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비싸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땅비싸리는 전국 표고 50~700m 지역에서 자생하는 식물이다. 키는 1m 정도이며, 숲 가장자리나 길가 등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자란다. 5월부터 6월까지 붉은빛을 띤 자주색 또는 보라색 꽃이 피고, 10월에 원기둥 모양의 협과 열매가 맺힌다. 잎 뒷면에 털이 없는 것을 민땅비싸리라고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땅비싸리족 - 인디고페라 틴토리아
인디고페라 틴토리아는 열대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분포하며 인디고 염료의 원료로 재배되는 1~2m 높이의 관목으로, 밝은 녹색 잎과 분홍색 또는 보라색 꽃이 피고, 짙은 청색을 내는 천연 염료를 제공하며, 토양 개량 피복 작물 및 역사적으로 중요한 염료 식물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 땅비싸리족 - 구아
구아는 식용 꼬투리와 씨앗을 제공하는 콩과 식물로, 특히 씨앗에서 추출한 구아 검은 식품 첨가물과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며, 인도 북서부에서 주로 재배되고 가뭄에 강하며 토양의 질소 함량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 카를 막시모비치가 명명한 분류군 - 산철쭉
산철쭉은 진달래과의 낙엽관목으로, 영산홍의 한 형태이며 대한민국 남부와 일본, 미얀마, 중국 등에 분포하는 두 가지 형태가 있다. - 카를 막시모비치가 명명한 분류군 - 철쭉
철쭉은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에 자생하는 낙엽 관목으로, 4~5월에 다양한 색의 꽃을 피우며, 잎과 꽃에 독성이 있어 섭취에 주의해야 하고, 약재로도 사용되지만 그레이야노톡신 중독 위험이 있으며, 진달래 등과 유사하나 잎이 난 후 꽃이 피는 점과 독성 유무로 구별된다. - 나무 - 커스터드애플
커스터드애플은 중앙아메리카와 카리브 지역이 원산인 뽀뽀나무과에 속하는 작은 교목으로, 전 세계 열대 지역에서 재배되며, 단맛이 나는 열매는 생으로 먹거나 가공하여 섭취하고 씨앗, 잎, 나무껍질 등은 약재로도 사용되는 식물이다. - 나무 - 가로수길
가로수길은 고대 이집트, 중국, 프랑스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유래되었으며, 주택이나 특정 지점을 중심으로 뻗어나가는 나무들의 배열로, 햇빛을 가리고 바람을 막아주는 장점이 있는 반면 이상 기후로 인한 피해와 교통사고의 위험도 존재하는 조경 요소이다.
땅비싸리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 | |
속 | 땅비싸리속 (Indigofera) |
종 | 땅비싸리 (I. kirilowii) |
학명 | Indigofera kirilowii Maxim. ex Palibin |
이명 | Indigofera kirilowii var. alba Q.Z.Han Indigofera kirilowii var. coreana Craib Indigofera kirilowii f. coreana (Craib) M.Kim |
크기 | 75 센티미터 |
생물학적 분류 | |
계 | 식물계 |
미분류 군 | 속씨식물군 |
미분류 강 | 진정쌍떡잎식물군 |
미분류 목 | 장미군 |
목 | 콩목 |
과 | 콩과 |
아과 | 콩아과 |
추가 정보 | |
참고 자료 | |
갤러리 | |
![]() | |
![]() | |
![]() | |
![]() |
2. 생태
땅비싸리는 한국 전역에서 발견되며,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여 자란다. 5월에서 6월 말까지 붉은빛을 많이 띤 자주색 또는 보라색 꽃이 피며,[5] 10월에 열매가 익는다.[5]
2. 1. 생육 환경
땅비싸리는 전국의 표고 50~700m 지역에서 자생한다. 숲 가장자리, 길가 등 햇볕이 잘 드는 곳을 선호하며, 직사광선 아래에서도 잘 자란다.[5] 토질은 가리지 않으나 옮겨심기를 싫어한다.[7]2. 2. 형태
땅비싸리는 키가 1m 정도이며, 뿌리에서 여러 대의 줄기가 뭉쳐난다.[6] 잔가지는 녹갈색이며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다.[7] 윗부분은 겨울에 말라 죽고 밑부분에 곁눈이 달린다.[8] 잎은 어긋나고 깃꼴겹잎인데, 작은 잎은 7~11개이며 둥글거나 긴둥근꼴이다.[7] 길이는 1cm~4cm, 너비는 1.5cm~2cm쯤 되며 뒷면에 털이 있다.[6]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끝이 뾰족하고, 잎밑은 둥그스름하다.[7]잎 뒤에 털이 나지 않는 것을 '''민땅비싸리'''(''Indigofera coreana'')라고 한다.
2. 3. 잎
잎은 어긋나고 깃꼴겹잎인데, 작은 잎은 7~11개이며 둥글거나 긴둥근꼴이다.[7] 길이 1cm~4cm, 너비 1.5cm~2cm쯤 되며 뒷면에 털이 있다.[6]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끝이 뾰족하며, 잎밑은 둥그스름하다.[7]잎 뒤에 털이 나지 않는 것을 민땅비싸리(''Indigofera coreana'')라고 한다.
2. 4. 꽃
꽃은 5월부터 6월 말까지 피며 길이 2cm 정도이고[5] 붉은빛을 많이 띤 자주색 또는 보라색이다. 잎겨드랑이에서 나며 길이 12cm쯤 되는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꽃받침은 바소꼴로 길이 3mm 가량이고 털이 조금 난다.[7]2. 5. 열매
열매는 길이 3.5~5.5센티미터인 원기둥 모양의 협과로, 10월에 익는다.[5] 열매가 익으면 세로로 쪼개지면서 씨가 튀어나간다.[8] 씨는 길둥글며 검자주색이고 꼬투리 하나에 6~10개씩 들어 있다.[7]참조
[1]
간행물
"''Indigofera kirilowii'' Maxim. ex Palibin"
2022-08-01
[2]
웹사이트
"''Indigofera kirilowii''"
https://www.rhs.org.[...]
The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22-01-01
[3]
웹사이트
"''Indigofera kirilowii''"
Missouri Botanical Garden
2022-08-01
[4]
웹사이트
"''Indigofera kirilowii'' var. ''alba''"
https://www.rhs.org.[...]
The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22-01-01
[5]
웹인용
식물도감 - 땅비싸리
http://www.koreaplan[...]
한국식물연구회
2010-04-09
[6]
서적
원색한국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1988-08-10
[7]
서적
서울나무도감
풀꽃나무
2008-06-25
[8]
서적
나무 쉽게 찾기
진선출판사
2004-03-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