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독일 문화교육부 장관 회의의 독일어 능력 시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독일 문화교육부 장관 회의의 독일어 능력 시험(DSD)은 독일어 학습자의 어학 능력을 평가하는 시험으로, 두 단계(A2/B1, B2/C1)로 나뉘어 있다. 이 시험은 듣기, 읽기, 쓰기, 말하기 네 영역을 평가하며, 독일 정부가 비용을 부담한다. DSD I(B1)은 대학 예비 과정, DSD II(C1)는 대학 입학에 필요한 어학 자격증으로 활용된다. 시험 결과는 성적표에 기록되며, 합격자에게는 학위성적표가 수여된다. DSD는 독일 대학 입학을 위한 독일어 능력 증명으로 사용되며, 대한민국에서는 독일 해외학교 관리처가 DSD 관련 업무를 수행한다.

2. 시험

독일 문화교육부 장관 회의의 DSD는 유럽 언어 공통 기준(CEFR)에 따른 어학 능력 평가 시험으로, 대한민국을 포함한 전 세계 60여 개국에서 실시되고 있다.[9] DSD는 B1 단계(DSD I)와 C1 단계(DSD II) 두 가지 레벨로 나뉘며, 읽기, 듣기, 쓰기, 말하기 네 가지 영역을 평가한다.[9][11]

시험 제공 학교는 독일 기관에 등록 및 인가를 받아야 하며, A2/B1 또는 B2/C1 시험을 개별적/함께 제공할 수 있다.[10] 독일 기관은 참여 학교에 개인 지원, 교육, 시험 위원회 위원장 파견 등의 지원을 제공한다.[10]

각 시험 영역은 25%의 비중을 차지하며, 최대 24점이다.[11] DSD I은 모든 영역에서 B1 이상, DSD II는 B2 이상을 획득해야 한다. B2 초과 점수는 C1 점수로 표시된다.[11] 모든 영역에서 A2 이상 달성 시 DSD A2가 수여된다.[11]

시험은 무료이며, 12월/3월(북반구) 및 8월(남반구)에 실시된다.[9] 응시자는 학교를 통해 등록하고 독일 측 승인을 받아야 하며, 각 레벨 당 두 번 응시 가능하다.[9] 필기 시험은 수업 시간에, 구술 시험은 위원회 앞에서 개별 진행된다.[9] 졸업장을 받으려면 네 가지 능력 모두 일정 점수 이상이어야 한다.[9]

한국에서는 DSD 프로그램이 2017년 고교 입학생을 마지막으로 철수했다. 이는 한국 학제 및 입시제도와 맞지 않고 참여 학교 비율이 낮았기 때문이다. DSD 시수 충족을 위해 중학교부터 제2외국어를 배워야 했고, 외고에서도 방과 후 수업으로 보충해야 했다. 또한, DSD 프로그램 목적은 독일 유학생 유치였으나, 한국 문과 학생들은 과학 과목 미이수로 독일 대학 지원 자격이 없어 DSD II 이수 후 유학보다 국내 명문대 독일어 특기자 전형에 활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2. 1. 시험 단계

독일 문화교육부 장관 회의 독일어능력인증시험(DSD)은 유럽 언어 공통 기준(CEFR)에 따라 두 단계로 나뉜다.[9]

  • DSD I (B1 단계): 독일 전역의 대학예비과정(Studienkolleg)에 입학할 수 있는 어학 자격증이다.[9]
  • DSD II (C1 단계): 독일 전역의 대학교에 입학할 수 있는 어학 자격증으로, 우수한 독일어 실력을 증명한다.[9] 보통 고등학교 졸업반에서 실시한다.


각 단계별 시험 영역 및 합격 기준은 다음과 같다.[11]

시험 영역배점DSD II 합격 기준DSD I 합격 기준DSD A2 합격 기준
읽기24점B2 이상B1 이상A2 이상
듣기24점B2 이상B1 이상A2 이상
쓰기24점B2 이상B1 이상A2 이상
말하기24점B2 이상B1 이상A2 이상



시험은 12월과 3월(북반구), 8월(남반구)에 실시되며, 응시자는 학교를 통해 등록하고 독일 측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9] 학생은 각 레벨에서 두 번만 응시할 수 있다.[9] 필기 시험은 수업 시간에, 구술 시험은 위원회 앞에서 개별적으로 치러진다.[9] 졸업장을 받기 위해서는 네 가지 능력 모두에서 일정 점수를 받아야 한다.[9]

2. 2. 시험 과목 및 구성

독일 문화교육부 장관 회의 독일어능력인증시험(DSD)은 B1과 C1 두 단계로 나뉘어 있으며, 읽기, 듣기, 쓰기, 말하기의 네 가지 과목으로 구성된다.[11] 각 영역별 최대 점수는 24점이며, 시험 점수의 25%를 차지한다.[11]

2. 2. 1. DSD I (A2/B1)

DSD I은 독일 대학교의 예비 과정을 위한 어학 자격증이다.[11]

시험은 읽기, 듣기, 쓰기, 말하기의 네 영역으로 구성되며, 각 영역은 시험 점수의 25%를 차지한다. 각 영역별 최대 점수는 24점이며, 획득 점수에 따라 해당 영역의 언어 능력 수준이 결정된다.[11]

시험 영역내용시간
읽기짧은 글(25-80 단어)과 긴 글(100-300 단어)을 읽고 이해 질문(사지선다형, 진위형, 체크 표시, 클로즈 텍스트)에 답한다.70분(작업 시간 60분 + 이송 시간 10분)
듣기여러 녹음 자료를 듣고 이해 질문(객관식, 참/거짓, 체크)에 답한다. 짧고 간단한 대화(약 60단어)와 설명적인 독백(약 450단어)으로 구성된다.50분(작업 시간 40분 + 이전 시간 10분)
쓰기세 가지 핵심 질문과 샘플 텍스트를 바탕으로 작문 능력을 평가한다. 기사 또는 신문 편집자에게 보내는 편지 형식 중 하나이며, 주제는 아르바이트, 애완동물, 숙제, 독서, 지각 등 다양하다.75분
말하기두 부분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첫 번째 부분은 시험관의 질문에 답하는 유도 대화, 두 번째 부분은 선택한 주제에 대한 짧은 발표와 질의응답으로 구성된다.15분



모든 시험 영역에서 독일어 B1 수준 이상을 달성하면 DSD I이 수여된다. 모든 시험 영역에서 A2 수준 이상을 달성하면 DSD A2가 수여된다.[11]

2. 2. 2. DSD II (B2/C1)

C1 단계에 해당하는 DSD II는 우수한 독일어 실력을 증명하는 것으로서 독일 전역의 대학교에 입학할 수 있는 어학 자격이 된다.[11] 그러므로 보통 고등학교 졸업반(3학년/김나지움 12학년)에서 실시한다.

각 네 개의 시험 영역(읽기, 듣기, 쓰기, 말하기)은 시험 점수의 25%를 차지한다.[11] 각 시험 영역별로 최대 24점을 얻을 수 있으며, 각 영역에서 획득한 점수에 따라 해당 영역의 언어 능력 수준이 결정된다.[11] DSD II는 모든 시험 영역에서 B2 수준 이상을 달성한 응시자에게 수여된다.[11] B2를 초과하는 점수는 수료증에 C1 점수로 표시된다.[11]

시험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 읽기: 다섯 개의 짧은 (70-80 단어) 글과 세 개의 긴 (400-750 단어) 글을 제시하여 응시자의 독해 능력을 평가하며, 글을 읽고 이해도를 묻는 간단한 문제(객관식, 참/거짓, 체크, 클로즈 텍스트)가 뒤따른다. 시험 시간은 85분이다(작업 시간 75분 + 이전 시간 10분).[11]
  • 듣기: 응시자의 듣기 이해력을 시험하기 위해 여러 녹음 자료가 제공되며, 총 50분 (작업 시간 40분 + 전송 시간 10분) 동안 진행된다. 듣기 섹션의 세 부분은 각각 약 700단어 분량의 대화, 약 700단어 분량의 독백, 그리고 약 100단어 분량의 4개의 오디오 시퀀스로 구성된다. 응시자는 재생된 자료에 대한 이해 질문(객관식, 매핑)에 답해야 한다.[11]
  • 쓰기: 수험자는 핵심 질문과 예시 텍스트에 대한 글을 작성해야 한다. 이 부분의 시험 시간은 120분이다. 필기 시험 전에 수험자는 질문이 담긴 한 페이지와 텍스트, 그래프가 있는 다른 한 페이지를 받는다. 수험자는 서론(약 2문장), 텍스트 요약, 그래프 설명, 해당 주제(예: 최고 수준의 스포츠)의 장단점 작성, 그리고 주제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제시해야 한다.[11]
  • 말하기: 두 부분으로 나뉘며 40분 동안 진행된다(준비 시간 20분 + 시험 시간 20분). 첫 번째 부분에서는 응시자가 주어진 키워드에 대해 독백을 하고 자유롭고 즉흥적인 방식으로 관련 질문에 답해야 한다. 두 번째 부분은 선택한 주제에 대한 독백으로 구성되며, 제시된 주제에 대한 토론이 이어진다.[11]

2. 3. 시험 운영 및 관리

독일어능력인증시험(DSD)은 두 단계로 나뉘며, 배점은 네 가지 과목(읽기, 듣기, 쓰기, 말하기) 모두 동일하게 과목당 25%이다.

DSD 자격증은 응시생이 네 가지 과목에서 B1과 C1 단계에 해당하는 어학 실력을 획득했음을 입증한다. 시험 제반 비용은 독일 정부가 부담하며, 결과는 성적표에 기록되고 합격자에게는 별도의 학위성적표(Diplomzeugnis)가 수여된다.[4]

매년 65개국 이상에서 약 51,000명의 학생들이 DSD 시험에 참여하고 있다.[4] A2/B1 수준의 공인 학교는 러시아, 폴란드, 미국, 중국, 이탈리아에 있으며,[5] B2/C1 수준 시험을 제공하는 주요 국가는 러시아, 폴란드, 루마니아, 크로아티아, 헝가리이다.[6] 총 950개 학교가 독일어 능력 시험 운영 위원회[7]의 인증을 받았다.

DSD의 품질은 '독일어 능력 시험 중앙 위원회(Zentraler Ausschuss für das Deutsche Sprachdiplom)'에서 관리한다. 위원회는 독일 외무부, 독일 연방 행정청, 해외 학교 중앙청 및 독일 각 주 대표들로 구성되며, 바이에른 출신의 토마스 마이어 씨가 이끌고 있다.[8]

시험은 독일 연방 행정청과 쾰른에 있는 해외 학교 중앙청(ZfA)에서 준비하며, 이 기관은 전 세계 독일어 자문 네트워크를 운영하고 있다.

3. DSD의 활용 및 인정

유럽 의회유럽 언어 공통 기준(Common European Framework of Reference for Languages, CEFR)에 따라 B1 단계에 해당하는 DSD I은 독일 전역에서 대학예비과정(슈투디엔콜렉)에 입학할 수 있는 어학자격증이다.[2] C1 단계에 해당하는 DSD II는 독일 전역의 대학교에 입학할 수 있는 어학 자격으로, 우수한 독일어 실력을 증명한다.[3]

DSD 자격증은 DSD 시험이 허용된 거점 학교에서 몇 년간의 지속적인 집중 교육을 받은 수험자가 읽기, 듣기, 쓰기, 말하기의 네 분야에서 B1과 C1 단계에 해당하는 어학 실력을 획득했음을 입증하는 증서이다.

시험에 필요한 제반 비용은 독일 정부가 부담하며, 시험 결과는 성적표에 기록되고 합격자에게는 별도의 학위성적표(Diplomzeugnis)가 수여된다.

독일에서 유학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언어 능력 외에도 추가적인 요건을 충족해야 할 수 있으며, 이는 공식 데이터베이스 ANABIN에서 각 개별 국가별로 확인할 수 있다.

4. 대한민국에서의 DSD

독일 문화교육부 장관 회의의 DSD는 지난 20년 동안 대한민국을 포함, 전 세계 60개국에서 실시되고 있다. 유럽 언어 공통 기준에 따라 B1 단계에 해당하는 DSD I은 독일 전역에서 대학예비과정(슈투디엔콜렉)에 입학할 수 있는 어학자격증이다. C1 단계에 해당하는 DSD II는 독일 전역의 대학교에 입학할 수 있는 어학 자격이 된다.[2][3]

한국에서는 DSD 프로그램이 2017년 고교 입학생을 마지막으로 철수했다. 이는 한국의 학제 및 입시제도와 맞지 않고 참여 학교의 비율이 낮았기 때문이다. DSD 시수 600시간을 채우려면 보통 중학교 때부터 제2외국어를 본격적으로 배워야 하는데, 이는 한국의 학제와 맞지 않아 일반고는 물론 외고에서도 방과후로 시수를 보충해가며 운영되었다. 또한 이 프로그램의 목적은 독일 유학생 유치인데, 한국 문과 학생들은 과학을 거의 배우지 않아 독일 대학 지원 자격이 없어 실제로 DSD II를 끝내고 유학 가는 사례보다는 한국 내 명문대 독일어 어학 특기자 전형 지원에 활용된 것으로 보인다.

2008년 9월 1일부터 독일 해외학교 관리처(ZfA)는 서울사무소를 열고 독일문화교육부장관회의(KMK)의 독일어능력인증시험(DSD)을 위한 자문 및 조정업무를 맡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Deutsches Sprachdiplom der Kultusministerkonferenz - 40 Jahre (in German) https://web.archive.[...] German Federal Office of Administration the Central Agency for Schools Abroad; (page 6) 2014-01-31
[2] 웹사이트 Zugang von ausländischen Studienbewerbern mit ausländischem Bildungsnachweis zum Studium an deutschen Hochschulen: Nachweis der deutschen Sprachkenntnisse - Beschluss der Kultusministerkonferenz vom 02.06.1995 i.d.F.vom 12.12.2007 - (in German) http://www.kmk.org/f[...] Standing Conference of the Ministers of Education and Cultural Affairs of the Länder in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page 2, 3) 2014-01-31
[3] 웹사이트 Rahmenordnung über Deutsche Sprachprüfungen für das Studium an deutschen Hochschulen (RO-DT) (Beschluss der HRK vom 08.06.2004 und der KMK vom 25.06.2004 i.d.F. der HRK vom 03.05.2011 und der KMK vom 17.11.2011) - (in German) https://web.archive.[...] Standing Conference of the Ministers of Education and Cultural Affairs of the Länder in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page 3) 2014-01-31
[4] 웹사이트 Deutsches Sprachdiplom der Kultusministerkonferenz - (in English) https://web.archive.[...] German Federal Office of Administration the Central Agency for Schools Abroad; (page 2) 2014-01-31
[5] 웹사이트 Catalog of the schools offering DSD I worldwide - (in German) http://www.kmk.org/f[...] Standing Conference of the Ministers of Education and Cultural Affairs of the Länder in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2014-01-31
[6] 웹사이트 Catalog of the schools offering DSD II worldwide - (in German) http://www.kmk.org/f[...] Standing Conference of the Ministers of Education and Cultural Affairs of the Länder in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2014-01-31
[7] 웹사이트 Deutsches Sprachdiplom der Kultusministerkonferenz - (in English) https://web.archive.[...] German Federal Office of Administration the Central Agency for Schools Abroad 2014-01-31
[8] 웹사이트 Standing Conference of the Ministers of Education and Cultural Affairs of the Länder in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http://www.kmk.org/b[...]
[9] 웹사이트 Ausführungsbestimmungen zum Deutschen Sprachdiplom der Kultusministerkonferenz - (in German) http://www.kmk.org/f[...] Standing Conference of the Ministers of Education and Cultural Affairs of the Länder in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2014-01-31
[10] 웹사이트 German School Management Worldwide https://web.archive.[...] German Federal Office of Administration the Central Agency for Schools Abroad 2014-01-31
[11] 웹사이트 DSD-Handbuch - Ausführungsbestimmungen zur Prüfungsordnung (German) https://web.archive.[...] Zentralstelle für das Auslandsschulwesen; (pages 5 - 8 + page 14) 2011-0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