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주특별자치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주특별자치도는 대한민국 남쪽에 위치한 섬으로, 특별자치도로 지정되어 자치권을 보장받고 있다.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탐라국이라는 독립적인 정치 체제를 이루었다가 고려에 귀속된 후 조선 시대를 거쳐 일제강점기를 겪었다. 1946년 제주도로 설치되었고, 1948년 제주 4·3 사건을 겪으며, 2006년 제주특별자치도로 출범했다. 한라산을 중심으로 다양한 지형과 지질을 이루며, 온대와 아열대 기후가 나타난다. 주요 산업은 감귤 농업, 관광업, 수산업이며, 제주대학교 등 교육 시설과 제주항공, 제주은행 등 기업이 위치해 있다. 제주국제공항은 주요 교통 거점이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자연 및 문화유산과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감귤
    제주감귤은 삼국시대부터 재배된 제주도의 특산물로, 조선시대에는 임금에게 진상되던 귀한 과일이었으며, 일제강점기 이후 일본에서 들여온 품종과 2010년대 후반부터 국내 개발 품종이 재배되고, 감귤, 온주귤, 금귤, 만감류, 유자 등이 대표적인 종류이다.
  • 제주특별자치도 - FF-958 제주
    FF-958 제주는 대한민국 해군에서 연안 방어 임무를 수행하다 2022년 퇴역한 초계함이다.
  • 대한민국 기후 정보 - 서귀포시
    서귀포시는 제주도 남부에 위치하며, 천혜의 자연경관과 다양한 관광 명소를 자랑하고, 제주 유나이티드 FC의 연고지이며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 대한민국 기후 정보 - 울릉도
    울릉도는 동해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신라에 정복된 후 공도 정책과 어업권 분쟁을 겪었으며, 현재는 어업과 관광이 주요 산업이고, 독도를 포함한 해양 생태 보호를 위해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2025년 울릉공항 개항을 목표로 건설이 진행 중이다.
  • 2006년 설치 - 서귀포시
    서귀포시는 제주도 남부에 위치하며, 천혜의 자연경관과 다양한 관광 명소를 자랑하고, 제주 유나이티드 FC의 연고지이며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 2006년 설치 - 제주특별자치도자치경찰단
    제주특별자치도자치경찰단은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에 따라 2006년 7월 1일 출범하여 자치경무관을 단장으로 하며, 지방공무원으로 분류되고 일반 경찰관과 다른 제복을 착용한다.
제주특별자치도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한국어 이름제주특별자치도
제주어 이름제주특벨ᄌᆞ치도
한자 표기濟州特別自治道
로마자 표기 (개정)Jeju Teukbyeoljachi-do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Cheju T'ŭkpyŏl Chach'ido
위치대한민국 제주
수도제주시
하위 행정 구역2개 시, 5개 군
면적1,849 km²
인구 (2020년 11월)670,858 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지역 번호+82-64
우편 번호63XXX
공식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영어)
상징
진달래
나무녹나무
딱따구리
마스코트돌이 & 소리
정치 및 행정
정치 체제특별자치도
도지사오영훈
도지사 소속 정당더불어민주당
도의회제주특별자치도의회
국회 의석1.19% (지역구 의석)
분리전라남도에서 분리
분리일1946년 8월 1일
특별자치도 지정2006년 7월 1일
행정부지사김성중 (제11대)
정무부지사김희현 (제6대)
도청 소재지제주시 문연로 6
경제
GDP (2024년)31조 (미화 230억 달러)
1인당 GDP (2024년)미화 25,580달러
기타 정보
언어제주어, 한국어
HDI (2017년)0.888 (매우 높음)
ISO 3166-2KR-49
이미지
한라산
한라산
성읍 민속마을 돌하르방
성읍민속마을의 돌하르방
대포 주상절리
대포 주상절리
산방산
산방산
돌담과 유채꽃
돌담과 유채꽃
성산일출봉
성산일출봉
제주시와 한라산
제주시한라산
제주도의 위치
제주도의 위치
제주도의 지도
제주도의 지도
제주도 기
제주도 기
제주도 문장
제주도 문장
삼성혈
삼성혈
본태박물관
본태박물관
산방산과 유채꽃밭
산방산과 유채꽃밭

2. 역사

돌하르방


탐라 건국신화의 배경인 삼성혈


고대에 제주도는 탐라라고 불렸다. 탐라국이라는 독립적인 세력이 있었으나, 삼국사기에는 백제에 조공했다는 기록이 있는 등 백제, 신라에 조공하며 간접적인 지배를 받았다.

938년 고려에 복속된 후 1105년 탐라군이 설치되었으나, 구 지배층의 지방 지배는 인정되었다. 1259년 원나라에 복속되자 제주도는 몽골의 직할령이 되고 대규모 목장이 설치되었다.

1271년 진도에서 몽골·고려 연합군에 패한 김통정이 이끄는 삼별초가 제주도로 이동하여 항전을 계속하였다. 1273년 4월 김방경홍탁이 이끄는 고려군에 의해 삼별초는 궤멸되었고, 같은 해 몽골은 제주도에 탐라총관부를 설치하였다.

1294년 고려에 귀속되어 제주라는 명칭으로 돌아왔다. 1402년 탐라가 멸망하고 조선 제주목이 설치되었다.

조선시대 제주도의 행정구역 변천은 다음과 같다.

  • 1416년: 제주목에 정의현, 대정현 설치
  • 1864년: 정의현·대정현을 군으로 승격시켜 전라도 관찰사 관할하에 둠
  • 1880년: 다시 현으로 환원
  • 1895년: 23부제 시행으로 제주목을 부로 개편하고 관찰사를 둠. 제주부가 제주군·정의군·대정군을 관할 (3군)
  • 1896년: 제주도 전역이 전라남도에 속하고, 제주군이 제주목으로 개편 (1목 2군)
  • 1906년: 목사 폐지 (3군)


1914년 4월 1일 군면병합에 따라 제주군, 정의군, 대정군완도군 추자면을 '''제주군'''으로 편성하였다.[125] 1915년 5월 1일 도제 시행으로 제주군이 '''제주도'''로 개편되었다.[126][127] 1931년 4월 1일 제주면이 제주읍으로 승격되었다.[128] 1935년 4월 1일 각 면의 명칭이 개칭되었다.[129]

1946년 8월 1일 전라남도에서 분리되어 '''제주도'''가 설치되었다. 북제주군남제주군이 설치되었고, 행정 구역으로서의 제주도(제주군)는 폐지되었다.[130] 1955년 9월 1일 북제주군 제주읍이 제주시로, 1981년 7월 1일 남제주군 서귀읍과 중문면이 서귀포시로 승격되었다.

2006년 7월 1일 제주특별자치도로 개편되어 제주시서귀포시의 2개 행정시 체제가 되었다. 초대 도지사는 김태환이다.

2. 1. 고대

제주도는 예로부터 도이(島夷), 동영주(東瀛洲), 섭라(涉羅), 탐모라(耽牟羅), 탐라(耽羅), 탁라(乇羅), 영주(瀛洲)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이 명칭들 중 동영주와 영주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섬나라'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제주도에는 이미 초기 신석기 시대(약 1만여 년 ~ 8천 년 전)부터 현생인류가 거주하였다. 고산리, 북촌리 등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는 돌을 가공한 석기, 동물의 뼈로 만든 골각기, 토기 등은 이를 뒷받침한다. 또한 하모리, 삼양동, 가파도 등에서는 청동기 시대철기 시대의 유물인 고인돌, 간석기, 토기, 독무덤 등이 발굴되고 있다.[5]

제주도는 섬이라는 지리적 특성 때문에 육지와는 다른 3성(三姓) 신화를 가지고 있다. 옛날 양을나(良乙那), 고을나(高乙那), 부을나(夫乙那)라는 세 신이 한라산 북쪽 모흥혈(오늘날의 삼성혈)에서 솟아나와 사냥을 하며 살았다. 이들은 벽랑국(碧浪國)에서 온 세 공주를 아내로 맞아 농사를 짓고 소와 말을 기르며 살면서 제주도 성씨의 시조가 되었다고 한다.

이와는 별도로, 제주도에는 천지 창조 과정을 담은 '배포도업'과 두 형제가 이승과 저승을 나누어 다스리는 과정을 그린 '천지왕본풀이'와 같은 전통 무가가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934년 이상 기록된 역사서인 탐라기년


제주도에 존재했던 가장 오래된 정치 체제는 탐라국이었다.[5]

전설에 따르면, 삼성 신화에서 유래한 세 명의 반신(半神)이 한라산 북쪽 기슭에서 나타나 제주 사람들의 시조가 되어 탐라국을 세웠다고 한다.[6]

제주 사람들의 시조 중 한 명인 쿠라(Koulla)의 15대 후손 고후(Ko-hu)와 그의 형제들이 신라 궁정에 받아들여졌다는 주장도 있다. 당시 탐라라는 이름이 공식적으로 인정되었고, 세 형제는 신라 조정으로부터 장군, 왕자, 도지사 등의 관직을 받았다고 한다. 그러나 "삼성"(고, 양, 부)이 언제 나타났는지, 고후와 그의 형제들이 신라에 받아들여진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다. "삼성" 건국 시기는 한반도의 삼국 시대(고구려, 백제, 신라)와 비슷한 시기로 추정된다.[6]

고대에는 탐라국이라는 독립적인 세력이 있었으나, 삼국사기에는 백제에 조공했다는 기록이 있는 등 백제와 신라에 조공하며 간접적인 지배를 받았다.

2. 2. 삼국 시대와 고려 시대

제주도는 예로부터 도이(島夷), 동영주(東瀛洲), 섭라(涉羅), 탐모라(耽牟羅), 탐라(耽羅), 탁라(乇羅), 영주(瀛洲)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이 명칭들은 동영주와 영주를 제외하고는 모두 '섬나라'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146]

제주도에는 이미 초기 신석기 시대(약 1만여 년 ~ 8천 년 전)부터 현생인류가 거주하였다. 고산리, 북촌리 등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는 석기, 골각기, 토기 등과 하모리, 삼양동, 가파도 등에서 발견되는 청동기 시대철기 시대의 유적인 고인돌, 간석기, 토기, 독무덤 등이 이를 뒷받침한다.

제주도에 존재했던 가장 오래된 정치체는 탐라국이었다.[5] 전설에 따르면, 삼성신화에서 유래한 세 명의 반신이 한라산 북쪽 사면에서 나타나 제주 사람들의 시조가 되어 탐라국을 건국했다고 한다.[6]

  • 고을나의 15대 후손인 후, 청, 계의 세 형제가 신라에 입조해 탐라의 벼슬을 받아 탐라를 개국하였다.[146]
  • 476년에 탐라국이 백제에 공물을 바쳤다.[147]
  • 498년에 백제 동성왕에 의해 복속되었다.[148]
  • 662년에 탐라국이 신라에 복속되었다.[149]
  • 938년(태조 21년)에 탐라국의 태자 고말로가 고려 조정에 입조해 탐라국이 고려 왕조에 편입되었다.[150] 이후에도 고려시대 내내 탐라국·성주·왕자 등의 칭호는 유지되는 등 탐라국의 자치적 성격은 강하게 유지되고 있었다.
  • 탐라국은 1105년(숙종 10년)에 군주제가 폐지되고 탐라군으로서 고려의 행정 구역이 되었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왕자가 섬을 통치하는 왕국의 형태를 갖고 있었다.[151]
  • 1273년 몽골(원나라)에 저항하던 삼별초가 고려군에 의해 진압되고 원나라에 의해 탐라총관부가 설치된다.
  • 1295년 탐라는 다시 고려에 귀속되었고 제주로 개칭되었다.[152]

2. 3. 조선 시대

조선시대에 제주는 행정구역상 전라도 제주목으로 통합되어 초기부터 제주목사를 두었다. 1416년 태종 16년에는 한라산을 중심으로 제주목(濟州牧), 정의현(旌義縣), 대정현(大靜縣)으로 나뉘어 3읍제(邑制)가 실시되었고,[153] 1864년 고종 1년 2현이 군으로 승격하였으나, 1880년 고종 17년 다시 현으로 환원되었다. 조선 시대에 제주도는 유배지의 하나였으며, 경국대전에는 '제주에는 죄가 아주 중한 자를 제외하고는 유배시켜서 안 된다.'고 명시되어 있었다. 조선 사회에서는 제주도의 여인이 바다를 건너는 것을 금지했었는데, 정조 시대에는 굶주린 제주도 주민들을 구휼한 김만덕에게 육지 구경을 어명으로 허락하기도 했다.[153]

조선시대 제주도의 행정구역 변천은 다음과 같다.

연도사건
1895년 (고종 32년) 6월 23일 (음력 윤5월 1일)제주부 제주군, 정의군, 대정군으로 개편되었다.[154] (3군)
1896년 (건양 원년) 8월 4일전라남도 제주목, 정의군, 대정군으로 개편되었다.[155] (1목·2군)
1897년 (광무 원년) 9월 12일제주도에 제주목과 제주군을 신설하였다.[156] (1목·3군)
1906년 (광무 10년) 10월 1일제주목을 폐지하였다.[157] (3군)


2. 4.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에 제주도는 중일전쟁과 태평양 전쟁을 위한 병참기지로 활용되었다. 일본은 미군이 오키나와 다음으로 제주도를 공격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여, 1945년 4월 15일 제주도 사수를 위해 제58군사령부를 편성했다. 종전 직전까지 7만 명이 넘는 병력이 제주도에 집결했다.[158]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제주군 중면제주면 일원
대정군 우면대정면 일원
정의군 좌면정의면 일원
완도군 추자면, 보길면 횡간도추자면 일원
13면 - 제주면, 구좌면, 신좌면, 신우면, 구우면, 정의면, 동중면, 서중면, 우면, 대정면, 중면, 좌면, 추자면


구 행정 구역신 행정 구역
제주도 신우면, 구우면, 중면, 좌면, 우면, 서중면, 동중면, 정의면, 신좌면제주도 애월면, 한림면, 안덕면, 중문면, 서귀면, 남원면, 표선면, 성산면, 조천면


2. 5. 대한민국

1946년 8월 1일 미군정 군정법령 제94호(1946.7.2 공포)에 따라 전라남도에서 '''제주도(濟州道)'''가 분리 설치되었으며, 북제주군남제주군이 설치되었다.[164]

1948년 4월 3일 ~ 1954년 9월 21일 제주 4·3 사건으로 많은 사상자가 발생[165]했고, 상당수 도민들이 타지로 피난했다.

1955년 9월 1일 북제주군 제주읍이 제주시로 승격되었다. (1시·2군)

1981년 7월 1일 남제주군 서귀읍, 중문면이 서귀포시로 승격되었다. (2시·2군·7읍·5면)

2006년 7월 1일 제주도 행정 구역 개편 주민투표 결과에 따라 ''''제주특별자치도''''가 출범하였다. 북제주군이 구 제주시와 통합해 제주시로, 남제주군이 구 서귀포시와 통합해 서귀포시로 명칭을 변경하고, 각 시는 자치시에서 행정시로 격하되었다.

3. 지리

제주특별자치도는 한라산을 중심으로 동서쪽은 3˚~5˚, 남북쪽은 5˚ 정도의 경사를 이룬다. 섬의 지질은 퇴적암층, 현무암, 조면질안산암, 조면암 등의 화산암류와 화산쇄설암 등으로 구성되며, 일부 점사질 토양을 제외하면 대부분 흑갈색 화산회토로 덮여 있다.

주상절리

3. 1. 위치

러시아,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태평양 중심에 위치하는 지정학적 요충지이며, 동경 126도 08분 ~ 126도 58분, 북위 33도 06분 ~ 34도 00분에 위치해있다.[1]

3. 2. 지형과 지질

제주도(濟州島)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섬으로 면적이 1845.9km2이다. 한라산화산 활동으로 만들어진 섬으로, 가장 급한 경사가 5˚정도이므로 한라산을 중심으로 완만한 경사를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지질은 현무암퇴적암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점사질 토양을 제외하면 대부분 화산 회토로 덮여 있는 것이 특징이다. 우도는 제주특별자치도의 유인도 중 두 번째로 큰 섬이며, 추자도는 제주특별자치도 북서쪽 해상에 위치해 있다.

한라산을 중심으로 중앙에는 오름 또는 악이라 불리는 여러 기생 화산이 위치해 있다.

3. 3. 기후

제주특별자치도는 한라산을 중심으로 동서사면은 3°~5°의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남북사면은 5° 정도로 약간 급한 경사를 이룬다. 저지대는 아열대성 기후를 보이나, 한라산 등 고지대는 여름에도 서늘하며 겨울에는 대부분 영하권으로 떨어진다.[166][167][168][169][170][171][173][174]

한라산 백록담


다음은 제주특별자치도 주요 지점의 기후이다.

제주특별자치도 주요 지점별 기후
지점최고 기온 (℃)평균 기온 (℃)최저 기온 (℃)강수량 (mm)습도 (%)일조 시간 (hr)
제주시37.5°C16.2°C-6°C1502.368.81834.5
고산35.5°C15.7°C-6.2°C1182.975.02002.7
서귀포시35.9°C16.9°C-6.4°C1989.669.82074.6
성산36.2°C15.6°C-7°C2030.072.52006.9


4. 생태

제주 한림공원 내의 물고기


제주도의 유채밭


제주도는 한대성 및 열대성 동물이 함께 서식하고, 한라산을 중심으로 다양한 식물이 분포하는 등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한 지역이다. 한라산 일대는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1]

4. 1. 동물



제주도에는 한대성 동물과 열대성 동물이 함께 서식하고 있다. 포유류 77종, 조류 198종, 파충류 8종, 양서류 8종, 곤충류 873종, 거미류 74종 등이 서식한다. 식물은 한라산을 중심으로 난대, 온대, 냉대 식물이 수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그 종류는 2,001종에 달한다. 이는 백두산(500여 종), 지리산(1,000여 종)과 비교하면 매우 다양한 식물군이 분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천연기념물 8종이 포함되어 있으며, 한라산 일대는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1]

4. 2. 식물

한라산을 중심으로 난대, 온대, 냉대 식물이 수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2,001종에 달하는 식물이 서식하고 있다. 이는 백두산(500여 종), 지리산(1,000여 종)보다 훨씬 많은 종류이다. 이 중에는 천연기념물 8종이 포함되어 있으며, 한라산 일대는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1]

5. 행정

정부제주지방합동청사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청사


제주특별자치도청


제주특별자치도는 외교, 국방, 사법 등을 제외한 자치권이 보장되는 특별자치도다. 사람, 상품, 자본의 자유로운 이동과 기업 경영의 편의를 위한 국제자유도시 체제로서 자치경찰, 자치교육, 주민소환이라는 큰 틀에 따라 웬만한 행정사항은 제주특별자치도가 스스로 결정, 판단하고 실행한다.

특히 교육, 의료, 관광 분야의 개방으로 특별자치도의 자치가 최대한 보장되고 있다. 교육 분야에서는 교육과정을 자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자율학교와 외국인 투자자 및 국내외 해외 유학 수요 흡수를 위한 국제고등학교 설립이 가능하다. 2014년 8월 29일 한국국제학교(KIS) 고등학교 건물 준공식이 열렸으며[1], 유·초·중등 및 대학뿐 아니라 외국 교육기관의 설립도 허용된다. 외국 대학은 도내 대학 또는 전문대 교육시설을 이용해 교육과정을 설치·운영할 수 있다.[1] 2008년부터 교육감은 주민 직선으로 선출되며, 자율학교·국제고·외국인학교 설립·운영에 대한 전권을 행사한다.[1]

기업 지원은 타 광역지방자치단체에 비해 파격적이다. 내·외국인 구분 없이 관광·의료·교육·정보통신산업 등에 500만 달러 이상 투자 시 재산세를 10년간 면제하며, IT·BT 등 첨단 산업에 대한 국·공유지 임대 기간은 50년이고, 원하면 연장도 가능하다.[1] 외국인 투자지역에 대한 지방세 감면 혜택은 종전 7년간 100%, 3년간 50%에서 15년간 100%로 확대되었고, 무주택 한국인에게 민영주택 건설량의 10% 범위 안에서 주택을 특별 공급하는 등 외국인 투자기업에 대한 지원이 강화되었다.[1]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해 테러 지원국 등 8개 국가 외국인을 제외한 모든 관광객은 비자 없이 왕래할 수 있으며, 외국인 전용 카지노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중앙정부 소관이었던 설립 감독권 및 관광진흥개발기금 운영 권한을 가지고 있다.[1]

외국 영리법인의 의료기관 설립이 자유롭고, 외국 병원의 내국인 진료도 허용된다.[1] 외국인 설립 의료기관은 외국인 환자 소개·알선 행위가 가능하며, 외국인 전용 약국도 개설할 수 있다.[1] 전국 최초로 특별자치도지사 소속 자치경찰제가 도입되어 운영 중이다. 자치총경이 단장인 제주자치경찰은 일반 범죄에 대한 수사권은 없으나, 불심검문, 보호조치 등은 경찰관직무집행법에 따라 수행한다. 다만, 수사권은 치안 유지를 위해 중앙정부 소속 제주경찰청 소속 경찰이 수행한다.[1]

중앙정부는 기업 규제 철폐 지원 등 특별자치도의 자치도 보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많은 부분에서 개혁이 예상된다. 정부의 기존 권한 중 144개 분야 1,060여 건이 제주지사에게 이양되었고, 연내 '행정규제기본법'에 따른 8,000여 가지 규제 중 제주에 꼭 적용해야 하는 것만 정해질 예정이다.[1] 국무총리가 위원장인 제주특별자치도지원위원회와 사무처가 설치되어 규제 자유화, 중앙 권한 추가 이양 등 2단계 과제를 추진할 계획이다.[1] 2009년 4월 22일 제주특별자치도의 깃발이 새로운 깃발로 교체되었고, 제주도 통합 이미지도 발표되었다.[1] 2009년 6월 1일부터 6월 2일까지 한국-아세안 특별정상회의가 열렸으며,[1] 같은 해 9월 9일부터 9월 14일까지 델픽축제가 개최되었다.[1]

5. 1. 역대 도지사

대수이름임기
제4대오영훈2022년 7월 1일 ~ 현재
권한대행구만섭2021년 8월 12일 ~ 2022년 6월 30일
제3대원희룡2014년 7월 1일 ~ 2021년 8월 11일
제2대우근민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초대김태환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도지사 밑에 제주특별자치도 자치경찰단이 경찰청의 제주지방경찰청과 병존하고 있다.

5. 2. 행정 구역

2006년 7월 1일 제주특별자치도가 출범하면서 북제주군제주시로, 남제주군서귀포시로 각각 통합되었다. 자치행정구역은 폐지되었으며, 제주시서귀포시 2개의 행정시만 존재한다.

이름한자명인구 (2020)구획
제주시濟州市489,73419 동, 4 읍, 3 면
서귀포시西歸浦市181,05912 동, 3 읍, 2 면


5. 3. 폐지된 행정 구역

6. 인구

2014년 4월 말 기준 제주특별자치도의 인구는 240,259세대, 608,313명이다. 주민등록 인구는 남성 299,643명, 여성 298,372명이다. 등록 외국인은 8,074명이다.[175]

인구 변동 추이
년도인구인구밀도(명/km2)
1970년365,522200.86km2
1975년411,372206.22km2
1980년462,755253.57km2
1985년488,576267.74km2
1990년514,608281.88km2
1995년519,394281.46km2
2000년543,323294.28km2
2005년559,747302.85km2
2010년571,255312.19km2
2011년576,186315.43km2
2012년592,449320.52km2
2013년593,806
2014년607,346
2015년624,395
2016년641,597
2017년657,083
2018년667,191


7. 정치

2005년 1월 27일 노무현 당시 대통령은 제주도를 '세계 평화의 섬'으로 지정 선포하였다. 정부와 제주특별자치도는 세계 평화의 섬 17개 사업을 선정하여 추진하기로 하였으나, 일부 사업은 시작도 못하고 있으며 절반 이상이 유보되거나 아직 추진 중이다.[177]

7. 1. 국회의원

제주특별자치도에는 3명의 국회의원이 있다.

7. 2. 세계 평화의 섬

2005년 1월 27일 노무현 당시 대통령은 제주도를 세계 평화의 섬으로 지정 선포하였다. 이어서 정부와 제주특별자치도는 세계 평화의 섬 17개 사업을 선정하여, 제주4·3 추모일 지정, 국제평화재단제주평화연구원 설립, 제주 평화 포럼 정례화, 남북 장관급 회담 개최, 모슬포 전적지 공원 조성, 동북아 협력체 창설 등을 추진하기로 하였다.[176] 하지만 모슬포 전적지 공원 조성과 동북아 협력체 창설 등 국가적 지원이 필요한 2개 사업은 아예 시작하지도 못하고 있으며 17개 사업 중 절반 이상이 유보되거나 아직까지도 추진 중으로 나타나고 있다.[177]

8. 산업

제주특별자치도는 지질 특성상 농업이 잘 되지 않아 농사는 극히 드문 지역에서만 이루어지며, 주로 감귤 농사를 짓는 1차 산업이 발달했다. 관광업과 수산업도 이루어지고 있다. 제주도는 동방의 하와이라고 불리며, 과거에는 일본인 관광객이 가장 많았으나, 최근에는 중국인 관광객이 증가하여 2010년대 초반에는 36만 1,000명으로 1위를 차지했다.[178]

공업은 대한민국 전체 도 중에서 가장 미약하지만, 최근 농산·축산·수산 자원과 저렴한 노동력을 바탕으로 식품·섬유 등의 공업이 발전하고 있다. 등록된 공장 수는 280개소이며, 대부분 중소 규모의 농수산물 가공, 식품·음료 공장이다.

제주 경제는 전통적으로 농업과 어업에 의존해왔지만, 연간 천만 명의 관광객이 방문하면서 관광업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72] 2010년대 초반부터는 수십만 명의 중국인 관광객이 방문하기 시작했고 그 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2006년 제주도의 GDP는 8조 5천억 (약 85억달러)으로 추산되었으며, 1인당 약 1천 5백만 원이었다. 같은 해 제주도 예산은 1조 1천억 원으로, 2005년 대비 10% 증가했다.

제주도는 한국 대표 인터넷 기업인 다음 커뮤니케이션즈[73]의 주요 기능을 담당하는 곳이며, 2010년 8월까지 라이코스의 단독 소유주였다.

또한, 제주도는 2009년 아세안-한국 특별정상회의를 개최한 ICC 제주라는 국제 컨벤션 센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많은 국제 회의와 회담을 개최한 것으로 유명하다. 2010년 대한민국 정부는 제주도를 국제 MICE 산업의 중심지로 육성하는 임무를 부여했고, 그 이후로 제주도는 1만 명 규모의 중국 바오전 그룹 인센티브 행사와 8천 명 규모의 암웨이 한국 인센티브 행사 등 여러 주목할 만한 행사를 개최했다. 2010년 제주도는 67개의 행사를 유치하여, 국제 회의 개최지 순위에서 세계 27위, 아시아 7위를 기록했다.[74]

1993년, 대한민국은 제주도에 해군기지 건설을 계획하기 시작했다. 2007년 6월, 강정마을이 9.7억달러 규모의 해군기지 건설 예정지로 선정되었다. 이 기지는 시드니와 하와이와 유사한 군사·상업 복합항으로 설계되어 20척의 군함과 3척의 잠수함, 그리고 최대 15만 톤급의 민간 유람선 2척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계획되었다. 공식 명칭은 '제주 민군복합항'이다. 그러나 제주도 주민, 환경 운동가, 야당은 환경 위험을 이유로 건설에 반대했다.[47] [48] 주민들은 시위를 벌이고 소송을 제기하여 건설을 막으려 했으며,[49] 시위로 인해 건설이 지연되었고, 기지는 2016년에 완공되었다.[50]

8. 1. 농업 및 목축업

제주의 대표적인 특산물 감귤


따뜻하고 가 많은 기후, 기름진 토양, 넓은 경작지 등 난대성 농업에 적합하나, 보수력(保水力)이 약해 논농사는 불리하다. 경지 면적은 59167ha로 총면적의 30%이며, 경지이용률은 140%로 전국에서 가장 높으나, 경지 중 논의 비율은 1.1%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모두 밭과 과수원이다.

농가 인구는 총 118,709명, 농가는 39,784가구다. 원예농업이 발달하여 감귤은 대한민국에서 거의 유일하게 경제적인 재배가 가능한 곳으로, 감귤 농업은 제주도의 가장 대표적인 산업으로 알려져 있다. 감귤의 주산지는 서귀포에서 제주로 확대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감귤 단작에 따른 피해를 줄이기 위해 감귤의 품종을 다양화하고 참다래 등 대체 과수 재배를 확대하고 있으며, 온실 재배를 통한 바나나, 파인애플, 망고 등의 열대성 작물 재배도 늘리고 있다. 식량작물은 2002년 맥류 14,621톤, 두류 6,902톤, 서류 20,862톤을 각각 생산했고, 감귤은 788,679톤을 생산하여 총 3164.94억의 수입을 올렸다.

한라산 기슭은 천연의 목장으로 고려 때부터 국영 종마장이 있었고, 지금도 66000ha의 목초지가 조성되어 있다. 100여 곳의 기업 목장에서 , 젖소, 면양, 등을 사육하며, 토종 농작물인 '''쌈용 콩잎'''[179]과 '''푸른 독새기 콩'''[180] 등이 있다.

경사진 지형이 많은 관계로, 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기아 세레스같은 4륜구동 트럭을 많이 이용한다.

8. 2. 수산업

2002년 12월 기준 어업 종사 인구는 20,390명이며, 이 중 농업을 겸하는 어민이 68.6%를 차지한다. 어선은 3,099척을 보유하고 있다. 주요 수산물로는 갈치, 고등어, 도미, 조기, 삼치, 전갱이, 방어, 소라, 오징어, 꽃게, 새우, 톳, 미역, 다시마, 우뭇가사리 등이 있다. 이 외에도 전복, 소라, 해삼 등이 소량 어획된다. 주요 어업 기지는 제주, 서귀포, 김녕, 한림, 모슬포, 성산포, 추자도 등이다. 연안 어업에서는 해녀의 활동이 중요하지만, 현재는 고령화로 인해 그 수가 감소하였다.[57]

8. 3. 특산물



대한민국에서 감귤의 경제적인 재배가 거의 유일하게 가능한 곳인 제주특별자치도는 따뜻하고 가 많은 기후, 기름진 토양, 넓은 경작지 등 난대성 농업에 적합하다. 감귤 농업은 제주도의 가장 대표적인 산업으로,[179][180] 주산지는 서귀포에서 제주로 확대되고 있다. 최근에는 감귤 단작에 따른 피해를 줄이기 위해 품종을 다양화하고 참다래 등 대체 과수 재배를 확대하고 있으며, 온실 재배를 통해 바나나, 파인애플, 망고 등의 열대성 작물 재배도 늘리고 있다.

한라산 기슭은 천연의 목장으로 고려 때부터 국영 종마장이 있었고, 지금도 66,000ha의 목초지가 조성되어 있다. 100여 곳의 기업 목장에서 , 젖소, 면양, 등을 사육하며, 토종 농작물인 '''쌈용 콩잎'''과 '''푸른 독새기 콩'''이 있다.

어업에서는 갈치, 고등어, 도미, 조기, 삼치, 전갱이, 방어, 소라, 오징어, 꽃게, 새우, 톳, 미역, 다시마, 우뭇가사리 등이 잡힌다. 양은 많지 않지만 전복, 소라, 해삼 등도 잡힌다. 해녀들의 활동이 크지만, 현재는 고령층에 한정되어 그 수가 적어졌다.

감귤돌하르방 외에도 말, 돼지, 갈옷, 옥돔·젓갈류·넙치·성게·소라 등 각종 해산물이 제주도의 특산물로 알려져 있다. 제주석·제주향수·먹는샘물·송이벽돌·술(허벅술, 백록담, 한라산)·설록차·토종꿀·마늘샘·양파샘·토마토·양파·양배추·당유자차·귤호박잼·어성초차·어성초엿·꿩엿·선 인장차·양란(심비디움)·백합·김치·당근(농축액)·흑대두·당근·표고버섯·찐톳 등도 유명하다.

전복죽


제주도는 대한민국 본토에서 떨어져 있어 담수 부족으로 논농사는 소규모로만 이루어진다. 밀, 기장, 메밀, 보리와 같은 곡물 재배가 농업의 주를 이룬다. 제주 전통 음식은 여러 가지 곡물을 섞어 찐 잡곡밥을 주식으로 하고, 자반(멸치, 갈치 등의 건어물)을 반찬으로, 된장국(배추국, 콩잎국, 무국 등)을 곁들여 먹는 것이 일반적이다. 제주 음식은 재료가 간단하고, 맛은 대체로 짭짤하다.

회는 식사의 한 부분으로 흔히 먹는다. 따뜻한 날씨는 제주의 음식 문화에 영향을 미쳐 김장을 할 필요가 없다. 제주 사람들은 소량의 김치만 담근다. 제주 음식의 대표적인 주요리로는 생선, 해산물, 해초 또는 버섯으로 만든 죽이 있는데, 전복죽, 옥돔죽, 깅잇죽(깅잇죽/겡잇죽), 미역죽, 표고버섯죽 등이 있다.

감귤은 제주도에서 흔히 재배되는 귤과 비슷한 종류의 감귤류 과일이다. 흑돼지도 제주도의 별미인데, 검은 털과 쫄깃한 식감의 고기로 유명하며, 영양가가 풍부하고 돼지고기 특유의 냄새가 나지 않는다. 흑돼지는 긴 얼굴, 좁은 주둥이, 곧게 선 작은 귀가 특징이다. 말고기도 제주도의 별미이다.

9. 문화 및 관광

제주특별자치도는 한국의 다른 지방과 구별되는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다. 설문대할망 신화, 삼성 신화, 이어도 설화 등 여러 전설과 설화가 전해져 내려오며, 이어도사나라는 민요는 이어도 설화와 관련이 있다. 제주도는 예로부터 무속이 강하여 무가(巫歌)가 잘 보존되어 있다.[69]

제주도에는 '옛말'이라는 단어로 불리는 많은 신화와 전설이 전해져 내려온다. 옛말은 신화나 민담의 내용을 전달하며, 대부분 속담이나 철학적 명제의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이야기들은 화자와 청자 간의 산문 형태로 구전되며, 제주도의 역사적 사건에서 비롯된 진실의 요소를 담고 있다. 이 이야기들은 구전 문학으로 분류될 수 있지만, 철학적 의미를 지니기도 하다.[69]

제주도 이야기의 특징은 자연과 역사적 전설의 형태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아흔아홉골 전설'은 지도자로서의 재능을 가진 인물이 부족했던 역사적 상황을 보여주며, 기하학적 운명론적 관점을 제시한다. 제주도의 역사적 전설은 일반적으로 특별한 힘을 가진 인물을 중심으로 전개되지만, 섬의 한계는 '굶주린 장사'의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말머리전설'이 대표적인 예인데, 이러한 이야기는 제주도 사람들의 한계를 보여준다. 주인공은 강한 영웅으로 태어났지만 역사적 고립을 극복하지 못한다.[70]

'설문대 할망' 신화에 따르면, 설문대 할망은 성산일출봉에서 애월읍의 관탈섬까지 한 걸음에, 한라산까지 두 걸음에 갈 수 있을 정도로 매우 강했다. 그녀는 500명의 자식을 두었고, 흙 일곱 삽으로 한라산을 만들었다고 한다. 어느 날, 설문대 할망은 아들들이 사냥을 나간 사이에 국을 끓이다가 솥에 빠져 죽었다. 아들들이 돌아와 배고픈 채로 국을 먹었는데, 그 국에 어머니가 들어 있다는 것을 몰랐다. 하지만 막내아들은 그 사실을 알고 다른 형제들에게 알렸고, 온 가족이 슬피 울며 500개의 돌로 변했다.[71]

제주 돌문화공원 조각상


제주도 유채꽃밭


관광은 제주 경제의 중요한 부분이다. 2018년 보고에 따르면 제주의 서비스업이 섬의 GRDP의 약 73.7%를 차지했다.[75] 온화한 기후, 아름다운 자연 경관, 해변은 한국인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다른 지역 방문객들에게 인기 있는 관광지로 만들었다.[76][77] 이 섬은 "한국의 하와이"라고 불리기도 한다.[78][79] 제주도 관광은 한국 정부 지원 기업인 제주관광공사에서 홍보하고 있다.[80]

섬에서 가장 인기 있는 관광지는 천제연, 천지연 폭포, 한라산, 협재굴, 형제섬이다. 제주에서는 골프, 승마, 사냥, 낚시, 등산 등 다양한 레저 스포츠를 즐길 수 있다. 계절에 따라 펭귄 수영 대회, 봄철 벚꽃 축제, 여름철 한여름밤의 해변 축제, 가을철 제주마 축제 등 많은 관광 축제가 열린다. 대부분의 관광객들은 제주국제공항을 통해 섬으로 이동하며, 섬 내 이동은 렌터카를 이용한다. 제주의 특산물인 자리돔과 귤, 기념품, 면세점 쇼핑 등이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많다.

제주는 New7Wonders Foundation의 New 7 Wonders of Nature 캠페인을 통해 새로운 7대 자연경관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이 캠페인은 수억 표를 얻었으며 상위 7개의 경관이 2011년 11월 11일에 발표되었다. 섬의 박물관으로는 넥슨컴퓨터박물관이 있다.

1962년, 대한민국 정부는 한국국제관광공사(KNTC)를 설립했으며, 이후 한국관광공사(KNTO)로 이름이 변경되었다.[81] 한국은 풍부한 천연자원이 부족하지만, 관광은 대한민국 전국적으로 수입을 창출하는 산업이다. 특히 제주도에서는 관광이 경제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82] 제주도는 "따뜻한 날씨와 아름다운 해변을 찾는 아시아 관광객들에게 겨울철 여행지"이다.[83]

제주도는 66만 명의 주민이 거주하지만, 연간 1,500만 명의 방문객이 찾는다.[84] 제주도에서는 영어가 널리 사용되지 않으며, 제주어는 한국어와 매우 다르다.[85] 최근까지 중국 여행객이 외국인 여행객의 80%를 차지했지만,[85] 한국에 사드(THAAD,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가 배치되면서 중국인 관광객이 급감했다. "사드는 북한 미사일로부터 방어하기 위한 것"[86] 이지만 중국은 이를 안보 위협으로 본다. 2017년 관광객이 급감했지만, 제주도는 여전히 아시아 관광객의 휴양지로 인기가 있다. 90일까지 체류하는 방문객에게는 비자 요건이 없다.[82] 그리고 두 번째 국제공항 건설 계획이 논의되고 있다. 현재 제주국제공항은 혼잡하며,[87] 도쿄, 오사카, 베이징, 상하이, 타이페이 등 주요 도시로의 직항편을 더 늘리고 싶어 한다.[82]

제주도 해변


외국인 관광객 증가로 경제가 호황을 누리고 있지만, 주민들은 제주 관광의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 "대부분의 상업 시설은 외국인과 대기업이 소유하고 있다."[85] 관광객 증가 외에도 해변 오염, 교통 문제, 지하수 과다 소비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85] 제주도 자치단체는 2030년까지 탄소 중립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85] "대한민국 전기차의 거의 절반이 제주도에 등록되어 있다".[85]

제주도는 추가 공항 건설과 관광 확대 계획 외에도 소규모 기술 허브를 보유하고 있다. 2005년 제주과학기술단지가 조성되어 기술 기업과 기관들을 위한 복합단지가 되었다. 조성 이후 117개의 IT 및 바이오 기술 기업을 유치했으며 다음카카오 본사가 위치해 있다.[88]

제주도는 2021년 넷플릭스(Netflix) 오리지널 시리즈 ''오징어 게임''에 등장한 후 한국 밖에서 더 잘 알려지게 되었다.[89] 또한 2022년 넷플릭스(Netflix) 오리지널 시리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의 "제주의 푸른 밤 1, 2" 에피소드의 촬영지이기도 하다.

9. 1. 제주 방언

제주어는 한국의 다른 지방 방언과 매우 달라서 별개의 언어로 분류될 정도로 이질적이다. 언어학적으로 한반도의 언어보다는 일본어에 가깝다. 현재는 노인층 화자를 중심으로 명맥이 이어지고 있지만, 화자가 노인층에 국한되고 청장년 계층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하지만 제주인들이 내륙 지방 사람들과 제주 사람을 구분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그래서 유네스코는 제주어를 5개의 소멸 위기 단계 중 4단계인 ‘아주 심각하게 위기에 처한 언어’로 분류했다.[181] 그러나 최근 문화적 다양성이 주목받으면서 제주어에 대한 재조명이 이루어짐에 따라 교육과 활용이 활발해지고 있다.

9. 2. 올레길

올레길은 사단법인 제주올레에서 발굴한 도보여행자가 다니는 길로, 작은 길을 뜻하는 제주도 방언에서 유래하였으며, 제주도 해안가 전체에 조성되어 있다.[183]

코스는 다음과 같다.[184]

코스 번호코스 이름
1시흥-광치기 올레
1-1우도 올레
2광치기-온평 올레
3온평-표선 올레
4표선-남원 올레
5남원-쇠소깍 올레
6쇠소깍-외돌개 올레
7외돌개-월평 올레
7-1월드컵경기장-외돌개 올레
8월평-대평 올레
9대평-화순 올레
10화순-모슬포 올레
10-1가파도 올레
11모슬포-무릉 올레
12무릉-용수 올레
13용수-저지 올레
14저지-한림 올레
14-1저지-무릉 올레
15한림-고내 올레
16고내-광령 올레
17광령-산지천 올레
18산지천-조천 올레
18-1추자도 올레
19조천-김녕 올레
20김녕-하도 올레
21하도-종달 올레


9. 3. 자연 및 문화유산

유네스코(UNESCO)가 인정한 생물권보전지역, 세계자연유산, 세계지질공원 3관왕을 달성한 세계에서 유일한[185] 지역이다.

2007년 6월 27일 제31차 세계유산위원회의에서 만장일치로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이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되었다.[186]

  •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Jeju Volcanic Island and Lava Tubes'')
  • * 거문오름용암동굴계
  • ** 거문오름
  • ** 벵뒤굴
  • ** 만장굴
  • ** 미천굴
  • ** 김녕굴
  • ** 용천동굴
  • ** 당처물동굴


2002년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지역으로 선정된 곳은 다음과 같다.

2010년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네트워크(GGN)에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받았다.[187]

유네스코에서 제주의 해녀 문화를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하였다.[188]

천지연폭포


상공에서 본 협재해수욕장과 그 일대


10. 스포츠

제주월드컵경기장


제주특별자치도는 K리그1 소속 제주 유나이티드가 활동하고 있으며, 제주월드컵경기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한다. 제주 유나이티드는 1982년에 창단되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축구 외에도 다양한 레저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종목리그명팀명창단 연도홈 경기장
축구K리그1제주 유나이티드1982년제주월드컵경기장


10. 1. 축구

제주특별자치도는 제주월드컵경기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는 K리그1 소속 제주 유나이티드가 활동하고 있으며, 제주특별자치도에 있는 유일한 프로 스포츠 클럽이다. 제주 유나이티드는 2010년 K리그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62]

가장 큰 스포츠 행사로는 백호기 축구대회가 있다. 백호기 축구대회는 제주도 내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축구부가 참여하며, 각 학교간 자존심 대결 못지않게 다채로운 응원전으로 유명하다. [62]

10. 2. 레저

골프, 패러글라이딩, 스쿠버다이빙, 스포츠승마, 윈드서핑 등 다양한 레포츠를 제주에서 즐길 수 있다.[75] 골프, 승마, 사냥, 낚시, 등산과 같은 다양한 레저 스포츠도 제주에서 즐길 수 있다.[75] 계절에 따라 겨울철 펭귄 수영 대회, 봄철 벚꽃 축제, 여름철 한여름밤의 해변 축제, 가을철 제주마 축제 등 다양한 관광 축제도 열린다.[75]

11. 교통

제주도는 66만 명의 주민이 거주하지만, 연간 1,500만 명의 방문객이 찾는다.[84] 주요 대중교통 수단으로는 택시와 버스가 이용되며, 대한민국의 다른 지방과 달리 철도는 없다.

1968년에 지어진 제주국제공항인천국제공항 다음으로 이용객 수와 운항 횟수가 많은 공항이다. 국제선은 일본도쿄, 오사카, 중화민국타이베이, 중화인민공화국의 베이징, 상하이 등지에 직항로가 개설되어 있다. 국내선은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진에어 등이 대한민국 각 주요 도시를 운항하고 있다.[82]

제주국제공항


2015년 11월 10일 국토교통부는 제주도 제2공항 건설을 공식 발표하였으나, 현재까지 건설되지 않았다.

해상교통은 3천t급 이상의 카페리호가 제주해협을 통해 한국 본토에 취항하고 있으며, 제주항을 기점으로 목포는 1일 2회(2만4천t급 씨스타크루즈호, 산타루치노호), 완도는 2회, 해남우수영·부산·녹동·여수는 각 1회 등으로 왕복한다.[99]

제주특별자치도는 한국 본토와 다른 독자적인 비자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따라서 아래 국가를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 국민들은 제주도에 30일 동안 무비자로 체류할 수 있다.[99]

제주도 입국시 비자가 필요한 국가


11. 1. 도로

대한민국의 도 중에서 유일하게 고속국도일반국도가 없다. 일반국도2008년에 모두 지방도로 격하되어 사라졌다. 제주특별자치도 내 도로의 총연장은 3,206km이고 포장률은 84%이다. 국가지원지방도97호선이 유일하다. 지방도1112, 1114, 1115, 1116, 1117, 1118, 1119, 1120, 1121, 1122호선 등은 순수 지방도이며, 1131, 1132, 1135, 1136, 1139호선 등은 국도였던 지방도이다.[189]

11. 2. 대중교통

제주특별자치도는 대한민국의 다른 지방과 달리 철도가 없다. 과거에는 제주도순환궤도라는 철도가 있었으나 폐선되었다. 주요 대중교통 수단으로는 택시와 버스가 이용된다.

제주특별자치도는 한국 본토와 다른 독자적인 비자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따라서 아프가니스탄, 쿠바, 가나, 이라크, 코소보, 리비아, 나이지리아, 팔레스타인, 북한, 수단, 시리아, 소말리아, 예멘을 제외한[99] 대부분의 국가 국민들은 제주도에 30일 동안 무비자로 체류할 수 있다.

중국인 관광객은 제주도 방문에 비자가 필요하지 않으며,[103] 2010년대부터는 대한민국 운전면허증 취득을 위한 특별 여행 상품을 통해 제주도를 방문하기도 한다. 대한민국 운전면허증 시험은 중국과 유사하지만 더 짧은 시간에 더 쉽게 완료할 수 있으며, 여러 언어로 제공된다. 또한, 중국 면허와 달리 국제운전면허증 취득 자격이 주어진다.[103]

11. 2. 1. 항공

1968년에 지어진 제주국제공항이 유일하다. 이용객 수와 운항 횟수로는 인천국제공항 다음으로 두 번째로 많은 대한민국의 이용객이 많은 공항이다. 국제선은 일본도쿄·오사카, 중화민국타이베이, 중화인민공화국의 베이징·상하이 등지에 직항로가 개설되어 있다. 국내선은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진에어 등이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여수, 진주, 포항, 울산, 청주, 원주대한민국 각 주요 도시를 운항하고 있다.

2015년 11월 10일 국토교통부에서 제주도 제2공항 건설을 공식 발표하였으나, 현재까지 건설되지 않았다.

제주도는 대한민국 본토와는 다른 독자적인 비자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따라서 다음 국가를 제외한 모든 일반 여권 소지자는 대한민국 본토에 비자를 받아야 하는 경우에도 제주도에서 30일 동안 무비자로 체류할 수 있다.[99]

입국시 비자가 필요한 국가



본토에서 출발하는 국내선 항공편은 신분증 확인이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제주도에서 본토로 입국하려는 승객은 주민등록증, 제주도민증,[100][101] 경찰청 또는 제주특별자치도자치경찰단이 발급한 대한민국 운전면허증, 또는 적절한 비자가 부착된 여권, 무비자 여권, 또는 유효한 미국 비자가 있는 여권과 같은 신분증을 지참해야 한다.

제주국제공항제주시 시가지에 위치해 있다.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외에도 제주항공 등의 저비용 항공사가 취항하고 있다.

제주국제공항의 여객 수는 인천국제공항에 이어 국내 2위이며, 혼잡 시간대에는 3분 간격으로 항공기가 이착륙한다. 이 때문에 서귀포시 신산리에 신공항을 건설하는 계획이 있다.[133] 한국 정부는 2025년 개항을 목표로 했으나, 주민들의 반대로 계획이 중단되었다.[134]

참고로 김포-제주 노선은 세계에서 여객 수가 가장 많은 항공 노선이다.

11. 2. 2. 해상

해상교통은 3천t급 이상의 카페리호가 제주해협을 통해 한국 본토(목포·부산·완도·녹동·여수)에 취항하고 있으며, 제주항을 기점으로 목포는 1일 2회(2만4천t급 씨스타크루즈호, 산타루치노호), 완도는 2회, 해남우수영·부산·녹동·여수는 각 1회 등으로 왕복한다.[99] 장래에는 제주도에서는 울릉도 관광 환승 활성화 및 국제화 무대 진출을 위해 울산 경유 포항행 배편, 고토 열도, 나가사키항 등은 물론 규슈 제1의 관문인 후쿠오카시하카타항 방면 부정기 여객선 취항이 예정되어 있다.

제주도는 대한민국 본토와는 다른 독자적인 비자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따라서 아프가니스탄, 쿠바, 가나, 이라크, 코소보, 리비아, 나이지리아, 팔레스타인, 북한, 수단, 시리아, 소말리아, 예멘을 제외한 모든 일반 여권 소지자는 대한민국 본토에 비자를 받아야 하는 경우에도 제주도에서 30일 동안 무비자로 체류할 수 있다.[99]

다음은 제주도에 무비자로 입국할 수 없는 국가 목록이다.



중국인 관광객은 대한민국의 다른 지역과 달리 제주도 방문에 비자가 필요하지 않다.[103]

12. 교육

제주특별자치도에는 초등학교 105개, 중학교 41개, 고등학교 29개, 대학교 6개가 있다.

; 종합대학



; 전문대학

13. 기업

제주특별자치도는 주요 교통 중심지로, 제주국제공항제주항이 있다. 제주-서울 노선은 세계에서 가장 분주한 항공 노선 중 하나로, 2017년에는 약 1,340만 명이 이용했다.[108] 제주항은 제주도에서 가장 큰 항구이며,[109] 부산에서 배편을 이용해 제주도로 갈 수도 있다.[110]

제주도에는 철도가 없지만,[111] 케이티엑스(KTX)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철도 터널 건설이 제안되었으나 비용 및 토착 문화 유실 우려로 보류 중이다.[112] 2019년에는 공공 교통 모바일 IoT 서비스가 시작되었다.[113]

제주반도체, 카카오 등의 IT 기업, 제주국제자유도시방송, KBS 제주, 제주MBC, KCTV 제주 등의 방송국, 제주은행과 같은 금융기관, 제주항공을 비롯한 여러 항공사, 그리고 제주관광공사,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와 같은 공기업도 제주특별자치도에 있다.

13. 1. IT

제주특별자치도에는 제주반도체와 카카오 등의 IT 기업이 있다.

13. 2. 방송

제주특별자치도에는 텔레비전 및 라디오 방송국으로 제주국제자유도시방송(SBS 계열), KBS 제주, 제주MBC, KCTV 제주 등이 있다. 이들 방송국은 모두 제주도청이 있는 제주시에 기반을 두고 있다. 과거 KBS는 서귀포시에 NHK 지방방송국에 해당하는 중계국을 설치했으나, 합리화에 따라 폐지되었다.[135]

제주특별자치도 AM 라디오 방송 현황
방송국명호출 부호주파수출력(W)방송 시간 (KST)
KBS제주 제1방송HLKS963kHz10k24시간[135]
제주MBCHLAJ774kHz10k24시간 (휴지 시간 있음)
FEBC 제주HLAZ1566kHz250k/100k24시간[136]



제주특별자치도 FM 라디오 방송 현황
방송국명호출 부호제주시 주파수/출력(W)서귀포시 주파수/출력(W)방송 시간 (KST)
KBS제주 제1방송HLKS-SFM99.3MHz/3k95.3MHz24시간[135]
KBS제주 제2방송HLQC-SFM91.9MHz/3k89.7MHz5:00~익일 3:00
제주MBCHLAJ-SFM97.9MHz/1k97.1MHz/1k24시간 (휴지 시간 있음)
FEBC 제주HLAZ-SFM104.7MHz/1k101.1MHz/1k24시간[136]
KBS 제주 음악 FMHLKS-FM96.3MHz/3k99.9MHz/3k24시간
제주MBC FM4UHLAJ-FM90.1MHz/3k102.9MHz/3k24시간 (휴지 시간 있음)
JIBS NewPowerFMHLQC-FM101.5MHz/3k98.5MHz/1k24시간 (휴지 시간 있음)
EBS107.3MHz/3k104.9MHz/3k5:00~익일 2:00
제주CBSHLKO-FM93.3MHz/3k90.9MHz/1k5:00~익일 1:00
아리랑 라디오88.7MHz88.1MHz6:00~익일 2:00



제주특별자치도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현황
리모컨 키 ID방송국명호출 부호제주시 채널/출력(W)서귀포시 채널/출력(W)
6-1JIBS TVHLKJ-DTVK-33/1kWK-15/500W
7-1KBS 제주 2TVHLQC-DTVK-29/1kWK-16/500W
9-1KBS 제주 1TVHLKS-DTVK-27/1kWK-14/500W
10-1EBSK-35/1kWK-18/500W
11-1제주MBCHLAJ-DTVK-31/1kWK-17/500W



제주도는 한국에서 가장 먼저 아날로그 방송을 종료한 지역이다.

13. 3. 금융

제주은행

13. 4. 항공

제주국제공항제주시 시가지에 위치해 있다.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외에도 제주항공 등의 저비용 항공사가 취항하고 있다. 제주국제공항의 여객 수는 인천국제공항에 이어 국내 2위이며, 혼잡 시간대에는 3분 간격으로 항공기가 이착륙한다. 이 때문에 서귀포시 신산리에 신공항을 건설하는 계획이 있었으나[133], 2025년 개항을 목표로 했던 한국 정부의 계획은 주민들의 반대로 중단되었다.[134]

김포-제주 노선은 세계에서 여객 수가 가장 많은 항공 노선이다.

13. 5. 공기업

14. 갤러리

15. 사건

전라남도 완도군과 제주특별자치도 사이엔 사수도의 관할권을 놓고 분쟁이 있었다. 전라남도 완도군에서는 사수도를 장수도로 부르면서 완도군에 속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사수도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추자면에 속한 섬으로, 제주시가 실질적인 관리를 하고 있다. 이에 제주도 북제주군(지금의 제주시)은 2005년 헌법재판소에 사수도의 관할권에 대한 권한쟁의심판을 제기하였으며, 2008년 12월 26일 헌법재판소는 사수도가 제주특별자치도에 속해 있다고 결정하였다.

16. 자매 도시

지역 & 국가도시
Сахалинская область|사할린주ru
사할린주
Hawaii|하와이주영어
하와이주
Bali|발리주id
발리주
沖縄県|오키나와현일본어
오키나와현
海南省|하이난성중국어하이난성
Região Autónoma da Madeira|마데이라 자치구pt
마데이라 자치구
California|캘리포니아주영어캘리포니아주
аймак|아이레우 자치구tyv아이레우 자치구

[122]

17. 성씨

제주 고씨, 제주 양씨, 제주 부씨

참조

[1] 웹사이트 Official website (English) http://english.jeju.[...]
[1] 웹사이트 2024년 지역소득 https://kosis.kr/sta[...] 2024-10-11
[2]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hdi.globalda[...] 2018-09-13
[3] 웹사이트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http://english.jeju.[...] 2020-01-25
[5] 웹사이트 The Queen of Tamna: Was Jeju previously ruled by a mythical warrior queen? - JEJU WEEKLY http://www.jejuweekl[...] 2023-03-05
[6] 웹사이트 History Of Jeju-Island https://www.yatra.co[...] 2020-08-28
[7] 서적 Jeju Island: Reaching to the Core of Beauty Korea Foundation
[8] 서적 Korea: the Mongol invasions https://archive.org/[...] E.J. Brill
[9] 웹사이트 탐라총관부 http://encykorea.aks[...]
[10] 웹사이트 탐라총관부 https://www.doopedia[...] 2021-11-23
[11] 논문 Jejueo: The Language of Korea's Jeju Island http://www.jstor.org[...]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9-12-31
[12] 웹사이트 The 1948 Cheju-do Civil War http://www.kimsoft.c[...] 2014-04-21
[13] 서적 The Korean War, 1945-1953 https://books.google[...] China Books&Periodicals, Inc
[14] 논문 Cheju-do Rebellion 1980
[15] 서적 The Korean War 1945-1953 China Books and Periodicals Inc.
[16] 웹사이트 제주 4.3 사건 (Jeju 4.3 Incident) http://terms.naver.c[...] 2016-06-27
[17] 웹사이트 Dictionary of common current affair (시사상식사전): 제주 4.3 사건(The Jeju 4.3 Affair) http://terms.naver.c[...]
[18] 웹사이트 East Asia Film Library https://ceaslibrary.[...] 2021-02-13
[19] 웹사이트 Jeju: From peace island to war island http://www.japanfocu[...] The Asia-Pacific Journal: Japan Focus 2013-05-04
[20] 웹사이트 Islanders still mourn April 3 massacre http://www.jejuweekl[...] 2010-03-03
[21] 웹사이트 Jeju Island introduced to global audience via UNESCO media campaign https://www.thejakar[...] 2020-08-28
[22] 뉴스 Jeju prepares for Kim Jong Un's visit by helicopter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24-05-01
[23] 웹사이트 Summit bears fruit as South Korea flies tangerines to North - Channel NewsAsia https://www.channeln[...] 2022-01-14
[24] 뉴스 South Korea declares Kim Jong Un's mushrooms safe to eat https://www.telegrap[...] The Daily Telegraph 2023-03-05
[25] 웹사이트 Archaeologists discover 900-year-old lost treasure under the sea https://all-sanfranc[...] 2020-12-06
[26] 웹사이트 제주특별자치도 https://www.jeju.go.[...] 2021-03-25
[27] 웹사이트 삼별초 - 디지털제주문화대전 https://jeju.grandcu[...] 2024-11-28
[28] 웹사이트 조선 시대 - 디지털제주문화대전 https://jeju.grandcu[...] 2024-11-28
[29] 웹사이트 Cheju Consolidation Vote http://times.hankook[...] 2005-07-29
[30] 웹사이트 돌하르방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6-25
[31] 웹사이트 제주의 할아버지 돌하르방 - 디지털제주문화대전 https://www.grandcul[...] 2024-06-25
[32] 논문 Commodification of Jeju Island's Cultural Image: Standing Stones http://www.tandfonli[...] 2004-01
[33] 웹사이트 '명품' 돌하르방, 혹시 그냥 지나치지 않으셨나요? https://news.jejunu.[...] 2024-07-13
[34] 뉴스 [imazine] 돌담길 따라 ① 바람이 빚은 제주 돌담 https://www.yna.co.k[...] Yonhap News Agency 2024-07-07
[35] 웹사이트 Jeju Island's Stone Culture https://www.visitjej[...] 2024-07-07
[36] 웹사이트 https://www.grandcul[...] 2024-07-07
[37] 백과사전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7-12
[38] 웹사이트 https://jeju.grandcu[...] 2024-07-12
[39] 뉴스 https://www.yna.co.k[...] 2024-07-12
[40] 웹사이트 https://www.grandcul[...] 2024-07-02
[41] 웹사이트 Acclimatization to Cold Water http://scuba-doc.com[...] Scuba-doc.com 2024-01-05
[42] 뉴스 Hardy Divers in Korea Strait, 'Sea Women' Are Dwindling https://www.nytimes.[...] 2014-03-31
[43] 웹사이트 Jeju Cyber Samdakwan :: Diving into the sea out of Jeju http://english.jejus[...] English.jejusamda.com 2013-08-25
[44] 웹사이트 Lady Good Divers | BLOUIN ARTINFO http://www.artinfo.c[...] Artinfo.com 2013-08-25
[45] 웹사이트 Jeju naval base construction, Republic of Korea | EJAtlas https://ejatlas.org/[...] 2023-03-05
[46] 뉴스 Controversy over Jeju naval base mounts https://web.archive.[...] 2011-08-24
[47] 웹사이트 Save Jeju Now http://savejejunow.o[...] 2017-03-05
[48] 웹사이트 Cheju / Jeju Naval Base http://www.globalsec[...] 2017-03-05
[49] 뉴스 The Arms Race intrudes on Paradise https://www.nytimes.[...] 2017-02-27
[50] 뉴스 Jeju naval base http://www.koreahera[...] 2017-03-05
[51] 뉴스 How hundreds of Yemenis fleeing the world's worst humanitarian crisis ended up on a resort island in South Korea https://www.washingt[...] 2021-05-05
[52] 뉴스 South Koreans outraged as 500 Yemeni refugees flee to island https://www.ft.com/c[...] 2021-05-05
[53] 웹사이트 Yemeni refugees' fate tested on Jeju Island https://www.koreatim[...] 2021-05-05
[54] 웹사이트 South Korea to tighten laws amid influx of Yemeni asylum-seekers to resort island of Jeju https://www.straitst[...] 2021-05-05
[55] 웹사이트 Justice Ministry proposes reinforcement measures to amend refugee act http://www.koreahera[...] 2021-05-05
[56] 뉴스 http://v.media.daum.[...] 2021-05-05
[57] 웹사이트 Population Census https://kosis.kr/sta[...] Statistics Korea
[58] 간행물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2020-09-30
[59] 웹사이트 2005 Census - Religion Results https://web.archive.[...] 2024-07-29
[60] 웹사이트 Similar but Superior: Rhetoric of Coexistence Employed by Religions in Jeju Island, Korea https://www.research[...] 2020-08-28
[61] 웹사이트 South Korea to host 2014 AIBA Women's Boxing World Championships after Canada withdraw http://www.insidethe[...] 2014-02-19
[62] 웹사이트 Official Club Profile at K League Website https://web.archive.[...] K League 1|K League
[63] 웹사이트 http://engdic.nate.c[...] 2011-07-14
[64] 웹사이트 http://100.nate.com/[...] 2011-06-10
[65] 웹사이트 doopedia https://web.archive.[...]
[66] 웹사이트 doopedia https://archive.toda[...]
[67] 웹사이트 doopedia https://archive.toda[...]
[68] 웹사이트 doopedia https://archive.toda[...]
[69] 웹사이트 http://terms.naver.c[...]
[70] 웹사이트 http://www.ihalla.co[...] 2016-06-27
[71] 웹사이트 http://news.kmib.co.[...]
[72] 웹사이트 Jeju Island: South Korea's volcanic holiday destination http://edition.cnn.c[...] CNN 2014-04-17
[73] 뉴스 How Daum fell under Jeju's spell - JEJU WEEKLY http://www.jejuweekl[...]
[74] 웹사이트 Little Jeju, big dreams http://www.ttgmice.c[...] TTGmice
[75] 웹사이트 Tourism · Service Industry https://www.investko[...] 2018
[76] 웹사이트 South Korea's Jeju Island Teeming with Chinese Tourists https://www.business[...] 2024-03-27
[77] 웹사이트 The number of Japanese people visiting Korea continues to increase. During Japan's https://www.mk.co.kr[...] 2024-04-04
[78] 웹사이트 https://news.koreada[...] 2011-07-29
[79] 웹사이트 Beyond the (K-)drama: why Jeju Island really is the 'Hawaii of South Korea' https://www.scmp.com[...] 2023-11-26
[80] 웹사이트 https://www.joongang[...] 2007-11-07
[81] 논문 The Korean War and tourism: Legacy of the war on the development of the tourism industry in South Korea. 2006-08-17
[82] 뉴스 Jeju Island 2011-02
[83] 웹사이트 Sun and Seafood on Korea's Jeju Island https://www.newsweek[...] 2008-12-12
[84] 웹사이트 South Korea's Jeju Island suffers from 'too many tourists' https://www.scmp.com[...] 2018-01-04
[85] 웹사이트 The Hawaii of South Korea? The good, bad, ugly sides to Jeju Island https://www.scmp.com[...] 2018-06
[86] 뉴스 Beijing Is Mad About Thaad 2017-03-13
[87] 웹사이트 South Korea's Jeju Island suffers from 'too many tourists' https://www.scmp.com[...] 2018-01-04
[88] 뉴스 Too Reliant on Tourism? Jeju Tries Technology. 2014-11
[89] 웹사이트 'Squid Game' draws attention to Jeju Island https://www.koreatim[...] 2021-10-18
[90] 웹사이트 Hallim Park http://www.hallimpar[...]
[91] 웹사이트 http://www.jejuolle.[...]
[92] 뉴스 Take a unique 1-kilometer subterranean stroll - JEJU WEEKLY http://www.jejuweekl[...]
[93] 웹사이트 http://www.sangumbur[...]
[94] 웹사이트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http://english.tour2[...] English.tour2jeju.net
[95] 웹사이트 Hanwha Aqua Planet Jeju https://www.hanwhare[...]
[96] 웹사이트 https://news.joins.c[...]
[97] 뉴스 5 surfing spots to ride the wave in Korea https://www.thejakar[...] 2018-08-03
[98] 웹사이트 https://www.visitjej[...]
[99] 웹사이트 Korea Visa & Passports http://english.visit[...]
[100] 이미지 http://www.leisureti[...] 2022-03
[101] 이미지 http://www.leisureti[...] 2022-03
[102] 웹사이트 Visa Service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in Malaysia https://overseas.mof[...]
[103] 뉴스 The unusual reason Chinese tourists are going to S Korea http://www.bbc.com/c[...] 2018-10-02
[104] 논문 Incidence of Scarlet Fever in Children in Jeju Province, Korea, 2002-2016: An Age-period-cohort Analysis 2019-05
[105] 논문 Seroprevalence of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in the Agricultural Population of Jeju Island, Korea, 2015–2017 2019-12-01
[106] 웹사이트 Jeju Thermal P/P http://www.komipo.co[...] 2005-07-29
[107] 뉴스 Korea and Hawaii join forces in Smart Grid venture http://www.jejuweekl[...] The Jeju Weekly 2012-02-24
[108] 웹사이트 The world's busiest air route is between Seoul and the 'South Korean Hawaii' https://www.business[...] 2018-07-21
[109] 웹사이트 Port of Jeju (Cheju) http://www.worldport[...]
[110] 웹사이트 VisitKorea - Ferry to Jeju https://english.visi[...]
[111] 웹사이트 The all new Jeju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https://www.visitjej[...]
[112] 웹사이트 To Jeju, by train? http://m.jejuweekly.[...] 2010-01-04
[113] 웹사이트 Jeju City, Public Transportation Mobile IOT Integrated Information Construction: Smart City Comprehensive Portal https://smartcity.go[...] 2020-02-05
[114] 웹사이트 제주일보 http://www.jejunews.[...]
[115] 웹사이트 제주도민의 자존심 제민일보 http://www.jemin.com[...] Jemin.com
[116] 웹사이트 Home http://www.hallailbo[...]
[117] 웹사이트 서귀포신문 : 인터넷일간신문 http://www.seogwipo.[...] Seogwipo.co.kr
[118] 웹사이트 Home http://www.jejutimes[...]
[119] 웹사이트 Mass Media -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http://english.jeju.[...] English.jeju.go.kr
[120] 뉴스 Don't let print pass you by http://www.jejuweekl[...] Jeju Weekly
[121] 웹사이트 A New Year and a new newspaper http://www.jejuworld[...] Jeju World Wide 2013-01-01
[122] 웹사이트 ACR 42 Assembly Concurrent Resolution - CHAPTERED http://www.leginfo.c[...]
[123]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124] 서적 世界年鑑2021 一般社団法人共同通信社 2021-03-16
[125] 법률 朝鮮総督府令第111号 1913-12-29
[126] 법률 칙령 제66호 조선총독부지방관관제 1915-04-30
[127] 법률 朝鮮総督府令第44号 도의명칭위치관할구역의규정 1915-05-01
[128] 법률 朝鮮総督府令第103号 1930-12-29
[129] 법률 全羅南道令第7号 1935-03-15
[130] 법률 군정법령 제94호 제주도의 설치
[131] 웹사이트 学校のシンボル「カイヅカイブキ」は親日残滓、一斉伐採の危機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19-06-07
[132] 웹사이트 文在寅政権進む「親日狩り」、学校の日本痕跡清算する初条例…済州島、シンボルの木の扱いで混乱も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9-07-07
[133] 뉴스 済州第2空港、城山日出峰から10分の距離に建設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中央日報日本語版 2015-11-11
[134] 뉴스 済州島の第2空港建設計画 「反対」が優勢=島民世論調査 https://m-jp.yna.co.[...]
[135] 기타 西帰浦AM局は運用停止。
[136] 기타 朝鮮語での放送は4-20時まで、その前後は日本語を含む近隣諸国言語での放送で、中波の放送についてはその言語を主要な母国語とする国・地域に指向性を変えている
[137] 웹사이트 済州特別自治道ホームページ http://japanese.jeju[...]
[138] 웹인용 행정구역별 국토면적 현황 https://www.index.go[...] 2023-12
[139] 웹인용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s://jumin.mois.g[...] 2024-11
[140] 웹인용 시도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생산 https://kosis.kr/sta[...] 2022-12-22
[141] 웹인용 시도별 1인당 지역내총생산, 지역총소득, 개인소득 https://kosis.kr/sta[...] 2023-06-16
[142] 웹사이트 https://www.jeju.go.[...]
[143] 웹인용 잊혀진 제주도 승격 62주년 기념일 '8월1일' http://www.jejusori.[...] 2024-05-22
[144] 일반텍스트
[145] 일반텍스트
[146] 서적 고려사
[147] 서적 삼국사기
[148] 서적 삼국사기
[149] 서적 삼국사기
[150] 서적 고려사
[151] 서적 고려사
[152] 서적 고려사
[153] 웹인용 조선 > 김만덕 > 김만덕, 제주도 백성을 구하다 http://contents.hist[...] 국사편찬위원회 2024-06-09
[154] 법률 칙령 제98호 지방제도의개정에관한안건
[155] 법률 칙령 제36호 지방제도와관제개정에관한안건
[156] 법률 칙령 제29호 지방제도 중 관제와 봉급과 경비의 칙령 개정
[157] 법률 칙령 제47호 감리와목사를폐지하는건과기사무를인계에관한건
[158] 뉴스 일제에 유린된 제주 http://www.tongilnew[...] 통일뉴스
[159]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60] 법률 칙령 제66호 조선총독부지방관관제 1915-04-30
[161]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44호 도의명칭위치관할구역의규정 1915-05-01
[162]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03호 1930-12-29
[163] 법률 전라남도령 제7호 1935-03-15
[164] 법률 군정법령 제94호 제주도의 설치
[165] 웹인용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위원회 http://www.jeju43.go[...] 2009-04-05
[166]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제주(184)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167]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제주(184)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168]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고산(185)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169]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고산(185)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170]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서귀포(189)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171]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서귀포(189)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172] 일반텍스트
[173]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성산(188)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174]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성산(188)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175] 웹사이트 http://www.jeju.go.k[...]
[176] 뉴스 제주 '세계 평화의섬' 지정 구상 제안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2-12-23
[177] 뉴스 잊혀져가는 세계평화의 섬 http://www.jemin.com[...] 제민일보 2014-01-27
[178] 뉴스 '중국 노동절' 연휴 특수 누린 제주 https://news.v.daum.[...] Daum 뉴스
[179] 뉴스 제주 쌈용 콩잎 부산서 선봬.."맛있다" http://www.chosun.co[...] 연합뉴스 2009-06-09
[180] 뉴스 토종 푸른콩으로 빚어낸 무공해 된장 간장 http://www.seogwipo.[...] 서귀포신문
[181] 뉴스 '제주어' 유네스코 소멸위기 언어 등록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1-01-17
[182] 웹사이트 박물관, 어디까지 가봤니? 여름휴가맞이 제주 박물관 총정리 https://terms.naver.[...]
[183] 웹인용 올레길 https://web.archive.[...] 2017-08-13
[184] 웹인용 제주올레 https://web.archive.[...] 2017-08-13
[185] 웹사이트 유네스코 유산 소개 http://jejuwnh.jeju.[...] 2011-07-08
[186] 웹사이트 ลม หิน ผู้หญิง สามสิ่งที่เป็น "เชจู" http://www.bangkokbi[...] 2012-07-02
[187] 웹사이트 제주지질공원 http://geopark.jeju.[...]
[188] 웹사이트 제주해녀문화 https://terms.naver.[...]
[189] 웹사이트 대한민국 지방도 노선 정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