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소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소연은 대한민국의 SF 작가, 번역가, 변호사 및 사회 활동가이다. 서울대학교에서 사회복지학과 철학을 전공하고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법학전문석사 학위를 받았다. 2004년 SF 작가로 활동을 시작하여 단편 소설 《코스믹 고》로 수상했으며, SF 번역 및 소설집 《옆집의 영희》를 출간했다. 변호사로서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 회원으로 활동하며 아시아 저소득층 소녀들을 위한 장학 재단을 시작했다. 2009년부터 2011년까지 SF 글쓰기를 가르쳤으며, 현재 창비아카데미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SF 비평가 - 프레드릭 제임슨
프레드릭 제임슨은 미국의 마르크스주의 문학 평론가이자 문화 이론가로, 포스트모더니즘과 후기 자본주의를 비판적으로 분석하며, 『정치적 무의식』, 『포스트모더니즘, 또는 후기 자본주의의 문화적 논리』 등의 저서를 통해 문학, 문화, 역사에 대한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을 제시했다. - SF 비평가 - 듀나
대한민국의 SF 작가이자 영화 평론가인 듀나는 PC통신 활동을 시작으로 소설집과 영화 평론집을 발표하며 다양한 장르를 넘나드는 사회 비판적이고 독창적인 작품 활동을 하고 있으며, 한국과학소설작가연대 대표로도 활동하고 있고, 신원에 대한 다양한 설이 존재한다. - 대한민국의 SF 작가 - 김초엽
김초엽은 2017년 한국과학문학상에서 수상하며 데뷔한 대한민국의 과학 소설 작가로, 포항공과대학교에서 화학과를 졸업하고 생화학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대표작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을 비롯한 다수의 작품을 출간하며 활발히 활동 중이다. - 대한민국의 SF 작가 - 장강명
장강명은 1975년 서울에서 태어나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동아일보 기자로 일하다가 2011년 소설 『표백』으로 등단하여 여러 문학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언론인이다.
정소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정소연 |
로마자 표기 | Jeong Soyeon |
필명 | Jay Jeong |
출생일 | 1983년 |
출생지 | 마산시, 대한민국 |
직업 | 소설가, 변호사 |
국적 | 대한민국 |
학력 | |
학사 |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전문박사 |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Juris Doctor) |
경력 | |
활동 기간 | 2004년–현재 |
장르 | SF |
수상 | 제2회 과학기술 창작문예, 제48회 서울대학교 대학문학상 |
개인 정보 | |
배우자 | 이동진 |
기타 정보 | |
한국어 이름 정보 | |
한글 | 정소연 |
한자 | 鄭昭延 |
로마자 표기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 Jeong Soyeon |
매큔-라이샤워 표기 | Chŏng Soyŏn |
2. 생애 및 경력
정소연은 대한민국의 SF 작가, 번역가이자 변호사이다. 1983년 경상남도 마산시(현 창원시)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에서 사회복지학과 철학을 전공하고,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법학전문석사(JD) 학위를 받았다.
10대 후반부터 대한민국 SF 팬덤에서 활동했으며,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민변) 회원으로 사회 운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아시아 저소득층 소녀들의 고등 교육을 지원하는 '보다 이니셔티브'를 설립하기도 했다.[8][9]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정소연은 1983년 대한민국 경상남도 마산시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에서 사회복지학과 철학을 전공했으며,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법학전문석사(JD)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에 거주하고 있다.2. 2. 작가 및 번역가 활동
정소연은 10대 후반부터 대한민국 SF 팬덤 커뮤니티에 깊이 관여해 온 인물로 알려져 있다.[3][4] 2004년 SF 작가로 활동을 시작했으며, 웹진 미러의 창립 멤버 중 한 명이었다. 주로 ''어둠의 속도(The Speed of Dark)'', ''늦게 온 달콤한 새들의 노래(Where Late the Sweet Birds Sang)'', ''마션 차일드(The Martian Child)'', ''스페인의 거지(Beggars in Spain)'' 등 현대 미국 SF 작품을 번역했다.[5] 작가로서는 수상 경력이 있는 단편 소설 《코스믹 고》로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이 단편 소설의 만화 버전은 무료로 공개되어 입소문을 탔다. 2015년에는 단편 소설집 《옆집의 영희》가 출판되었다.[6]2009년부터 2011년까지 문지문화원에서 SF 글쓰기를 가르쳤으며, 현재 창비아카데미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10]
2. 3. 법조인 및 사회 활동
정소연은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민변)에서 활동하는 변호사로, 주로 옹호 활동으로 알려져 있다.[7] 최근에는 아시아 저소득층 소녀들의 고등 교육을 지원하는 장학 재단인 '보다 이니셔티브'를 시작했다.[8][9]2. 4. 교육 활동
정소연은 2009년부터 2011년까지 문지문화원에서 SF 글쓰기를 가르쳤으며, 현재 창비아카데미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10]3. 작품 목록
- Happy SF 무크지 2호(행복한 책읽기)
- * 〈앨리스와의 티타임〉
- 〈구름의 고향〉 - 2009년, '2009 세계 천문의 해' 웹진
- 프레시안 親Book 기고
3. 1. 단행본
- 《코스믹 고》(단편 소설, 2005)
- 《옆집의 영희》(창비, 2015; 2015년 올해의 청소년 도서)
3. 1. 1. 소설집
3. 1. 2. 공동 단행본
- 《잃어버린 개념을 찾아서》 (2007년 11월, 창비)
- * 〈비거스렁이〉
- 《한국 환상 문학 단편선》 (2008년 7월, 황금가지)
- * 〈마산앞바다〉
- 《U, ROBOT》 (2009년 2월, 황금가지)
- * 〈우주류〉
- 《백만 광년의 고독》 (2009년 12월, 오멜라스(웅진))
- * 〈입적〉
- 《아빠의 우주여행》 (2010년 6월, 황금가지)
- * 〈처음이 아니기를〉
- 《독재자》 (2010년 11월, 뿔(웅진))
- * 〈개화〉
- 《인문예술잡지 F 6호 - 예술가의 프로그램》 (2012년 8월, 문지문화원사이)
- * 〈도약〉
- 《창비어린이 2014. 가을》 (2014년 9월, 창비)
- * 〈이사〉
- 《과학동아 2016. 4》 (2016년 4월, 동아사이언스)
- * 〈돌먼지〉
3. 2. 번역
제목 | 출판 연도 | 출판사 |
---|---|---|
노래하던 새들도 지금은 사라지고 | 2005년 | 행복한책읽기 |
어둠의 속도 | 2007년 | 북스피어 |
망고가 있던 자리 | 2007년 | 궁리 |
원더월드 - 그린북 | 2007년 | 북스피어 |
화성 아이, 지구 입양기 | 2008년 | 황금가지 |
다른 늑대도 있다 | 2009년 | 창비 |
저 반짝이는 별들로부터 | 2009년 | 창비 |
루나 | 2010년 | 궁리 |
초키 | 2011년 | 북폴리오 |
플랫랜더 | 2013년 | 새파란상상 |
이름이 무슨 상관이람 | 2013년 | 궁리 |
허공에서 춤추다 | 2015년 | 폴라북스 |
코스믹 고(Cosmic Go): 레디메이드 보디사트바(Readymade Bodhisattva) | 카야 프레스(Kaya Press) | |
[https://www.guernicamag.com/home-2/ 집](Home) | 게르니카(Guernica) | |
[http://clarkesworldmagazine.com/soyeon_04_19/ 개화](The Flowering) | 클라크스월드 매거진(Clarkesworld Magazine) |
3. 3. 기타
4. 수상
- 2005년 과학기술 창작상 ('''코스믹 바둑''')
- 2006년 서울대학교 문학상
- 2017년 서울지방변호사회 표창[11]
참조
[1]
뉴스
한국과학소설작가연대 대표에 정소연 작가
http://www.yonhapnew[...]
Yonhap News Agency
2018-01-05
[2]
뉴스
SF, 한국에서는 콘텐츠로만 받아들여져…그 뒤에 있는 창작자들의 목소리는 배제
http://news.khan.co.[...]
2018-01-24
[3]
웹사이트
옆집의 영희 씨와 함께 지내는 방법 - 정소연의 『옆집의 영희 씨』와 한국 SF의 사고실험
http://crossroads.ap[...]
2018-09-10
[4]
웹사이트
My World Wobbled and Changed: An Interview with Soyeon Jeong by GORD SELLAR, Clarkesworld Magazine - Science Fiction & Fantasy
http://clarkesworldm[...]
2019-07-09
[5]
웹사이트
정소연 {{!}} 작가 & 작품 - 인터넷교보문고
http://www.kyobobook[...]
2018-09-10
[6]
웹사이트
정소연 작가 "SF는 '지금 여기'를 가장 아름답게 이야기할 수 있는 장르" - ize
http://ize.co.kr/art[...]
2018-09-10
[7]
웹사이트
'[민변의 활동]다른 별에서 온 마녀! 변호사 적응기-정소연 변호사 인터뷰 -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 민변'
http://minbyun.or.kr[...]
Minbyun
2012-09-28
[8]
뉴스
"[동아광장/정소연]안녕, 나의 친애하는 스콜라"
http://news.donga.co[...]
2018-06-30
[9]
웹사이트
'[소년중앙] 작가·번역가·변호사·장학사업…\'무엇이 나를 행복하게 하나\' 고민'
https://news.joins.c[...]
2018-11-12
[10]
웹사이트
옆집의 SF 창작 교실 - 4기
http://www.changbisc[...]
2019-07-09
[11]
웹사이트
서울지방변호사회
https://seoulbar.or.[...]
2018-09-10
[12]
행사
SF&판타지 도서관 주최 'SF번역자와의 만남'
2009-06-2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