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스 콘벤투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스 콘벤투알(Doce conventual)은 포르투갈 수도원에서 유래한 전통 과자를 통칭하는 용어이다. 15세기 설탕 보급과 함께 발전했으며, 16세기부터 과자 제조 기술이 발전했다. 19세기 포르투갈 수도원 해산 이후 수녀와 수도사들이 생계를 위해 판매하면서 대중화되었다. 지역별로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미뉴, 도루리토랄, 트라스우스몬트스·알투도루, 베이라리토랄, 베이라알타·베이라바이샤, 히바테주, 이스트레마두라, 알렌테주, 알가르브, 마데이라 제도, 아소르스 제도 등에서 고유한 레시피로 만들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르투갈의 과자 - 마지팬
마지팬은 아몬드 가루와 설탕을 반죽하여 만든 과자로, 다양한 기원 설과 지역별 발전 과정을 거쳐 여러 형태로 만들어지며, 장식 및 부재료로 활용되는 에멀젼 식품이다. - 포르투갈의 후식 - 팔미에
팔미에는 겹겹이 반죽으로 만들어 설탕을 뿌려 달콤한 맛을 내는 페이스트리의 일종으로, 나라마다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대중문화 작품 속에서 상징적인 소재로 활용된다. - 포르투갈의 후식 - 커스터드 타르트
커스터드 타르트는 커스터드를 주재료로 하여 만들어진 타르트의 일종으로, 중세 시대부터 다양한 형태로 존재해 왔으며, 세계 각국에서 각기 다른 스타일로 발전해 왔다.
도스 콘벤투알 | |
---|---|
지도 정보 | |
수도원 과자 | |
종류 | 포르투갈 요리의 과자 |
주재료 | 달걀 노른자, 설탕, 아몬드 |
유래 | 포르투갈 수도원 |
관련 국가 | 포르투갈 |
역사적 배경 | |
기원 | 15세기 포르투갈 |
발달 배경 | 수도원에서 대량 생산된 달걀의 흰자 활용 (옷 다림질 등에 사용) 남은 노른자를 설탕과 혼합하여 과자 제조 |
제조 방식 | 수도원의 수녀들에 의해 개발 및 발전 |
특징 | 레시피가 대대로 전해 내려옴 현재까지도 포르투갈의 전통적인 과자로 자리매김 |
주요 재료 | |
핵심 재료 | 달걀 노른자와 설탕의 조합 |
부가 재료 | 아몬드, 설탕에 절인 과일, 계피 등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 |
종류 | |
대표적인 수도원 과자 | 파스텔 드 나타 (Pastel de nata): 커스터드 타르트 오보스 몰레스 드 아베이루 (Ovos moles de Aveiro): 아베이루 지역의 달걀 과자 토시 두 셀루 (Toucinho do céu): 아몬드 케이크 바라이가 드 에기아 (Barrigas de freira): 수녀의 배 파파스 데 앙주 (Papas de Anjo): 천사의 턱 보우가스 (Bogas) 카스탄야스 도스 산투스 (Castanhas dos Santos): 밤 셀레스트 (Celestes) 코스쿠이스 (Coscuéis) 크라우두스 (Craudos) 도세 다 칼다 (Doce da Calda) 엔샤르카두 (Encharcado) 필호스 (Filhos) 케이자다스 (Queijadas) 소스피루스 (Sospirus) |
문화적 영향 | |
현재 | 포르투갈의 대표적인 디저트 |
판매 | 제과점, 카페 등에서 판매 |
관광 상품 | 포르투갈을 방문하는 관광객들에게 인기 있는 상품 |
2. 역사
포르투갈의 수도원 과자는 15세기 설탕 보급과 함께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당시 풍부했던 계란 노른자와 식민지에서 유입된 설탕을 활용하여 수도원을 중심으로 고유한 제과 기술이 발달했으며, 19세기 수도원 해산 이후 일반에 퍼져나가 포르투갈 요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2. 1. 기원과 발전
수도원에서 만드는 과자는 예전부터 수도원의 식사에 포함되어 있었지만, 본격적으로 유명해진 것은 15세기 설탕이 널리 보급되면서부터이다. 당시 포르투갈 남부의 알가르브 지역에서 사탕수수 생산이 시도되었고, 15세기에는 마데이라에서도 생산이 이루어졌다. 이 시기 포르투갈은 유럽에서 손꼽히는 계란 생산국이었는데, 과도하게 생산된 노른자는 처음에는 버려지거나 동물의 사료로 사용되었다.하지만 포르투갈 제국이 확장되고 포르투갈 식민지에서 대량의 설탕이 들어오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버려지던 계란 노른자에 새로운 쓰임새가 생긴 것이다. 16세기부터 포르투갈의 거의 모든 수도원과 수녀원에서는 계란 노른자와 설탕을 이용한 과자 제조 기술이 매우 정교하게 발전했다.
이후 19세기 중반, 포르투갈의 수도원 해산 정책이 시행되면서 수녀와 수도사들은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돈을 벌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이때 수도원에서 만들던 과자를 판매하는 것이 재정적 어려움을 해결하는 방법 중 하나로 활용되었다. 이렇게 전해진 과자 제조법은 대대로 이어져 내려와 오늘날 포르투갈 요리의 중요한 일부로 자리 잡게 되었다.
2. 2. 수도원 해산과 대중화
수도원 과자는 본래 수도원에서 제공되는 식사의 일부였으나, 15세기부터 설탕이 보급되고 확산되면서 점차 유명해지기 시작했다. 사탕수수 생산은 알가르브 지역에서 시도되었고, 15세기에는 마데이라 섬에서도 이루어졌다. 당시 포르투갈은 유럽의 주요 계란 생산국 중 하나였는데, 넘쳐나는 계란 노른자는 처음에는 버려지거나 동물 사료로 사용되었다.그러나 포르투갈 제국이 확장되고 포르투갈 식민지로부터 설탕이 대량으로 유입되면서, 남는 계란 노른자를 활용한 새로운 방법이 모색되었다. 16세기부터 과자 제조 기술은 포르투갈 내 거의 모든 수도원과 수녀원에서 매우 정교하게 발전하였다.
19세기 중반, 포르투갈의 수도원 해산 조치가 내려지면서 수녀와 수도사들은 생계를 유지하기 위한 방안을 찾아야 했다. 이때 수도원 과자를 만들어 파는 것이 재정적 어려움을 덜기 위한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수도원에서 만들어지던 과자 제조법은 민간으로 전파되어 대대로 이어졌고, 오늘날 포르투갈 요리의 중요한 일부로 자리 잡게 되었다.
3. 지역별 도스 콘벤투알
(내용 없음)
3. 1. 미뉴 (Minho)

- 바히가 드 프레이라 (barriga de freirapt)
- 볼라차 두 봉 제수스 (bolacha do Bom Jesuspt, biscoito Bom Jesuspt)
- 브로이냐 드 아멘도아 (broinha de amêndoapt)
- 비우바 (viúvapt)
- 샤루투 지 오부스 (charuto de ovospt)
- 셀레스트 (celestept)
- 수스피루 드 브라가 (suspiro de Bragapt)
- 클라리냐 드 파웅 (clarinha de Fãopt)
- 토시뉴 두 세우 (toucinho do céupt)
- 파디아 드 브라가 (fatia de Bragapt)
- 파르텡 (fartempt)
- 파스텔 드 상 프란시스쿠 (pastel de São Franciscopt)
- 파타운수 (fataunçopt)
- 파파스 도세스 드 카롤루 (papas doces de Carolopt, papa de carolopt)
- 프리스쿠스 수도원장 푸딩 (pudim Abade de Priscospt)
- 피달깅요스 (fidalguinhospt, fidalguinhopt)
- 도스 피누 (doce finopt)
- 마사팡 (maçapãopt)
- 메이아스 루아스 (meias-luaspt)
3. 2. 도루리토랄 (Douro Litoral)

- 아마란테의 레리아스 (léria de Amarante|pt)
- 브리자 두 타메가(brisa do Tâmega|pt)
- 사파테타 (sapateta|pt)
- 상곤살루(S. Gonçalo|pt)
- 아마란티노 (amarantino|pt)
- 카바카 드 산타클라라(cavaca de Santa Clara|pt)
- 타베페 (tabafe|pt)
- 파티아 두 프레이슈(fatia do Freixo|pt)
- 파푸 드 안주 (papo de anjo|pt)
- 팡 포드레 (pão podre|pt)
- 프레이라의 페스코소스 (pescoço de freira|pt)
- 페로닐라 (perronilha|pt)
- 아마란테의 포게테스 (foguete de Amarante|pt)
3. 3. 트라스우스몬트스·알투도루 (Trás-os-Montes·Alto Douro)

- 두스 드 비우바스 (doce de viúvas|por)
- 수녀원 마들렌 (madalena do convento|por)
- 모르셀라스 (morcela|por)
- 벨라로코 (velharocos|por)
- 볼라도스 드 미란다두도루 (bola-doce de Miranda do Douro|por)
- 브라간사 호두 케이크 (bolo de noz de Bragança|por)
- 제리무스 볼리뉴 (bolinho de jerimús|por)
- 세스타스 (cesta|por)
- 기라 치즈 케이크 (queijada de chila|por)
- 마드레 조아키나 크림 (creme da madre Joaquina|por)
- 토시뉴 두 세우 (toucinho do céu|por)
- 산타 루지아 피토스 (pito de Santa Luzia|por)
3. 4. 베이라리토랄 (Beira Litoral)
- 달걀 물레 Trouxas (trouxa de ovos molespor)
- 로르방 파스텔 (pastel de Lorvãopor)
- 만자르 브랑코 (manjar brancopor)
- 멜리시아스 (melíciaspor)
- 세미드 나바다 (nabada de Semidepor)
- 세미드 노가두 (nógado de Semidepor)
- 아로카 모르셀라스 (morcela de Aroucapor)
- 아루파다 (arrufada de Coimbrapor)
- 아베이루 오부스 몰리스
- 클라리스 수녀원 달걀 푸딩(코임브라) (lampreia de ovos das Clarissas de Coimbrapor)
- 텐투갈 파스텔 (pastel de Tentúgalpor)
- 페레이라 께이다다
- 네바다 드 페나코바 (nevada de Penacovapor)
3. 5. 베이라알타·베이라바이샤 (Beira Alta·Beira Baixa)

- 그레이드 (grade de Lamego|그라드 드 라메구pt)
- 라미나스 (lâmina|라미나pt)
- 볼루 드 상 비센테 (bolo de São Vicente|볼루 드 상비센트pt)
- 볼루 상 프란시스쿠 (bolo São Francisco|볼루 상프란시스쿠pt)
- 볼루 파라이수 (bolo Paraíso|볼루 파라이주pt)
- 비카 (bica|비카pt)
- 사르디냐스 도스 드 트랑코수 (sardinha doce de Trancoso|사르디냐 도스 드 트랑코주pt)
- 아르골리냐스 두 로레투 (argolinha do Loreto|아르골리냐 두 로레투pt)
- 에스케시두스 (esquecido|이스케시두pt)
- 카르투슈 드 아멘도아 드 세르나슈두본자르딩 (cartucho de amêndoa de Cernache do Bonjardim|카르투슈 드 아멘도아 드 세르나슈두본자르딩pt)
- 카바카스 드 산타 클라라 (cavaca de Santa Clara|카바카 드 산타클라라pt)
- 타로우쿠스 드 살제다스
3. 6. 히바테주 (Ribatejo)

- 브로아 다스 도나스(broas das donaspor)
- 셀레스트 드 산타렝(celeste de Santarémpor)
- 소뉴스 다 이스페란사(sonhos da esperançapor)
- 소파푸 두 콘벤투(sopapo do conventopor)
- 티젤라다(tigeladapor)
- 파티아스 드 토마르(fatias de Tomarpor)
- 팔랴 드 아브란트스(palha de Abrantespor)
- 팜필류(pampilhopor)
- 비카
3. 7. 이스트레마두라 (Estremadura)


이스트레마두라 지역의 대표적인 도스 콘벤투알은 다음과 같다.
- 노스 드 카스카이스 (noz de cascaispor)
- 델리시아 드 프레이 주앙 (delícia de Frei Joãopor)
- 마르멜라다 브랑카 드 오디벨라스 (marmelada branca de Odivelaspor)
- 볼루 드 아보보라 (bolo de abóborapor)
- 봄 보카도 (bom bocadopor)
- 브리자 두 리스 (brisa do Lispor)
- 아르골라 (argolapor)
- 카스타냐 드 오부스 (castanha de ovospor)
- 토시뉴 두 세우 드 오디벨라스 (toucinho do céu de Odivelaspor)
- 트라베세이루 (travesseiropor)
- 티보르나 (tibornapor)
- 파스텔 드 벨렝 (pastel de Belémpor)
- 파스텔 드 페이장 (pastel de feijãopor)
- 팡 드 로 두 모스테이루 드 알코바사 (pão de ló do Mosteiro de Alcobaçapor)
- 팡 드 로 드 알페이제랑 (pão de ló de Alfeizerãopor)
- 프라디뉴 (fradinhopor)
- 피타 드 파스코아 (fita de Páscoapor)
3. 8. 알렌테주 (Alentejo)


- 람프레이아 드 아멘도아 드 포르탈레그르(lampreia de amêndoa de Portalegrepor)
- 볼레이마 드 포르탈레그르(boleima de Portalegrepor)
- 볼루 드 멜 드 산타엘레나(bolo de mel de Santa Helenapor)
- 볼루 드 샤방(bolo de chavãopor)
- 볼루 포드르 콘벤투알(bolo podre conventualpor)
- 볼루 피달구(bolo fidalgopor)
- 볼루 핀투(bolo fintopor)
- 봉 보카두(bom bocadopor)
- 비스코이투 두 카르데알(biscoito do Cardealpor)
- 세리카이아(sericaiapor)
- 소파 도라다 드 산타클라라(sopa dourada de Santa Clarapor)
- 알멘드라두(almendradopor)
- 오렐랴 드 아바드(orelha de Abadepor)
- 엔샤르카다(encharcadapor)
- 케이주 도라두(queijo douradopor)
- 코알랴다 두 콘벤투(coalhada do conventopor)
- 토시뉴 두 세우 드 산타클라라 드 포르탈레그르(toucinho do céu de Santa Clara de Portalegrepor)
- 토항 헤알 드 오부스(torrão real de ovospor)
- 티보르나 드 오부스(tiborna de ovospor)
- 파디냐(padinhapor)
- 파르트(fartepor)
- 파티아 헤알(fatia realpor)
- 팡 드 할라(pão de ralapor)
- 포르미구(formigopor)
- 프레준투 도스(presunto docepor)
- 헤부사두 드 오루(rebuçado de ouropor)
3. 9. 알가르브 (Algarve)

- 도스 피노 (doce finopor)
- 돔 호드리고 (Dom Rodrigopor)
- 마사팡 (massapãopor)
- 모르가두 (morgadopor)
- 볼루 드 실라 이 아멘도아 (Bolo de chila e amêndoapor)
- 볼루 드 아멘도아 이 노스 (bolo de amêndoa e nozpor)
- 볼루 드 알파호바 (Bolo de alfarrobapor)
- 볼루 드 피구 이 아멘도아 (Bolo de figo e amêndoapor)
- 비스코이타 (biscoitapor)
- 케이주 드 피구 (queijo de figopor)
- 케이지뉴 (queijinhopor)
- 토르타 드 라란자 (torta de laranjapor)
- 토르타 드 아멘도아 (torta de amêndoapor)
- 토르타 드 알파호바 (torta de alfarrobapor)
- 폴라르 알가르비우 (folar algarviopor)
- 푸딩 다 세하 (pudim da Serrapor)
- 필료 알가르비아 다스 프레이라스 드 타비라 (filhós algarvia das freiras de Tavirapor)
3. 10. 마데이라 제도 (Madeira)
- 메세리코스 드 프레이라스 (mexerico de freiraspor)
- 볼루 드 멜 (bolo de mel da Madeirapor)
- 볼루 프레투 (bolo pretopor)
- 볼리뇨스 드 아제이테 (bolinho de azeitepor)
- 마데이라 초콜릿 크림 (creme de chocolate madeirensepor)
- 프랑골류 (frangolhopor)
- 하바나다 드 비뉴 다 마데이라 (rabanada de vinho da Madeirapor)
3. 11. 아소르스 제도 (Azores)

- 볼루 미카엘렌세
- 볼루 도 디아부
- 호스티아스 드 아멩도아
- 말라사다
- 렌딜하두
- 코키뉴
- 코르누코피아
- 푸딩 이르망 벤사우데
참조
[1]
웹사이트
Conventual ou não conventual?
http://www.eshte.pt/[...]
Escola Superior de Hotelaria e Turismo do Estoril
2021-02-27
[2]
웹사이트
A origem de uma deliciosa tradição: Doçaria Conventual Portuguesa
https://www.arteconv[...]
2021-02-27
[3]
웹사이트
Doçaria Conventual Portuguesa
https://www.cozinhat[...]
cozinhatecnica.com
2021-02-27
[4]
웹사이트
Doçaria Conventual e Tradicional
http://www.visitvila[...]
visitviladoconde.pt
2021-02-27
[5]
서적
Doçaria dos conventos de Portugal
Assírio & Alvi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