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성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성장은 중국의 혁명가로, 어려서 사숙 교사로 활동하다가 일본 유학 후 반청 혁명 단체인 광복회에 참여했다. 그는 최면술을 연구하여 혁명 운동에 활용하려 했으며, 중국동맹회에 가입하여 기관지 민보의 주편을 맡기도 했다. 그러나 손문과의 갈등으로 인해 광복회를 재조직하고 반(反) 손문 운동을 벌이다가 1912년 암살당했다. 도성장의 암살 사건은 혁명 이후 권력 투쟁의 비극적인 단면을 보여주는 사건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암살 배후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정치인 - 신시행
신시행은 명나라의 관료이자 학자로, 장거정 사후 혼란한 정국을 수습하고 만력제의 신임을 얻어 국정을 총괄하며 안정적인 국정 운영을 위해 노력했으나, 만력제 후계자 문제에 대한 미흡한 대처로 비판받기도 했다. - 중국의 정치인 - 염구
염구는 노나라 출신으로 계손씨 가문에서 활동하며 정치적 재능을 보였고 제나라 침략 격퇴에 공을 세웠으나, 공자로부터 인(仁)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지만 십철로 추앙받으며 공자묘에 신주가 모셔진 공자의 제자이다. - 암살된 정치인 - 조브넬 모이즈
조브넬 모이즈는 아이티의 사업가 출신 정치인으로, 2017년부터 2021년 암살당할 때까지 아이티 대통령을 역임하며 인프라 개선 사업을 추진했으나, 부패 혐의와 삶의 질 악화에 대한 비판을 받았다. - 암살된 정치인 - 조극관
조극관은 양주 조씨 출신으로 태종, 세종, 문종, 단종 4명의 임금을 섬기며 여러 관직을 거쳐 평안도관찰사, 병조참판, 이조참판 등을 역임하고 형조판서, 대사헌을 지냈으나 계유정난으로 살해된 인물이다. - 신해혁명 - 호국 전쟁
호국 전쟁은 1915년부터 1916년까지 중화민국에서 위안스카이의 제제국 선포에 반발하여 남부 지역에서 일어난 내전으로, 위안스카이의 퇴위와 사망으로 종결되었지만 군벌 시대가 도래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 신해혁명 - 화흥회
화흥회는 황흥이 1904년에 창립한 중국의 혁명 단체로, 만주족 축출과 중화 부흥을 목표로 반청 활동을 전개했으며, 이후 중국 동맹회와 합병하여 중국 혁명 운동에 기여했다.
도성장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도성장(陶成章) |
원어 이름 | 타오청장(陶成章) |
직업 | 정치인 |
생애 시기 | 20세기 |
성별 | 남 |
출생일 | 광서(光緒) 3년(1877) 12월 22일 |
출생지 | 절강성(浙江省) 소흥부(紹興府) |
사망일 | 1912년 1월 14일 |
사망지 | 상해프랑스조계(上海法租界) 광자의원(廣慈醫院) |
사인 | 장개석(蔣介石)에게 암살 |
국적 | 청(淸)(1877-1912) 중화민국(中華民國)(1912.1.1.-1912.1.14.) |
정당 | 광복회(光復會) |
과거 직업 | 사숙 교사 절강성 임시 참의회 의장 |
저서 | 《절안기략(浙案纪略)》 《중화민족력무소장사(中华民族力务消长史)》 |
2. 생애
도성장은 시서(詩書) 공부에 몰두하여 어려서 사숙(私塾) 교사가 되었다. 1902년 일본에 유학하였고, 이듬해인 1903년 귀국하였다. 1904년 10월 채원배(蔡元培) 등과 함께 상해(上海)에서 광복회(光復會)를 세우고 채원배를 회장(會長)으로 추대하였으며, 도성장은 회당(會黨) 연락 책임을 맡았다.[5]
1907년 서석린의 안경기의(安慶起義)가 실패한 후, 청나라 정부로부터 수배된 도성장은 남양(南洋, 동남아)으로 도주하여 그곳에서 신문을 발행하며 혁명을 선전하였다.
2. 1. 광복회 활동
1905년 도성장은 중국인들의 미신이 깊다는 생각에 진대제(陳大齊)에게 도쿄에서 최면술을 배워 혁명 운동에 활용하고자 했다.[5] 그해 여름 상해에 최면술 강습소를 설치했고, 강의 일부는 '최면술강의'라는 제목으로 『대륙보(大陸報)』에 실렸다. 같은 해, 서석린(徐錫麟) 등과 함께 소흥(紹興)에서 대통학당(大通學堂)을 설립하여 혁명 인재를 양성했다.1906년 3월, 『최면술강의(催眠術講義)』(상무인서관商務印書館)를 출판했다.[5] 이 책은 1928년까지 24판이 나올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같은 해, 일본으로 건너가 중국동맹회(中國同盟會)에 가입했다.[5]
2. 2. 중국동맹회 가입과 분열
1908년, 도성장은 항주(杭州)에서 강소(江蘇), 절강(浙江), 안휘(安徽), 강서(江西), 복건(福建) 5개 성(省)의 홍문(洪門) 등 회당(會黨)과 연락하여 비밀결사 '혁명협회(革命協會)'를 결성하였다. 이들은 '일통용화산(一統龍華山)'과 '한족동등보도당(漢族同登普度堂)'을 조직하고, 악비(岳飛)에게 제사를 올리며 '대명강산(大明江山)' 회복을 선언하였다. 또한 임시 정부인 '신중국군정성(新中國軍政省)'을 구상하고, 내, 외 두 부(府)로 나누어 통치 체계를 갖추었다. 외부(外府)에는 도독(都督), 통제사(統制使), 군정사(軍正使) 등의 관직을 두었다.[5]혁명협회의 장정(章程)에 따르면, 혁명 성공 후에는 선거를 통해 총통을 선출하며, 임기는 5년 또는 8년으로 하되 세습은 금지하였다. 또한 시민정체나 무정부 체제도 고려 대상이었다. 토지는 공유 재산으로 바꾸어 부호의 독점을 막고, 빈부 격차를 해소하고자 하였다. 세금 감면, 군비 축소 등을 통해 백성들의 삶을 개선하고, '태평성대'를 이루어 혁명이 불필요한 사회를 만들고자 하였다.[5]
입회 규정은 엄격하여, 증인과 집법행형인에게 맹세해야 했다. 신규 회원은 홍문36서(洪門三十六誓)를 모방한 맹세를 통해 충성을 다짐했다. 맹세 내용은 성심성의, 협력, 비밀 엄수, 명령 복종, 형제애 등을 강조하였다.[5]
한편, 도성장은 장병린(章炳麟)과 함께 손문(孫文)의 독단적인 자금 운영과 권위주의적인 리더십을 비판하며, 1910년 광복회를 재조직하였다. 장병린(章炳麟)이 회장, 도성장이 부회장이 되었다.[6]
3. 도성장과 장병린의 반(反) 손문 운동
1908년, 도성장은 일본에서 동맹회의 기관지 『민보(民報)』 주필을 맡았다. 이전에 손문(孫文)이 동맹회와 논의 없이 일본에서 자금을 지원받은 것이 내부 분열의 원인이 되었다.[6] 1910년 장병린(章炳麟)과 도성장 등은 광복회를 재조직하고 장병린이 회장, 도성장이 부회장을 맡았다.
1908년 9월, 도성장은 당계고(唐繼高)라는 가명으로 싱가포르에 가서 손문에게 『민보(民報)』 경비로 2천 은원(銀元)을 요구했다. 당시 베트남 하구기의(河口起義) 실패 후 프랑스 식민 당국에 의해 싱가포르로 압송된 600여 명의 전사들은 손문과 경제적 어려움을 겪던 싱가포르 화교들이 맡게 되었다. 손문 자신도 생계가 어려워 도성장에게 손목시계와 의복을 주어 돈으로 바꾸게 했다. 얼마 후 도성장은 다시 5만 원의 자금 지원을 요구했으나, 손문은 마련하지 못했다.
도성장은 강소, 절강, 안휘, 강서, 복건 5성 혁명군 명의로 남양에 가서 자금을 모금했지만, 화교들은 거의 기부하지 않았다. 도성장은 손문이 몰래 공작한다고 의심하며, 하구기의에 들어간 비용은 1천여 원(元)에 불과하고 손문이 동지들의 기부금을 가로채 재산을 축적했다고 주장했다. 도성장은 5~6명을 모아 싱가포르 남양총회신보(南洋總彙新報)에서 ‘동맹회칠성의견서(同盟會七省意見書)’를 발표했다. 이것이 이른바 ‘손문죄상(孫文罪狀)’이다. 도성장은 손문이 ‘사기와 사리 추구(謊騙營私)’로 회풍은행(匯豐銀行)에 거액을 예금하고 2만 혁명 경비를 횡령하여 ‘동지를 해치고(殘賊同志)’, ‘동지를 속이며(蒙蔽同志)’, ‘전체의 명예를 훼손(敗壞全體名譽)’했다고 3종 12개 항목의 ‘죄상’을 지적했다. 또한 9개 항목의 사후 처리 방식을 제시하며 ‘손문을 총리에서 제명하고 죄상을 발표하여 국내외에 알릴 것(開除孫文總理之名, 發表罪狀, 遍告海內外)’을 요구했다. 프랑스의 장계(張繼) 역시 손문에게 ‘깊은 산에 은퇴(退隱深山)’하거나 ‘천하에 동맹회 총리 사퇴를 포고할 것(布告天下, 辭退同盟會總理)’을 요구했다.[7]
당시 혁명당원들은 도성장과 장태염 등이 손문을 질책한 것에 분개했다. 화흥회(華興會) 영수 황흥(黃興)은 도쿄에서 손문에게 서신을 보내 ‘도성장 등이 난폭하게 굴지만 제가 힘써 막겠다(陶等雖悍, 弟當以身力拒之)’고 했다. 베트남의 중국혁명당원은 ‘하내공함(河内公函)’을 발표하여 광서(廣西)와 운남(雲南)의 기의 경과를 자세히 설명하고, 사실을 들어 도성장과 장태염 등의 비방을 반박했다. 남양의 중국혁명당원은 손문의 경제 상황을 알렸다. ‘선생의 구룡 집에는 모친만 있으며 부인과 딸은 몇 칸의 낡은 집만 있을 뿐이다. 선생의 형도 초가집을 직접 고쳐 농사를 짓고 있다. 선생이 혁명을 위해 재산을 내놓았는데 돈을 집에 보냈다면 왜 가족의 집과 사람들이 아직도 이렇게 가난하게 사는가?(先生九龍的家裏, 只有母親, 自己的夫人和女兒, 幾間舊房子, 此外別無所有. 還有先生的哥哥, 是自己修了草房子, 在那裏耕種. 假使先生爲革命發了財, 把錢寄到家裏去, 爲什麼家裏的房子, 家裏的人, 還是這樣蹩腳呢?)’[8]
손문은 도성장 등 반대파의 요구를 단호히 거부했다. '지금은 혁명이 가장 쇠퇴했을 때로, 성공과 흥성의 때가 아니다. 내가 위기를 무릅쓰고 고통을 감내하며 나아가야 할 때이지, 은퇴할 때가 아니다. … 나는 총리로 선출되었고 이를 받아들이겠다고 천하에 포고한 적 없으니 사퇴 역시 천하에 포고할 이유가 없다. 내가 총리를 사퇴하는 것은 동맹회와 장태염에게 잘못을 인정하라고 요구할 때이다. 동맹회와 장태염은 지금까지 잘못을 인정하지 않았으니, 나는 그들의 총리가 되는 것을 승인하지 않은 지 오래다.(此時爲革命最衰微之時, 非成功興盛之候, 是爲弟冒艱危、茹困苦以進取之時代, 非退隱之時代也. … 弟被舉爲總理, 未有布告天下始受之, 辭退亦斷未有布告天下之理. 弟之退總理已在要求同盟會及章太炎認不是之時, 同盟會及太炎至今未有認過, 則弟已不承爲彼等之總理者久矣.)' 또한 혁명당원에게 다음과 같이 격려했다. '지금 오랑캐의 분위기가 어둡고 당에 내분이 발생하여 참으로 어렵고 위태로운 시대이니, 내가 힘써 나아가야 할 때이다. 만약 소수인이 꺾이지 않는 기백을 가지고 용감히 앞으로 나아간다면, 이 액운을 이겨낼 수 있으며, 곧 훗날 반드시 반동이 이루어질 때가 올 것이다.(際此胡氛黑暗, 黨有內訌, 誠爲至艱危困苦之時代, 卽爲吾人當努力進取之時代也. 倘有少數人毅力不屈, 奮勇向前, 支撐得過此厄運, 則以後必有反動之佳境來也.)'[9]
4. 암살
1912년 1월, 진기미는 장개석에게 상해 프랑스 조계의 병원에 있는 도성장을 암살하라고 명령했다.[11] 이 사건은 혁명 세력 내부의 권력 다툼과 광복회와 동맹회 간의 갈등 때문에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1월 21일, 상해 영석당(永錫堂)에서 서석린, 진백평, 마종한과 도성장 4명의 추도대회가 열렸고, 약 4천여 명이 참가했다.[15][16] 이후 도성장은 절강 항주(杭州)에 안장되었다.[17]
1913년 6월 22일, 왕문경, 심균업, 방어사 등은 '도사(陶社)'를 세워 도성장을 기념했다.[21]
4. 1. 암살 사건과 배후
1912년 1월, 도성장은 병으로 상해 프랑스 조계 금신부로(金神父路) 광자의원(廣慈醫院)에 비밀리에 요양하였으나, 진기미는 부하 장개석에게 도성장을 암살할 것을 명령하였다. 장개석은 흔쾌히 명을 받들어 수행하였고, 암살 사건을 일기에 썼다.[11] 13일, 두 사람이 의원을 방문하였고, 이후 병실에 들어가 도성장을 총으로 저격하였으며, 도성장은 머리와 배에 탄환을 맞고 그날 밤 사망하였다.[12] 총을 쏜 사람에 대하여 일설에는 장개석이 광복회 성원 왕죽경을 통하여 의원에 간 후에 장개석이 직접 총을 쐈다고도 하고, 다른 일설에는 장개석이 왕죽경을 매수하여 왕죽경이 직접 암살하였다고도 한다.[13]암살 동기는 혁명 세력 내부의 권력 다툼과 광복회와 동맹회 간의 갈등으로 추정된다.
손문은 도성장의 사망 소식을 듣고 진기미에게 전보를 쳐서 범인을 체포하고 '그 죄를 명확히 밝힐 것(明正其罪)'을 요구하였으며, 동시에 도성장의 공적을 칭찬하였다.[14]
몇 달 후, 상해 회심공해(會審公廨) 혹은 공공공해(公共公廨)는 진석규(陳錫奎)와 이우산(李友山)·서춘산(徐春山) 3명을 각각 암살의 주범과 종범으로 보고, 감금형을 판결하였다.[18]
장개석 본인은 『중정자술사략(中正自述事略)』을 찬술하였을 때에 이 일에 대하여 언급을 피하려 하지 않았고, 축소강(竺紹康)에게는 서석린의 죽음이 ‘실제로는 도성장의 강압에 의한 것(實爲陶成章之逼成)’이며 ‘도성장의 사람됨은 다른 사람과 같이 일하기 쉽지 않다(陶之爲人, 不易共事)’고 직언하였다. 노신은 도성장을 ‘환황제(煥皇帝)’라고 칭하기도 하였으며,[19] 사략고본(事略稿本)에서는 장개석이 도성장 암살 성공으로 손문의 신임을 얻기 시작하였다고 말하였다.[20]
역사학자 왕영조(汪榮祖)는 도성장의 명망이 너무 높아 절강도독으로 공추(公推)될 예정이었지만 손문에게 받아들여지지 않아 진기미에게 암살하라는 의도를 전하였다고 보았다.[22] 그러나 역사학자 양천석(楊天石)은 도성장 암살은 손문과 무관하다고 보았는데, 그 이유는 장개석이 일기에서 ‘나는 총리(손문)와 시종 이 일을 언급한 적이 없다(余與總理始終未提及此事)’고 언급하였고, 손문이 선거에서 임시대총통(臨時大總統)이 된 이후에 내각 인선을 검토할 때에 채원배에게 서신을 보내어 ‘장태염군 등에 대하여서는 서로의 우정에 작은 다툼이 있으며(至于太炎君等, 則不過偶于友誼小嫌)’ ‘존숭의 족적은 반드시 언급해야 하니 저는 세속의 작은 원망은 없습니다(尊隆之迹, 在所必講, 弟無世俗睚眦之見也)’라고 하였던 바, 장태염은 두 차례 ‘손문을 쓰러뜨릴 소동(倒孫風潮)’의 주력이었으나, 손문은 오히려 ‘우정에 있어서의 작은 미움(友誼小嫌)’이라고 담담히 말하였으니, 도성장 암살을 안배하지 않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23]
4. 2. 사건의 영향
장태염(章太炎)은 도성장 암살 사건을 계기로 중국동맹회(中國同盟會)와 광복회 간의 갈등을 비판했다. 1912년 1월 28일, 장태염은 『대공화일보(大共和日報)』에서 ‘손문(孫文)에게 보내는 공개 서신(致孫中山公開信)’을 발표하고 동맹회와 광복회 사이의 상잔을 질책하였다.[14]도성장 암살 사건은 혁명 이후 권력 투쟁의 비극적인 결과를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몇 달 후, 상해 회심공해(會審公廨) 혹은 공공공해(公共公廨)는 진석규(陳錫奎)와 이우산(李友山)·서춘산(徐春山) 3명을 각각 암살의 주범과 종범으로 보고, 감금형을 판결하였다.[18]
역사학자 왕영조(汪榮祖)는 도성장의 명망이 너무 높아 절강도독으로 공추(公推)될 예정이었지만 손문에게 받아들여지지 않아 진기미(陳其美)에게 암살하라는 의도를 전하였다고 보았다.[22] 그러나 역사학자 양천석(楊天石)은 도성장 암살은 손문과 무관하다고 보았다.[23]
5. 평가
도성장은 시서(詩書) 공부에 몰두하여 어려서 사숙(私塾) 교사가 되었다. 1905년에는 최면술을 배워 혁명 운동에 활용하고자 했으며, 관련 저서를 출판하기도 했다. 그는 중국동맹회(中國同盟會)에 가입하고, 광복회(光復會)를 재조직하는 등 혁명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그러나 손문(孫文)과의 갈등으로 동맹회 내부 분열을 겪기도 했다.[6] 그의 죽음은 혁명 과정에서 권력 투쟁과 폭력의 위험성을 보여주며, 민주적 절차와 합의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역사적 교훈을 남겼다. 역사학자들은 도성장 암살 사건의 배후와 진실을 밝히기 위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5]
참조
[1]
위키문헌
為半農題記何典後作
[2]
웹인용
陶成章简介_浙江省人物志_我的网站
http://lishi.zhuixue[...]
2018-07-24
[3]
웹인용
江南才俊出陶堰_掌上绍兴
https://web.archive.[...]
2018-07-24
[4]
웹인용
中秋绍兴陶堰陶氏家族:明月千里,风节延昌_手机网易网
https://web.archive.[...]
2018-07-24
[5]
서적
中国近现代人名大辞典
中国国际广播出版社
[6]
위키문헌
革命逸史
1939-06
[7]
웹인용
1909年11月12日,復張繼論辭同盟會總理職事函
http://sunology.cult[...]
台灣,國父全集,第四冊,第99-100頁
2015-06-07
[8]
웹인용
吳羊璧《五千年大故事之近代百年波濤》,第208頁
https://books.google[...]
2015-06-08
[9]
웹인용
陳三井《舵手與菁英: 近現代中國史研究論叢》,第27頁
https://books.google[...]
2015-06-08
[10]
문서
1911년 12월 20일, [[마군무]](馬君武)는 『민립보(民立報)』에서 글을 발표하여 손문을 지지, '작은 미움과 묵은 원한을 가지고 제멋대로 무고하는 자(挾小嫌宿怨以肆誣謗者)'에 반대하였다.
[11]
서적
蔣主席
https://taiwanebook.[...]
勝利出版社
1945
[12]
뉴스
陶煥卿被刺警耗
https://archive.org/[...]
1912-01-16
[13]
웹인용
沈寂,《胡適與蔣介石》,第32頁
https://books.google[...]
2015-06-08
[14]
뉴스
大總統悼惜陶煥卿
https://archive.org/[...]
1912-01-18
[15]
뉴스
永錫堂追悼大會
https://archive.org/[...]
1912-01-23
[16]
뉴스
永錫堂追悼大會紀事
https://archive.org/[...]
1912-01-23
[17]
뉴스
陶煥卿歸骨西湖記
https://archive.org/[...]
1912-02-04
[18]
뉴스
陳都督注意暗殺巨犯
https://archive.org/[...]
1912-07-01
[19]
문서
蒋介石《中正自述事略》
[20]
문서
《事略稿本》民國32年7月
[21]
뉴스
陶社成立大會記事
https://archive.org/[...]
1913-06-27
[22]
문서
汪榮祖 <評說蔣介石> P55起
[23]
저널
“倒孙风潮”与蒋介石暗杀陶成章事件
https://www.aisixian[...]
2017-0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