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독성유전체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독성유전체학은 유해 물질 노출에 대한 유전체의 구조와 기능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제약 연구, 특히 신약 개발 과정에서 약물의 잠재적 독성 위험을 평가하는 데 활용된다. 대량의 유전체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생물정보학 및 통계학적 방법이 사용되며, 미국 환경 보호청(EPA)과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유전체학 데이터를 독성 평가에 활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또한, 국립 환경 보건 과학원(NIEHS) 주도의 공공 프로젝트, InnoMed PredTox, Open TG-GATEs, 예측 안전성 테스트 컨소시엄, ToxCast, Tox21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통해 독성유전체학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전체학 - 발현체학
  • 유전체학 - 유전형 분석
    유전자형 분석은 DNA 염기 서열 분석, RFLP, PCR, DNA 마이크로어레이 등 다양한 기술을 통해 유전형을 파악하는 방법으로 질병 진단, 품종 개량 등 여러 분야에 활용되며 윤리적 문제와 사회적 영향을 동반하지만,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는 기술이다.
독성유전체학
독성유전체학 개요
정의독성 물질에 대한 생체의 반응을 유전체 수준에서 연구하는 학문
목표독성 물질의 작용 기전 규명, 독성 예측, 개인별 민감성 예측
관련 분야유전체학
독성학
생물정보학
독성유전체학의 원리
핵심 원리독성 물질은 세포 내 유전자 발현 패턴에 변화를 일으킴
측정 방법마이크로어레이
RNA 시퀀싱
프로테오믹스
메타볼로믹스
독성유전체학의 응용
의약품 개발신약 후보 물질의 독성 평가, 약물 반응 예측
환경 독성 평가환경 오염 물질의 인체 영향 평가, 안전 기준 설정
개인 맞춤 의학개인별 약물 반응 예측, 맞춤형 치료법 개발
독성유전체학의 과제
데이터 분석대용량 유전체 데이터 분석 기술 개발
생체 지표 개발독성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생체 지표 발굴
윤리적 문제유전체 정보의 오남용 방지, 개인 정보 보호

2. 제약 연구

제약 연구에서 독성유전체학은 유해한 외부 물질 노출에 반응하는 유전체의 구조와 기능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정의된다. 이는 전체 유전체나 특정 유전자의 단일 염기 다형성 지도, haplotype 마커, 약물 반응과 연관될 수 있는 유전자 발현 변화 등 개인 간 차이를 연구하는 약물유전체학의 하위 분야로 볼 수 있다.[4][5] 독성유전체학이라는 용어는 1999년 문헌에 처음 등장했지만,[6] 실제로는 그 이전부터 제약 업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었다. 이는 당시 관련 기술을 판매하는 회사들의 마케팅 전략 영향도 있었다. 하지만 이 용어가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진 것은 아니며, 일부에서는 본질적으로 같은 연구 분야를 설명하기 위해 '화학유전체학'과 같은 다른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7]

제약 분야의 신약 발굴 및 신약 개발 과정에서 독성유전체학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정 모델 생물체를 이용하여 개발 중인 약물이 일으킬 수 있는 이상 반응, 즉 독성 효과를 미리 예측하고 연구하는 데 활용된다. 이를 통해 환자나 환경에 대한 잠재적 위험을 평가할 수 있다. 현재 미국 환경 보호국(EPA)과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같은 규제 기관은 유전체학 데이터만으로 약물의 안전성에 대한 최종 결정을 내리지는 않는다. 그러나 이들 기관은 잘 정리된 고품질의 유전체학 데이터를 자발적으로 제출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제출된 데이터는 사례별로 평가되며, 약물의 작용 원리를 밝히거나 기존 독성 시험 결과와 비교하여 안전성 평가의 증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10]

3. 생물정보학

독성유전체학 데이터는 그 양이 방대하고 다양하며 복잡한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데이터를 자동으로 처리하고 저장하기 위한 고도로 발전된 기술이 필요하다. 이러한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에는 일반적으로 광범위한 생물정보학통계학 지식이 활용되며,[8] 특히 통계적 분류와 같은 접근 방식이 자주 사용된다.[9]

4. 신약 개발

제약 분야의 신약 발굴 및 신약 개발 과정에서 독성유전체학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정의된 모델 생물체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약 약물이 일으킬 수 있는 이상 반응, 즉 독성 효과를 연구함으로써 환자나 환경에 대한 잠재적 독성 위험을 평가하는 데 활용된다.[10]

현재 미국 환경 보호국(EPA)과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유전체학 데이터만으로는 규제 관련 의사 결정을 내리지 않는다. 그러나 두 기관은 잘 문서화된 고품질 유전체학 데이터의 자발적인 제출을 권장하고 있다. 제출된 데이터는 사례별로 평가되며, 약물의 작용 기전을 밝히거나 증거 가중 접근 방식(weight-of-evidence approach)에 기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유전체학 데이터를 기존의 독성학 테스트 결과와 함께 제출하여 관련 비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데 활용될 수도 있다.[10]

5. 공공 프로젝트

미국 환경 보호국(EPA)과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현재 유전체학 데이터만으로 규제 관련 의사 결정을 내리지는 않는다. 그러나 이들 기관은 잘 문서화된 고품질 유전체학 데이터의 자발적인 제출을 권장하고 있다. 두 기관은 제출된 데이터를 사례별로 평가하여 작용 기전을 밝히거나 증거 가중 접근 방식에 기여하는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한다. 또한, 유전체학 데이터와 기존의 독성학 테스트 결과를 함께 제출받아 관련 비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데 사용하기도 한다.[10]

여러 공공 프로젝트가 독성유전체학 연구를 지원하고 있다.


  • 화학물질 영향 생물학적 시스템: 국립 환경 보건 과학원(NIEHS)이 주관하는 프로젝트로, 연구 설계, 임상 병리학, 조직병리학, 독성유전체학 데이터를 포함하는 독성 연구 지식 기반을 구축한다.[11][12]
  • InnoMed PredTox: 전임상 안전성 평가에서 더 나은 의사 결정을 내리기 위해, 다양한 오믹스 기술 결과와 기존 독성학 방법 결과를 결합하는 것의 가치를 평가한다.[13]
  • Open TG-GATEs (독성유전체학 프로젝트-유전체학 기반 독성 평가 시스템): 일본의 공공-민간 협력 사업으로, 170개 이상의 화합물(주로 약물)에 대한 유전자 발현 및 병리학 정보를 공개했다.[14]
  • 예측 안전성 테스트 컨소시엄: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중요 경로 이니셔티브"의 일환으로, 규제에 사용될 안전성 바이오마커를 식별하고 임상적으로 자격을 부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3]
  • ToxCast: 미국 환경 보호청(EPA) 프로그램으로, 환경 화학 물질의 유해성을 예측하고, 독성 경로를 특성화하며, 독성 테스트의 우선순위를 정한다.[15]
  • Tox21: 국립 보건원(NIH), 미국 환경 보호청(EPA),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참여하는 연방 협력 사업이다. 더 나은 독성 평가 방법 개발을 목표로 한다.[16] 이 프로젝트는 1000 지놈 프로젝트 참여자로부터 얻은 세포주를 이용하여 화학 물질의 독성 효과를 평가하고 유전적 표지자와의 연관성을 확인했다.[17] 이 데이터 중 일부는 개인별 세포 독성 예측 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NIEHS-NCATS-UNC DREAM 독성유전학 챌린지에서 사용되었다.[18][19]

참조

[1] 서적 Communicating Toxicogenomics Information to Nonexperts: A Workshop Summary http://books.nap.edu[...]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2] 서적 Toxicogenomics: Principles and Applications Wiley-Liss
[3] 논문 Progress in toxicogenomics to protect human health https://www.nature.c[...] 2024-09-02
[4] 논문 Translation of pharmacogenomics and pharmacogenetics: a regulatory perspective https://zenodo.org/r[...]
[5] 논문 Pharmacogenetics and pharmacogenomics in drug development and regulatory decision making: report of the first FDA-PWG-PhRMA-DruSafe Workshop https://zenodo.org/r[...]
[6] 논문 Microarrays and toxicology: the advent of toxicogenomics https://zenodo.org/r[...]
[7] 논문 Preclinical drug safety analysis by chemogenomic profiling in the liver
[8] 논문 Database development in toxicogenomics: issues and efforts http://ehp.niehs.nih[...] 2004-03
[9] 논문 Prediction of a carcinogenic potential of rat hepatocarcinogens using toxicogenomics analysis of short-term in vivo studies 2008-01
[10] 논문 Meeting report: Validation of toxicogenomics-based test systems: ECVAM-ICCVAM/NICEATM considerations for regulatory use http://www.ehponline[...] 2006-03
[11] 논문 Toxicogenomics and systems toxicology: aims and prospects
[12] 논문 Use of proteomics for the discovery of early markers of drug toxicity 2007-10
[13] 서적 Essential Concepts in Toxicogenomics
[14] 논문 Open TG-GATEs: a large-scale toxicogenomics database 2015-01
[15] 논문 The ToxCast program for prioritizing toxicity testing of environmental chemicals 2007-01
[16] 웹사이트 Toxicology in the 21st century project http://www.ncats.nih[...]
[17] 논문 Population-based in vitro hazard and concentration-response assessment of chemicals: the 1000 genomes high-throughput screening study 2015-05
[18] 웹사이트 NIEHS-NCATS-UNC-DREAM Toxicogenetics Challenge https://www.synapse.[...] Sage Bionetworks
[19] 웹사이트 DeepTox: Deep Learning for Toxicity Prediction http://www.bioinf.jk[...] Institute of Bioinformatics, Johannes Kepler University Linz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