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흥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흥회는 1904년 2월 15일, 황흥을 중심으로 중국 혁명을 목표로 창립된 단체이다. 1903년 러시아의 중국 동북지방 침략 시도에 대항하여 일본 유학생들이 결성한 의용대와 군국민교육회의 활동을 기반으로, 황흥은 혁명 사상을 전파하고 혁명 자금을 마련하는 등 사전 준비를 거쳐 화흥회를 설립했다. 화흥회는 장사에서 봉기를 계획했으나 정보 유출로 실패했고, 이후 쑨원과 황흥의 만남을 통해 중국동맹회로 발전했다. 화흥회는 중국동맹회에 흡수되어 신해혁명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정당 - 광복회 (중국)
광복회는 1904년 중국 상해에서 채원배, 도성장 등이 군국민교육회를 모태로 창립한 혁명 단체로, 멸만흥한을 목표로 신해혁명에 참여했으나 1912년 도성장 암살 사건 이후 해체되었다. - 중국국민당 - 국공 내전
국공 내전은 1927년부터 1949년까지 중국 국민당과 공산당 간의 무력 충돌로, 중화인민공화국 수립과 중화민국 분단으로 이어진 중요한 사건이다. - 중국국민당 - 중산함 사건
중산함 사건은 1926년 장제스가 중국 국민당 내 공산주의 세력을 숙청하기 위해 일으킨 사건으로, 국공합작 시기 공산당의 영향력 확대를 우려한 장제스가 당내 권력을 강화하고 국공내전으로 이어지는 분기점이 되었다. - 중국의 비밀결사 - 배상제회
배상제회는 1840년대 펑윈산이 광시성에서 창립한 종교 결사로, 기독교 영향을 받아 상제 신앙을 중심으로 홍수전의 신앙을 전파하며 조직되었고, 1851년 금전 봉기를 통해 태평천국을 건국하고 태평천국의 난으로 이어졌다. - 중국의 비밀결사 - 광복회 (중국)
광복회는 1904년 중국 상해에서 채원배, 도성장 등이 군국민교육회를 모태로 창립한 혁명 단체로, 멸만흥한을 목표로 신해혁명에 참여했으나 1912년 도성장 암살 사건 이후 해체되었다.
| 화흥회 |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화흥회(華興會) |
| 현지 이름 | 華興會 |
| 창립자 | 황흥 |
| 창립 장소 | 후난성창사시 |
| 합병 대상 | 중국 동맹회 |
| 유형 | 혁명 조직 |
| 본부 | 창사시 |
| 지도자 이름 | 황흥 |
2. 배경
20세기 초, 청나라는 쇠퇴하고 외세의 침략이 심해지면서 중국 지식인 사회에서는 혁명 운동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1903년, 러시아가 청나라에 7가지 요구 사항을 제시하며 중국 동북지구(만주) 침략을 시도하자, 일본 유학생을 중심으로 혁명 운동이 본격화되었다. 이들은 의용대를 조직하고 군국민교육회로 개명하며 러시아에 저항하고 국민이 주도하는 운동을 펼쳤다.[1][2][3] 황흥은 일본 유학 후 귀국하여 혁명 운동을 이끌었고, 여러 혁명 서적을 출판하며 화흥회 성립의 기반을 다졌다.[2][5]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국제 정세의 변화 속에서 중국 내부의 혁명 운동이 태동하는 배경이 되었다.
2. 1. 국제 정세
1903년, 러시아가 청나라에 7가지 요구 사항을 제시하며 중국 동북지구(만주) 침략을 시도했다.[1] 이 소식은 일본에도 전해져 아사히신문(朝日新聞)이 보도했고, 일본 유학 중이던 중국 유학생들은 도쿄 간다(神田) 긴키칸(錦輝館)에서 학생대회를 개최했다.[1] 4월 29일, 이들은 의용대를 조직하여 러시아에 저항하는 국민 운동을 주도했다.[2]학생대회에는 500여 명의 유학생이 모였고, 거아의용대(러시아에 저항하는 의용대)를 결성하여 육군사관학교 출신 남천울(藍天蔚)을 대장으로 선출했다. 황흥(黃興), 양수인(楊守仁), 진천화(陳天華) 등이 참여하여 매일 훈련하며 전선 파견을 대비했다.[1] 청년회 회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했는데, 이들 대부분은 거아의용대에 참가했고 그중 130명은 전장으로 가기를 희망했고, 50명은 도쿄에 남아 일을 처리하고자 했으며, 일부 여성 유학생은 간호사를 희망했다.[1]
유학생들은 학생군으로 개명하려 했으나, 청나라 정부의 압력으로 일본 정부는 해산을 명령했다.[1] 5월 10일, 학생군 집회에 모인 유학생들은 군국민교육회(軍國民教育會)로 개명하고 사태 발전을 따르기로 결의했다.[3][4] 이들은 대표 2명을 선출하여 귀국시킨 후 원세개(袁世凱)에게 러시아와의 전쟁을 주장하게 했다.[2] 북경대학당(北京大學堂)과 상하이 교육계는 전보를 통해 찬성 의사를 밝혔고, 각지에서 집회를 열어 선전 활동을 확대했다.[2]
같은 해 5월, 황흥은 홍문학원(弘文學院)을 졸업하고, 6월 초 운동원(運動員) 신분으로 일본에서 귀국하여 호남(湖南)과 호북(湖北)에서 새로운 움직임을 도모했다.[2] 상해에서 『소보(蘇報)』의 주편(主編) 장사쇠(章士釗) 등 신파(新派) 인사들과 교류하고, 장사명덕학당(長沙明德學堂) 교장 호원담(胡元倓) 등의 초청으로 무창(武昌)을 거쳐 장사로 돌아갔다. 무창에서는 모교 양호서원(兩湖書院)에서 연설했고, 무창부지부(武昌府知府) 겸 원장(院長) 양내분(梁鼎芬)은 상부의 명령으로 황흥을 호북성에서 추방했다. 6월 21일, 청조는 혁명을 주장하는 학생들을 체포하려 했으나, 유학생들은 여러 출판물을 통해 광서(光緒) 연호를 폐지하고 황제(黃帝)를 기원으로 삼았다.[2] 황흥은 4천여 권의 『혁명군(革命軍)』과 『맹회두(猛回頭)』를 군과 학생들에게 배포하고 호남으로 돌아왔다. 장사에서는 명덕학당의 주강석(主講席)을 맡아 수업 외에 비밀리에 혁명활동을 했다.[5]
황흥의 활동은 보수 인사들의 고발로 이어졌으나, 명덕학당 동사(董事) 용장(龍璋) 등의 도움으로 탈출했다. 그는 혁명에 전념하기 위해 명덕학당 교원직을 사퇴하고, 자금 마련을 위해 고향집과 논밭을 팔았다. 계모는 원망 없이 황흥의 사업을 지지했고, 친척과 함께 이사했다. 황흥은 장사 오문정가(吳門正街)에서 일본어학교 “동문강습소(東文講習所)”를 열고, 추용(鄒容)의 『혁명군(革命軍)』이나 진천화의 『맹회두』, 『경세종(警世鐘)』 등 혁명 서적을 대량 번역 출간했다. 이러한 활동은 화흥회 성립의 기초를 마련했다.
2. 2. 중국 내 혁명 운동의 태동
1903년, 러시아가 청나라에 7개 요구 사항을 제출하며 중국 동북지구(만주) 침략을 시도하자, 일본 아사히신문(朝日新聞)이 이를 보도하였다. 이에 일본 유학 중이던 중국 유학생들은 도쿄 간다(神田) 긴키칸(錦輝館)에서 학생대회를 개최하였다.[1] 이들은 의용대(義勇隊)를 조직하여 러시아에 저항하고 국민(國民)이 주도하는 운동을 전개하였다.[2] 학생대회에는 각 성(省)에서 온 유학생 500여 명이 모였고, 거아의용대(拒俄義勇隊)를 설립하여 육군사관학교 출신 남천울(藍天蔚)을 대장(隊長)으로 선출하였다. 황흥(黃興), 양수인(楊守仁), 진천화(陳天華) 등이 참여하였으며, 매일 훈련하며 전선 파견을 대비하였다.[1] 청년회(青年會) 성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였고, 이들 대부분은 거아의용대에 참가하였다. 그중 130명은 전장으로 가기를 희망하였고, 50명은 도쿄에 남아 사무를 처리하고자 하였으며, 일부 여성 유학생은 간호사를 희망하였다.[1]유학생들은 학생군(學生軍)으로 개명하려 하였으나, 청나라의 압력으로 일본 정부는 해산을 명령하였다.[1] 5월 10일, 유학생들은 군국민교육회(軍國民教育會)로 개명하여 사태 발전에 따르기로 결의하였다.[3] 이들은 대표 2명을 공동 추대하여 귀국 후 원세개(袁世凱)에게 참전(參戰)을 요청하였다.[2] 경사대학당(北京大學堂)과 상해(上海) 교육계는 모두 전보를 통해 회신하여 찬성 의사를 밝혔고, 각자 집회를 열어 선전 역량을 확대하였다.[2]
같은 해 5월, 황흥(黃興)은 홍문학원(弘文學院)을 졸업하고, 6월 초 운동원(運動員) 신분으로 일본에서 귀국하여 호남(湖南)과 호북(湖北)에서 새로운 움직임을 도모하였다.[2] 상해에서 『소보(蘇報)』의 주필(主編) 장사쇠(章士釗) 등 신파(新派) 인사들과 교류하였고, 장사명덕학당(長沙明德學堂) 교장 호원담(胡元倓) 등의 초청을 받아 무창(武昌)을 경유하여 장사로 돌아갔다. 황흥(黃興)은 무창에서 모교인 양호서원(兩湖書院)에서 연설을 하였으나, 무창부지부(武昌府知府) 겸 원장(院長) 양내분(梁鼎芬)은 상부의 명령을 받아 황흥(黃興)을 호북성에서 추방하였다. 6월 21일, 청 조정은 혁명을 주장하는 학생들을 체포하려 하였으나, 대세를 막을 수는 없었다. 유학생들은 여러 출판물을 통해 광서(光緒) 연호를 폐지하고 중국 전설상의 군주인 황제(黃帝)를 기원으로 삼았다.[2] 황흥(黃興)은 4천여 권의 『혁명군(革命軍)』과 『맹회두(猛回頭)』를 군과 학생들에게 배포하고, 배를 타고 호남으로 돌아왔다. 장사에서 명덕학당의 주강석(主講席)을 맡았고, 수업 외에 비밀리에 혁명활동을 수행하였다.[5]
황흥(黃興)의 활동은 보수 인사들의 고발을 초래하였다. 명덕학당의 동사(董事) 용장(龍璋) 등은 황흥(黃興)의 탈출을 도왔다. 그는 혁명에 전념하기 위해 명덕학당 교원직을 사퇴하여 학당이 연루되지 않도록 하였다. 자금 모집을 위해 황흥(黃興)은 장사의 고향집과 논밭을 팔아 큰돈을 마련하였다. 고향집에 살던 계모는 원망이나 반대 없이 황흥(黃興)의 사업을 지지하였고, 친척과 함께 이사하였다. 또한 황흥(黃興)은 장사 오문정가(吳門正街)에서 일본어학교 “동문강습소(東文講習所)”를 열었고, 추용(鄒容)의 『혁명군(革命軍)』이나 진천화(陳天華)의 『맹회두』, 『경세종(警世鐘)』 등 혁명인사 서적을 대량으로 번역 출간하였다. 이러한 활동은 이후 화흥회 성립의 기초를 마련하는 데 중요한 연락 및 선전 역할을 하였다.
3. 성립
1903년 11월 4일, 황흥은 30세 생일을 맞아 자신의 집 장원 36무(畝)를 팔아 마련한 자금으로 장사쇠, 오록정, 유규일, 송교인 등 30여 명을 팽연순의 집에 초청하여 혁명 단체 설립을 논의했다.[6][7] 이들은 '광업을 열어 운영하자(興辦礦業)'는 뜻으로 '화흥공사(華興公司)'를 설립하고, '한마음으로 만주를 박멸하고 즉시 청을 청산하자(同心撲滿, 當面算淸)'는 구호를 채택했다.[2]
1904년 2월 15일(제석, 除夕), 장사 명덕학당에서 황흥을 회장, 송교인과 유규일을 부회장으로 하는 화흥회가 정식으로 창립되었다. 이들은 '한 성에 웅거하여 각 성과 분기하자(雄踞一省, 與各省紛起)'는 전략과 '만주를 몰아내고 중화를 부흥하자(驅逐韃虜, 復興中華)'는 혁명 구호를 채택했다.[2]
화흥회는 호남, 호북 지역의 일본 유학생과 학당 학생들을 중심으로 결성되었다. 이들은 『유학역편(遊學譯編)』을 통해 혁명 이론을 전파하고 의견을 교류하며 사전 준비를 해왔다.[2] 황흥은 회장 추대 후, 호남성뿐만 아니라 다른 성의 각계각층과 연대하여 봉기를 일으키고 서로 지원하는 전략을 제안했다.[2] 이에 따라 화흥회원들은 각자의 영역에서 혁명 운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하였다.[8]
3. 1. 핵심 인물
황흥은 화흥회의 회장으로 선출되어 조직을 이끌었으며, 송교인과 유규일은 부회장으로서 황흥을 보좌했다.[2] 이들은 '웅거일성, 여각성분기(雄踞一省, 與各省紛起, 한 성에 웅거하여 각 성과 분기하자)'라는 전략과 '구축달로, 부흥중화(驅逐韃虜, 復興中華, 만주를 몰아내고 중화를 부흥하자)'라는 혁명 구호를 채택했다.[2]황흥은 1903년 11월 자신의 30세 생일을 기념하여 자택의 토지를 팔아 자금을 마련하고, 장사쇠, 오록정, 유규일, 송교인 등 30여 명의 동지들을 초청하여 혁명 단체 설립을 논의했다.[6][7] 이 회의에서 '화흥공사(華興公司)'라는 회사를 설립하여 광업 개발을 명분으로 내세우고, '한마음으로 만주를 박멸하고 즉시 청을 청산하자(同心撲滿, 當面算淸)'는 구호를 채택했다.[2]
황흥은 화흥회 창립 이후, 호영과 송교인에게 호북 지역에서 혁명 운동을 준비하도록 지시했다. 이들은 과학보습소(科學補習所)를 설립하여, 표면적으로는 과학 연구를 명분으로 내세웠지만 실제로는 혁명 운동 기관으로 활용했다.[2]
3. 2. 조직 구성 및 활동 목표
1903년 11월 4일, 황흥은 자신의 집 장원 36무(畝)를 팔아 마련한 자금으로 장사쇠, 오록정, 유규일, 송교인 등 30여 명을 초청하여 장사보갑항(長沙保甲巷) 팽연순의 집에서 혁명단체 설립을 논의하였다.[6][7] 이 모임에서는 '광업을 열어 운영하자(興辦礦業)'는 뜻의 '화흥공사(華興公司)' 설립을 표방하고, '한마음으로 만주를 박멸하고 즉시 청을 청산하자(同心撲滿, 當面算淸)'는 구호를 결의하였다.[2]1904년 2월 15일, 화흥회는 장사 명덕학당에서 정식으로 창립되었다. 황흥이 회장, 송교인과 유규일이 부회장으로 선출되었으며, '한 성에 웅거하여 각 성과 분기하자(雄踞一省, 與各省紛起)'는 전략 방침과 '만주를 몰아내고 중화를 부흥하자(驅逐韃虜, 復興中華)'는 혁명 구호를 확정하였다.[2]
화흥회는 호남과 호북의 일본 유학생과 각 학당 학생을 주축으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유학역편(遊學譯編)』을 통해 혁명 이론을 전파하고 의견을 교류하며 사전 준비를 해왔다.[2]
황흥은 회장으로 추대된 후, 호남성뿐만 아니라 다른 성의 각계각층과 연대하여 봉기를 일으키고 서로 지원하는 전략을 제안하였다.[2] 이에 따라 화흥회원들은 각자의 영역에서 적극적으로 혁명 운동을 전개하였다.[8]
황흥은 호영과 송교인에게 호북에 기관을 설립하여 혁명 운동을 준비하도록 지시하였다. 이들은 군대와 학생들에게 연락하고 과학보습소(科學補習所)를 설립하여, 표면적으로는 과학 연구를 내세웠지만 실제로는 무창에서 혁명 운동을 시작하는 기관이 되었다.[2]
4. 혁명 활동
화흥회는 1904년 창립 후 약 반년 만에 500여 명의 회원을 확보했다. 이들은 주로 귀국 유학생이나 국내 학당의 지식인들이었다. 화흥회는 호남, 상해, 도쿄 등지에 분회를 두고 '동구회', '황한회', '애국협회', '신화회', '십인회' 등 다양한 조직을 통해 반청(反淸) 활동을 전개했다. 이는 당시 중국 내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반청 조직 중 하나였다.[2]
황흥은 유규일을 통해 가로회(哥老會)의 지도자 마복익(馬福益)을 영입하고, 유규일에게 조직 간 연락을 맡겼다. 또한 기밀 유지를 위해 동구회를 통해 화흥회 본부와 가로회 조직원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했다.[2]
1904년, 화흥회는 서태후의 70세 생일 연회를 기회로 장사(長沙)에서 무장 봉기를 계획했다. 황흥을 중심으로 유규일, 마복익(馬福益) 등이 지휘부를 구성하고, 호남성 각지에서 봉기를 일으켜 장사로 진격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봉기 계획은 사전에 누설되었고, 청나라 군대에 의해 진압되었다. 황흥 등 주요 인물들은 해외로 피신했고, 마복익은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4. 1. 장사 봉기 계획
반년 후, 화흥회는 회원을 500여 명 모집하였다. 이들은 대부분 귀국 유학생이나 국내 학당(學堂)의 지식인들이었다. 화흥회는 외지에 분회(分會)를 설치하였고, 회원들은 호남, 상해, 도쿄 등지에서 '동구회(同仇會)', '황한회(黃漢會)', '애국협회(愛國協會)', '신화회(新華會)', '십인회(十人會)' 등의 조직을 만들었다. 이는 당시 중국 내부 각 성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반청(反淸) 조직이었다.[2] 황흥은 가로회(哥老會) 대룡두(大龍頭)와 호남 홍강회(洪江會) 수령(首領) 마복익(馬福益)을 등용했던 유규일에게 회당(會黨) 연락을 맡겼다. 또한 동구회를 통해 가로회 당원과 화흥회 총부(總部)가 직접 만나지 않게 하여 기밀 유지를 도모했다.[2]인원이 충분해지자 황흥은 장사(長沙) 봉기를 계획하고, 유양(瀏陽), 예릉(醴陵), 형양(衡陽), 상덕(常德), 악양(岳陽), 보경(寶慶) 등에서 의군(義軍)을 조직하여 장사로 진격하게 하였다. 황흥은 주수(主帥), 유규일과 마복익은 각각 정총지휘(正總指揮)와 부총지휘(副總指揮)를 맡았다. 봉기는 광서 30년(1904) 음력 10월 10일 서태후(西太后) 70세 생일 연회 때 장사에서 일으키기로 결정되었다. 호남성 각 성(城)에서 관원들이 서태후 생일을 축하하는 자리에 폭탄을 터뜨리는 것을 신호로 삼았다.
그러나 1904년 10월, 봉기 계획이 누설되어 관아에서 알게 되었다. 10월 24일, 청군은 화흥회를 봉쇄하고 조사에 착수하여 유덕승(游德勝)과 소귀생(蕭貴生)이 체포되었다. 봉기는 실행 전에 실패했다. 황흥 등은 기독교 성공회(聖公會) 교사 황길정(黃吉亭) 등의 도움으로 상해를 거쳐 일본으로 피신했다. 마복익은 광서(廣西)를 거쳐 다음 해 상서(湘西) 홍강(洪江)에 은신하며 황흥과 연락하며 재기를 도모했으나, 광서 31년(1905) 봄 평향(萍鄕) 기차역에서 체포되어 음력 3월 초8일 장사에서 처형되었다.
4. 2. 봉기 실패와 그 원인
반년 정도 지난 후, 화흥회는 회원을 약 500명 정도 모았다. 이들 대부분은 귀국 유학생과 국내 학당의 지식인들이었다. 화흥회는 외지에 분회를 설치했고, 회원들은 호남, 상해, 도쿄 등지에서 '동구회', '황한회', '애국협회', '신화회', '십인회' 등의 조직을 만들었다. 이는 당시 중국 내부 각 성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반청 조직이었다.[2]유규일이 가로회(哥老會)의 대룡두(大龍頭)이자 호남 홍강회(洪江會) 수령인 마복익(馬福益)을 화흥회에 소개했다. 황흥은 유규일에게 회당 연락 책임을 맡겼고, 동구회를 통해 가로회 당원과 화흥회 총부가 직접 만나지 않게 하여 기밀 유지를 도모했다.[2]
화흥회는 봉기를 위해 인원을 늘렸고, 충분한 인원이 모이자 황흥은 장사에서 봉기를 일으키기로 결정했다. 유양, 예릉, 형양, 상덕, 악양, 보경 등지에서 의군을 조직하여 장사로 진격하게 하였다. 화흥회는 황흥을 주수로, 유규일과 마복익을 각각 정총지휘와 부총지휘로 삼았다. 봉기는 1904년 10월 초10일 서태후 70세 생일 연회 때 장사에서 일으키기로 결정되었고, 호남성 각 성에 관원들이 서태후 생일을 축하하는 곳에 폭탄을 터뜨리는 것을 신호로 삼았다.
그러나 1904년 10월, 봉기 계획이 한 화흥회원의 누설로 관아에 알려졌다. 10월 24일, 봉기 계획이 새어나가 청군은 화흥회를 봉쇄하고 조사에 나섰으며, 유덕승과 소귀생이 체포되었다. 봉기는 시작도 전에 실패했다. 황흥 등은 기독교 성공회 교사 황길정 등의 도움으로 장사에서 상해를 거쳐 일본으로 피신했다. 마복익은 광서로 피신했다가 이듬해 다시 상서 홍강에 은신하여 황흥과 연락하며 홍강에서 다시 봉기를 일으키고자 했다. 그러나 1905년 봄, 마복익은 평향 기차역에서 청군에 체포되었고, 음력 3월 초8일 장사에서 처형되었다.
4. 3. 회원들의 이후 행적
봉기 실패 후, 황흥 등은 기독교 성공회 교사 황길정 등의 보호를 받으며 장사에서 상해를 거쳐 일본으로 피신하였다.[2] 마복익은 광서(廣西)로 도주하였다가 이듬해 상서(湘西) 홍강에 은닉, 황흥과 연락하며 홍강에서 다시 봉기를 일으키고자 준비하였다. 1905년 봄, 마복익은 평향 기차역에서 청군에 체포되어 음력 3월 초8일 장사에서 처형되었다.5. 사후
황흥은 1904년 11월 말 도쿄에 도착하여, 12월에 100여 명의 유학생과 함께 혁명동지회(革命同志會)를 조직하였다. 1905년 황흥은 귀국하여 기의를 획책하였으나 실패하고 일본으로 돌아왔으며, 쑨원(孫文)도 같은 해 7월 19일 도쿄에서 황흥과 만나 중국동맹회(中國同盟會)를 결성하였다.
5. 1. 중국동맹회로의 발전
1905년 황흥은 귀국하여 기의를 획책하였으나 실패하고 일본으로 돌아왔다. 손문(쑨원)도 같은 해 7월 19일 도쿄에 가서 황흥과 만났다. 7월 30일, 중국동맹회(中國同盟會) 회의가 소집되었다. 화흥회와 흥중회(興中會)는 합병하여 중국동맹회가 되었다. 화흥회 주요 회원은 동맹회 간부가 되었다.[1]
5. 2. 신해혁명에 미친 영향
황흥은 1904년 11월 말 도쿄에 도착했다. 12월, 황흥과 100여 명의 유학생은 혁명동지회(革命同志會)를 조직하였다. 1905년 황흥은 귀국하여 봉기를 계획했으나 실패하고 일본으로 돌아왔다. 쑨원(孫文)도 같은 해 7월 19일 도쿄에 가서 황흥과 만났다. 7월 30일, 중국동맹회(中國同盟會) 회의가 소집되었다. 화흥회와 흥중회(興中會)는 합병하여 중국동맹회가 되었고, 화흥회 주요 회원은 동맹회의 간부가 되었다.[1]참조
[1]
서적
教育與承傳:歷史文化的視角
香港教育圖書公司
2011-01-20
[2]
서적
宋教仁:中國民主憲政的先驅
傳記文學出版社
1985-09-15
[3]
서적
清季的革命團體
中央研究院近代史研究所
1982
[4]
간행물
軍國民教育會會約
蘇報
1903
[5]
서적
黃興傳記
1952
[6]
웹인용
《他和孙中山并称为开国二杰 气壮山河·黄兴》
http://ent.sina.com.[...]
新浪网
2004-02-16
[7]
문서
創立華興會
[8]
서적
明德校史
194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화흥회 주요 지도자. 1905년 일본 도쿄(東京)에서 촬영, 제1열 왼쪽에서부터 첫번째는 [[황흥|황흥(황싱)]](黃興), 네번째는 [[송교인|송교인(쑹자오런)]](宋教仁)](https://cdn.onul.works/wiki/noimage.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