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단말 에뮬레이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단말 에뮬레이터는 초기 컴퓨팅 환경에서 중앙 컴퓨터에 연결된 터미널을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한 것이다. 1980년대 개인용 컴퓨터의 보급과 함께 하드웨어 터미널을 대체하기 시작했으며, 유닉스, 윈도우 등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사용되었다. 현재는 리눅스 환경에서 원격 접속을 위해 널리 사용되며, VT100, VT220 등 다양한 터미널 종류를 에뮬레이션한다. TCP/IP 연결을 위해 SSH, Telnet, rlogin 등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SSH 연결이 일반적이다.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다양한 종류의 터미널 에뮬레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자 게시판 - ANSI 아트
    ANSI 아트는 확장된 ASCII 문자 세트와 ANSI 이스케이프 코드를 사용하여 색상과 그래픽을 표현하는 텍스트 기반 시각 예술의 한 형태로, PC 통신과 BBS 시스템을 중심으로 발전했으나 인터넷의 등장 후 쇠퇴, 2000년대 이후 리눅스 환경 등에서 다시 부활하고 있다.
  • 전자 게시판 - 스레드 플로트형 게시판
    스레드 플로트형 게시판은 최신 게시글을 기준으로 스레드 목록을 정렬하여 새 글이 올라올 때마다 해당 스레드가 최상단으로 이동하는 게시판으로, 일본에서 처음 등장하여 익명 게시판 문화에 영향을 미쳤으며 대한민국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 터미널 에뮬레이터 - 콘솔 애플리케이션
    콘솔 애플리케이션은 텍스트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활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단순성, 기종 의존성 감소, 자동화에 적합하며 프로그래밍 학습 및 테스트에도 유용하게 사용된다.
  • 터미널 에뮬레이터 - Xterm
    Xterm은 X 윈도 시스템을 위한 터미널 에뮬레이터로, VT102, Tektronix 4014 등을 에뮬레이션하며 마우스 추적, 256색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X 리소스 파일 등을 통해 사용자 정의가 가능하며 UXterm은 유니코드를 지원한다.
  • 사용자 인터페이스 - 로그인
    로그인은 특정 페이지, 웹사이트 또는 응용 프로그램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입력하여 시스템에 접근하는 절차이며, 1960년대 시분할 시스템과 1970년대 BBS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 사용자 인터페이스 - 키넥트
    키넥트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동작 인식 장치로, 적외선 프로젝터와 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과 음성을 인식하며, Xbox용으로 출시되어 큰 인기를 얻었지만 개인정보 보호 문제 등으로 판매가 부진하여 생산이 중단되었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기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클라우드 기반 Azure Kinect로 이어졌으나 단종되었다.
단말 에뮬레이터
일반 정보
여러 개의 터미널 에뮬레이터 창을 보여주는 스크린샷
여러 개의 터미널 에뮬레이터 창을 보여주는 스크린샷
종류컴퓨터 프로그램
기능텍스트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명령 줄 인터페이스 접근
원격 시스템과의 통신
기술적 세부 사항
프로토콜ANSI 이스케이프 코드
VT100
VT220
Xterm
인터페이스명령 줄 인터페이스
예시
일반적인 예시GNOME 터미널
Konsole
xterm
PuTTY
iTerm2
Windows 터미널
관련 항목
관련 항목텔넷
SSH
가상 콘솔
pty (유닉스)

2. 역사적 배경

초창기 컴퓨팅 시대에는 대화형 컴퓨팅과 함께, 여러 터미널이 연결된 중앙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이 주된 모델이었다.[1] 이는 중앙 집중식 또는 메인프레임 모델로 알려졌으며, 모든 처리를 수행하는 강력한 중앙 컴퓨터와 입출력 장치 역할을 하는 터미널로 구성되었다.

1980년대에 개인용 컴퓨터(PC)가 널리 보급되면서 하드웨어 터미널 기능을 에뮬레이션하는 소프트웨어가 출시되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로는 DOS용 텔릭스나 1988년에 출시되어 DEC VT102 터미널을 에뮬레이션할 수 있었던 텔레메이트가 있다.[3]

1990년대에는 윈도우 및 OS/2와 같은 새로운 운영 체제가 등장하여 [https://winworldpc.com/product/telix/100-for-windows 윈도우용 텔릭스], OS/2용 ZOC, PuTTY와 같은 더 많은 단말 에뮬레이터 개발의 기술적 배경을 제공했다.[4]

리눅스의 성공으로 인해[5] 문자 기반 터미널을 통해 원격 컴퓨터에 접근해야 할 필요성이 여전히 남아 있다.

2. 1. 문자 지향 터미널

는 제거되어야 하는 템플릿이므로 제거한다.

초기 터미널은 문자 기반으로 작동하여 텍스트 형태로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와 상호 작용했다.

3. 가상 터미널

리눅스 우분투(18LTS)에서 가상 터미널을 기반으로 열린 GUI 환경에서 그놈터미널(gnome-terminal)이 단말에뮬레이터로 작동하는 화면


가상 터미널(virtual terminal ,VT) 또는 가상 콘솔(virtual console,VC)은 네트워크 기반 설계의 특성상 여러 세션을 허용하기 위해 둘 이상의 복수 가상 터미널을 지원하도록 기본적으로 보장하고 있다. 리눅스 계열 운영체제 배포판들은 보안 및 안정적인 시스템 관리를 위해 추가 가상 터미널 생성을 기본적으로 지원한다. 단축키는 일반적으로 Ctrl+Alt+F1~F7으로 7개가 알려져 있다.[16]

X 윈도우 시스템에서 가상 터미널은 단말 에뮬레이터가 운영체제 시스템 설계 단계에서 포함된 특정 퍼미션(permission)에서 작동하도록 재설계된 터미널이다. 이러한 기능에서 자식 프로세스를 생성할 수 있는 최상위 레벨(level) 터미널 중 하나로 다루어질 수 있다.

가상 콘솔은 개인용 컴퓨터 또는 워크스테이션의 키보드와 모니터를 사용하는 에뮬레이트된 컴퓨터 터미널이다. "텍스트"라는 단어가 중요한데, 가상 콘솔은 GUI 터미널이 아니며 그래픽 인터페이스 내에서 실행되지 않기 때문이다. 가상 콘솔은 대부분의 유닉스 계열 시스템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주로 그래픽 데스크톱 환경을 사용하지 않고 서버에 접근하여 상호 작용하는 데 사용된다.

4. 인터페이스

CLI는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상호 작용을 위한 주요 인터페이스이다. 단말 에뮬레이터는 CLI 환경을 제공한다.

4. 1. 예시

프롬프트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PS ~ >
PS2 스타일 프롬프트


5. 에뮬레이션되는 터미널 종류

VT52, VT100, VT220, IBM 3270/8/9/E, IBM 5250, IBM 3179G, 데이터 제너럴 D211, 휴렛 팩커드 HP700/92, 스페리/유니시스 2000 시리즈 UTS60, 버로스/유니시스 A 시리즈 T27/TD830/ET1100, ADDS ViewPoint, AT386, 지멘스 닉스도르프 (SNI) 97801, 텔레비디오 925, 와이즈 50/60과 같은 물리적 하드웨어 단말을 에뮬레이트하기 위해 다양한 단말 에뮬레이터가 개발되었다.[7]

xterm과 같은 일부 단말 에뮬레이터는 에뮬레이션된 단말에는 없는 추가 기능을 구현한다.[7]

선 마이크로시스템즈 워크스테이션 콘솔 및 리눅스 콘솔과 같은 다양한 시스템 콘솔 "단말"을 에뮬레이션하기 위한 프로그램도 개발되었다.

일부 에뮬레이터는 ANSI 이스케이프 코드 표준과 같은 표준을 참조한다.

6. 구현 상세

유닉스 계열 시스템은 과거에 RS-232와 같은 시리얼 포트 장치를 사용하여 /dev/* 장치 파일을 제공했다.[8] 터미널 에뮬레이터는 이러한 장치 파일 자체를 가상 터미널 장치 쌍으로 에뮬레이션한다. 예를 들어, 리눅스 시스템에서는 /dev/ptyp0 (마스터 측) 및 /dev/ttyp0 (슬레이브 측) 가상 터미널 장치가 각각 사용된다.

/dev/console과 같은 특수한 가상 콘솔 파일도 있다. 텍스트 모드에서 이 파일에 쓰면 가상 콘솔에 텍스트가 표시되고, 파일에서 읽으면 사용자가 가상 콘솔에 쓴 텍스트가 반환된다. 가상 콘솔은 ''init''에서 읽는 파일 /etc/inittab에서 구성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여러 가상 콘솔에 대해 텍스트 모드 로그인 프로세스 ''getty''를 시작한다. X 윈도 시스템은 /etc/inittab 또는 X 디스플레이 관리자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많은 리눅스 배포판은 init 대신 systemd를 사용하며, 이는 가상 콘솔 구성도 허용한다.

터미널 에뮬레이터는 로컬 에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데, 이는 반이중이라고 잘못 명명되거나, "에코플렉스"라고 불릴 수 있다.[1][2][3][4] 또한 "한 줄씩 모드"라고 알려진 로컬 편집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는데, 이 역시 반이중 통신으로 오인되기도 한다.[1] 이 모드에서 터미널 에뮬레이터는 완성된 입력 줄만 호스트 시스템으로 전송하며, 사용자는 줄을 입력하고 편집하는 동안 터미널 에뮬레이터 내에 로컬로 보관한다.

IBM 메인프레임 컴퓨터와 함께 사용되는 IBM 3270 기반 터미널과 같은 '''동기식 터미널'''은 "한 번에 화면" 모드(블록 모드)로 작동한다. 사용자는 업데이트된 화면을 단일 작업으로 원격 머신에 전송하기 전에 페이지를 여러 번 변경할 수 있다.[1] 3270 프로토콜을 시뮬레이션하는 터미널 에뮬레이터는 z9과 같은 시스템을 관리하는 사람들과 CICS와 같은 해당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대부분의 운영 체제에서 제공된다.[1] 동기식 터미널의 다른 예로는 IBM 5250, ICL 7561, Honeywell Bull VIP7800 및 Hewlett-Packard 700/92가 있다.[1]

6. 1. 유닉스 계열 시스템

과거 유닉스유닉스 계열 시스템은 RS-232 포트와 같은 시리얼 포트 장치를 사용했으며, /dev/* 장치 파일을 제공했다.[8] 터미널 에뮬레이터를 사용하면 이러한 장치 파일 자체가 가상 터미널 장치 쌍에 의해 에뮬레이션된다. 예를 들어, 리눅스 시스템에서는 /dev/ptyp0 (마스터 측) 및 /dev/ttyp0 (슬레이브 측) 가상 터미널 장치가 각각 사용된다.

/dev/console과 같은 특수한 가상 콘솔 파일도 있다. 텍스트 모드에서 파일에 쓰면 가상 콘솔에 텍스트가 표시되고, 파일에서 읽으면 사용자가 가상 콘솔에 쓴 텍스트가 반환된다.

가상 콘솔은 ''init''에서 읽는 파일 /etc/inittab에서 구성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여러 가상 콘솔에 대해 텍스트 모드 로그인 프로세스 ''getty''를 시작한다. X 윈도 시스템은 /etc/inittab 또는 X 디스플레이 관리자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많은 리눅스 배포판은 init 대신 systemd를 사용하며, 이는 가상 콘솔 구성도 허용한다.

6. 1. 1. CLI 도구


  • chvt영어 : 현재 가상 콘솔을 전환하는 CLI 도구이다.
  • openvt영어 : 새로운 가상 콘솔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LI 도구이다.
  • deallocvt영어 : 현재 사용하지 않는 가상 콘솔을 닫는 CLI 도구이다.

6. 2. 로컬 에코

터미널 에뮬레이터는 로컬 에코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는 반이중이라고 잘못 명명되거나, 또는 다소 부정확하게 "에코플렉스"라고 불릴 수 있다(이는 공식적으로 입력 표시 옵션이 아닌 오류 감지 메커니즘이다).[1][2][3][4]

6. 3. 한 줄씩 모드/로컬 편집

터미널 에뮬레이터는 "한 줄씩 모드"라고도 알려진 로컬 편집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것은 반이중 통신으로 오인되기도 한다.[1] 이 모드에서 터미널 에뮬레이터는 완성된 입력 줄만 호스트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사용자는 줄을 입력하고 편집하지만, 편집되는 동안 터미널 에뮬레이터 내에 로컬로 보관된다. 사용자가 키보드의 Enter 키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전송" 버튼으로 완료 신호를 보낼 때까지 전송되지 않는다. 이 시점에서 전체 줄이 전송된다. 한 줄씩 모드는 로컬 에코를 의미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사용자는 편집하고 구성하는 동안 줄을 볼 수 없을 것이다.[2][3] 그러나 한 줄씩 모드는 에코 모드와 독립적이며 로컬 에코를 ''요구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비밀번호를 입력할 때, 로컬 편집과 함께 한 줄씩 입력이 가능하지만 로컬 에코는 꺼져 있다(그렇지 않으면 비밀번호가 표시될 것이다).[4]

한 줄씩 모드의 복잡성은 telnet 프로토콜의 한 줄씩 모드 옵션에 의해 예시된다. 이를 올바르게 구현하려면 터미널 에뮬레이터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가상 터미널'' 구현이 로컬에서 줄을 편집하는 중간에 도착하는 "중단" 및 "중단" 이벤트를 인식하고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5]

6. 4. 동기식 터미널

IBM 메인프레임 컴퓨터와 함께 사용되는 IBM 3270 기반 터미널은 '''동기식 터미널'''의 한 예이다. 이들은 "한 번에 화면" 모드(블록 모드라고도 함)로 작동한다. 사용자는 업데이트된 화면을 단일 작업으로 원격 머신에 전송하기 전에 페이지를 여러 번 변경할 수 있다.[1]

3270 프로토콜을 시뮬레이션하는 터미널 에뮬레이터는 z9과 같은 시스템을 관리하는 사람들과 CICS와 같은 해당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사람들 모두가 사용할 수 있도록 대부분의 운영 체제에서 사용할 수 있다.[1]

동기식 터미널의 다른 예로는 IBM 5250, ICL 7561, Honeywell Bull VIP7800 및 Hewlett-Packard 700/92가 있다.[1]

7. 종류 (터미널 에뮬레이터 목록)

단말 에뮬레이터는 전용 단말기의 기능을 소프트웨어로 구현하여, 개인용 컴퓨터유닉스 워크스테이션 등에서 전용 단말기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주로 VT100 에뮬레이션 기능을 제공하며, 문자 기반 비디오 단말뿐만 아니라 그래픽 단말이나 프린터 에뮬레이션도 가능하다.[14]

단말 에뮬레이터는 통신을 통해 호스트 머신에 접속하거나, 현재 사용 중인 머신의 인터페이스로 활용되어 설정 변경, 파일 조작, 소프트웨어 설치 및 개발 등에 사용된다.[14] 윈도우 시스템에서는 여러 단말 에뮬레이터를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접속 대상에 따라 에뮬레이트하는 기종이 달라지는데, Unix 환경에서는 DEC사의 VT100 에뮬레이터가 사실상의 표준이다. 메인프레임 환경에서는 IBM 3270, 후지쯔, 히타치 제작소 단말기, IBM AS/400 환경에서는 IBM 5250을 에뮬레이트한다.

그래픽 단말 에뮬레이터도 있는데, xterm이 에뮬레이트하는 Tektronix 4014가 그 예이다. POSIX 준수 여부에 따라서도 분류할 수 있다.

7. 1. POSIX/UNIX 계열


  • X 윈도우 시스템에서 작동하는 터미널 에뮬레이터
  • * xterm (X의 표준 터미널 에뮬레이터. VT102를 확장한 사양과 Tektronix 4014를 에뮬레이트함)
  • ** kterm (xterm을 일본어 대응으로 만든 것. k는 kanji의 약자)
  • ** rxvt (xterm에서 Tektro 에뮬레이션 등의 기능을 삭제하여 경량화)
  • * uxterm
  • * QTterm
  • * LXTerminal (LXDE)
  • * Xfce Terminal (Xfce)
  • * dtterm (CDE)
  • * GNOME 터미널 (GNOME)[15]
    GNOME 터미널. Bash가 실행 중인 상태.
  • ** GNOME 터미네이터
  • * Konsole (KDE)
  • * Eterm
  • * mlterm
  • macOS에서 작동하는 터미널 에뮬레이터 (macOS는 macOS X 이후 UNIX 계열)
  • * 터미널 (macOS)
  • * iTerm
  • * JTerminal.app

7. 2. Windows

다음은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에서 동작하는 터미널 에뮬레이터 목록이다.

  • Windows 번들 제공
  • * Win32 콘솔 (conhost.exe)
  • ** 명령 프롬프트나 PowerShell 등의 Windows 콘솔 애플리케이션 및 Windows Subsystem for Linux (WSL)가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OS 내장 소프트웨어이다.
  • ** 하이퍼터미널 (Hilgraeve Inc.의 제품)
  • 프리 소프트웨어
  • ** Windows 터미널
    Windows 터미널의 멀티 화면
  • ** Poderosa
  • ** PuTTY
  • ** RLogin
  • ** Tera Term
  • ** mintty
  • IBM
    IBM PCOMM이 Windows에서 동작하여 IBM 호스트 시스템에 액세스하는 터미널 에뮬레이터
  • ** 퍼스널 커뮤니케이션즈 (IBM의 3270/5250 터미널 에뮬레이터, 약칭 PCOMM)
  • 후지쯔
  • ** WSMGR (후지쯔의 F6680, 3270, 5250 에뮬레이터)
  • ** K 시리즈 터미널 에뮬레이터 (FMG 시리즈, PRIMERGY 6000 등)
  • 히타치 제작소
  • ** CommuniNet Version3 (히타치 제작소의 터미널 에뮬레이터)
  • 인터콤
  • ** FALCON (클라이언트 PC 도입형 3270, 5250, 6680, 560 터미널 에뮬레이터)
  • ** FALCON for .NET (서버 도입형 3270, 5250, 6680, 560 터미널 에뮬레이터)
  • ** FALCON for iPad (iPad 도입형 3270, 5250 터미널 에뮬레이터)
  • 캐논 소프트 정보 시스템 (캐논 소프트웨어의 자회사, 구 쵸리 정보 시스템)
  • ** TCPLink 스탠다드
  • ** DirectLink HIS 대응 버전
  • ** DirectLink DLC 대응 버전
  • ** DirectLink HNALAN 대응 버전
  • ** SingleLink
  • 사이버넷 시스템
  • ** Reflection for UNIX and OpenVMS (VT 에뮬레이터)
  • ** Reflection for IBM 2007 (3270, 5250 에뮬레이터)
  • NetManage
  • ** RUMBA for Citrix and Terminal Server (3270, 5250, VT, WYSE 50/60, HP/MPE 에뮬레이터)
  • ** RUMBA Mainframe (3270 에뮬레이터)
  • ** RUMBA AS/400 (5250 에뮬레이터)
  • ** RUMBA UNIX-HP (VT, HP3000 MPE 에뮬레이터)
  • 비콘 IT
  • ** EXTES (F6680, 3270, 5250, 560, K 시리즈 터미널 에뮬레이터)
  • ** EXTES Xuras (F6680, 3270, 5250, 560, K 시리즈 웹 에뮬레이터)
  • MS-DOS에서 동작하는 것
  • * MS-Kermit (VT102 에뮬레이션과 커밋 프로토콜에 의한 파일 전송)
  • * hterm (AX나 DOS/V가 아닌 IBM-PC에서도 일본어 사용을 실현)

8. TCP/IP 연결

TCP/IP를 통해 터미널 에뮬레이터를 연결할 때 SSH, Telnet, rlogin 등의 기능을 사용한다.[14] rlogin과 Telnet은 비밀번호 등을 포함한 모든 통신 내용을 암호화되지 않은 평문 상태로 주고받는다.[14] 이는 극히 제한적인 용도로는 괜찮을 수 있지만, 인터넷을 통한 연결에서는 매우 위험하다.[14] 따라서 최근에는 SSH를 통한 연결이 일반적이다.[14]

2015년경까지 윈도우용 SSH 클라이언트는 공식적으로 제공되지 않아, 터미널 에뮬레이터에 SSH 클라이언트가 통합된 경우가 많았다.[14] 현재는 [https://docs.microsoft.com/ja-jp/windows-server/administration/openssh/openssh_overview Windows의 OpenSSH]가 제공되며, PowerShell이나 명령 프롬프트 등 명령줄 도구에서 사용할 수 있다.[14]

참조

[1] 웹사이트 FU Berlin, 3. Minicomputer architecture http://www.inf.fu-be[...]
[2] 웹사이트 Emulating a Terminal on Personal Computers https://www.emtec.co[...]
[3] 웹사이트 Telemate Wiki http://www.thealmigh[...]
[4] 웹사이트 SSH Clients for Windows https://www.slant.co[...]
[5] 웹사이트 Powering Linux in the Data-Center https://www.debianad[...]
[6] 웹사이트 Alternatives to Putty https://alternativet[...]
[7] 웹사이트 XTerm - Frequently Asked Questions (FAQ) https://invisible-is[...]
[8]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Terminal Emulation https://www.ttwin.co[...] 2021-10-04
[9] 웹사이트 Ubuntu Manpage: tty — general terminal interface http://manpages.ubun[...] 2021-10-04
[10] 웹사이트 Screen dumps https://tldp.org/HOW[...] The [[Linux Documentation Project]] 2008-07-31
[11] 웹사이트 apple https://support.appl[...]
[12] 문서 Linuxのメジャーな版(ディストリビューション)である[[Ubuntu]]でも単に「terminal ターミナル」ということが多い。理屈の上ではターミナル画面を「ターミナル」と略してしまうと、ターミナル(端末)そのものとターミナル画面の区別がつかなくなってしまうが、近年では、どうせ大型コンピュータの物理的な専用端末の実物などというもの(ほぼ歴史的な遺物になってしまったもの)に触れそれを会話内で呼ぶ必要がある人は(英語圏であれ、日本であれ)ほぼいないわけであるし、いちいち「terminal window」と言っていては長ったらしくて不便でしょうがないので、「terminal」で済ませるのが妥当だと判断されているのである。ITの世界は効率重視なので、「コンピューター」ではなく「コンピュータ」と言うなど、できるだけ短く、1文字でも短く表現するのが基本となっている。その結果、ついには「エミュレータ」を省いてしまうことも一般的になってきている。
[13] 문서 なお1990年代までは、一部に「端末模倣プログラム」と言う人もいたが、これは現在ではほぼ使われない。いわゆる死語である。
[14] 문서 ソフトウェアの開発者がソースコードを[[コンパイラ|コンパイル]]する場合も、その結果得られたオブジェクトコードを[[実行 (コンピュータ)|実行]]させる場合もターミナル画面でコマンドを入力する。昔、[[大型コンピュータ]]のファイル操作をしたりそのソフトウェアの開発する場合も、たとえ通信経由でなくても、たとえば大型コンピュータが設置してあるコンピュータ・ルーム(計算機室)内で行う場合でも、結局、専用端末を操作したように、現代のソフトウェア開発者たちも、自分の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でファイル操作やソフトウェア開発を行う時にはターミナル画面を開いてさまざまな操作を行っている。
[15] 문서 Linuxのメジャーなディストリビューションの[[Ubuntu]]で動作するものは「GNOME 端末」である。
[16] 웨이백 https://wiki.ubuntu-[...] 2021-1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