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나지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나지움은 고대 그리스의 김나시온에서 유래된 용어로,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등 여러 유럽 국가에서 대학 진학을 위한 중등 교육 기관을 의미한다. 독일의 경우, 김나지움은 16세기부터 고전 교양 교육을 목표로 설립되었으며, 19세기 초 프로이센의 규정에 따라 대학 진학 준비 기관으로 자리 잡았다. 김나지움은 인문학, 자연 과학, 외국어 등 다양한 분야를 교육하며, 아비투어, 마투라 등 졸업 시험을 통해 대학 입학 자격을 부여한다. 각 국가별로 교육 과정과 운영 방식에 차이가 있으며, 알바니아, 핀란드, 덴마크 등에서도 유사한 형태의 교육 기관을 찾아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등학교 - 세인트 루이스 스쿨
    세인트 루이스 스쿨은 1846년 오아후에 설립되어 호놀룰루로 이전한 학교로, 현재는 K-12학년을 위한 교육 과정을 제공하며 다양한 스포츠 분야에서 강세를 보이고 저명한 동문을 배출했다.
  • 독일의 교육 - 하빌리타치온
    하빌리타치온은 특정 국가에서 박사 학위 취득 후 교수 자격을 얻기 위한 학위 또는 시험으로, 마치면 사강사 칭호를 얻으며 독일 등 여러 국가에서 시행되고 있다.
  • 독일의 교육 - 독일 연구협회
    독일 연구 협회(DFG)는 독일의 주요 연구 지원 기관으로, 과학, 공학, 인문학 분야의 연구를 보조금, 연구상, 인프라 자금 지원 등을 통해 장려하며, 과거 나치 정권에 협력한 역사가 있으나 현재는 국제적인 협력 관계를 맺고 연구 활동을 지원한다.
김나지움

2. 역사

중앙 유럽, 북유럽, 베네룩스, 발트 3국에서 "김나지움"은 대학에서 고등 교육을 받을 학생을 준비시키는 중등학교를 의미하며, 이 의미는 적어도 16세기 개신교 종교 개혁 이후부터 동일하게 사용되어 왔다. 김나지움이라는 용어는 고대 아테네에서 운동장을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 단어 γυμνάσιον|gymnasiongrc에서 유래되었다. 고대 아테네에서는 교사들이 체육과 스포츠 시간에 모여 수업을 진행했고, 이로 인해 이 용어는 학습 기관과 연관되어 그 의미를 갖게 되었다.[2]

이 용어의 사용은 로마인 사이에서는 널리 퍼지지 않았지만,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에 부활하여 15세기 동안 네덜란드와 독일로 전파되었다. 1538년, 요하네스 슈투름스트라스부르현대 독일 김나지움의 모델이 된 학교를 설립했다.[3] 1812년, 프로이센의 규정은 학생들을 대학에 보낼 권한이 있는 모든 학교가 김나지움이라는 이름을 사용하도록 명령했다. 20세기까지 이 관행은 거의 모든 오스트리아-헝가리, 독일, 러시아 제국에서 따랐다.[2] 현대 시대에 김나지움을 운영하는 많은 국가들은 한때 이 세 제국의 일부였다.

2. 1. 유래

'''김나지움(Gymnasium)'''은 고대 그리스 시대에 사용된 '김나시온(Gymnasion)'에서 유래되었다. 김나시온은 체육장이자 교육을 통해 청소년들에게 지성을 길러주는 장소였다. 이 말은 독일에서는 교육기관을 가리키는 단어가 되었고 영어권 지역에서는 체육관을 의미하게 되었다.[24] 독일의 경우에는 16세기에 고전적 교양을 목적으로 하는 학교로 김나지움을 세웠다. 19세기 초에 대학입학을 위한 준비교육기관이 되었다.[25]

중앙 유럽, 북유럽, 베네룩스, 발트 3국에서는 "김나지움"(대학에서 고등 교육을 받을 학생을 준비시키는 중등학교)이라는 의미가 적어도 16세기 개신교 종교 개혁 이후부터 동일하게 사용되어 왔다. 이 용어는 고대 아테네에서 운동장을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 단어 γυμνάσιον|gymnasiongrc에서 유래되었다. 이곳에서 교사들은 체육과 스포츠 시간에 모여 수업을 진행했고, 이로 인해 이 용어는 학습 기관과 연관되어 그 의미를 갖게 되었다.[2]

이 용어의 사용은 고대 로마인 사이에서는 널리 퍼지지 않았지만,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에 부활하여 15세기 동안 네덜란드와 독일로 전파되었다. 1538년, 요하네스 슈투름스트라스부르현대 독일 김나지움의 모델이 된 학교를 설립했다.[3] 1812년, 프로이센의 규정은 학생들을 대학에 보낼 권한이 있는 모든 학교가 김나지움이라는 이름을 사용하도록 명령했다. 20세기까지 이 관행은 거의 모든 오스트리아-헝가리, 독일, 러시아 제국에서 따랐다.[2]

고대 그리스김나시온(gymnásion)은 젊은 남성이 신체와 지성을 연마하는 곳이었다. 체육이 강조되는 경향이 있어 실내 체육관 등으로 번역되는 경우도 있다. 그곳에서는 주로 나체훈련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김나시온이라는 시설의 이름은 "나체로 체조를 하다"라는 의미의 "gymnázesthai"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독일어에서는 체육이라는 단어도 같은 유래의 Gymnastik을 지금도 사용하고 있다. 일본의 복싱, 레슬링 등 체육 연습장을 가리키는 "짐"도 같은 유래이다.

2. 2. 발전

중앙 유럽, 북유럽, 베네룩스, 발트 3국에서 "김나지움"은 대학에서 고등 교육을 받을 학생을 준비시키는 중등학교를 의미하며, 이 의미는 적어도 16세기 개신교 종교 개혁 이후부터 동일하게 사용되어 왔다. 김나지움이라는 용어는 고대 아테네에서 운동장을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 단어 γυμνάσιον|gymnasiongrc에서 유래되었다. 고대 아테네에서는 교사들이 체육과 스포츠 시간에 모여 수업을 진행했고, 이로 인해 이 용어는 학습 기관과 연관되어 그 의미를 갖게 되었다.[2]

이 용어의 사용은 로마인 사이에서는 널리 퍼지지 않았지만,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에 부활하여 15세기 동안 네덜란드와 독일로 전파되었다. 1538년, 요하네스 슈투름스트라스부르현대 독일 김나지움의 모델이 된 학교를 설립했다.[3] 1812년, 프로이센의 규정은 학생들을 대학에 보낼 권한이 있는 모든 학교가 김나지움이라는 이름을 사용하도록 명령했다. 20세기까지 이 관행은 거의 모든 오스트리아-헝가리, 독일, 러시아 제국에서 따랐다.[2] 현대 시대에 김나지움을 운영하는 많은 국가들은 한때 이 세 제국의 일부였다.

3. 각국의 김나지움

마울브론 수도원과 블라우보이렌 복음주의 신학대학 – 교회와 안뜰 사진


화학 수업, , 서독, 1988


쿠오피오 리세움(Kuopion Lyseo), 핀란드 쿠오피오에 있는 김나지움


에스토니아 탈린에 있는 탈린 으이스마에 김나지움


카를로비치 김나지움 (세르비아 스렘스키카를로비치)
자그레브의 V 김나지움 (크로아티아)
김나지움은 중앙 유럽, 북유럽, 베네룩스, 발트 3국에서 적어도 16세기 개신교 종교 개혁 이후부터 대학에서 고등 교육을 받을 학생을 준비시키는 중등학교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되어 왔다. 이 용어는 고대 아테네에서 운동장을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 단어 γυμνάσιονgrc ()에서 유래되었다.

김나지움은 학생들을 대학교 진학을 준비시키기 때문에, 10세에서 13세 사이에 선별된 학업에 더 관심 있는 학생들을 위한 학교이다. 일반적인 교육 과정 외에도, 김나지움 학생들은 종종 라틴어고대 그리스어를 공부한다.

일부 김나지움은 일반적인 교육을 제공하는 반면, 다른 곳은 특정 분야에 초점을 맞춘다. (이것은 국가마다 다르다.) 네 가지 전통적인 분과는 다음과 같다.

  • 인문학 (라틴어그리스어와 같은 고전 언어 전공)
  • 현대 언어 (학생들은 최소 세 개의 언어를 공부해야 한다)
  • 수학 및 물리 과학
  • 경제학 및 기타 사회 과학 (학생들은 경제학, 세계사, 사회 또는 비즈니스 정보학을 공부해야 한다)


교육 과정은 학교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문학, 수학, 정보학, 물리학, 화학, 생물학, 지리, 미술 (공예 및 디자인 포함), 음악, 역사, 철학, 시민 교육/시민 의식, 사회 과학, 그리고 여러 외국어를 포함한다.

학교는 학문적 과목뿐만 아니라 균형 잡힌 인재를 양성하는 데에도 집중하므로, 체육과 종교 또는 윤리 수업은 널리 퍼져 있는 비종교적 학교에서도 필수이다. 예를 들어, 독일 헌법은 정교 분리를 보장하므로, 종교 또는 윤리 수업이 의무적이지만 학생들은 특정 종교를 선택하거나 전혀 공부하지 않을 수 있다.

오늘날, 경제학, 기술 또는 가정 과학을 전문으로 하는 김나지움과 같은 다른 많은 전문 분야가 존재한다. 일부 국가에서는 정식 김나지움의 초기 수업과 동일하며 김나지움에서 교육을 계속할 권리를 가진 프로김나지움이라는 개념이 있다. 여기서 접두사 pro-는 pre-와 동일하며, 이는 이 교육 과정이 일반적인 김나지움 학습에 선행됨을 나타낸다.

각국의 김나지움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3. 1. 독일

독일의 김나지움은 선발 학교로, 학문적으로 뛰어난 청소년들에게 무상으로 양질의 교육을 제공한다.[2] 김나지움은 학업 성적이 낮거나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하는 학생을 퇴학시킬 수 있다.

역사적으로 독일의 김나지움은 대학 수준의 가속 교육 과정에 포함되었으며, 수여되는 학위는 대학에서 수여되던 학사 학위를 대체하여 독일의 대학교가 대학원만 운영하게 되었다. 미국의 여러 명문 대학교에서는 독일 김나지움 커리큘럼을 학부 대학 프로그램의 모델로 사용하기도 했다.

학생들은 독일어, 수학, 물리학, 화학, 지리, 생물학, 미술, 음악, 체육, 종교, 역사, 시민 교육/시민 의식/사회 과학, 컴퓨터 과학 등 다양한 과목을 공부한다. 또한 최소 두 개의 외국어를 공부해야 하는데, 일반적인 조합은 영어와 프랑스어 또는 영어와 라틴어이다. 하지만 많은 학교에서 영어와 함께 스페인어, 고대 그리스어, 러시아어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종교 교육은 의무는 아니며, 학생이나 부모가 반대할 경우 윤리학 또는 철학을 배울 수 있다. 베를린브란덴부르크에서는 윤리학 과목이 의무이며, 종교 연구는 선택 과목이다.

김나지움의 수업 연수는 주마다 다르다. 바이에른, 헤센, 바덴-뷔르템베르크 등에서는 8년, 베를린과 브란덴부르크에서는 6~7년이다. 작센과 튀링겐에서는 8년 이상 교육을 받은 적이 없지만, 현재 거의 모든 주에서 초등학교와 김나지움을 합쳐 13년 후에 김나지움 교육을 완료하는 아비투어|Abiturde 시험을 실시한다. 일부 주에서는 12년제 커리큘럼을 제공하기도 한다. 이 최종 시험은 라인란트-팔츠를 제외한 모든 독일 주에서 중앙에서 관리하며,(Zentralabiturde) 모든 독일 대학교에 진학할 수 있는 자격을 제공한다.

독일에는 김나지움 외에도 실과학교|Realschulede, 하웁트슐레|Hauptschulede, 게잠트슐레|Gesamtschulede 등 다른 유형의 중등학교가 있다. 게잠트슐레|Gesamtschulede는 영국의 또는 미국의 종합학교와 대체로 일치한다.

독일에서는 주로 대학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김나지움에 진학하며, G8 "게-아하트"라고 불리는 8년제 학교이다. 교육 내용은 학교마다 다르며, 고전어, 근대어, 이과 계열 교과를 중시하는 등 여러 유형이 있다. 김나지움은 아비투어|Abiturde 합격을 목표로 한다. 구 동독 지역에는 1990년 독일 통일 전까지 김나지움이 없었고, 확장형 상급 학교(Erweiterte Oberschule :EOS)가 그 대안이었다.

김나지움의 교육 과정은 전기 6년(그 중 2년은 관찰 지도 단계) 및 후기 3년("김나지움 상급 단계")으로 구분된다. 김나지움 진학은 필기 시험 없이, 교육 권자와의 상담을 통해 기초 학교에서의 진로에 관한 소견에 따라 결정된다.

김나지움 전기 6년간(5-10학년)은 독일어, 수학, 제1외국어(주로 영어), 제2외국어(주로 프랑스어 또는 라틴어, 7학년부터), 역사, 정치, 지리, 물리, 화학, 생물, 음악, 미술, 체육, 종교(윤리로 대체 가능) 등 필수 과목 수업이 대부분이다. 선택 필수 과목은 9학년부터 개설되며, 제3외국어, 사회 계열, 이과 계열, 예술 계열 과목이 있다.[18]

김나지움 상급 단계(11-13학년)에서는 아비투어|Abiturde를 취득할 수 있다. 11학년은 필수 과목 및 선택 필수 과목(2과목 선택 필수, 그 중 1과목은 학교 결정)으로 구성된다. 필수 과목은 독일어, 수학, 외국어, 예술, 사회 계열 과목(역사, 정치, 지리 중 1과목 선택), 이과 계열 과목(물리, 화학, 생물 중 1과목 선택), 예술(음악, 미술 중 하나 선택), 체육 및 종교(철학으로 대체 가능)이며, 선택 과목은 외국어, 사회 계열 과목, 이과 계열 과목 및 예술 계열 과목이다.[19]

12학년부터는 학급제가 폐지되고, 학생들이 선택한 과목별로 수업 집단이 형성된다. 모든 과목은 각 학기(반년)의 코스제가 채용되며, "기초 코스"(Grundkursde)와 "중점 코스"(Leistungskursde)로 나뉜다. 학생은 중점 코스로 2과목을 선택해야 한다.[20]

각 과목은 언어문학예술 과제 영역, 사회 과학 과제 영역, 수학・자연 과학・기술 과제 영역 중 하나에 속하며, 체육도 최소 12학년에 수강한다. 독일어, 외국어, 역사, 수학, 자연 과학, 체육이 필수 영역이다.

대학 입학 자격 총점은 12학년 및 13학년의 평상시 성적과 졸업 시 최종 시험인 아비투어|Abiturde 시험(4과목, 중점 코스 2과목 포함 3과목은 논술식 필기, 1과목은 구술)의 점수를 합산하여 산출된다. 총점이 합격점에 도달하면, 원칙적으로 무시험으로 희망자 전원이 대학에 진학할 수 있다. 대학 입학 결정은 "중앙 학적 배분 기관"(ZVS)이 한다.

김나지움 교원은 대학에서 양성되며, 교원 양성 기간은 8-10학기(4-5년)이다. 독일 대학 졸업 시 학위는 디플롬|Diplomde 또는 마기스터|Magisterde(석사 해당)이다.

에리히 케스트너의 소설에는 김나지움이 자주 등장하며, 24년조 만화가들의 소녀 만화에는 김나지움을 무대로 한 작품이 있어 '''김나지움물'''이라고 불린다.[21] 하기오 모토의 『포의 일족』 중 「작은 새의 둥지」, 『토마의 심장』, 「11월의 김나지움」 등이 그 예이다.[22]

3. 2.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의 김나지움은 11세부터 14세까지, 그리고 15세부터 18세까지의 두 단계로 나뉘며, 마투라로 마무리된다.[23] 역사적으로 세 가지 유형이 존재했는데, 인문 김나지움은 고대 그리스어라틴어에 중점을 두고, 신어 김나지움은 현대 언어에 중점을 둔다. 일반적인 조합은 영어, 프랑스어, 라틴어이며, 때로는 프랑스어를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또는 러시아어 등으로 대체할 수 있다. 실업 김나지움은 과학을 강조한다. 지난 수십 년 동안 학교에 더 많은 자율성이 부여되었으며, 스포츠, 음악 또는 경제학 등에 중점을 둔 다양한 유형이 개발되었다.

오스트리아에는 '''Allgemeinbildende höhere Schulen'''(AHS, 영어: Academic secondary schools)라고 불리는 대학 진학 준비 학교가 존재하며[23], 김나지움이라고 불린다. AHS는 김나지움, 실과 김나지움, 경제 실과 김나지움으로 대별된다.

AHS의 교육 구분은 그레이드 5-8(4년간)의 하급 단계(Unterstufe, 2A 레벨)와 그레이드 9-12(4년간)의 상급 단계(Oberstufe, 3A 레벨)로 나뉜다.[23]

구분내용
하급 단계필수 과목이 대부분이지만, 김나지움, 실과 김나지움, 경제 실과 김나지움에 따라 약간 다르다. 김나지움에서는 라틴어가 7학년부터 학습되는 한편, 실과 김나지움에서는 수학, 기하, 기술, 직물 수업 시간 수가, 경제 실과 김나지움에서는 화학, 기술, 직물 수업 시간 수가 각각 많다.
상급 단계김나지움에서는 현대 외국어와 라틴어를 중시하는 한편, 실과 김나지움에서는 수학, 현대 외국어, 자연 과학을, 경제 실과 김나지움에서는 현대 외국어, 가정, 경제, 지리를 각각 중시한다. 상급 단계에서는 선택 필수 과목이 개설되어 현대 외국어, 정보 기술, 음악, 미술 등이 선택 필수 과목에 해당한다.



최종 학년에서는 졸업 시험이 실시되며, 이것에 합격하면 무시험, 무선발의 희망자 전원 입학의 대학 입학 자격(Matura)이 부여된다. 졸업 시험 방식은 3가지가 있으며, 학생은 이 3가지 중에서 하나를 선택한다.

유형내용
유형 1논문(1-2과목에 관한 것으로 20-25매), 3과목(독일어, 외국어, 수학)의 필기 시험, 3과목의 구술 시험(그 중 1과목은 논문 관련)
유형 23과목(독일어, 외국어, 수학)의 필기 시험, 4과목의 구술 시험
유형 34과목(독일어, 외국어, 수학, 기타 과목)의 필기 시험, 3과목의 구술 시험



AHS의 교원은 수료 연한이 4년 이상인 종합 대학에서 양성된다. AHS 교원 양성은 2과목에 대해 실시된다. 오스트리아의 대학은 졸업 시점의 학위가 디플롬(Diplom), 또는 마기스터(Magister, 석사에 상당)이다.

3. 3. 스위스

스위스에서 김나지움(Gymnasien, gymnases)은 학생이 대학교에 진학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기 위한 3년에서 6년(칸톤에 따라 다름)의 고급 중등 교육 과정을 제공하는 선발 학교이다. 이 학교는 전국적으로 표준화된 시험인 마투라(maturité 또는 Maturität)로 마치게 되는데, 이 시험에 합격하면 스위스 대학교에 진학할 수 있다. 김나지움은 스위스의 칸톤에서 운영하며, 따라서 많은 칸톤에서 이를 칸톤슐레(Kantonsschule) (칸톤 학교)라고 부른다.

스위스에는 주로 독일어권의 주립학교(Kantonsschule = "칸톤스슈레")로서, 몇 개의 김나지움이 있다.

3. 4. 기타 국가


  • '''알바니아''': 알바니아의 김나지움(Gjimnaz|짐나즈sq)은 9년제 의무 초등 교육 후 3년 동안 진행되며, Matura Shtetërore|마투라 슈테테로레sq라는 최종 시험으로 마무리된다. 이 시험은 국가 수준에서 표준화되며 대학 입학 자격으로 사용된다. 공립(국가 운영, 무상) 또는 사립(유료) 김나지움이 있으며, 수학, 알바니아어, 외국어, 역사, 지리, 컴퓨터 과학, 자연 과학, 미술사, 음악, 철학, 논리학, 체육, 사회 과학 등을 가르친다.
  • '''벨라루스''': 벨라루스의 김나지움은 다양한 과목에서 심화된 지식을 제공하는 최고 수준의 중등 교육 과정으로, 교육 연한은 11년이다.
  • '''체코'''와 '''슬로바키아''': 체코와 슬로바키아의 김나지움(gymnasium|김나지움cs)은 중등 교육을 제공하는 학교 유형으로, maturita|마투리타cs 시험으로 이어진다. 8년제, 6년제, 4년제 등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이중 언어 학교도 있다.
  • '''이탈리아''': 이탈리아에서 김나지움(ginnasio|진나시오it)은 원래 5년제 중학교를 나타냈으나, 현재는 5년제 Liceo classico|리체오 클라시코it의 처음 2년을 나타낸다.
  • '''네덜란드''': 네덜란드의 김나지움은 중등 교육의 최고 형태로, 6년 과정이며, 고대 그리스어, 라틴어와 Klassieke Culturele Vorming|클라시커 퀼튀렐러 포르밍nl(고전 문화 교육)을 추가로 학습한다. 고전 언어가 없는 등급은 atheneum|아테네움nl이라고 한다.
  • '''북유럽 국가''': 덴마크, 에스토니아, 페로 제도, 핀란드, 그린란드, 아이슬란드, 라트비아, 노르웨이스웨덴에서 김나지움은 보통 3년으로 구성되며, 16세에 시작된다. 리투아니아에서는 4년 과정이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 몬테네그로, 북마케도니아, 세르비아, 슬로베니아''': 이들 국가에서 김나지움 교육은 4년 동안 진행되며, 마투라라는 최종 시험으로 마무리된다. 공립, 종교, 사립 김나지움이 있으며, 다양한 과목을 가르친다.

4. 한국의 유사 교육기관

5. 교육 과정 (독일 김나지움 기준)

독일의 김나지움 교육 과정은 학교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독일어, 수학, 정보학/컴퓨터 과학, 물리학, 화학, 생물학, 지리학, 예술(공예, 디자인 등 포함), 음악, 역사, 철학, 공민/시민권, 사회 과학, 그리고 여러 외국어를 포함한다. 어린 학생들을 위한 김나지움의 거의 전체 교과 과정은 필수이며, 상위 학년에서는 선택 과목을 수강할 수 있지만, 그 선택의 폭은 미국 고등학교만큼 넓지 않다.[29] 김나지움은 일반적으로 능력 범위의 상위 25~35%를 충족시키므로 교육 수준이 높다.

김나지움 최고 학년에 이르면 아비투어 자격 시험을 치러 합격해야 졸업할 수 있으며, 아비투어를 획득하지 못하면 '졸업'이 아닌 '수료'가 된다. 아비투어는 대학교 입학 자격 시험을 겸하므로 대학교에 진학하려면 반드시 취득해야 한다.

일반적인 교육 과정 외에도, 김나지움 학생들은 라틴어고대 그리스어를 공부하기도 한다. 일부 김나지움은 일반적인 교육을 제공하는 반면, 다른 김나지움은 특정 분야에 초점을 맞추기도 한다. (이는 국가마다 다르다.)

김나지움에서 전통적으로 다루는 네 가지 주요 분야는 다음과 같다.


  • 인문학(라틴어그리스어와 같은 고전 언어 전공)
  • 현대 언어 (학생들은 최소 세 개의 언어를 공부해야 한다)
  • 수학 및 물리 과학
  • 경제학 및 기타 사회 과학 (학생들은 경제학, 세계사, 사회 또는 비즈니스 정보학을 공부해야 한다)


김나지움에서는 학문적 과목뿐만 아니라 균형 잡힌 인재를 양성하는 데에도 집중하므로, 체육과 종교 또는 윤리 수업은 비종교적 학교에서도 필수이다. 독일 헌법은 정교 분리를 보장하므로, 종교 또는 윤리 수업이 의무적이지만 학생들은 특정 종교를 선택하거나 전혀 공부하지 않을 수 있다.

오늘날에는 경제학, 기술 또는 가정 과학을 전문으로 하는 김나지움과 같은 다른 많은 전문 분야가 존재한다. 일부 국가에서는 정식 김나지움의 초기 수업과 동일하며 ''김나지움''에서 교육을 계속할 권리를 가진 ''프로김나지움''이라는 개념이 있다. 여기서 접두사 ''pro''-는 ''pre''-와 동일하며, 이는 이 교육 과정이 일반적인 김나지움 학습에 선행됨을 나타낸다.

독일 김나지움은 선발 학교이며, 학문적으로 가장 유망한 청소년들에게 모든 국립 학교에서 무상으로 제공되는 양질의 교육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교회에서 운영하는 학교에서는 월 50유로를 넘지 않지만, 일부 사립 학교는 비쌀 수 있다. 김나지움은 동급생보다 학업 성적이 낮거나 바람직하지 않거나 용납할 수 없는 행동을 하는 학생을 퇴학시킬 수 있다.

학생들은 독일어, 수학, 물리학, 화학, 지리, 생물학, 미술, 음악, 체육, 종교, 역사, 시민 교육/시민 의식/사회 과학 및 컴퓨터 과학과 같은 과목을 공부한다. 또한 최소 두 개의 외국어를 공부해야 한다. 일반적인 조합은 영어프랑스어 또는 영어와 라틴어이지만, 많은 학교에서는 영어와 다른 언어, 대부분 스페인어, 고대 그리스어, 또는 러시아어를 결합할 수 있다.

종교 교육 수업은 모든 독일 학교의 커리큘럼의 일부이지만, 의무는 아니다. 학생이나 부모 또는 보호자는 이에 반대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학생(학교에서 종교가 가르쳐지지 않는 학생과 함께)은 윤리학 또는 철학을 배운다. 국립 학교에서 가톨릭 신자나 개신교 신자가 아닌 학생은 이러한 수업 중 어떤 것을 선택할지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유일한 예외는 베를린에서, 윤리학 과목은 모든 학생에게 의무적이며 (기독교) 종교 연구는 추가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유사한 상황은 브란덴부르크에서 발견되는데, 생존 기술, 윤리학, 종교 교육 (Lebensgestaltung, Ethik, Religionskunde, LERde) 과목이 주요 과목이지만 부모/보호자 또는 13세 이상의 학생은 이를 (기독교) 종교 연구로 대체하거나 둘 다 선택할 수 있다. LER의 의도는 학생들이 개인의 발달 및 윤리 문제뿐만 아니라 주요 세계 종교에 대한 객관적인 통찰력을 얻도록 하는 것이다.

어린 학생들의 경우 김나지움의 거의 전체 커리큘럼이 필수적이다. 상위 학년에서는 추가 과목을 선택할 수 있으며, 지금까지 필수였던 과목 중 일부를 빼는 것도 가능하지만, 선택의 폭은 미국 고등학교와 같은 다른 학교 시스템만큼 넓지 않다.

일부 전문 김나지움에서는 영어나 프랑스어를 수업 언어로 사용하지만, 대부분의 김나지움에서는 (외국어 수업을 제외하고) 표준 독일어로 수업이 진행된다.

김나지움의 수업 연수는 주마다 다르다. 베를린브란덴부르크에서는 6년에서 7년(두 곳 모두 초등학교가 6년인 반면 독일의 다른 지역은 4년)이며, 바이에른, 헤센, 바덴-뷔르템베르크 등에서는 8년이다. 작센과 튀링겐에서는 학생들이 김나지움에서 8년 이상 교육을 받은 적이 없지만, 현재 거의 모든 주에서 초등학교와 김나지움을 합쳐 13년 후에 김나지움 교육을 완료하는 아비투어de 시험을 실시한다. 또한 일부 주에서는 ''아비투어de''로 이어지는 12년제 커리큘럼을 제공한다. 이 최종 시험은 현재 라인란트-팔츠를 제외한 모든 독일 주에서 중앙에서 초안을 작성하고 관리하며 (Zentralabiturde) 모든 독일 대학교에 진학할 수 있는 자격을 제공한다.

독일에서는 주로 대학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진학하는 8년제(2003년까지는 9년제) 학교이며, G8 "게-아하트"라고 불린다. 교육 내용은 학교마다 다르며, 그리스어, 라틴어, 히브리어 등의 고전어와 영어, 프랑스어 등의 근대어, 이과 계열의 교과를 중시하는 등 여러 유형이 있다. 김나지움은 대학 입학을 목표로 하는 학교이며, 아비투어 합격을 목표로 한다.

김나지움의 교육 구분은 전기 6년(그 중 2년은 관찰 지도 단계) 및 후기 3년으로 구분된다. 특히 후기 3년을 "김나지움 상급 단계"라고 한다.

김나지움 진학은 중학교 입시와 같은 필기 시험이 치러지는 것이 아니라, 교육 권자(보호자)와의 상담을 통해 기초 학교에서의 진로에 관한 소견(김나지움 진학이 적절하다는 취지의 소견)에 따라 결정된다.

김나지움의 전기 6년간의 과정(그레이드 5-10)에서는 독일어, 수학, 제1외국어(일반적으로 영어), 제2외국어(일반적으로 프랑스어, 또는 라틴어, 그레이드 7부터 시작), 역사, 정치, 지리, 물리, 화학, 생물, 음악, 미술, 체육, 종교(윤리로 대체 가능) 등의 필수 과목 수업이 압도적으로 많고, 선택 필수 과목은 그레이드 9부터 개설되며, 선택 필수 과목은 제3외국어, 사회 계열 과목, 이과 계열 과목, 예술 계열 과목이 있다.[18]

김나지움 상급 단계(그레이드 11-13)에서는 수료 시 일반적인 대학 입학 자격인 아비투어를 취득할 수 있다. 이 3년간의 교육 과정은 다음과 같다.

  • 제11학년에서는 필수 과목 및 선택 필수 과목(2과목 선택 필수, 그 중 1과목은 학교가 결정 가능)으로 구성된다. 필수 과목은 독일어, 수학, 외국어, 예술, 사회 계열 과목(역사, 정치, 지리 중 1과목 선택), 이과 계열 과목(물리, 화학, 생물 중 1과목 선택), 예술(음악, 미술 중 하나를 선택), 체육 및 종교(철학으로 대체 가능)이며, 선택 과목은 외국어, 사회 계열 과목, 이과 계열 과목 및 예술 계열 과목으로 구성된다.[19]
  • 제12학년부터 제13학년에서는 '''공통의 수업 집단으로서의 학급제가 폐지되고, 학생들이 선택한 과목별로 수업 집단이 형성된다'''. 모든 과목의 각 학기(1학기는 반년)의 코스제가 채용되며, 코스는 각 과목마다, 필수적인 기초 지식을 습득하는 "기초 코스"(Grundkurs)와, 자신의 능력에 따라 깊은 학문 준비적 이해와 넓은 전문적 지식을 교육하는 "중점 코스"(Leistungskurs)로 나뉜다. 학생은 중점 코스로 2과목을 선택하여 수강해야 한다.[20]
  • 각 과목은 언어문학예술 과제 영역(독일어, 외국어, 예술 계열 과목 등), 사회 과학 과제 영역(역사, 지리, 법학, 정치학, 경제학, 교육학, 심리학, 철학, 윤리학, 종교학 등), 수학・자연 과학・기술 과제 영역(수학, 물리, 화학, 생물, 가정학, 정보학, 기술 등)의 어느 하나에 속하며, 이 외에 체육도 적어도 제12학년에 수강한다.
  • 과제 영역은 필수 영역과 선택 영역으로 나뉘며, 독일어, 외국어, 역사, 수학, 자연 과학, 체육이 필수 영역에 속한다.
  • 대학 입학 자격을 증명하기 위한 총점은 제12학년 및 제13학년의 평상시의 성적과 졸업 시 최종 시험으로 치러지는 아비투어 시험(4과목, 그 중 중점 코스로 수강한 2과목을 포함한 3과목이 논술식 필기, 1과목이 구술)의 점수를 합산하여 산출된다.
  • 앞서 언급한 총점이 합격점에 도달한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무시험 무선발로 희망자 전원이 대학에 진학할 수 있다. 대학 입학의 결정은 "중앙 학적 배분 기관"(ZVS)이 한다.
  • 대학 입학 자격을 부여하기 위한 시험은, 어디까지나 '''학생이 대학에서 학습할 절대적인 능력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이며, 시험의 방법은 "장시간에 걸쳐 상당한 고도의 사고력을 요하는 논문"으로 3과목이 치러지며, 나머지 1과목은 "사람 앞에서 자신의 의견을 설득력 있게 발표하는 능력을 시험"하기 위한 구두 시문으로 치러진다.


김나지움의 교원은 대학에서 양성되며, 교원 양성 기간은 8-10학기(4-5년)이다.

6. 졸업 시험 (아비투어, Abitur)

아비투어독일 김나지움의 졸업 시험이자 대학 입학 자격 시험이다. 김나지움 최고 학년에 이르면 아비투어 시험을 치르고, 합격해야 졸업할 수 있다. 아비투어를 획득하지 못하면 졸업이 아닌 '수료'가 된다.[29] 아비투어는 대학교 입학 자격 시험을 겸하므로, 대학교에 진학하려면 반드시 합격해야 한다.

독일의 주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라인란트-팔츠 주를 제외한 모든 독일 주에서 중앙에서 아비투어 시험을 출제하고 관리한다(Zentralabitur).[29] 아비투어에 합격하면 모든 독일 대학교에 진학할 수 있다.

김나지움의 최종 학위는 국가에 따라 아비투어, 아르티움, 디플로마, 마투라, 마투리타, 학생 등으로 불린다. 이 학위는 전문 학교 진학 자격을 부여하지만, 국제적으로 완전히 인정되지 않는 경우도 있어 외국 대학교 진학 시 추가 시험이 필요할 수 있다.

독일에서는 아비투어 총점을 기준으로 "중앙 학적 배분 기관"(ZVS)을 통해 대학 입학이 결정된다. 아비투어는 학생들이 대학에서 학습할 능력이 있는지 평가하며, 시험은 논술 3과목과 구술 1과목으로 구성된다. 논술은 고도의 사고력을, 구술은 발표 능력을 평가한다.

참조

[1] 웹사이트 Definition of GYMNASIUM https://www.merriam-[...] 2024-01-18
[2] Americana
[3] 서적 A Brief History of Universities https://doi.org/10.1[...] Springer Nature 2019
[4] 간행물 PISA 2003 – Der Bildungsstand der Jugendlichen in Deutschland – Ergebnisse des 2. internationalen Vergleiches PISA-Konsortium Deutschland
[5] 웹사이트 Geschichte (History) https://de.wikipedia[...] 2012-03-14
[6] 서적 Higher education in transition: a history of American colleges and universities https://books.google[...]
[7] 웹사이트 Bertha-von-Suttner-Gymnasium – Die Homepage des Bertha-von-Suttner-Gymnasiums Neu-Ulm https://www.bvsg-nu.[...] 2024-10
[8] 웹사이트 Lebensgestaltung-Ethik-Religionskunde (L-E-R) https://web.archive.[...] Ministry of Education, Youth, and Sports of the Federal State of Brandenburg 2010-11-03
[9] 웹사이트 § 57.4.22 – L. 1 luglio 1940, n. 899. Istituzione della scuola media. http://www.edizionie[...] 1940-07-01
[10] 웹사이트 UddannelsesGuiden (in Danish) https://www.ug.dk/ud[...]
[11] 웹사이트 Om program på gymansiet https://www.gymnasiu[...] Educations Media Group 2018-09-03
[12] 웹사이트 Nationella program på gymnasiet https://www.gymnasiu[...] Educations Media Group 2018-09-03
[13] 웹사이트 1 250 opiskelijapaikan lisääminen ammatillisen peruskoulutuksen järjestämislupiin 1.1.2010 lukien https://web.archive.[...] 2011-09-27
[14] 웹사이트 General upper secondary education https://web.archive.[...] 2012-01-09
[15] 웹사이트 Stytting framhaldsskóla: Enginn tími til að anda https://web.archive.[...] 2017-03-23
[16] 웹사이트 Usvojena Lista udžbenika za šk. 2018-2019. godinu https://web.archive.[...] 2019-03-03
[17] 웹사이트 Upper Secondary School 2011 https://web.archive.[...] 2012-06-09
[18] 서적 諸外国の初等中等教育 文部科学省 2002-03-11
[19] 서적 諸外国の初等中等教育 文部科学省 2002-03-11
[20] 서적 Die Bildung in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ドイツの教育 東信堂 1998-07
[21] 서적 欲望のコード―マンガにみるセクシュアリティの男女差 臨川書店 2009
[22] 문서 가브리엘 스위스 김나지움, 슈로터베츠 김나지움, 휘얼린 김나지움
[23] 웹사이트 ISCED MAPPINGS - Austria http://www.uis.unesc[...] UNESCO 2015-11-04
[24] 백과사전 김나지움 https://terms.naver.[...] 네이버 지식백과(세계 대학사전)
[25] 백과사전 김나지움 https://terms.naver.[...] 네이버 지식백과(두산백과)
[26] 백과사전 김나지움(제도) https://terms.naver.[...] 네이버 지식백과 (맑스사전)
[27] 백과사전 김나지움(제도) https://terms.naver.[...] 네이버 지식백과 (맑스사전)
[28] 백과사전 김나지움(제도) https://terms.naver.[...] 네이버 지식백과 (맑스사전)
[29] 백과사전 김나지움 https://terms.naver.[...] 네이버 지식백과(세계 대학사전)
[30] 웹사이트 Gymnasium_(Germany) https://en.wikiped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