로 배포되었다. 유명한 예시로는 Vim과 CCleaner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프트웨어 사용권 - 자유-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자유-오픈 소스 소프트웨어(FOSS)는 소스 코드 접근, 수정, 재배포의 자유를 보장하는 소프트웨어로, 사용자의 자유를 중시하는 "자유 소프트웨어"와 상업적 이용 가능성에 중점을 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포괄하며, 비용 절감, 유연성 등의 장점과 기술 지원 부족, 보안 취약성 등의 단점이 있고, 다양한 이슈를 가진 채 널리 활용된다. - 소프트웨어 사용권 - 볼륨 라이선스
볼륨 라이선스는 소프트웨어 여러 개를 구매할 때 사용되는 경제적인 라이선스 방식으로, 설치 미디어와 시리얼 번호 등을 묶어 관리하며, KMS 방식을 통해 불법 복제를 방지한다. - 소프트웨어 배포 - 셰어웨어
셰어웨어는 일정 기간 무료 사용 또는 기본 기능 무료 제공 후 추가 기능 유료 구매 방식으로 배포되는 소프트웨어의 한 종류이며,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고 인터넷을 통해 배포되어 라이선스 키를 통해 정식 버전을 사용할 수 있다. - 소프트웨어 배포 - 디지털 배급
디지털 배급은 온라인을 통해 콘텐츠를 유통하는 방식으로, 음악, 비디오, 도서,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전통적인 소매업에 영향을 미치며, 신인 아티스트에게 기회를 제공하지만, 호환성 문제와 검열 가능성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 프리웨어 - 구글 크롬
구글 크롬은 구글이 개발한 웹 브라우저로, 크로미엄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오픈 소스 코드를 활용하여 개발되었으며, 다양한 기능과 운영체제 지원을 통해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지만 개인 정보 보호 정책으로 비판을 받기도 한다. - 프리웨어 - 다음 마이피플
다음 마이피플은 카카오에서 제공한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로, 데이터 네트워크를 이용해 무료 음성 및 영상 통화, 문자 대화 기능을 제공하고 파일 전송, 음성 쪽지, SMS 기능, 지도 및 로드뷰 연동, 다음 클라우드 연동을 통한 파일 공유, 친구 검색, 즐겨찾기 등록, 연락처 기반 자동 친구 추가, 채팅방 배경 설정 등 다양한 부가 기능을 지원했다.
도네이션웨어 | |
---|---|
정의 | |
설명 | 소프트웨어 사용자가 소프트웨어 제작자에게 기부 또는 기여를 하도록 요청하는 라이선스 모델. |
특징 | |
자발적 기여 | 소프트웨어 사용은 무료이지만 개발자에게 감사의 표시로 기부를 권장함. |
기능 제한 없음 | 셰어웨어와 달리 기능 제한이나 사용 기간 제한이 없음. |
개발자 지원 | 사용자의 기부는 소프트웨어 개발 및 유지 관리에 사용됨. |
관련 용어 | |
다른 이름 | 칸파웨어 (kanpaeweo) |
2. 역사
도네이션웨어는 1980년대 인터넷의 발전과 함께 등장한 개념이다. 초기 사례로는 레드 라이더와 Ballerburg 등이 있다.
2. 1. 초기 사례
레드 라이더(Red Ryder)는 1980년대 애플 매킨토시용으로 작성된 통신 및 단말 에뮬레이션 소프트웨어이다. 이 소프트웨어는 인터넷에 처음 배포된 도네이션웨어 프로그램 가운데 하나였다. 펜실베니아에 위치한 프리소프트 컴퍼니를 설립한 스캇 왓슨(Scott Watson)이 작성하였다. 왓슨은 광고에 돈을 들이지 않고 전자 게시판에 레드 라이더를 제공하여 맥용 1등 통신 프로그램을 시장화하여 배포할 수 있었다. 그는 상점에 이것을 판매하지 않았으며, 이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다운로드한 사람 누구에게나 40USD를 보내면 좋겠다는 의도였다. 왓슨은 "저는 저작권 침해 문제의 이점을 이용했습니다. 수많은 프로그램 이용자들이 마음대로 이를 복사해갔죠. 저는 무료로 뭔가를 배포하고 이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마음에 들어서 돈을 지불한다면 소프트웨어를 파는 사람들보다 더 많은 이익을 얻으리라 추측했습니다."라고 말하였다.[2]도네이션웨어의 또 다른 예로는 1987년 아타리 ST 비디오 게임 ''Ballerburg''가 있는데, 이 게임의 프로그래머는 게임을 무료로 배포했지만 기부를 요청했으며, 기부자에게는 게임의 소스 코드를 제공하는 인센티브를 제공했다.[2]
3. 유명한 예
Vim[2]
CCleaner[2]
레드 라이더(Red Ryder)는 1980년대 애플 매킨토시용으로 작성된 통신 및 단말 에뮬레이션 소프트웨어로, 인터넷에 처음 배포된 도네이션웨어 프로그램 가운데 하나였다. 개발 자금은 기부를 통해 충당했다.[2]
''Ballerburg''는 1987년 아타리 ST 비디오 게임으로, 프로그래머는 게임을 무료로 배포했지만 기부를 요청했으며, 기부자에게는 게임의 소스 코드를 제공하는 인센티브를 제공했다.[2]
참조
[1]
뉴스
Reading apps sell subscriptions to fuzzy feelings
http://www.cnn.com/2[...]
2011-06-13
[2]
웹사이트
April 1987: Ballerburg - Zwei Spieler, zwei Burgen und ein Berg dazwischen...
http://www.eckhardkr[...]
[3]
웹사이트
ドネーションウェアとは 「カンパウェア」 (donationware): - IT用語辞典バイナリ
http://www.sophia-it[...]
웨브리오
2017-10-01
[4]
웹사이트
カンパウェア(ドネーションウェア)とは - IT用語辞典
http://e-words.jp/w/[...]
인셉트
2017-10-01
[5]
뉴스
Reading apps sell subscriptions to fuzzy feelings
http://www.cnn.com/2[...]
2011-06-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