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네21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씨네21은 1987년 6월 항쟁 이후 한겨레미디어그룹에서 창간된 대한민국 최초의 주간 영화 전문 잡지이다. 1995년 영화 잡지 시장의 급성장과 함께 씨네21주식회사와 씨네21아이주식회사가 설립되어 영화 산업 내 네트워킹 역량 확대 및 온라인 플랫폼 구축에 기여했다. 현재 매주 10만 부가 발행되며, 영화별점 시스템을 통해 영화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씨네21 - 버닝 (2018년 영화)
이창동 감독의 2018년 영화 《버닝》은 무라카미 하루키의 단편소설 〈헛간을 태우다〉를 모티브로 유아인, 스티븐 연, 전종서 주연으로 소설가를 꿈꾸는 청년 종수와 어린 시절 친구 해미, 수상한 남자 벤의 미스터리하고 불확실한 이야기를 그리며 칸 영화제에서 주목받고 국내외 유수 영화제에서 수상하며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다. - 씨네21 - 박하사탕 (영화)
이창동 감독의 1999년 영화 《박하사탕》은 1979년부터 1999년까지 20년의 세월을 역순으로 구성하여 한 남자의 삶을 통해 한국 현대사의 질곡과 상처를 성찰하는 작품으로, 5.18 민주화 운동, IMF 외환 위기 등 사회적 사건들이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며 국내외 영화제에서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 한겨레 - 허프포스트
허프포스트는 2005년 설립되어 검색 엔진 최적화 전략으로 성장한 온라인 뉴스 및 의견 플랫폼으로, AOL, 베라이즌 미디어를 거쳐 현재 버즈피드에 인수되었으며, 여러 논란에도 불구하고 퓰리처상을 수상하는 등 업계에서 인정받고 진보적 성향으로 여겨진다. - 한겨레 - 송건호
송건호는 대한민국의 언론인이자 민주화 운동가로, 동아일보 편집국장 해직 후 민주언론운동협의회 결성, 월간 《말》지를 통한 보도지침 폭로, 한겨레신문 창간 및 초대 사장 역임 등 언론 자유와 민주화에 기여했으며, 그의 언론 정신을 기리는 송건호 언론상이 제정되었다.
씨네21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씨네21 |
![]() | |
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간행 주기 | 주간(週刊) |
종류 | 잡지 |
판형 | A4 |
보급 대상 | 대한민국 일반인 |
창간일 | 1995년 4월 14일 |
가격 | 4000원 |
발행 법인 | 씨네21(주) |
웹사이트 | www.cine21.com |
추가 정보 | |
형식 | A4 |
창립자 | 한겨레신문 |
발행인 | 씨네21 주식회사 |
편집인 | 장영엽 |
가격 | 3,000 원 |
재무 정보 | |
매출액 | 64억 7,177만원 |
관련 단체 | |
발행 그룹 | 한겨레미디어그룹 |
2. 역사
1987년 6월 항쟁 이후, 한겨레미디어그룹은 다양한 미디어 플랫폼을 통해 의미있는 문화 활동을 장려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표의 일환으로 대한민국 최초의 주간 영화 전문 잡지인 《씨네21》이 창간되었다.
2003년에는 씨네21주식회사(Cine21 Co.)가 한겨레 미디어그룹 내 독립적인 엔터테인먼트 미디어 회사로 설립되어,[2] 영화 산업 내 네트워킹 역량을 확대하였다.
2007년에는 씨네21아이주식회사(Cine21i Co.)가 한겨레 미디어그룹 내 영화 배급 회사로 설립되었다. 이 회사는 디지털 영화 파일을 합법적으로 다운로드 및 배포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여 대한민국 영화 산업 발전에 기여하였다.
2. 1. 창간 배경 (1995년)
《씨네21》은 대한민국 최초의 주간 영화 전문 잡지이다. 1987년 6월 항쟁 이후 한겨레미디어그룹이 다양한 미디어 플랫폼을 통해 의미있는 문화 활동을 장려하고자 하는 더 큰 목표에서 출발하였다.[2]1995년 5월 월간지 〈키노〉, 1995년 12월 미국으로부터 라이선스를 얻은 영화잡지 〈프리미어〉 한국판이 창간되면서 대한민국의 영화 잡지 시장이 급성장하였다. 이전까지 영화잡지 시장에는 〈스크린〉(1984년 3월 창간), 〈로드쇼〉가 있었다.
2. 2. 발전 과정
1995년 5월 월간지 〈키노〉, 1995년 12월 미국으로부터 라이선스를 얻은 영화잡지 〈프리미어〉 한국판이 창간되면서 대한민국의 영화 잡지 시장이 급성장했다. 2000년에는 주간지 〈씨네버스〉, 〈film 2.0〉이 창간되며 영화잡지계는 주간지 시장으로 재편되었다. 2001년에는 〈무비위크〉가 주간지 시장에 뛰어들었다. 〈씨네버스〉는 2003년, 〈film 2.0〉은 2008년, 〈무비위크〉는 2013년에 각각 폐간되었다. 월간지 〈키노〉는 2003년, 〈로드쇼〉도 2003년, 〈스크린〉은 2010년에 폐간되었다. 2023년 11월 현재 영화잡지는 〈씨네21〉과 중앙일보 계열의 〈매거진M〉, 맥스무비의 〈맥스무비 온라인 데일리〉, 〈맥스무비 매거진〉이 남아있다.[2]2003년, 씨네21주식회사(Cine21 Co.)가 한겨레 미디어그룹 내 독립적인 엔터테인먼트 미디어 회사로 설립되었다.[2] 이를 통해 잡지는 영화 산업 내 네트워킹 역량을 확대할 수 있었다.
2007년, 씨네21아이주식회사(Cine21i Co.)가 한겨레미디어그룹 내 영화 배급 회사로 설립되었다. 이 회사는 디지털 영화 파일을 합법적으로 다운로드 및 배포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였다.
3. 역대 편집장
이름 | 재임 기간 |
---|---|
조선희 | 1995년 4월 14일 ~ 2000년 5월 |
안정숙 | 2000년 5월 ~ 2002년 10월 |
허문영 | 2002년 10월 ~ 2003년 7월 |
김소희 | 2003년 7월 ~ 2005년 3월 |
남동철 | 2005년 3월 26일 ~ 2008년 10월[7] |
고경태 | 2008년 10월[8] ~ 2010년 1월[9] |
문석 | 2010년 1월[10] ~ 2013년 2월[11] |
이영진 | 2013년 2월[12] ~ 2015년 2월 |
주성철 | 2015년 2월 ~ 2019년 11월[13] |
장영엽 | 2019년 12월 ~ [14] |
4. 발행 및 유통
매주 한국 전역에서 ''씨네21''이 10만 부 발행된다. 또한 이 잡지는 온라인 플랫폼으로 확장하여 더 넓은 독자층과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영화잡지 ''씨네21''은 영화 배급사 리틀빅픽처스의 이해관계자 중 하나이다.[3][4]
5. 영화 평점 시스템
씨네21은 한국 영화를 포함한 폭넓은 영화들에 대해 네티즌 평점과 영화 전문가 평점을 동시에 표시하는 '영화별점'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이는 로튼 토마토와는 또 다른 영화에 대한 분석 정보를 다양하고 쉽게 접할 기회를 제공하는데, 박스오피스, 최신 영화, 최고점 등으로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다.[15]
6. 기타
참조
[1]
웹사이트
씨네이십일(주) 2019년 재무정보 매출액 64억 7,177만원 영업이익, 자본금, 공시정보 제공
https://www.saramin.[...]
2022-04-27
[2]
웹사이트
Hankyoreh
http://company.hani.[...]
2018-12-12
[3]
웹사이트
독과점에 뿔난 영화인들, 공동 배급사 만들었다
https://www.hani.co.[...]
2022-04-27
[4]
웹사이트
Little Big Pictures
http://www.koreanfil[...]
2022-04-27
[5]
뉴스
한국영화 1000만 시대 이끌어온 ‘씨네21’ 1000호
http://www.hani.co.k[...]
씨네21
2018-11-03
[6]
웹인용
한겨레역사 > 주요연혁
http://company.hani.[...]
2018-11-03
[7]
웹인용
[편집장이 독자에게] 비단주머니
http://www.cine21.co[...]
2018-11-03
[8]
웹인용
[편집장이 독자에게] 공식 소개팅
http://www.cine21.co[...]
2018-11-03
[9]
웹인용
[에디토리얼] 캇!!
http://www.cine21.co[...]
2018-11-03
[10]
웹인용
[에디토리얼] 새 감투
http://www.cine21.co[...]
2018-11-03
[11]
웹인용
[에디토리얼] Thank You and Good Bye
http://www.cine21.co[...]
2018-11-03
[12]
웹인용
[에디토리얼] 창(窓)과 창(創)
http://www.cine21.co[...]
2018-11-03
[13]
뉴스
[주성철 편집장] 마지막 에디토리얼
http://www.cine21.co[...]
씨네21
2019-11-29
[14]
뉴스
[장영엽 편집장] 14년 만의 여성 편집장, 그 이름의 무게
http://www.cine21.co[...]
씨네21
2019-12-06
[15]
웹사이트
씨네21-영화별점
http://www.cine21.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