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등고선재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등고선 재배는 경사지를 따라 작물을 재배하는 농법으로, 토양 침식을 방지하고 물의 흐름을 조절하여 농업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페니키아인들이 처음 개발하여 지중해 지역으로 전파했으나, 로마인들은 곧은 쟁기질을 선호하면서 쇠퇴했다. 1930년대 미국 토양 보존국은 먼지 폭풍으로 인한 토양 침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고선 재배를 장려했으며, 1938년까지 토양 손실을 65% 감소시키는 효과를 거두었다. 등고선 재배는 수확량 증가, 비료 손실 감소, 담수 시스템 오염 방지 등의 효과가 있으며, 경사도 2~10%의 지역에서 효과적이다. 다른 토양 보존 기술과 함께 사용될 때 더욱 효과적이며, P. A. 예오만스는 전통적인 등고선 쟁기질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빗물 침식 가능성을 제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농업토양학 - 피복작물
    피복작물은 토양 침식 방지, 토양 비옥도 관리, 질소 고정 등 다양한 이점을 제공하며 토양 특성 개선, 작물 생산성 향상, 잡초 및 병해충 관리, 수자원 관리, 생물 다양성 증진에 기여하는 작물이다.
  • 농업토양학 - 경작
    경작은 파종이나 식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토양을 물리적으로 조작하는 과정으로, 토양을 느슨하게 하고 비료를 혼합하는 주요 경운과 파종상 준비 및 잡초 방제에 사용되는 보조 경운으로 나뉘며,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영향이 있어 무경운 농법과 같은 대안이 모색된다.
등고선재배
개요
등고선 경작의 예
등고선 경작의 예
정의경사면의 등고선을 따라 밭을 가는 농업 기술
목적토양 침식을 줄이는 것
원리
등고선경사면을 가로지르는 일정한 높이의 선
경작물이 경사면을 따라 직접 흘러가는 대신 등고선을 따라 흐르도록 함
효과
토양 침식 감소물의 흐름을 늦추고 토양 입자가 쓸려 내려가는 것을 방지
수분 보존물이 토양에 더 잘 흡수되도록 하여 가뭄 피해 감소
토양 비옥도 유지표토 유실을 막아 작물 생산성 향상
적용
경사지특히 경사가 심한 지역에서 효과적
작물다양한 작물 재배에 적용 가능
조합계단식 밭, 덮개 작물 등 다른 토양 보존 기술과 함께 사용 가능
장점
지속 가능한 농업토양 자원 보존 및 환경 보호에 기여
생산성 향상토양 비옥도 유지 및 수분 공급 개선을 통해 작물 수확량 증가
경제적 이점비료 및 물 사용량 감소로 농업 비용 절감
단점
초기 투자등고선 측량 및 경작 장비 필요
관리등고선 유지 및 보수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 필요
제한적인 효과매우 가파른 경사면에서는 효과가 미미할 수 있음
기타 정보
관련 기술계단식 밭, 윤작, 혼작 등
중요성토양 침식 방지 및 지속 가능한 농업을 위한 중요한 기술

2. 역사

페니키아인들이 처음 개발한 등고선 재배 방식은 지중해 전역으로 퍼져나갔으나, 로마인들은 곧은 쟁기질을 선호하여 이 방식이 표준이 되었다.[6] 이후 1930년대 미국에서 토양 보존국이 등고선 재배를 추진하면서 다시 주목받기 시작했다.[7]

P. A. 예오만스는 키라인 설계 시스템을 통해 전통적인 등고선 쟁기질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였으며, 등고선 쟁기질은 서부 캐나다 및 호주 등 강우 패턴이 미국과 비슷한 국가에서도 장려되고 있다.

2. 1. 고대

페니키아인들은 등고선 재배 방식을 처음 개발하여 지중해 전역으로 전파하였다. 하지만 로마인들은 곧은 쟁기질을 선호했고, 이 방식이 표준이 되었다.[6]

2. 2. 현대

1930년대 미국에서 토양 보존국(현재의 천연자원 보존국)이 등고선 재배를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미국 농무부는 먼지 폭풍으로 인한 토양 침식과 사막화가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자 1935년에 토양 보존국을 설립하였다.[7] 1934년 "농업 연감"에서는 "이전에 경작되었던 약 의 토지가 작물 생산에 사실상 파괴되었다. . . . 현재 작물을 재배하는 는 표토 전부 또는 대부분을 잃었고, 현재 작물을 재배하는 는 표토를 빠르게 잃고 있다."라고 언급될 정도로 상황이 심각했다.[7]

토양 보존국은 네브래스카 대학교와 같은 농업 프로그램이 있는 주 정부 및 대학교와 협력하여 농부들에게 등고선 재배 방법을 홍보하였다. 1938년까지 등고선 쟁기질과 같은 새로운 농업 기술 도입으로 가뭄이 계속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토양 손실이 65% 감소하였다.

등고선 농법은 이상적인 조건에서 고랑 작물의 수확량을 최대 50%까지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5~10% 정도 수확량이 증가했다. 또한, 토양 침식과 비료 손실을 줄여 농업의 에너지 및 자원 집약도를 낮추는 효과도 있었다.[8] 비료 손실 감소는 농부의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고, 폭우로 인한 토양 침식이 부영양화를 통해 과도한 영양분을 담수 시스템으로 운반하는 것을 막아 지역 담수 시스템에 대한 피해 위험을 줄였다.[9]

등고선 쟁기질은 서부 캐나다 및 호주와 같이 강우 패턴이 미국과 비슷한 국가에서도 장려되고 있다.

등고선 농법은 경사도가 2%에서 10% 사이이고 강우량이 특정량을 초과하지 않을 때 효과적이다. 더 가파른 경사면과 강우량이 많은 지역에서는 줄 농법과 함께 사용해야 한다.[10] 계단식 농법, 덮개 작물과 같이 사용하면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11] 농법의 적절한 조합은 해당 지역의 기후 및 토양 조건에 따라 결정된다. 농장 부지는 토양 민감도에 따라 5단계(민감하지 않음, 완만함, 보통, 높음, 극도)로 분류된다.[12] 등고선 농법은 벨기에, 이탈리아, 그리스, 루마니아, 슬로베니아, 스페인과 같은 유럽 국가에서 경사도가 10% 이상인 지역에 적용된다.[13]

P. A. 예오만스의 키라인 설계 시스템은 일반적인 지형 및 지형을 관찰하여 기존의 등고선 쟁기질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였다. 등고선은 한쪽 끝의 경사가 다른 쪽보다 항상 가파르기 때문에, 등고선에 평행하게 쟁기질을 하면 쟁기질 고랑이 실제 등고선에서 벗어나게 된다. 이 고랑의 빗물은 "등고선" 선을 따라 옆으로 흘러 침식을 악화시킬 수 있다. 예오만스는 이러한 현상을 처음으로 인식하고, "등고선 이탈"을 이용하여 빗물의 이동을 제어하는 고랑을 경작하는 키라인 경작법을 개발하였다.

3. 효과 및 중요성

등고선 재배는 1930년대 미국에서 먼지 폭풍으로 인한 토양 침식과 사막화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면서, 미국 토양 보존국(현재의 천연자원 보존국)에 의해 추진된 주요 절차 중 하나였다. 1934년 "농업 연감"에서는 "이전에 경작되었던 약 3500만ha의 토지가 작물 생산에 사실상 파괴되었다."라고 언급할 정도로 상황이 심각했다. 이는 대규모 사막화로 이어져, 이전에 생산성이 높았던 토지가 건조한 지역으로 영구히 변하게 했다.[7]

1938년까지 등고선 쟁기질과 같은 새로운 농업 기술 도입으로 가뭄에도 불구하고 토양 손실이 65% 감소했다. 시연 결과, 등고선 농법은 이상적인 조건에서 고랑 작물의 수확량을 최대 50%까지 증가시켰으며, 일반적으로 5~10% 정도 생산량이 증가했다. 또한, 이 기술은 토양 침식과 비료 손실을 줄여 농업의 에너지 및 자원 집약도를 낮추는 효과를 가져왔다.[8] 비료 손실 감소는 농부의 비용을 절약하고, 폭우로 인한 토양 침식이 부영양화를 통해 담수 시스템에 피해를 줄 위험을 줄였다.[9]

등고선 쟁기질은 서부 캐나다 및 호주와 같이 강우 패턴이 미국과 유사한 국가에서도 장려되고 있다.

등고선 농법은 경사도가 2%에서 10% 사이이고 강우량이 특정량을 초과하지 않을 때 효과적이다. 더 가파른 경사면과 강우량이 많은 지역에서는 줄 농법과 함께 사용되며,[10] 계단식 농법, 덮개 작물과 같은 다른 토양 보존 방법과 함께 사용할 때 가장 효과적이다.[11] 농장 부지는 토양 민감도에 따라 민감하지 않음, 완만함, 보통, 높음, 극도의 다섯 단계로 분류된다.[12] 등고선 농법은 벨기에, 이탈리아, 그리스, 루마니아, 슬로베니아, 스페인과 같은 유럽 국가에서 경사도가 10% 이상인 지역에도 적용된다.[13]

P. A. 예오만스의 키라인 설계 시스템은 전통적인 등고선 쟁기질 기술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쟁기질 고랑이 실제 등고선에서 벗어나 빗물이 한쪽으로 쏠려 침식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 비판한다.

4. 한계 및 보완 기술

등고선 재배는 1930년대 미국에서 먼지 폭풍으로 인한 토양 침식과 사막화 문제가 심각해지자, 미국 농무부 산하 토양 보존국(현재의 천연자원 보존국)이 추진한 주요 절차 중 하나였다.[7] 1938년까지 등고선 쟁기질과 같은 새로운 농업 기술 도입으로 가뭄에도 불구하고 토양 손실이 65% 감소했다. 등고선 농법은 이상적인 조건에서 고랑 작물 수확량을 최대 50%까지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5~10% 정도 증가시킨다. 또한 토양 침식과 비료 손실을 줄여 농업의 에너지 및 자원 집약도를 낮춘다.[8] 비료 손실 감소는 농부의 비용을 절약하고, 폭우로 인한 토양 침식이 부영양화를 통해 담수 시스템에 피해를 줄 위험도 줄인다.[9]

하지만 등고선 재배는 경사도가 2%에서 10% 사이이고 강우량이 특정량을 초과하지 않을 때만 효과적이다. 더 가파른 경사면과 강우량이 많은 지역에서는 줄 농법과 같은 추가적인 절차가 필요하다.[10] 등고선 농법은 계단식 농법, 덮개 작물과 함께 사용할 때 가장 효과적이다.[11] 농법의 적절한 조합은 지역의 기후 및 토양 조건에 따라 결정되며, 농장 부지는 토양 민감도에 따라 5단계로 분류된다.[12]

P. A. 예오만스의 키라인 설계 시스템은 전통적인 등고선 쟁기질의 문제점을 지적한다. 등고선은 한쪽 끝의 경사가 다른 쪽보다 항상 더 가파르기 때문에, 쟁기질 고랑이 실제 등고선에서 벗어나 빗물이 옆으로 흘러 침식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키라인 경작은 이러한 현상을 이용하여 빗물 이동을 제어한다.

참조

[1] 간행물 Contour Farming for Cropland in the Pacific http://www.ctahr.haw[...] University of Hawai‘i - College of Tropical Agriculture and Human Resources. Ed.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USDA NRCS Practice (330)
[2] 논문 Tillage erosion: a review of controlling factors and implications for soil quality http://eprints.ucm.e[...]
[3] 간행물 Tillage Erosion http://extension.psu[...] Penn State College of Agricultural Sciences 2013
[4] 논문 Risk assessment of soil erosion in different rainfall scenarios by RUSLE model coupled with Information Diffusion Model: A case study of Bohai Rim, China
[5] 논문 Organic Farming for Crop Improvement and Sustainable Agriculture in the Era of Climate Change
[6] 웹사이트 What Is Contour Farming https://www.worldatl[...] 2018-02-18
[7] 문서 Desertification http://www.eoearth.o[...] Encyclopedia of Earth 2010-07-22
[8] 문서 Contour Farming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2013
[9] 논문 Sediment delivery to streams from adjacent slopes on agricultural land in Denmark
[10] 웹사이트 NRCS Conservation Practice Standard 330-Contour Farming https://www.nrcs.usd[...] 2018-03-21
[11] 문서 Contour Plowing & Terraces during the 1930s Depression http://www.livinghis[...] Living History Farm 2003
[12] 논문 Assessment of soil erosion sensitivity and analysis of sensitivity factors in the Tongbai–Dabie mountainous area of China
[13] 논문 Modelling the effect of support practices (P-factor) on the reduction of soil erosion by water at European scale
[14] 웹사이트 営農的対策 http://ogb.go.jp/nou[...] 2011-06-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