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듀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듀나는 SF 작가이자 영화 평론가로, 필명으로 활동하며 정체에 대한 다양한 추측이 존재한다. 1994년 PC통신을 통해 활동을 시작하여 소설, 영화 평론, 칼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SF&F 작가연대 회장을 역임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소설 《카운터웨이트》, 영화 평론집 《스크린 앞에서 투덜대기》 등이 있다. 듀나의 영화 낙서판은 SF 작가이자 영화 평론가인 듀나의 글을 볼 수 있는 인터넷 게시판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터넷 작가 - 하상욱
    하상욱은 2012년 SNS 시 게시를 시작으로 《서울 시》 전자책 출판 후 베스트셀러 작가가 되었으며, '시팝' 음악 발표 및 방송 활동 등 다양한 방식으로 대중과 소통하는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싱어송라이터이다.
  • 인터넷 작가 - 이영도
    이영도는 1972년 부산에서 태어나 《드래곤 라자》, 《눈물을 마시는 새》 등 다양한 작품을 발표하며 한국 판타지 문학의 새로운 지평을 연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 SF 비평가 - 프레드릭 제임슨
    프레드릭 제임슨은 미국의 마르크스주의 문학 평론가이자 문화 이론가로, 포스트모더니즘과 후기 자본주의를 비판적으로 분석하며, 『정치적 무의식』, 『포스트모더니즘, 또는 후기 자본주의의 문화적 논리』 등의 저서를 통해 문학, 문화, 역사에 대한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을 제시했다.
  • SF 비평가 - H. P. 러브크래프트
    H. P. 러브크래프트는 크툴루 신화를 창시하고 코즈미시즘을 특징으로 하는 미국의 괴기 소설 작가이며, 사후에 재평가되어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대한민국의 SF 작가 - 김초엽
    김초엽은 2017년 한국과학문학상에서 수상하며 데뷔한 대한민국의 과학 소설 작가로, 포항공과대학교에서 화학과를 졸업하고 생화학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대표작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을 비롯한 다수의 작품을 출간하며 활발히 활동 중이다.
  • 대한민국의 SF 작가 - 장강명
    장강명은 1975년 서울에서 태어나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동아일보 기자로 일하다가 2011년 소설 『표백』으로 등단하여 여러 문학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언론인이다.
듀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필명듀나
본명이영수
직업소설가
평론가
칼럼니스트
사용 언어한국어
활동 기간1994년 ~ 현재
장르SF 소설
주요 작품《면세구역》(2000)
《태평양 횡단 특급》(2002)

2. 정체

듀나의 신원에 대해서는 1명의 여성이라는 설과 3명으로 구성된 공동 창작 집단의 필명이라는 설 등 여러 가지 추측이 있다.[17]

여러 명이 썼다고 보기에는 글의 스타일이나 주제의식이 놀라울 정도로 일관되어 있어 한 사람으로 여겨지지만, 종종 ‘우리’라는 대명사로 자신을 지칭하는 것으로 미루어 복수의 인원으로 구성된 창작 집단일 것이라는 추측도 가능하다. 실제로 몇몇 글은 발표 당시 ‘듀나와 파프리카’ 혹은 '듀나 일당(들)'이라는 서명을 달고 나왔으며, 직접 운영 중인 홈페이지의 게시판에서도 '우리'라는 대명사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17]

듀나의 정체가 특정 개인인지 집단인지는 여전히 모호한 문제로 남아있지만, 만약 집단이더라도 그 가운데 핵심 인물은 1명의 1971년생 여성일 것이라는 견해가 가장 유력하다.[18] 듀나가 연재하는 한 잡지의 편집장은 2009년 기사에서 듀나의 고료가 입금되는 계좌가 ‘이영수’(38·여)의 것이라고 확인했다.[19]

김재국은 ‘한국 과학소설의 현황’[20]이라는 글에서 듀나의 단편 〈일곱 번째 별〉을 평하면서 "이 작품을 통하여 작가의 정체를 여성으로 추측할 수 있다. 여성 주인공을 중심으로 사건이 전개될 뿐만 아니라 음식 요리에 관한 구체적 서술도 여성이 아니고는 불가능할 정도로 구체적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요리’라는 소재로 작가의 성별을 판단하는 것은 시대착오적인 발상"[21]이라는 반론도 있다.

듀나는 모든 작품을 듀나라는 이름으로 발표하며, 인터뷰는 이메일 또는 온라인 채팅으로 진행한다.[3][4] 초창기 작품 중 일부는 ''이영수''라는 이름을 사용했지만, 이는 일반적인 필명으로 여겨진다. 이영수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흔한 이름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5] 듀나는 인칭대명사 "그들"을 선호한다.[2]

듀나는 듀나라는 이름이 작가 듀나 반스(Djuna Barnes)와 엘러리 퀸(Ellery Queen)의 작품에 등장하는 등장인물에서 유래했다고 설명한다.[7] 대문자 표기는 고유명사에 소문자를 사용하는 것이 "어색하다"는 듀나의 생각 때문이었다.[6]

3. 활동

듀나는 1994년 PC통신 하이텔에서 SF 단편과 영화평을 올리며 활동을 시작했다. 1996년 잡지 이매진[13]에 여러 장르의 단편을 연재하며 알려지기 시작했고, 1997년부터 1998년까지 씨네21에서 〈듀나의 채팅실〉을 연재했다.[14]

이후 HowPC, 문화정보웹진 펄프, 조선일보, 엔키노, 씨네라인, 드라마틱, [http://ch.yes24.com/Article/List/1968 YES24], 한겨레, 익스트림무비, [https://web.archive.org/web/20120927234011/http://www.entermedia.co.kr/news/news_list.html?jn=8 엔터미디어], 리디북스, 아이돌로지, INNOCEAN Worldwide, [http://www.huffingtonpost.kr/djuna/ 허핑턴포스트코리아], [https://web.archive.org/web/20170113125220/https://www.koreafilm.or.kr/webzine/webzine_search.asp?writerid=324 한국영상자료원], [http://news.bookdb.co.kr/bdb/Column.do?_method=ColumnList&sc.contsDtlType=02&sc.themeNo=442 인터파크 Book DB] 등 다양한 매체에 기고했다.

2003년부터 2004년까지 정은임의 영화음악실에 칼럼니스트로 참여했고, 2007년부터 2010년까지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운영하는 [http://www.munjang.or.kr/ 사이버문학광장 문장]에서 창작마당 장르부문 심사위원을 맡았다. 2019년 12월에는 무크지 《오늘의 SF》 창간호 편집위원으로 참가했고,[15] 한국과학소설작가연대 2대 대표로 취임했다.[16]

듀나의 정체에 대해서는 여러 추측이 있지만, '우리'라는 대명사를 사용하고 '듀나와 파프리카'라는 이름으로 글을 쓴 적도 있어 2명 이상의 창작 집단일 가능성도 제기된다.

3. 1. 영화 평론

1990년대 초반에 PC통신 서비스 하이텔에서 SF 단편과 영화 평론을 관련 동호회에 게재하며 활동을 시작하였다. 이후 영화 전문지 씨네21, 엔키노(nkino・월간 영화 평론지 키노의 웹사이트) 등 다양한 매체에 기고하였다. 2003년~2004년에는 정은임의 영화음악실에 칼럼니스트로 참여했는데, 얼굴을 드러내지 않는다는 원칙 때문에 직접 출연하는 대신 보낸 원고를 진행자 정은임이 읽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3. 2. 기타 활동

듀나는 1994년 PC통신 하이텔에서 SF 단편과 영화평을 관련 동호회에 올리며 온라인 활동을 시작했다.[13] 1996년 잡지 이매진에 판타지, 미스터리, 호러 등 여러 장르를 망라하는 단편을 연재하면서 일반 독자에게도 알려지기 시작했으며, 1997년~1998년에는 씨네21에 칼럼 〈듀나의 채팅실〉을 연재하였다.[14]

이후 HowPC, 문화정보웹진 펄프, 조선일보, 엔키노, 씨네라인, 드라마틱, [http://ch.yes24.com/Article/List/1968 YES24], 한겨레, 익스트림무비, [https://web.archive.org/web/20120927234011/http://www.entermedia.co.kr/news/news_list.html?jn=8 엔터미디어], 리디북스, 아이돌로지, INNOCEAN Worldwide, [http://www.huffingtonpost.kr/djuna/ 허핑턴포스트코리아], [https://web.archive.org/web/20170113125220/https://www.koreafilm.or.kr/webzine/webzine_search.asp?writerid=324 한국영상자료원], [http://news.bookdb.co.kr/bdb/Column.do?_method=ColumnList&sc.contsDtlType=02&sc.themeNo=442 인터파크 Book DB] 등 다양한 매체에 기고하였다.

2003년~2004년에는 정은임의 영화음악실에 칼럼니스트로 참여했다 (신상 노출을 하지 않는 원칙 때문에 직접 출연 대신 보낸 원고를 진행자 정은임이 읽어주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2007년~2010년에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운영하는 [http://www.munjang.or.kr/ 사이버문학광장 문장]에서 창작마당 장르부문 심사위원을 맡아 매주 투고자들의 작품을 비평해주기도 했다.

2019년 12월, 무크지 《오늘의 SF》 창간호 편집위원으로 참가하고[15] 한국과학소설작가연대 2대 대표로 취임했다.[16] 2020년에는 정소연의 뒤를 이어 대한민국 SF&F 작가연대 제2대 회장으로 취임했으며, 2021년에 퇴임했다.

4. 작품 목록

듀나는 1997년 앤솔로지 《나비 전쟁》으로 데뷔했다.[7] 2023년에는 첫 주요 작품인 소설 《카운터웨이트》가 영어로 번역되었다.[7][8] 듀나는 7권의 단편 소설집, 6권의 장편 소설, 그리고 2권의 에세이를 출판했다.

듀나 작품 목록
종류제목출판년도ISBN비고
소설집나비 전쟁1997년898684704323편의 중단편 수록
소설집면세 구역2000년891101821X
소설집태평양 횡단 특급2002년8932013608
소설집대리전2006년8958641754김수진 삽화
소설집용의 이2007년8991931324
소설집브로콜리 평원의 혈투2011년8957075356
소설집제저벨2012년8957076379
소설집면세 구역 (개정판)2013년
소설집아직은 신이 아니야2013년8936456539
단편「어른들이 왔다」2004년HAPPY SF vol.1
단편「겨울 너머로 건너가다」2005년글틴
단편「대리전」2005년크로스로드 vol.1
단편「천국의 왕」2006년파우스트 vol.2
단편「너네 아빠 어딨니?」2007년판타스틱 vol.1
단편「미래 관리부」2007년파우스트 vol.4
단편「여우골」2007년판타스틱 Vol.4
장편 소설몰록단행본 미발매, 이매진 연재
장편 소설거미줄 그늘단행본 미발매, 팝툰 연재 중단
장편 소설제저벨2012년
장편 소설민트의 세계2018년
장편 소설아르카디아에도 나는 있었다2020년
장편 소설평형추2021년
영화 평론집스크린 앞에서 투덜대기2001년문학과지성사
영화 평론집필름 셰익스피어2005년씨네21, 김지미 외 12인 공저
영화 평론집장르백서 2 : SF 영화2015년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듀나 외 6인 공저



그 외 인터넷 매체를 통한 비평 다수 발표.

1998년~1999년에 잡지 HowPC에 연재한 과학관련 꽁트 시리즈가 있다.[1]

4. 1. 소설집


  • 나비전쟁한국어 (1997년, 오늘예감) - 단편집. ('이영수' 명의로 출판)
  • * 〈나비전쟁〉 (1996년 9월, 잡지 이매진)
  • * 〈펜타곤〉
  • * 〈미메시스〉[22] (1994년 2월 20일, PC통신 하이텔)
  • * 〈사라지는 사람들〉
  • * 〈장례식〉 (1995년 9월 20일, PC통신 하이텔)
  • * 〈도플갱어〉 (1994년 5월 22일, PC통신 하이텔) ※발표 당시 제목은 '도펠갱어'
  • * 〈일곱번째 별〉 (1995년 10월 28일, PC통신 하이텔)
  • * 〈오발행동〉 (1995년 1월 31일, PC통신 하이텔) ※발표 당시 제목은 '발정기'
  • * 〈원칙주의자〉 (1994년 10월 28일, PC통신 하이텔)
  • * 〈바벨의 함정〉 (1994년 2월 25일, PC통신 하이텔)
  • * 〈무궁동〉 (1996년 2월 29일, PC통신 하이텔)
  • * 〈느뵈 변주곡〉
  • * 〈집행자〉 (1994년 12월 19일, PC통신 하이텔)
  • * 〈기녀기담〉 (1994년 10월 13일, PC통신 하이텔)
  • * 〈그 크고 검은 눈〉 (1995년 6월 14일, PC통신 하이텔)
  • * 〈허깨비 사냥〉 (1995년 11월 11일, PC통신 하이텔)
  • * 〈렉스〉 (1994년 5월 24일, PC통신 하이텔)
  • * 〈존재증명〉 (1994년 3월 18일, PC통신 하이텔)
  • * 〈팔림세스트〉 (1994년 8월 25일, PC통신 하이텔) ※발표 당시 제목은 '팔림프세스트'
  • * 〈꼭두각시〉 (199?년 11월 8일, PC통신 하이텔) ※발표 당시 제목은 '꼭둑각시들'
  • * 〈파도바의 비너스〉 (1995년 12월 15일, PC통신 하이텔)
  • * 〈아이들은 모두 떠난다〉 (1994년 11월 12일, PC통신 하이텔)
  • * 〈스퀘어 댄스〉
  • 면세구역한국어 (2000년, 국민서관) - 단편집. ('이영수' 명의로 출판)
  • * 〈면세구역〉 (1998년 6월 24일, PC통신 하이텔)
  • * 〈스핑크스 아래서〉
  • * 〈나비전쟁〉 (재수록)
  • * 〈사라지는 사람들〉 (재수록)
  • * 〈낡은 꿈의 잔해들〉 (1998년 4월 24일, PC통신 하이텔)
  • * 〈오발행동〉 (재수록)
  • * 〈타인의 눈〉 (1998년 6월 7일, PC통신 하이텔)
  • * 〈펜타곤〉 (재수록)
  • * 〈기녀기담〉 (재수록)
  • * 〈집행자〉 (재수록)
  • * 〈그 크고 검은 눈〉 (재수록)
  • * 〈비잔티움〉 (1995년 11월 15일, PC통신 하이텔)
  • * 〈로렐라이〉 (1994년 7월 23일, PC통신 하이텔)
  • * 〈숲의 제단〉 (1996년 1월 13일, PC통신 하이텔)
  • * 〈아이들은 모두 떠난다〉 (재수록)
  • * 〈상상력은 미덕이다〉 (박상준 해설)

::: 2013년 9월에 북스토리에서 개정판이 발행되었다.

  • 태평양 횡단 특급한국어[23] (2002년, [http://moonji.com/book/5359/ 문학과지성사]) - 단편집. (본서부터 '듀나' 명의로 출판)
  • * 〈태평양 횡단 특급〉 (2000년 2월 6일, PC통신 하이텔)
  • * 〈히즈 올 댓〉
  • * 〈대리 살인자〉
  • * 〈첼로〉
  • * 〈기생〉
  • * 〈무궁동〉 (재수록)
  • * 〈스퀘어 댄스〉 (재수록)
  • * 〈허깨비 사냥〉 (재수록)
  • * 〈꼭두각시들〉 (재수록)
  • * 〈끈〉
  • * 〈얼어붙은 삶〉
  • * 〈미치광이 하늘〉
  • * 〈인간과 기계〉 (김태환 해설)
  • * 작가의 말
  • 대리전한국어 (2006년, 이가서) - 김수진의 삽화가 들어있는 중단편집.
  • * 〈대리전〉 (단편 〈대리전〉의 개작 버전)
  • * 〈토끼굴〉 (2004년 1월, HowPC)
  • * 〈어른들이 왔다〉 (2004년 9월, [https://web.archive.org/web/20070429022654/http://happysf.net/ HAPPY SF] vol.1)
  • * 〈술래잡기〉 (2003년, 문학과경계 여름호)
  • * 작가 후기
  • 용의 이한국어 (2007년, 북스피어) - 중단편집.[24]
  • * 〈너네 아빠 어딨니?〉 (2007년 5월, 판타스틱 vol.1)
  • * 〈[http://www.daesan.or.kr/webzine/sub.html?uid=1347 천국의 왕]〉 (2005년, 대산문화 겨울호 / 2006년 8월, 파우스트 vol.2)
  • * 〈[http://teen.munjang.or.kr/archives/2273 거울 너머로 건너가다]〉 (2005년 8월, [https://web.archive.org/web/20200513052359/https://teen.munjang.or.kr/ 글틴])
  • * 〈용의 이〉 (단행본 오리지널)
  • * 〈'세계 몰락' 프로젝트〉 (정성일 추천사)
  • * 〈탈경계의 사유와 충격적 상상력〉 (조성면 해설)
  • * 작가의 말
  • 브로콜리 평원의 혈투한국어 (2011년, 자음과모음) - 단편집.
  • * 〈[http://daesan.or.kr/webzine_read.html?uid=1150&ho=16 동전 마술]〉 (2006년, 대산문화 봄호)
  • * 〈물음표를 머리에 인 남자〉 (2010년 1월, 판타스틱 vol.22)
  • * 〈메리 고 라운드〉 (2008년 3월, 판타스틱 vol.11)
  • * 〈A, B, C, D, E & F〉 (1998년 2월, HowPC) ※발표 당시 제목은 '2인 6색 온라인 데이트'.
  • * 〈호텔〉 (2003년 10월 28일, 컬티즌)
  • * 〈죽음과 세금〉 (2005년, 문학과사회 여름호)
  • * 〈소유권〉 (2005년 9월, 허브)
  • * 〈브로콜리 평원의 혈투〉 (2008년, 자음과모음 가을호(창간호)) (※ 링커 시리즈)
  • * 〈여우골〉 (2007년 8월, 판타스틱 Vol.4)
  • * 〈정원사〉 (2000년 2월 6일, PC통신 하이텔)
  • * 〈[http://daesan.or.kr/webzine_read.html?uid=1288&ho=13 성녀, 걷다]〉 (2005년, 대산문화 여름호)
  • * 〈안개 바다〉 (단행본 오리지널) (※ 링커 시리즈)
  • * 〈디북〉 (2009년 4월 17일, [https://web.archive.org/web/20090421012752/http://navercast.naver.com/literature/genre/308 네이버캐스트 : 오늘의 문학])
  • * 작가의 말
  • * 〈장르문학의 정치성은 어떻게 진화하는가?〉 (박진 해설)
  • 아직은 신이 아니야한국어 (2013년, 창비) - 단편집.
  • * 〈우리 모두의 힘〉 (2012년 7월 27일, [http://webzine.munjang.or.kr/archives/4068 웹진 문장])
  • * 〈LK 실험 고등학교 살인 사건〉 (단행본 오리지널)
  • * 〈루카스 에크보리 정신 개조 캠프〉 (단행본 오리지널)
  • * 〈사설 지옥〉 (단행본 오리지널)
  • * 〈돼지치기 소녀〉 (단행본 오리지널)
  • * 〈나비의 집〉 (단행본 오리지널)
  • * 〈염력 도시〉 (단행본 오리지널)
  • * 〈부적응의 끝〉 (단행본 오리지널)
  • * 〈하필이면 타이탄〉 (2013년 7월, [http://crossroads.apctp.org/myboard/read.php?Board=0004&id=95 크로스로드])
  • * 〈연꽃 먹는 아이들〉 (단행본 오리지널)
  • * 〈성인식〉 (단행본 오리지널)
  • 두 번째 유모한국어 (2019년 7월, 알마)
  • * 〈[http://crossroads.apctp.org/myboard/read.php?id=1&Page=8&Board=0004¶1=81 대리전]〉 (2005년 10월, [http://crossroads.apctp.org/ 크로스로드] vol.1, no.1)[25]
  • * 〈[http://teen.munjang.or.kr/archives/2221 사춘기여, 안녕]〉 (2011년 6월, [https://web.archive.org/web/20200513052359/https://teen.munjang.or.kr/ 문장 글틴])
  • * 〈미래관리부〉 (2007년 6월, 파우스트 vol.4)
  • * 〈[http://crossroads.apctp.org/myboard/read.php?id=57&Page=3&Board=0004¶1=81 수련의 아이들]〉 (2010년 5월, [http://crossroads.apctp.org/ 크로스로드] vol.6, no.5)
  • * 〈평형추〉 (2010년, 《독재자: SF/환상문학 테마 단편선》한국어)
  • * 〈각자의 시간 속에서〉 (2017년 5월, 과학동아)
  • * 〈두 번째 유모〉 (2017년, 《아직 우리에겐 시간이 있으니까》한국어)
  • 구부전한국어 (2019년 7월, 알마)
  • * 〈구부전〉 (2005년, 미스테리아 4호)
  • * 〈추억충〉 (2016년 6월, 과학동아)
  • * 〈왕의 넋〉 (2019년 2월, 문학3)
  • * 〈가말록의 탈출〉 (2007년 11월, 《잃어버린 개념을 찾아서》한국어)
  • * 〈죽은 자들에게 고하라〉 (2008년 10월, 크로스로드)
  • * 〈겨자씨〉 (2011년 7월, 크로스로드)
  • * 〈안개와 더러운 공기 속에서〉 (2016년 1월, 과학동아)
  • * 완성되지 않을 이야기들에 관하여

※ 1998년~1999년에 잡지 HowPC한국어에 연재한 과학관련 꽁트 시리즈.

  • 〈비밀은 없다〉
  • 〈음식보다 더 좋은 것〉
  • 〈하이퍼 루프〉
  • 〈두 번째 아일린 애트킨즈〉
  • 〈지푸라기 인형 죽이기〉
  • 〈공짜 점심은 없다〉
  • 〈게임기 속에 아이가 갇혔어요〉
  • 〈가상의 죽음에 대한 고백〉
  • 〈어느 네티즌의 고백〉
  • 〈어느 로봇 교사의 최후의 선택〉

※ 형사 호레이스 펜튼이 등장하는 미스터리 단편. 작품집 미수록.

  • 〈쌍동이〉 (1996년 1월 27일, PC통신 하이텔)
  • 〈계모〉 (1996년 2월 18일, PC통신 하이텔)
  • 〈러브레터〉 (1996년 3월 25일, PC통신 하이텔)

4. 2. 장편 소설


  • 《몰록》 - 2001년 5월 26일~2001년 10월 30일, 장르문학웹진 이매진 연재. 단행본 미발매.
  • 《거미줄 그늘》 - 2009년 9월~2010년 2월, 팝툰 연재. 게재지 휴간으로 중단. 단행본 미발매.
  • 《제저벨》 - 2012년, 자음과모음. (※ 링커 시리즈)

: 계간 자음과모음에 연재한 픽스업 소설.[26]

::* 〈로즈 셀라비〉 - 2008년, 자음과모음 겨울호

::* 〈시드니〉 - 2009년, 자음과모음 봄호~여름호

::* 〈레벤튼〉 - 2009년, 자음과모음 가을호 (실제 단행본 수록 버전은 연재분과 앞의 절반만 같고 나머지 절반은 〈호가스〉에서 사용.[27])

::* 〈호가스〉 - 단행본 오리지널

::* 기타 등등 - 저자 후기

  • 《민트의 세계》 - 2018년 10월, 창비.
  • 《아르카디아에도 나는 있었다》 - 2020년 5월, 현대문학.
  • 《평형추》 - 2021년 2월, 알마.

4. 3. 영화 평론집


  • 《스크린 앞에서 투덜대기》 (문지스펙트럼 문화마당 4-017) - 2001년, 문학과지성사.
  • 《필름 셰익스피어》 - 2005년, 씨네21. (김지미 외 12인 공저)
  • : 〈햄릿, 순결한 처녀성을 지켜내다〉 수록.
  • 《장르백서 2 : SF 영화》 - 2015년,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사). (듀나 외 6인 공저)
  • 그 외 인터넷 매체를 통한 비평 다수 발표

4. 4. 공동 저서

1998년~1999년에 잡지 HowPC에 연재한 과학관련 꽁트 시리즈.[1]

  • * 〈비밀은 없다〉
  • * 〈음식보다 더 좋은 것〉
  • * 〈하이퍼 루프〉
  • * 〈두 번째 아일린 애트킨즈〉
  • * 〈지푸라기 인형 죽이기〉
  • * 〈공짜 점심은 없다〉
  • * 〈게임기 속에 아이가 갇혔어요〉
  • * 〈가상의 죽음에 대한 고백〉
  • * 〈어느 네티즌의 고백〉
  • * 〈어느 로봇 교사의 최후의 선택〉

5. 듀나의 영화 낙서판

듀나의 영화 낙서판은 SF 작가이자 영화 평론가인 듀나(DJUNA)가 자신의 글을 올리는 인터넷 게시판이고, 영화잡지 씨네21이 서버를 제공하고 있다. 게시판은 "업데이트", "영화 별점 평가", "클리셰 사전", 원더 우먼 등의 시리즈물을 분석하는 "시리즈 리뷰", "기타 등등", "페이지 정보", "영화 낙서", "인명 사전", "갤러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5. 1. 게시판 구성

듀나의 영화 낙서판은 SF 작가이자 영화 평론가인 듀나(DJUNA)가 자신의 글을 올리는 인터넷 게시판이고, 영화잡지 씨네21이 서버를 제공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주말을 제외한 주중에 매일 한 편씩 영화 평론이 올라오며, 가끔씩 "클리셰 사전", "시리즈 리뷰", "기타 등등", "영화 낙서" 등에 해당하는 글이 올라온다. 사이트에 부속된 "게시판"은 흔히 "듀게"(듀나 게시판)라고 불린다.

"듀게"는 "메인 게시판", "회원 리뷰 게시판", "스포일러 게시판", "FAQ 게시판" 등으로 나뉘어 있으며, 각각 자유 주제의 글, 회원 영화 평론, 영화 스포일러, 자주 묻는 질문 등이 등록된다. 이 중 "메인 게시판"에는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만화, 소설, 시, 연예인, 일상 잡담, 각종 질문, 정치 토론 등 다양한 주제의 글이 등록되고 있다. 게시판은 2004년 4월 26일부터 회원제로 운영되고 있지만, 대체로 누구나 회원이 될 수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Greenbook Literary Agency: Djuna https://www.grb-agen[...] 2019-04-03
[2] 웹사이트 정체불명의 가면을 쓰고 이야기하는 듀나 – 동국대학교 대학원신문 http://www.dgugspres[...] 2019-04-03
[3] 뉴스 [촉ㆍ감] 얼굴 없는 평론가 듀나…문학 갈등 사이에 끼다 http://www.hankookil[...] 2016-02-22
[4] 웹사이트 [박성원의 미래사회]한국에 과학소설이 희귀한 이유 http://www.etnews.co[...] 2010-07-14
[5] 웹사이트 얼굴없는 사이버 작가 DJUNA http://news.naver.co[...] 2019-04-03
[6] 웹사이트 DJUNA는 무슨 뜻이고 왜 듀나라고 발음되나요? http://djuna.cine21.[...] 2004-04-24
[7] 간행물 Djuna, South Korea's Enigmatic Sci-Fi Legend, Opens Up About Their New Book https://www.wired.co[...] 2023-07-11
[8] 뉴스 In Djuna's Space-Elevator Sci-Fi, Corporate Conspiracies Abound https://www.nytimes.[...] 2023-07-09
[9] 웹사이트 [커버스토리]21세기 상징 대중문화분야 SF소설가 듀나 http://weekly.khan.c[...] 2008-09-23
[10] 웹사이트 듀나 {{!}} 문학과지성사 http://moonji.com/bo[...]
[11] 웹사이트 영화 별점 평가라는 이상한 전통에 대해 불평하기 http://www.djuna.kr/[...]
[12] 웹사이트 DJUNA는 무슨 뜻이고 왜 듀나라고 발음되나요?(2004년 4월 24일, 듀나의 영화낙서판) http://djuna.cine21.[...] 2011-01-31
[13] 문서 아래에 나오는 장르문학웹진 '이매진'과는 별개의 잡지이다.
[14] 웹사이트 문학과지성사 작가소개 http://moonji.com/bo[...]
[15] 뉴스 변방 뛰쳐나온 한국 SF, 가장 현재적인 문학으로 도약 https://www.hankooki[...] 2019-12-03
[16] 웹사이트 [보도자료] 한국과학소설작가연대 창립 2주년 기념행사 개최 (임원진 이취임) http://sfwuk.org/49/[...] 2019-12-15
[17] 문서 최초의 오프라인 출판 작품인 공동작품집 《사이버펑크》(도서출판 명경, 1994)의 작가 프로필에서는 자신을 '머리 여럿 달린 사이버 고스트'라고 소개하고 있다.
[18] 뉴스 박선영 기자의 Who's Now - '얼굴 없는 작가' 듀나(한국일보, 2008년 7월) http://news.hankooki[...] 2011-02-11
[19] 뉴스 “소통은 작품으로” 얼굴 없는 작가들(동아일보, 2009년 8월) http://www.donga.com[...] 2011-01-31
[20] 서적 과학소설이란 무엇인가 국학자료원 2000-02-29
[21] 웹사이트 여성들의 새로운 실험공간, SF http://www.ildaro.co[...] 2019-12-24
[22] 문서 공동작품집 《사이버펑크》, SF잡지 [[워프]] 창간호(1994년 5월, 도서출판 동우), 연구서《사이버 문화, 하이퍼텍스트 문학 (작품편)》(2005년, 김종회 엮음, 국학자료원. {{ISBN|8954102387}}) 등에도 실렸다. 현재까지의 듀나 작품들 중 가장 많은 곳에 발표된 셈.
[23] 문서 이 작품집을 소재로 한 허윤진의 비평 〈무궁동의 욕망, 무궁동의 유목 : 이원의 전자 사막과 듀나의 무한 우주 속에서〉는 문학과지성사가 2003년 봄에 주최한 [http://moonji.com/award_category/신인문학상-3회/ 제3회 신인문학상] 비평부문을 수상했다.
[24] 웹사이트 출판사 홍보자료 http://www.booksfear[...]
[25] 문서 단편 형식으로 발표된 오리지널 버전. 작품집 《대리전》에 실린 버전은 내용을 일부 변경, 보강한 확장판이며, 오리지널 버전은 앤솔로지 《얼터너티브 드림》에 수록되었다. 듀나 작품 중에서 유일하게 [http://crossroads.apctp.org:8080/myboard/read.php?id=1&Board=0004 영어판]이 존재한다.
[26] 문서 동일한 설정이나 세계관을 바탕으로 각기 독립된 이야기를 전개하는 연작 단편 시리즈. 이전의 단편들에도 '필로인(人)', '의천시', '텔렉 로봇' 등 일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키워드는 있었으나 처음부터 구체적인 시리즈화 구상을 전제한 것은 아니었다.
[27] 웹사이트 듀나의 신작 《제저벨》이 나왔습니다. http://www.djuna.kr/[...] 2012-06-09
[28] 문서 〈그레타에게서 내려온 복음〉과 동일 작품. 수록시 제목이 잘못 기재된 것으로 추측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