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페니키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니키아는 기원전 1200년경부터 지중해 연안에서 번성한 고대 문명으로, 현재의 레바논 지역을 중심으로 여러 도시 국가를 형성했다. 페니키아인들은 뛰어난 항해술과 상업 능력을 바탕으로 지중해 전역에 무역 거점을 건설하고, 레바논 삼나무, 자주색 염료, 유리 제품 등을 수출하며 번영을 누렸다. 또한, 인류 최초의 표음 문자인 페니키아 문자를 개발하여 주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카르타고를 건설하여 지중해 서부 지역까지 세력을 확장했다. 페니키아는 아시리아, 신바빌로니아, 페르시아, 헬레니즘 제국 등의 지배를 받으며 쇠퇴했지만, 카르타고는 로마와의 포에니 전쟁을 통해 멸망할 때까지 독자적인 세력을 유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니키아 - 원시 가나안 문자
    원시 가나안 문자는 이집트 상형 문자에서 유래된 초기 알파벳 문자 체계로, 페니키아 문자와 원시 히브리 문자의 조상이며, 다수의 자음 문자로 구성되어 후대 여러 문자 체계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페니키아 - 페니키아 문자
    페니키아 문자는 기원전 11세기 중반경 가나안 지역에서 발생한 22개의 자음으로 이루어진 음소 문자로, 지중해 전역에 퍼져 여러 문자 체계 발전에 기여하고 정보 접근의 민주화에 기여했으며, 현대 문자 체계의 조상으로 여겨진다.
  • 기원전 제2천년기 - 기원전 13세기
    기원전 13세기는 동아시아의 상나라 천도, 이집트의 왕조 교체, 중동의 제국 번영과 전투, 유럽의 에게 문명 발전, 그리고 후기 청동기 시대 붕괴의 시작과 같은 정치적, 문화적 격변이 일어난 시기이다.
  • 기원전 제2천년기 - 한국의 청동기 시대
    한국의 청동기 시대는 기원전 20세기경부터 기원전 3세기경까지 한반도에서 지속된 시대로, 독자적인 청동기 문화가 존재했으며 세형동검, 잔무늬 거울, 민무늬 토기 등의 유물과 고인돌 등의 무덤이 발견되었고, 농경 발달과 사회적 잉여 발생으로 초기 신분제 사회가 형성되어 고대 국가 발전에 기여했다.
페니키아
개요
기원전 800년경부터 시작된 지중해 전역의 페니키아 정착지와 무역로
기원전 800년경부터 시작된 지중해 전역의 페니키아 정착지와 무역로
일반 명칭페니키아
긴 명칭페니키아
시대고대
정치 체제군주제를 가진 도시 국가 (다양한 정도의 과두제 또는 금권 정치); 기원전 480년경 이후 카르타고에서는 과두정 공화국
역사
시작기원전 2500년경
주요 사건티레가 히람 1세 통치 하에 지배적인 도시 국가가 됨 (기원전 969년)
주요 사건 2디도에 의해 카르타고 건국 (로마 기록 기준) (기원전 814년)
종말기원전 64년
언어 및 문화
공용어페니키아어, 포에니
종교가나안 종교
수도
수도없음; 주요 도시: 시돈, 비블로스, 티레
주요 인물
주요 왕아비셰무 1세 (기원전 1800년경)
히람 1세 (기원전 969–936년)
피그말리온 (기원전 820–774년)
국가 코드
계승 국가시리아 (로마 속주)

2. 어원

'페니키아'라는 명칭은 그리스어 '포이닉스(Φοῖνιξ)'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심홍색', '티리언 퍼플', 또는 '뿔고동'을 의미하는 단어였다.[103] 이는 페니키아인들이 뿔고동 껍질을 원료로 한 심홍색 옷을 즐겨 입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104] 호메로스는 '포이닉스'라는 단어를 '페니키아인', '티리안 퍼플, 진홍색', '대추야자' 등 다양한 의미로 사용했다.[10]

페니키아인들은 스스로를 '가나안인'이라고 불렀을 가능성이 높다.[7] 이들은 독립적인 도시 국가 사회를 이루고 살았기 때문에, 페니키아 전체를 아우르는 용어는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7] 대신 출신 도시(예: 시돈, 티레 등)에 따라 자신들을 지칭했다.[7]

'페니키아'라는 명칭은 그리스인이 붙인 타칭으로, 교역 등을 위해 동쪽에서 온 사람들을 지칭하는 말이었다.[91] 페니키아인들이 스스로를 어떻게 불렀는지는 자료가 없어 확실하지 않다.[91]

'페니키아'라는 말은 라틴어 푸니쿠스(punicus)에서 왔으며, 이는 다시 고대 이집트의 Fnkhw에서 유래한 미케네 선형문자 B의 포니기요(ponikijo)를 호메로스그리스어 포이닉스(phoînix)로 옮긴 것이 고대 로마에 전해져 변화한 것이다. 고대 이집트의 Fnkhw는 "시리아인"을 뜻한다.[102]

페니키아는 뮈렉스(en)라는 조개에서 얻을 수 있는 자주색 염료(조개 자색)를 특산물로 하고 있었는데, '포이니케(Φοινίκη)'라는 그리스어 명칭은 여기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92] 오늘날에도 사이이다 등의 마을에서 이 조개 껍데기 산을 볼 수 있다.[92] 페니키아인의 모체가 된 가나안이라는 명칭도 아카드어로 염료를 의미하는 키나프에서 유래한다.[91]

3. 역사

페니키아인들은 스스로를 가나안인이라 불렀으며, 약 3400년 전에 제작된 아마르나 문서에서도 자신들을 케나아니(Kenaani) 또는 키나아니(Kinaani)로 칭했다.[105] 고대 이집트에서는 약 5000년 전부터 비블로스에서 레바논시다를 배로 실어 날랐다.

고고학적으로 페니키아는 지금의 레바논 해안을 중심으로 발전한 고대 문명으로 파악된다. 이들은 주변의 고대 이집트, 미노아, 블레셋, 이스라엘 왕국 등과 관계를 맺으며 발전했다. 약 4600년 전에서 3300년 전 사이 비옥한 초승달 지역에서 일어난 대규모 민족 이동으로 인해 비블로스는 주변 민족의 침략을 받았고, 그 결과 페니키아어와 아람어가 섞이게 되었다. 이후 수메르아카드의 군대가 지중해 연안을 점령하면서 페니키아는 히브리 역사에 기록되기 시작했고, 3500년 전 투트모세 3세가 이 지역을 점령하면서 역사적으로 알려졌다.

아마르나 문서에는 아모리와 히타이트가 페니키아의 여러 도시를 굴복시켰고, 비블로스 왕 리브-하다와 티르의 왕 아비-밀쿠가 이집트의 봉신이 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약 3350년 전에서 3300년 전 사이에 이집트가 페니키아를 탈환했다. 그 다음 세기에 우가리트가 이 지역에서 발흥했으나 약 3200년 전에 멸망했다.[105]

학자들은 페니키아의 기원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으며, 유적 발굴과 함께 언어학적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유전자 지도 계획을 통해 페니키아의 기원을 밝히려는 연구도 진행되었으나, 미케네인과 바다 민족, 페니키아인이 유전적으로 분리되어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106][107]

카데시 전투 이후 히타이트와 이집트 양 제국의 세력이 약화되자, 페니키아인들은 발달한 항해술을 이용해 지중해 동남부를 빠르게 장악하고, 카르타고를 건설하여 이베리아 반도에 진출해 왕국을 세웠다.[108]

페니키아의 기록이나 문학은 거의 남아 있지 않아, 그들의 기원과 역사에 대해 알려진 대부분의 내용은 다른 문명의 기록과 지중해 전역에서 발굴된 그들의 물질 문화에서 추론한 것이다. 학계에서는 페니키아의 최전성기가 기원전 1200년부터 페르시아 시대 말(기원전 332년)까지였다는 데 의견이 일치한다.[12]

역사학자와 고고학자들 사이에서는 페니키아인들이 가나안인으로 알려진 더 넓은 셈어 사용 민족 집단과 실제로 구별되는지에 대해 논쟁이 있다.[13] 일부 학자들은 "가나안인"이라는 용어가 고대 그리스인들이 "페니키아인"이라고 부르는 민족 집단에 해당한다고 믿는다.[14]

3. 1. 기원과 초기 발전

페니키아 문명은 이전의 가술 문화에서 발전한 가나안 문화에 뿌리를 두고 있다.[18] 헤로도토스는 페니키아인들이 페르시아만 지역에서 지중해 지역으로 이주했을 것이라고 추정했지만,[105] 고고학적 증거와 유전자 연구는 이 지역에서 수천 년의 인구 연속성을 보여준다.[25]

기원전 15세기경부터 비블로스, 티레, 시돈 등의 도시 국가를 형성하기 시작했다. 아마르나 문서에는 이 도시들이 언급되며,[12] 이들은 고대 이집트, 히타이트 등 주변 세력과 관계를 맺으며 발전했다.

페니키아의 강역


페니키아 알파벳

3. 2. 해상 무역과 식민 활동

기원전 12세기경부터 페니키아인들은 활발한 해상 무역을 전개하여 지중해 전역으로 진출했다. 이들은 북아프리카카르타고를 비롯하여 이베리아 반도, 시칠리아, 사르데냐 등지에 식민 도시를 건설했다. 주요 교역품으로는 레바논시다, 자주색 염료, 유리 제품, 금속 세공품 등이 있었으며, 특히 은과 주석 무역을 통해 부를 축적했다.[108]

페르낭 브로델은 페니키아가 주변 세계와 교류하여 "세계 경제"를 건설한 고대 국가 중 하나라고 주장했다. 페니키아의 주요 거점은 비블로스, 티레, 시돈 등의 도시국가였다. 이들은 해양을 통해 레반트 지역과 교류하며 많은 자원을 실어 날랐다.

철기 시대 초기에 페니키아인들은 지중해 전역과 흑해 남부에 항구, 창고, 시장, 정착지를 건설했다. 키프로스, 사르데냐, 발레아레스 제도, 시칠리아, 몰타는 물론 북아프리카와 이베리아 반도 해안에도 식민지가 세워졌다.[27] 페니키아인들은 상업 활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지중해 연안을 따라 수많은 식민지와 교역소를 건설했다. 크레타시칠리아의 각 정착지는 그리스인들과 간헐적으로 충돌하기도 했다.[66]

레반트 외부의 최초 페니키아 정착지는 키프로스크레타에 있었으며, 점차 서쪽으로 이동하여 코르시카, 발레아레스 제도, 사르데냐, 시칠리아로 이동했으며, 카디스말라가의 유럽 본토에도 정착했다.[67]

페니키아인들은 뛰어난 상인이었으며, 그들의 번영은 해상 무역에 의해 뒷받침되었다. 기원전 8세기에는 티루스는 지중해 방면에서 메소포타미아, 아라비아 반도에 이르는 무역 네트워크의 허브가 되었다. 자주색 염료와 레바논 삼나무가 페니키아 본토의 특산품이었으며, 이 지역 도시 국가의 성립과 번영을 지탱했다. 또한 타르테소스 (이베리아 반도)의 은을 오리엔트로 가져오는 항로는 페니키아인이 독점했다. [95]

3. 3. 주변 강대국의 지배와 쇠퇴

페니키아는 기원전 9세기부터 아시리아의 공격을 받아 복속되기 시작하면서 정치적 독립을 잃어갔다.[31] 아시리아는 페니키아 도시 국가들에게 조공을 요구했지만, 초기에는 어느 정도의 자유를 허용했다. 그러나 기원전 744년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의 즉위 이후, 북부 페니키아를 포함한 레반트 지역 대부분이 아시리아에 병합되었고, 티레비블로스만이 조공 국가로 남았다.[37]

티레, 비블로스, 시돈은 아시리아 통치에 반란을 일으켰다. 기원전 721년, 사르곤 2세는 티레를 포위하고 반란을 진압했으며, 그의 계승자인 센나케리브도 이 지역의 추가 반란을 진압했다. 기원전 7세기에는 시돈이 반란을 일으켰다가 에사르하돈에 의해 파괴되고 주민들은 노예가 되었다. 7세기 말, 아시리아는 잇따른 반란으로 약화되어 메디아 제국에 의해 멸망했다.

아시리아의 뒤를 이어 신바빌로니아 제국이 들어섰고, 페니키아 도시들은 나보폴라사르네부카드네자르 2세의 통치 기간 동안 여러 차례 반란을 일으켰다. 네부카드네자르는 티레를 13년 동안 포위 공격했으나, 도시는 파괴되지 않고 큰 피해를 입지 않았다.

기원전 539년, 페르시아 제국키루스 2세가 바빌론을 점령하면서 페니키아는 페르시아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30] 페니키아는 시돈, 티레, 아르와드, 비블로스로 나뉘어 네 개의 종속 왕국으로 분할되었지만, 상당한 자율성을 누렸다.[30][33] 페니키아인들은 해양 기술과 항해술에서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여 페르시아 제국의 중요한 자산으로 여겨졌으며, 그리스-페르시아 전쟁 동안 페르시아 함대의 대부분을 공급했다.[34]

기원전 4세기 중반, 시돈의 테네스 왕이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에 대항하는 반란을 주도했지만 실패하고, 시돈은 파괴되었다. 이후 티레가 페니키아의 주요 도시로 부상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아케메네스 왕조를 멸망시키고 티레를 정복하면서 페니키아는 마케도니아계 세력에 편입되어 헬레니즘 세계의 일부가 되었다.

3. 4. 카르타고의 번영과 멸망

카르타고는 원래 티레에서 온 페니키아인들이 세운 도시로, 티레 상인들에게 항해 중 정박지와 보급품을 제공하는 역할을 했다.[64] 카르타고는 라고 불렸는데, 이는 '새로운 도시'를 의미한다.[29] 전설에 따르면, 이 도시는 디도 여왕이 건설했다고 한다.

기원전 9세기에 북아프리카에 건설된 카르타고는 페니키아 본토가 쇠퇴하는 와중에도 번영을 이어갔다.[70][71] 카르타고는 북아프리카, 사르데냐, 시칠리아, 몰타, 발레아레스 제도, 이베리아 남부를 아우르는 다민족 제국으로 성장했다. 페니키아인들은 상업 활동을 위해 지중해 연안에 많은 식민지와 교역소를 건설했는데, 카르타고와 서부 지중해의 일부 정착지는 특히 크게 성장했다.[64]

그러나 카르타고는 로마 공화정과의 경쟁에서 결국 패배했다. 세 차례에 걸친 포에니 전쟁 (기원전 264–146년) 끝에 카르타고는 로마에 병합되어 멸망했다.[29] 이후 율리우스 카이사르에 의해 로마 도시로 재건되었으며, 공식 명칭은 ''Colonia Iulia Concordia Carthago''였다.[29]

고대 페니키아 도시인 모티아의 유적 (현재 이탈리아 시칠리아)

4. 경제

페니키아는 해상 무역을 중심으로 경제를 발전시켰다. 페르낭 브로델은 《세계의 투시도》에서 페니키아가 주변 세계와 교류하여 "세계 경제"를 건설한 고대 국가 중 하나라고 주장했다.[7] 지중해 연안에 자리 잡은 페니키아 도시 국가들은 해양을 통해 레반트 지역과 교류했으며 많은 자원을 실어 날랐다.[9]

철기 시대 초기에 페니키아인들은 지중해 전역과 흑해 남부에 항구, 창고, 시장, 정착지를 건설했다. 키프로스, 사르데냐, 발레아레스 제도, 시칠리아, 몰타는 물론 북아프리카와 이베리아 반도 해안에도 식민지가 세워졌다.[27] 이 시기에 제작된 페니키아의 해크실버는 사르데냐와 스페인의 광석과 일치하는 납 동위원소 비율을 나타내며, 페니키아 무역 네트워크의 범위를 보여준다.[28]

페니키아는 레바논 삼나무를 제외하고는 상당한 천연 자원이 부족했다. 목재는 아마도 가장 초창기이자 수익성이 높은 부의 원천이었을 것이다.[13] 그들은 이집트에 상당한 양의 삼나무 통나무를 판매했으며,[48] 8세기부터는 와인을 판매했다. 이집트와의 와인 무역은 1997년 이스라엘 아스칼론 서쪽 50km의 공해에서 발견된 난파선에 의해 생생하게 기록되어 있다.[49]

페니키아인들은 다양한 문화를 접하면서 특정 시장을 위한 상품을 제조할 수 있었다.[54] 호메로스의 ''일리아스''는 페니키아 의류와 금속 제품이 그리스인들에게 매우 귀중하게 여겨졌음을 시사한다.[13] 티리안 퍼플로 염색된 고급 섬유는 페니키아의 가장 귀중한 상품이었으며, 페니키아 부의 주요 부분을 차지했다.

페니키아인들은 유리 제조, 조각 및 체이싱 금속 공예(청동, 철, 금 포함), 상아 조각, 목공예와 같은 기술을 개발하거나 숙달했다.[54] 그들은 유리 제품을 판매하기 위해 무역 네트워크를 구축했으며 고대 시대에 유리 제품의 주요 공급원이 되어, 플라스크, 구슬 및 기타 유리 제품을 선박에 실어 지중해 전역으로 운송했다.[53]



페니키아의 본토에서는 광산 활동이 제한적이었으며, 철이 유일하게 가치 있는 금속이었다. 페니키아인들의 첫 대규모 광산 활동은 아마도 키프로스에서 주로 구리를 채굴하면서 시작되었을 것이다. 사르데냐는 거의 전적으로 광물 자원을 위해 식민지화되었을 가능성이 있는데, 페니키아 정착지는 구리와 납의 원천에 가까운 섬의 남부에 집중되어 있었다.[28] 이베리아 반도는 금, 은, 구리, 철, 주석, 납을 포함한 고대 시대의 수많은 금속의 가장 풍부한 원천이었다.[52]

사냥 장면이 새겨진 페니키아 금속 그릇(기원전 8세기). 등장인물의 의상과 머리 모양은 이집트 양식이다. 동시에 중앙 장면의 주제는 사람과 짐승의 싸움이라는 메소포타미아의 주제와 일치한다. 페니키아 장인들은 인접 문화의 스타일을 자주 차용했다.


가장 주목할 만한 농산물은 와인이었으며, 페니키아인들은 지중해 전역에 와인을 전파하는 데 기여했다.[57] 일반 포도는 페니키아인이나 가나안인에 의해 재배되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이는 트란스카우카시아에서 메소포타미아 또는 흑해를 거치는 무역로를 통해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 포도는 레반트 해안에서 잘 자랐고, 와인은 고왕국 시대(기원전 2686–2134년)부터 이집트로 수출되었다. 와인은 페니키아 종교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제물과 희생을 위한 주요 음료로 사용되었다.[57]

장부맞춤은 마사론 1 페니키아 난파선의 장부맞춤 공법이다. 페니키아인들은 페니키아식 접합부로 알려진 못으로 고정하는 장부맞춤 공법을 개척했다.
페니키아인들은 수중 선체 판재를 고정하기 위해 페니키아식 접합부로 알려진 잠금식 장부맞춤을 사용하는 것을 개척했다.[59] 페니키아인들은 아마도 바이렘을 처음 도입한 사람들이었을 것이다. 그들은 또한 트리렘을 개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60] 트리렘은 고대 지중해 세계에서 가장 진보된 선박으로 여겨졌다.[61]

5. 사회와 문화

페니키아의 문화와 사회는 다른 가나안인들과 많은 공통점을 가졌지만, 상업과 해상 무역에 크게 집중되었다는 특징이 있다. 항해를 통해 다른 문명과 접촉하면서 다양한 문화를 수용하고, 그들의 문화를 다른 지역에 전파하기도 했다.

페니키아인들은 페니키아어를 사용했으며, 이 언어는 북서 셈어의 가나안어 갈래에 속했다. 고대 카르타고에서는 페니키아어의 후손인 푸니 어가 사용되었으며, 이 언어는 서기 5세기까지 사용되었다. 페니키아인들은 기원전 1050년경 페니키아 문자를 개발했는데, 이는 그리스 문자를 거쳐 오늘날 알파벳의 기원이 되었다.

아히람(Ahiram)의 석관. 페니키아 문자의 가장 오래된 비문이 새겨져 있다. 베이루트 국립 박물관


페니키아 미술은 장식적인 물건에 집중되었으며, 특히 보석, 도자기, 유리 제품, 부조 등이 발달하였다. 이집트, 그리스, 아시리아 등 주변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티리안 퍼플이라는 보라색 염료로 염색한 직물은 상류층의 지위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페니키아 여성들은 공공 행사와 종교 의식에 참여했으며, 정치적 권력은 거의 없었지만 지역 사회 문제에는 참여했다.[2] 이제벨과 디도는 페니키아의 유명한 여성들이다.

티레의 여성 조각상( BC). 베이루트 국립 박물관.

5. 1. 정치

페니키아는 통일된 국가를 이루지 못하고 여러 독립적인 도시국가들로 구성되었다. 각 도시 국가는 왕, 성직자, 원로원으로 구성된 지배 체제를 갖추고 있었다.[75] 비블로스는 도시 국가들 중 가장 강력했고, 페니키아의 주요 거점이었으며, 페니키아 알파벳 역시 비블로스에서 유래했다. 약 3000년 전 티레시돈이 발흥하여 페니키아의 헤게모니를 분점했다.

페니키아 주요 도시
도시설명
비블로스가장 강력한 도시 국가, 페니키아의 주요 거점, 페니키아 알파벳 유래
티레기원전 10세기 무렵 가장 강력한 도시로 부상
시돈티레와 함께 헤게모니 분점, 기원전 12~11세기 지배적



초기 페니키아 사회는 고도로 계층화되었으며, 주로 군주제였다. 세습 군주는 시민, 상업, 종교 문제에 대한 절대적인 권력을 가졌다. 왕은 신의 대표로 여겨졌으며, 종교 행렬과 의식에 관한 많은 의무와 책임을 수행했다. 사제는 매우 영향력이 있었으며 종종 왕족과 얽히게 되었다.[75]

시간이 지나면서 평의회나 회의의 역할이 커졌다.[75] 일부 도시에서는 선출된 판사(수페트)가 통치하기도 했다. 기원전 6세기 바빌론 통치하의 페니키아 시대에 티레는 잠시 로마 집정관과 대략 동등한 권한을 가진 두 명의 판사로 구성된 정부 시스템을 채택했다.[74][75]

5. 2. 법과 행정

페니키아는 분쟁 해결과 범죄 처벌을 위해 법원과 판사 제도를 갖추고 있었다. 이 제도는 반성문화된 법률과 전통에 기반을 두었다.[75] 법은 국가에 의해 시행되었으며, 통치자와 특정 관리들이 법 집행을 담당했다. 다른 레반트 사회와 마찬가지로, 페니키아의 법은 가혹하고 편향된 면이 있었으며, 사회 계층에 따라 차별적으로 적용되었다. 예를 들어, 평민을 살해한 죄는 귀족을 살해한 죄보다 가볍게 다루어졌고, 상류층은 더 많은 권리를 가졌다. 부유한 사람들은 벌금을 내고 처벌을 피하는 경우가 있었지만, 모든 계층의 자유민은 법정에서 스스로를 변호할 권리가 있었다. 그러나 여성과 어린이는 남성보다 권리가 적었고, 노예는 아무런 권리가 없었다. 남성은 종종 아내, 자녀 또는 노예에게 처벌을 전가하여 대신 형을 살게 할 수도 있었다. 변호사는 자신의 사건을 변론할 수 없는 사람들을 위해 등장한 직업이었다.[75]

범죄에 대한 처벌은 종종 가혹했으며, 상호주의 원칙을 따르는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어, 노예를 살해한 경우 범죄자의 노예를 죽이는 것으로 처벌했다. 투옥은 드물었고, 벌금, 추방, 처벌, 처형 등이 주요 구제책이었다.[75]

5. 3. 군사

페니키아인들은 상업을 중시하고 정복에 큰 관심을 두지 않았기 때문에, 군사력은 상대적으로 약했다.[76] 각 도시에는 방어를 담당하는 군대 사령관이 있었지만, 그 역할과 도시 방어에 대한 세부 사항은 알려져 있지 않다. 페니키아 도시 국가들은 대외 무역을 통해 부와 번영을 누렸고, 이는 좋은 관계 유지를 필요로 했다. 또한 정복 군대를 양성할 만큼 충분한 인구와 농업 기반이 부족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서아시아 원정 당시, 페니키아는 가장 먼저 정복된 지역 중 하나였다. 알렉산드로스는 주요 도시인 티레를 7개월간의 공방전 끝에 함락시켰다. 이 과정에서 티레 시민 일부는 카르타고로 보내졌고, 지도층 시민 2,000명은 십자가형에 처해졌다. 이후 페니키아 지역은 알렉산드로스의 통제하에 들어갔고, 시돈은 평화롭게 항복했다.[75]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티레 공방전 (기원전 332년) 중의 해상 전투. 앙드레 카스타뉴의 그림, 1888–89년


알렉산드로스 제국은 헬레니즘 문화를 전파했지만, 페니키아에서는 조직적인 헬레니즘화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페니키아 도시 국가들은 고유한 이름을 유지했고, 그리스인 정착과 행정은 제한적이었다. 페니키아인들은 서구의 동족들과 문화적, 상업적 관계를 유지했으며, 그리스인들과 신화를 공유하며 서로를 "친족"으로 여기기도 했다.

알렉산드로스 사후 페니키아는 셀레우코스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이후 프톨레마이오스 왕국과의 시리아 전쟁을 거쳐 다시 셀레우코스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셀레우코스 왕조 전쟁 (기원전 157–63년) 동안 페니키아 도시들은 자치적으로 통치되었으며, 일부는 유대인의 영향을 받기도 했다. 셀레우코스 왕국은 기원전 74/73년에 아르메니아티그라네스 대왕에게 점령되면서 레반트 지역에서 헬레니즘의 영향은 종식되었다.

5. 4. 언어

페니키아어는 북서 셈어의 가나안어 갈래에 속했다. 고대 카르타고에서 사용된 이 언어의 후손은 푸니 어라고 불린다. 푸니 어는 서기 5세기까지 사용되었으며,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에게도 알려졌다.

기원전 1050년경, 페니키아인들은 페니키아어를 표기하기 위한 문자를 개발했다. 카나안-페니키아 문자는 22개의 글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두 자음이다 (따라서 엄밀히 말해 압자드이다).[20][77][78] 이는 원시 시나이 문자(또는 원시 카나안 문자)의 연속으로 여겨지며, 시나이 반도와 청동기 시대 후기의 가나안에서 증명되었다. 페니키아인들은 해상 무역을 통해 문자의 사용을 아나톨리아, 북아프리카, 유럽으로 확산시켰다.[13][79] 관례상 기원전 1050년경부터 시작되는 비문에는 '페니키아'라는 명칭이 부여되는데, 이는 그 이전에는 페니키아어, 히브리어, 그리고 다른 가나안어 방언들이 구별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20] 페니키아 비문은 레바논, 시리아,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키프로스 및 기타 지역에서 기독교 시대 초까지 발견된다.

이 문자는 기원전 8세기에 그리스인에 의해 채택되고 수정되었다. 이는 단일 사례로 발생한 것이 아니라 상업적 교환의 과정에서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알레산드로 피에라티니에 따르면, 에레트리아의 아폴로 신전이 그리스인들이 페니키아 문자를 처음으로 채택한 장소 중 하나로 여겨진다.[80] 전설적인 페니키아 영웅 카드모스는 그리스에 문자를 가져온 것으로 여겨지지만, 페니키아 이민자들이 크레테로 가져온 후 거기에서 북쪽으로 점차 확산되었을 가능성이 더 높다.

페니키아인은 계통적으로 다양한 민족과 혼혈되었지만, 아프로아시아어족 셈어파에 속하는 페니키아어를 사용했으며, 현존하는 언어로는 히브리어와 같은 가나안어군에 속한다. 조상은 셈계 아모리인의 한 파가 소아시아에서 북 시리아로 이주한 데서 시작되었다고 한다.[94]

그들이 페니키아어를 표기하기 위해 발명한 페니키아 문자고대 히브리 문자, 아람 문자, 히브리 문자, 그리스 문자, 아랍 문자 등, 유럽 · 서아시아의 많은 언어에서 사용되는 기원이 되었다. 그리스 문자가 페니키아 문자를 토대로 한 것으로부터, 페니키아 문자는 알파벳의 기원으로 여겨진다.

카르타고인(:en:Punics)이 사용하던 페니키아어는 Punic language|포에니어영어라고 불리며 로마 시대에도 존속했지만, 이윽고 베르베르인의 베르베르어와 이슬람교와 함께 전래된 아랍어에 흡수되어 소멸되었다.

5. 5. 예술

페니키아 미술은 주로 장식적인 물건에 집중되었으며, 특히 보석, 도자기, 유리 제품, 부조 등이 발달하였다. 대형 조각은 드물었고, 작은 조각상이 더 흔했다. 페니키아 상품은 스페인과 모로코에서 러시아와 이라크에 이르기까지 넓은 지역에서 발견되었는데, 이를 통해 페니키아 미술이 주변 여러 문화, 주로 이집트, 그리스, 아시리아의 영향을 크게 받았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도자기에서는 그리스의 영향이, 청동 및 상아 세공에서는 이집트의 주제가 많이 나타났다.[13][54]

페니키아는 레바논 삼나무 외에는 천연 자원이 부족했기 때문에, 일찍부터 산업 기반을 발전시켰다. 그들은 유리 제조, 금속 세공(청동, 철, 금), 상아 조각, 목공예 등의 기술을 발전시키고 숙달했다.[54] 특히 유리 제품을 대량 생산하여 지중해 전역에 판매했으며, 물레를 사용하여 도자기를 만들기도 했다.[53] 그들은 다양한 문화를 접하면서 특정 시장을 위한 상품을 제조하는 능력도 갖추었다.[54]

페니키아인들은 특히 티리안 퍼플이라는 보라색 염료로 염색한 직물을 생산하여 큰 부를 얻었다. 이 염료는 복족류에서 추출되었으며, 매우 비싸서 상류층의 지위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페니키아 직물에 사용된 디자인과 자수는 높은 평가를 받았지만, 구체적인 기술은 알려져 있지 않다.[54]

페니키아 장인들은 나무, 상아, 청동, 직물 등을 다루는 솜씨가 뛰어났다.[82] 구약 성경에는 티레 출신의 장인이 솔로몬 성전을 짓고 장식했다는 기록이 있으며,[81] 일리아드에는 페니키아의 옷감과 금속 제품이 높이 평가되었다는 내용이 나온다. 아시리아인들은 페니키아의 상아 세공을 특히 높이 평가했다.[83]

페니키아 미술은 상업적 관심사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으며, 무역 파트너의 취향에 맞는 상품을 제작하여 다양한 문화와 사회 계층의 수요를 충족시켰다.[54]

5. 6. 여성



페니키아 여성들은 공공 행사와 종교 의식에 참여했으며, 연회 묘사에서는 남성과 함께 편안하게 앉거나 기대어 춤을 추고 음악을 연주하는 모습을 보여준다.[1] 대부분의 경우 여성은 남성보다 더 조심스럽게 옷을 입고 행동해야 했으며, 여성상은 거의 항상 머리부터 발끝까지 옷을 입고, 팔도 덮인 채로 묘사된다.

비록 그들은 정치적 권력을 거의 갖지 못했지만, 일부 도시 국가에서 등장한 민중 집회를 포함하여 지역 사회 문제에 참여했다.[2] 적어도 한 여성인 운미아슈타르트는 기원전 5세기에 시돈을 통치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가장 유명한 두 명의 페니키아 여성은 정치적 인물인데, 성경에서 시돈의 사악한 공주로 묘사된 이제벨과 카르타고의 반 전설적인 창시자이자 초대 여왕인 디도이다. 베르길리우스의 서사시 ''아이네이스''에서 디도는 티레의 공동 통치자로 묘사되며, 그녀는 오빠 피그말리온의 폭정에서 벗어나 카르타고를 위한 이상적인 부지를 확보하기 위해 교활함을 사용했다.

6. 종교

페니키아인들의 종교적 관습과 믿음은 대체로 가나안의 이웃들과 유사했으며, 이는 다시 고대 셈족 세계 전반에 걸쳐 공통된 특징을 공유했다.[84] 종교 의식은 주로 도시 국가의 목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시민들의 세금 납부는 종교적 제물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고대인들에게 알려진 페니키아의 성스러운 문서는 유실되었다.[85]

신전 매춘[86]과 아동 희생과 같은 여러 가나안 관습들이 고대 자료에서 언급되고 학자들에 의해 언급된다.[87] "토페트"라고 알려진 특별한 장소는 페니키아인들이 "그들의 아들과 딸을 불에 태우기" 위해 사용했다고 전해지며, 히브리 성경, 특히 ''예레미야'' 7:30–32, ''열왕기하'' 23:10과 17:17에서 비난받고 있다.

가나안 종교 신화는 메소포타미아의 셈족 사촌들만큼 정교하게 보이지 않는다. 가나안에서 최고신은 엘(𐤀𐤋, '신')이라고 불렸다.[88] 엘의 아들은 바알(𐤁𐤏𐤋, '주인', '영주')이었으며, 강력한 죽음과 부활하는 천둥의 신이었다.[89] 다른 신들은 '도시의 왕'을 의미하는 멜카르트,[90] 또는 '영주'를 의미하는 아도니스와 같은 왕족 칭호로 불렸다.[91] 그러한 칭호들은 종종 동일한 신들에 대한 단지 지역적인 칭호였을 수 있다.[92]

셈족의 판테온은 잘 알려져 있었으며, 어떤 신이 주신이 되었는지는 특정 도시 국가의 필요성에 따라 달랐던 것으로 보인다.[93] 멜카르트는 페니키아 전역과 해외에서 두드러졌으며, 왕족적이고 어머니 같은 측면을 가진 다산의 여신인 아스타르테도 마찬가지였다.

페니키아인들은 신들에게 소조물을 바쳤는데, 특히 조상과 도기 용기의 형태로 바쳤다.[94] 페니키아인들은 주로 항해 민족이었기 때문에, 일부 자료에서는 그들의 의식 중 많은 부분이 바다에서 또는 배에서 수행되었다고 추측한다. 그러나 이러한 관행의 구체적인 특성은 알려져 있지 않다.[95]

7. 페니키아의 영향

페니키아인들은 22개의 자음으로 이루어진 인류 최초의 알파벳을 만들어 사용했다. 표음문자였던 페니키아의 알파벳은 사용하기 쉬웠기에 페니키아의 무역 활동을 통해 지중해 여러 지역에 전파됐으며, 후일 고대 그리스고대 로마의 알파벳에 영향을 미쳤다.[109]

약 3200년 전 비블로스에서 제작된 아히람의 석관에 쓰인 페니키아 문자


페니키아는 초기 철기 시대의 지중해 문명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알파벳, 선박 기술, 상업술, 과학 기술, 항해술 등이 그리스에 전해졌다.

헤로도토스의 『역사』에 따르면, 기원전 600년경, 이집트 파라오 네코 2세의 명령을 받은 페니키아인들은 홍해에서 출항하여 희망봉을 거쳐 시계 방향으로 아프리카 대륙을 일주하고 3년 만에 이집트로 돌아왔다고 한다.(페니키아인의 아프리카 대륙 주항)[99] 바르톨로뮤 디아스가 희망봉을 "발견"하기 2000년도 더 전에 이루어진 일이다. 페니키아인들은 매우 뛰어난 항해술을 가지고 있었다.

참조

[1] 서적 Carthage and the Carthaginians
[2] 서적 Traditions & Encounters: From the Beginnings to 1500 https://books.google[...] McGraw Hill
[3] 논문 Ancient mitogenomes of Phoenicians from Sardinia and Lebanon: A story of settlement, integration, and female mobility 2018-01-10
[4] 서적 Lebanon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09
[5] 서적 Phoenician Identity in Context: Material Cultural Koiné in the Iron Age Levant Ugarit-Verlag – Buch- und Medienhandel Münster
[6] 간행물 The Phoenicians and the Formation of the Western World https://scholarsarch[...] 2018
[7] 문서 The Phoenicians (1500–300 BC) http://www.metmuseum[...]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4-10
[8] 논문 The Phoenician Inscriptions of the Cyprus Museum https://www.jstor.or[...] 1939
[9] 서적 Middle Egyptian: An Introduction to the Language and Culture of Hieroglyph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10] 웹사이트 Henry George Liddell, Robert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φοῖνιξ https://www.perseus.[...] 2017-02-03
[11] 논문 Review of A Phoenician–Punic Grammar (Handbook of Oriental Studies, Section One: The Near and Middle East 54) https://www.jstor.or[...] 2001
[12] 간행물 2021
[13] 논문 The Phoenicians and the Formation of the Western World https://scholarsarch[...] 2018
[14] 논문 Canaanites and Philistines https://journals.sag[...] 1998
[15] 서적 Ancient Israel's Neighbors https://academic.oup[...] Oxford University Press 2020
[16] 간행물 2021
[17] 간행물 2021
[18] 서적 Pastoralism in the Levant Prehistory Press
[19] 서적 The Ancient Languages of Syria-Palestine and Arab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서적 Ancient Israelite Religion Fortress Press
[21] 문서 Histories
[22] 서적 Bahrain Through The Ages – the Archaeology Routledge
[23] 서적 The Archaeology of the Arabian Gulf Routledge
[24] 서적 Beyond Price: Pearls and Pearl-fishing : Origins to the Age of Discoveries, Volume 224 https://books.googl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25] 논문 Continuity and Admixture in the Last Five Millennia of Levantine History from Ancient Canaanite and Present-Day Lebanese Genome Sequences
[26] 논문 Sea and Ocean Basins as Frameworks for Historical Analysis
[27] 서적 Studies in the Chronology of the Divided Monarchy of Israel Scholars Press
[28] 논문 Survey of Archaeological Research on Tartessos
[29] 서적 Carthage: A Biography https://books.google[...] Routledge
[30] 논문 Tyre in the Early Persian Period (539-486 B.C.E.) https://www.jstor.or[...]
[31] 웹사이트 Herodotus, The Histories, III.19 https://penelope.uch[...]
[32] 웹사이트 Herodotus, The Histories, III.91 https://penelope.uch[...]
[33] 웹사이트 A History of Phoenician Civilization https://brewminate.c[...] 2018-08-29
[34] 웹사이트 Herodotus, The Histories, V.109 https://penelope.uch[...]
[35] 웹사이트 Herodotus, The Histories, VII.23 https://penelope.uch[...]
[36] 문서 "Herodotus, ''The Histories'', VIII.90" https://penelope.uch[...]
[37] 웹사이트 LacusCurtius • Diodorus Siculus — Book XVI Chapters 40‑65 https://penelope.uch[...] 2020-04-20
[38] 서적 Studies in Hellenistic Judaism https://books.google[...] BRILL 1996
[39] 문서 Rives, 1995 p.220
[40]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Judaism: The late Roman-Rabbinic period Cambridge University Press
[41] 간행물 Identifying Genetic Traces of Historical Expansions: Phoenician Footprints in the Mediterranean
[42] 간행물 Differential maternal and paternal contributions to the genetic pool of Ibiza Island, Balearic Archipelago 2006
[43] 간행물 A European Mitochondrial Haplotype Identified in Ancient Phoenician Remains from Carthage, North Africa 2016-05-25
[44] 간행물 Continuity and Admixture in the Last Five Millennia of Levantine History from Ancient Canaanite and Present-Day Lebanese Genome Sequences null 2017-07
[45] 웹사이트 The DNA of ancient Canaanites lives on in modern-day Lebanese, genetic analysis shows https://www.latimes.[...] 2017-07-27
[46] 웹사이트 Ancient Phoenician life was mixed and multicultural https://cosmosmagazi[...] 2018-01-10
[47] 간행물 A Genetic History of the Near East from an aDNA Time Course Sampling Eight Points in the Past 4,000 Years
[48] 서적 Memory and Mediterranean Alfred A. Knopf
[49] 서적 Sea routes: From Sidon to Huelva: Interconnections in the Mediterranean, 16th–6th c. BC Museum of Cycladic Art
[50] 문서 A. B. Freijeiro, R. Corzo Sánchez, Der neue anthropoide Sarkophag von Cadiz. In: Madrider Mitteilungen 22, 1981.
[51] 간행물 Addressing the controversial origin of the marble source used in the Phoenician anthropoid sarcophagi of Gadir (Cadiz, Spain) http://zaguan.unizar[...] 2021-06
[52] 간행물 Britain and Julius Caesar
[53] 서적 Birth of the Multinational Copenhagen Business School Press
[54] 간행물 A Nation of Artisans https://www.jstor.or[...] 1990-03
[55] 서적 The Secret Lives of Colour John Murray
[56] 서적 The Phoenicians: A Captivating Guide to the History of Phoenicia and the Impact Made by One of the Greatest Trading Civilizations of the Ancient World Captivating History
[57] 웹사이트 2,600-year-old wine 'factory' unearthed in Lebanon https://www.national[...] 2020-09-14
[58] 서적 Planet of the Grapes: A Geography of Wine
[59] 간행물 Report on Underwater Excavation at the Phoenician Harbour, Atlit, Israel
[60] 서적 Seagoing Ships & Seamanship in the Bronze Age Levant Texas A & M University Press
[61] 간행물 Between east and west – The Phoenician shipwreck off Gozo https://honorfrostfo[...] University of Malta 2017-10
[62] 웹사이트 2,700-Year-Old Phoenician Shipwreck Discovered https://www.history.[...]
[63] 웹사이트 2,700-Year-Old Phoenician Shipwreck Discovered https://www.seeker.c[...] 2014-08-28
[64] 서적 A Comparative Study of Thirty City-state Cultures: An Investigation Kgl. Danske Videnskabernes Selskab
[65] 서적 Ancient Empires: From Mesopotamia to the Rise of Islam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06-27
[66] 서적 Encyclopedia of the Ancient Greek World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09-01-01
[67] 서적 Encyclopedia of European Peoples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68] 서적 Premodern Trade in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8-07-31
[69] 서적 North Africa: A History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exas Press 2009-07-01
[70] 서적 West African Culture Dynamics: Archaeological and Historical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1980-01-01
[71] 서적 Imperialism in the Ancient World: The Cambridge University Research Seminar in Ancient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02-22
[72] 서적 HSC Ancient History https://books.google[...] Pascal Press 2013-02-17
[73] 웹사이트 All at sea: The maritime lives of the ancient Phoenicians https://press.prince[...]
[74] 서적 In Search of the Phoenicians Princeton University Press
[75] 간행물 Before Athens: Early Popular Government in Phoenician and Greek City States
[76] 서적 Introduction to The Sea Traders Time-Life Books 1974
[77] 간행물 Newly Found Inscriptions in Old Canaanite and Early Phoenician Script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on behalf of The American Schools of Oriental Research
[78] 간행물 The Infancy of the Alphabet
[79] 서적 World History: Patterns of Interaction https://archive.org/[...] McDougal Littell
[80] 서적 The Archaic Greece: The Greek city-states 700–500 BC Ernest Benn Ltd & Tonnbridge
[81] 간행물 The Emergence of Phoenician Art https://www.jstor.or[...] 1990-08
[82] 웹사이트 The Phoenicians (1500–300 B.C.) https://www.metmuseu[...] 2020-04-19
[83] 웹사이트 Furniture plaque carved in high relief with two Egyptianizing figures flanking a volute tree, c. 9th–8th century B.C. https://www.metmuseu[...] 2020-04-19
[84] 웹사이트 Asher https://www.britanni[...]
[85] 간행물 Identities and Peoples in History: Speculating on Ancient Mediterranean Mysteries https://ejournals.bc[...] 2015
[86] 간행물 New Evidence from Dor for the First Appearance of the Phoenicians along the Northern Coast of Israel https://www.jstor.or[...] 1990
[87] 서적 A Guide to the Gods Quill Books
[88] 웹사이트 Long-lost Phoenician figurines could reveal secrets to ancient cult https://www.jpost.co[...] 2020-09-08
[89]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the Archaeology of the Levant: C. 8000-332 BCE https://books.google[...] OUP Oxford
[90] 서적 Textbook of Syrian Semitic inscriptions Clarendon Press
[91] 문서 栗田・佐藤 (2016) p.37
[92] 문서 小山 (1977) p.39
[93] 문서 栗田・佐藤 (2016) p.36
[94] 문서 小山 (1977) p.37
[95] 문서 栗田・佐藤 (2016) p.46
[96] 문서 栗田・佐藤 (2016) p.50
[97] 문서 栗田・佐藤 (2016) p.61
[98] 문서 栗田・佐藤 (2016) p.48
[99] 문서 ヘロドトス著『歴史』第4巻42節(ヘロドトス著、松平千秋訳『歴史(中)』岩波文庫、1972年、28ページ。)
[100] 웹인용 What was Historical Syria and Phoenicia? Is there confusion? http://phoenicia.org[...] phoenicia.org 2007-05-22
[101] 문서 Edward Clodd, Story of the Alphabet (Kessinger) 2003:192ff
[102] 문서 Sinuhe, B220. Said "Fenesh/w". Refers specifically to Phoenician area. Urk.
[103] 문서 Gove, Philip Babcock, ed. Webster's Thir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Unabridged. Springfield, MA: Merriam-Webster, 1993.
[104] 문서 Gray, John. The Canaanites. New York: Frederick A. Praeger, 1964: 15.
[105] 문서 헤로도토스, 역사 1권
[106] 웹인용 내셔널지오그래픽: DNA로 밝혀지는 페르시아의 기원 http://ngm.nationalg[...] 2008-06-13
[107] 웹사이트 내셔널지오그래픽, 누가 페니키아인인가? http://www.democracy[...]
[108] 서적 인류본사 휴머니스트 2022
[109] 서적 The Ancient Near East: c.3000-330 B.C. Routledge 199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