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루미자리 알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두루미자리 알파는 두루미자리에 있는 별로, 아랍어로 '밝은 것'을 의미하는 알나이르(Alnair)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 분광형 B6 V 또는 B7 IV의 항성으로, 주계열성이거나 준거성 단계로 진화하는 중일 수 있다. 지구로부터 약 101 광년 거리에 있으며, 태양의 약 3.4배 크기, 4배 질량, 520배 광도를 가진다. 황새치자리 AB 운동성군의 일원일 가능성이 있으며, B형 항성 특유의 청백색 빛을 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두루미자리 - HD 208487 b
- 두루미자리 - HD 207129
- 준거성 - 알골
페르세우스자리의 삼중성계 알골은 주성 알골 A와 반성 알골 B가 서로를 가리는 식쌍성으로 주기적인 밝기 변화를 보이며, 세 번째 별 알골 C가 이 쌍성계를 공전하고, 예로부터 불길한 징조로 여겨졌을 뿐 아니라 항성 진화 이론에서 '알골 역설'을 야기하는 천체로 알려져 있다. - 준거성 - 세페우스자리 감마
세페우스자리 감마는 66.8년 주기로 공전하는 쌍성계로, 오렌지색 준거성 감마 A(Errai)와 적색 왜성 감마 B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성 감마 A는 미래의 북극성 후보이자 외계 행성 타드모르(감마 Cephei Ab)를 거느리고 있고, 이 행성은 외계 행성 최초 발견 사례 중 하나로 '타드모르'라는 고유 명칭을 얻었다. - B형 주계열성 - 스피카
스피카는 지구에서 약 250광년 떨어진 처녀자리 α별로, "처녀의 밀 이삭"을 의미하는 라틴어에서 유래했으며, 분광쌍성이자 회전 타원체 변광성으로 두 개의 청색거성으로 이루어져 빠른 자전과 강한 상호 중력으로 인해 특이한 물리적 특성을 보이는 밝은 쌍성계이다. - B형 주계열성 - 민타카
민타카는 오리온자리의 삼태성 중 하나로, 다중성계이며, 분광쌍성임이 밝혀졌고, 성간매질 존재 증거를 제공한 중요한 천체이다.
| 두루미자리 알파 | |
|---|---|
| 기본 정보 | |
![]() | |
| 발음 | æ |
| 별자리 | 두루미자리 |
| 바이어 명명법 | α Gru (두루미자리 알파) |
| 고유 명칭 | 알나이르 |
| 기타 명칭 | B=α Gru CD=−47°14063 FK5=829 GCTP=5339.00 GJ=848.2 HD=209952 HIP=109268 HR=8425 SAO=230992 |
| 관측 정보 | |
| 시대 | J2000.0 |
| 겉보기 등급 | +1.74 |
| 특징 | |
| 분광형 | B6 V |
| B-V 색 지수 | −0.13 |
| U-B 색 지수 | −0.47 |
| 변광성 여부 | 의심스러움 |
| 운동 정보 | |
| 시선 속도 | +11.8 km/s |
| 고유 운동 (적경) | +126.69 밀리초/년 |
| 고유 운동 (적위) | −147.47 밀리초/년 |
| 연주 시차 | 32.29 밀리초 |
| 절대 등급 | -0.721 |
| 물리적 특징 | |
| 질량 | 3.82 태양질량 |
| 반지름 | 3.6 태양반지름 |
| 광도 | 520 태양광도 |
| 표면 중력 | 3.76 cgs |
| 표면 온도 | 14245 K |
| 금속 함량 | -0.13 |
| 자전 속도 | 215 km/s |
| 나이 | 1억 년 |
2. 명칭
두루미자리 알파(α Gruis)는 바이어 명명법으로 부른 이름이다. 이 명칭은 요한 바이어가 1603년 출간한 우라노메트리아에 처음 등장했다.[8]
두루미자리 알파는 분광형 B6 V의 주계열성으로, 중심핵에서 수소 핵융합을 통해 에너지를 생성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문헌에서는 B7 IV로 분류하여, 중심핵의 수소가 고갈되어 준거성 단계로 진입했을 가능성도 제시한다.
전통적으로 불려오던 이름인 알나이르 ''Alnair'' 또는 알 나이르 ''Al Nair''는 아랍어로 '밝은 것'이라는 의미로, '알 나이르 민 다나브 알 후트'(알 자누비, 남쪽 물고기의 꼬리에서 가장 밝은 것)에서 유래했다.[5] 항해사들이 사용하는 항성명칭 목록에는 ''Al Na'ir'' 로 표기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12] 20세기 중반 센타우루스자리 제타의 고유명칭으로도 알나이르 ''Alnair''가 쓰인 적이 있어서 혼란을 일으켰다.[6] 2016년 국제천문연맹은 항성들의 고유명칭을 목록화/표준화할 목적으로 산하에 항성명칭 실무단(WGSN)[13]을 조직했다. WGSN은 2016년 8월 21일 알나이르 ''Alnair''를 두루미자리 알파의 고유명칭으로 공고했으며 이 명칭은 현재 IAU 항성명칭 목록에 수록되어 있다.[14]
전통 아랍 천문학에서 두루미자리 알파는 두루미자리 베타, 두루미자리 델타, 두루미자리 세타, 두루미자리 요타, 두루미자리 람다와 함께 남쪽물고기자리에 소속되어 있었다.[7]
동아시아 천문학에서 두루미자리 알파는 두루미자리 베타, 델타2, 엡실론 두루미자리, 제타 두루미자리, 에타 두루미자리, 요타 두루미자리, 세타 두루미자리, 뮤1 (이상 두루미자리), 큰부리새자리 델타와 함께 성군인 학(鶴)을 구성한다.[15] 이들 중 두루미자리 알파별 하나만을 지칭하는 이름은 학1(鶴一)이다.[17] 이 동아시아식 명칭으로부터 파생된 영어권 이름은 ''Ke''이다.[16]
3. 특징
주연감광을 고려하여 조정한 각지름은 1.02 ± 0.07 mas이다. 시차로 구한 거리를 적용하면, 이 별의 반지름은 태양의 약 3.4배이다. 자전 속도는 초당 약 215 킬로미터로 매우 빠르다.
외곽 대기의 유효온도는 13,920,000으로, B형 항성 특유의 청백색 빛을 낸다.[9]
3. 1. 물리적 특징
두루미자리 알파는 분광형 B6 V의 주계열성으로, 중심핵에서 수소 핵융합을 통해 에너지를 생성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문헌에서는 B7 IV로 분류하여, 중심핵의 수소가 고갈되어 준거성 단계로 진입했을 가능성도 제시한다. 현재까지 밝혀진 동반 천체는 없다.
주연감광을 고려하여 조정한 두루미자리 알파의 각지름은 1.02 ± 0.07 mas이다. 시차로 구한 거리를 적용하면, 이 별의 반지름은 태양의 약 3.4배이다. 자전 속도는 초당 약 215 킬로미터로 매우 빠른데, 이는 별의 적도에서 방위각 자전 속도의 하한선에 가깝다. 질량은 태양의 약 4배,[11] 복사 에너지는 태양의 520배에 달한다.[11]
외곽 대기의 유효온도는 13920 켈빈으로, B형 항성 특유의 청백색 빛을 낸다.[9] 금속함량(수소와 헬륨을 제외한 원소의 함량)은 태양의 약 74% 수준이다.
두루미자리 알파는 예상 나이와 움직임을 고려할 때, 황새치자리 AB 운동성군의 일원일 가능성이 있다. 이 운동성군의 나이는 약 7천만 년으로, 두루미자리 알파의 예상 나이인 1억 년과 오차 범위 내에서 일치한다. 은하좌표상 우주속도 요소는 [–7.0 ± 1.1, –25.6 ± 0.7, –15.5 ± 1.4] km/s이다.
3. 2. 화학적 특징
두루미자리 알파는 분광형 B6 V를 가지지만, 일부 자료에서는 B7 IV로 분류하기도 한다. 전자는 이 별이 주계열성으로, 중심핵에서 수소 핵융합을 통해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중에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후자의 광도분류 'IV'는 이 별이 준거성으로, 중심핵에 있던 수소를 소진하고 주계열에서 이탈하였음을 뜻한다. 수소와 헬륨을 제외한 나머지 원소들의 함량(천문학자들은 이를 금속함량으로 부른다.)은 태양의 약 74%이다.
3. 3. 운동학적 특징
두루미자리 알파는 예상 나이 및 움직임을 볼 때 우주 공간에서 같은 움직임을 공유하는 황새치자리 AB 운동성군의 일원일 가능성이 있다. 이 운동성군의 나이는 약 7천만 년으로 두루미자리 알파의 예상 나이인 1억 년과 부합된다.(오차 한계 허용) 알파별의 은하좌표상 우주 속도 요소는 [''U'', ''V'', ''W''] = [-7.0 ± 1.1, -25.6 ± 0.7, -15.5 ± 1.4] km/s이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Living Arabic Project - نير
https://www.livingar[...]
2024-01-26
[2]
웹사이트
معنى شرح تفسير كلمة (نير)
https://www.almougem[...]
2024-01-26
[3]
웹사이트
المعاني - نير
https://www.almaany.[...]
2024-01-26
[4]
문서
誠文堂新光社刊『星の名前のはじまり―アラビアで生まれた星の名称と歴史』(近藤二郎著)p.72ではالنير(an-nīr, アン=ニール)が語源となっているが誤り。名詞نِير(nīr, ニール)はこの星の名前と同じつづりながら発音が違う別の単語で、耕作の際に牛の首に取り付けるくびき(yoke)や比喩的な意味での「くびき、桎梏」を指す。
[5]
서적
A Dictionary of Modern star Names: A Short Guide to 254 Star Names and Their Derivations
https://archive.org/[...]
Sky Publishing Corporation
2006
[6]
서적
Arabische Sternnamen in Europa
Otto Harrassowitz
1959
[7]
서적
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
Dover Publications Inc.
1963
[8]
서적
Rough Guide to the Universe
https://books.google[...]
Penguin
2008
[9]
웹인용
The Colour of Stars
http://outreach.atnf[...]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2004-12-21
[10]
저널
Accurate absolute luminosities, effective temperatures, radii, masses and surface gravities for a selected sample of field stars
1990-11
[11]
저널
The Sizes of the Nearest Young Stars
2012-06
[12]
서적
The American Practical Navigator: An Epitome of Navigation
National Imagery and Mapping Agency
2002
[13]
웹인용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https://www.iau.org/[...]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16-05-22
[14]
웹인용
IAU Catalog of Star Names
http://www.pas.roche[...]
2016-07-28
[15]
서적
中國星座神話
https://books.google[...]
五南圖書出版股份有限公司
2005
[16]
웹인용
Star Names — Their Lore and Meaning: Grus
http://penelope.uchi[...]
2019-01-15
[17]
웹인용
香港太空館 - 研究資源 - 亮星中英對照表
http://www.lcsd.gov.[...]
Hong Kong Space Museum
2019-0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