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디놀레스테스 레이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놀레스테스 레이니는 주걱치목에 속하는 디놀레스테스과에 속하는 어종이다. 디놀레스테스과는 농어과, 흙무굴치과, 눈퉁바리과 등과 함께 분류된다. 디놀레스테스 레이니가 투어바리과 어종인지, 한국에 서식하는지는 확인이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34년 기재된 물고기 - 홍살귀상어
    홍살귀상어는 망치 모양 머리를 가진 귀상어과 어류로,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분포하며 무리를 지어 다양한 해양 생물을 섭취하지만, 남획으로 인해 심각한 위기종으로 분류되어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 1834년 기재된 물고기 - 점양쥐돔
    점양쥐돔(*Acanthurus pyroferus*)은 인도-태평양 산호초에 사는 도리과의 물고기로, 어린 개체는 의태 행동을 하며 유어 시기에는 노란색 바탕에 검은 반점을 띠지만 성장하면서 몸 색깔이 변하고, 한국에서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으나 기후 변화로 서식 범위가 확대될 수 있다.
디놀레스테스 레이니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디놀레스테스 레이니
학명Dinolestes lewini
명명자(E. Griffith & C. H. Smith, 1834)
이명Esox lewini E. Griffith & C. H. Smith, 1834
Neosphyraena multiradiata Castelnau, 1872
Lanioperca mordax Günther, 1872
Dinolestes muelleri Klunzinger, 1872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기어강
상목극기상목
미분류 분류군에우페르카리아류
주걱치목
디놀레스테스과 (Dinolestidae)
과 명명자T. D. Scott, 1962
디놀레스테스속 (Dinolestes)
속 명명자Klunzinger, 1872
디놀레스테스 레이니
크기 및 서식지
최대 크기84 cm
서식 깊이5 ~ 65 m

2. 계통 분류

다음은 베탕쿠르(Betancur) 등의 연구에 기초한 주걱치목의 계통 분류이다.[5][6]

{| class="wikitable"

|-

! 주걱치목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악어치과

|-

|

{| class="wikitable"

|-

| 헤메로코이테스과

|-

|



|}

|}

|-

|



|}

|-

|

{| class="wikitable"

|-

| 농어과

|-

|

{| class="wikitable"

|-

| 흙무굴치과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디놀레스테스과

|-

|

{| class="wikitable"

|-

|

눈퉁바리과
투어바리과



|-

|

{| class="wikitable"

|-

| 바티클루페아과

|-

|



|}

|}

|}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

|



|}

|}

|}

|}

|}

|}

|}

|}

2. 1. 하위 분류

다음은 베탕쿠르(Betancur) 등의 연구에 기초한 주걱치목의 하위 분류이다.[5][6]

2. 1. 1. 악어치과 (Champsodontidae)

다음은 베탕쿠르(Betancur) 등의 연구에 기초한 주걱치목의 계통 분류이다.[5][6]

{| class="wikitable"

|-

! 주걱치목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악어치과

|-

|

{| class="wikitable"

|-

| 헤메로코이테스과

|-

|



|}

|}

|-

|



|}

|-

|

{| class="wikitable"

|-

| 농어과

|-

|

{| class="wikitable"

|-

| 흙무굴치과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디놀레스테스과

|-

|

{| class="wikitable"

|-

|

눈퉁바리과
투어바리과



|-

|

{| class="wikitable"

|-

| 바티클루페아과

|-

|



|}

|}

|}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

|



|}

|}

|}

|}

|}

|}

|}

|}

|}

|}

2. 1. 2. 헤메로코이테스과 (Cheimarrichthyidae)

주걱치목에 속하는 헤메로코이테스과는 크리디아과렙토스코푸스과와 근연 관계에 있다.[5][6]

2. 1. 3. 크리디아과 (Creediidae)

다음은 베탕쿠르(Betancur)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5][6]
크리디아과**

2. 1. 4. 렙토스코푸스과 (Leptoscopidae)

다음은 베탕쿠르(Betancur)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5][6]

{| class="wikitable"

|-

! 주걱치목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악어치과

|-

|

{| class="wikitable"

|-

| 헤메로코이테스과

|-

|



|}

|}

|-

|



|}

|-

|

{| class="wikitable"

|-

| 농어과

|-

|

{| class="wikitable"

|-

| 흙무굴치과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디놀레스테스과

|-

|

{| class="wikitable"

|-

|

눈퉁바리과
투어바리과



|-

|

{| class="wikitable"

|-

| 바티클루페아과

|-

|



|}

|}

|}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

|



|}

|}

|}

|}

|}

|}

|}

|}

2. 1. 5. 글라우코소마과 (Glaucosomatidae)

주걱치목 계통 분류에서 글라우코소마과주걱치과와 자매군이다.[5][6]

2. 1. 6. 주걱치과 (Pempheridae)

주걱치목에 속하는 과이다. 베탕쿠르(Betancur)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에 따르면 글라우코소마속과 가깝다.[5][6]

2. 1. 7. 농어과 (Lateolabracidae)

베탕쿠르(Betancur영어)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에 따르면, 디놀레스테스과농어과, 흙무굴치과 등과 함께 분류된다.[5][6]

2. 1. 8. 흙무굴치과 (Malacanthidae)

흙무굴치과(Malacanthidae)는 주걱치목에 속하는 조기어류 과의 하나이다.[5][6] 흙무굴치속(Malacanthus)과 옥돔속(Branchiostegus) 등을 포함하고 있다. 옥돔제주특별자치도의 특산물로 유명하다.

2. 1. 9. 디놀레스테스과 (Dinopercidae)

다음은 베탕쿠르(Betancur)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5][6]

{| class="wikitable"

|-

! 주걱치목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악어치과

|-

|

{| class="wikitable"

|-

| 헤메로코이테스과

|-

|



|}

|}

|-

|



|}

|-

|

{| class="wikitable"

|-

| 농어과

|-

|

{| class="wikitable"

|-

| 흙무굴치과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디놀레스테스과

|-

|

{| class="wikitable"

|-

|

눈퉁바리과
투어바리과



|-

|

{| class="wikitable"

|-

| 바티클루페아과

|-

|



|}

|}

|}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

|



|}

|}

|}

|}

|}

|}

|}

|}

2. 1. 10. 눈퉁바리과 (Scombropidae)

베탕쿠르(Betancur)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에 따르면, 눈퉁바리과는 디놀레스테스과와 자매군이다.[5][6]

2. 1. 11. 투어바리과 (Polyprionidae)

Betancur영어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5][6]

{| class="wikitable"

|-

! 주걱치목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악어치과

|-

|

{| class="wikitable"

|-

| 헤메로코이테스과

|-

|



|}

|}

|-

|



|}

|-

|

{| class="wikitable"

|-

| 농어과

|-

|

{| class="wikitable"

|-

| 흙무굴치과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디놀레스테스과

|-

|

{| class="wikitable"

|-

|

눈퉁바리과
투어바리과



|-

|

{| class="wikitable"

|-

| 바티클루페아과

|-

|



|}

|}

|}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

|



|}

|}

|}

|}

|}

|}

|}

|}

2. 1. 12. 바티클루페아과 (Bathyclupeidae)

바티클루페아과(Bathyclupeidae영어)는 주걱치목에 속하는 조기어류 과의 하나이다. 심해에 사는 물고기로 인도양과 서태평양 그리고 카리브 해에서 발견된다.[5][6]

2. 1. 13. 독돔과 (Oplegnathidae)

독돔과(Oplegnathidae)는 주걱치목에 속하는 조기어류 과의 하나이다. 바티클루페아과, 황줄돔과와 함께 분류된다.[5][6] 독돔 등을 포함하고 있다. 독돔과 돌돔은 한국에서 고급 횟감으로 인기가 높다. 특히 돌돔은 이시가리라는 이름으로도 불리며, 낚시꾼들에게도 인기가 많은 어종이다.

2. 1. 14. 황줄돔과 (Pentacerotidae)

베탕쿠르(Betancur)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에 따르면, 디놀레스테스과독돔과 및 황줄돔과와 함께 분류된다.[5][6]

2. 1. 15. 오스트라코베릭스과 (Ostracoberycidae)

Ostracoberycidae|오스트라코베릭스과영어주걱치목에 속하는 조기어류 과의 하나이다.[5][6] 오스트라코베릭스속(''Ostracoberyx'') 3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은 베탕쿠르(Betancur)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5][6]

{| class="wikitable"

|-

! 계통 분류

|-

|

주걱치목
Ostracoberycidae|오스트라코베릭스과영어



|}

2. 1. 16. 에피고누스과 (Epigonidae)

Epigonidae|에피고누스과영어주걱치목에 속하는 물고기 과의 하나이다.[5][6]

다음은 베탕쿠르(Betancur)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

2. 1. 17. 심피사노돈과 (Symphysanodontidae)

Betancur영어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에서 디놀레스테스과심피사노돈과하웰과, 게르치과, 반딧불게르치과 등과 함께 더 큰 분지군을 형성한다.[5][6]

2. 1. 18. 하웰과 (Howellidae)

하웰과(Howellidae)는 베탕쿠르(Betancur)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에서 심피사노돈과, 게르치과, 반딧불게르치과와 함께 분류되는 과이다.[5][6]

2. 1. 19. 게르치과 (Acropomatidae)

게르치과하웰과, 반딧불게르치과와 함께 분류된다.[5][6]

2. 1. 20. 반딧불게르치과 (Synagropidae)

다음은 베탕쿠르(Betancur)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5][6]

{| class="wikitable"

|-

! 주걱치목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악어치과

|-

|

{| class="wikitable"

|-

| 헤메로코이테스과

|-

|



|}

|}

|-

|



|}

|-

|

{| class="wikitable"

|-

| 농어과

|-

|

{| class="wikitable"

|-

| 흙무굴치과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디놀레스테스과

|-

|

{| class="wikitable"

|-

|

눈퉁바리과
투어바리과



|-

|

{| class="wikitable"

|-

| 바티클루페아과

|-

|



|}

|}

|}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

|

게르치과
반딧불게르치과



|}

|}

|}

|}

|}

|}

|}

|}

참조

[1] 간행물 Family-group names of Recent fishes https://biotaxa.org/[...]
[2] 문서 Dinolestes 2020-11-05
[3] 문서
[4] 문서
[5] 문서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 Version 4 https://sites.google[...] 2016
[6] 간행물 Morphology and evolution of bioluminescent organs in the glowbellies (Percomorpha: Acropomatidae) with comments on the taxonomy and phylogeny of Acropomatiformes 2018-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