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리가 1963-64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리가 1963-64 시즌은 16개 팀이 참가하여 진행되었다. 레알 마드리드가 승점 46점으로 우승을 차지했으며, FC 바르셀로나가 2위를 기록했다. 푸슈카시 페렌츠(레알 마드리드)가 21골로 득점왕을 차지했고, RCD 에스파뇰과 레알 오비에도는 강등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여 잔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4년 축구 - 1964년 AFC 아시안컵
1964년 AFC 아시안컵은 이스라엘에서 이스라엘, 대한민국, 인도, 홍콩 4개국이 참가한 풀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어 이스라엘이 우승, 인도가 준우승, 대한민국이 3위를 차지했으며 모르데하이 슈피글러와 인데르 싱이 공동 득점왕을 기록했다. - 1964년 축구 - 1964년 유러피언 네이션스컵
1964년 유러피언 네이션스컵은 스페인에서 개최된 두 번째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로, 스페인이 결승에서 소련을 꺾고 우승했으며 흐세스 마리아 페레다가 MVP를 수상했다. - 1963년 축구 - 196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가나에서 개최된 4번째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가나, 에티오피아, 아랍 연합 공화국, 수단, 튀니지, 나이지리아 6개국이 참가하여 가나가 수단을 꺾고 우승, 아랍 연합 공화국이 3위, 에티오피아가 4위를 기록했다. - 1963년 축구 -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1962-63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1962-63은 스페인 축구 컵 대회로, FC 바르셀로나가 레알 사라고사를 결승전에서 3-1로 이기면서 우승을 차지했다. - 라리가 시즌 - 라리가 1995-96
라리가 1995-96은 1995년 9월부터 1996년 6월까지 진행된 스페인 프로축구 리그 시즌으로, 22개 팀이 참가하여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우승했고 후안 안토니오 피치가 득점왕, 프란시스코 모리나가 최소 실점상을 수상했으며 1승당 승점이 3점으로 변경되었다. - 라리가 시즌 - 라리가 2000-01
라리가 2000-01 시즌은 스페인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의 70번째 시즌으로, 총 20개 팀이 참가하여 레알 마드리드가 우승하고 데포르티보 라 코루냐가 2위를 차지했으며, UD 라스팔마스, CA 오사수나, 비야레알 CF가 승격하고 레알 오비에도, 라싱 산탄데르, CD 누만시아가 강등되었다.
라리가 1963-64 | |
---|---|
시즌 정보 | |
대회 | 프리메라 디비시온 |
시즌 | 1963–64 |
결과 | |
우승 | 레알 마드리드 (10번째 우승) |
강등 | 폰테베드라 바야돌리드 |
유럽 대회 진출 | |
유러피언컵 | 레알 마드리드 |
컵 위너스 컵 | 사라고사 |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 바르셀로나 베티스 발렌시아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아틀레틱 빌바오 |
시즌 통계 | |
총 경기 수 | 240 |
총 득점 수 | 669 |
경기당 평균 득점 수 | 2.79 |
최다 득점자 | 푸슈카시 페렌츠 (레알 마드리드, 21골) |
최대 점수차 홈 승리 | 바르셀로나–세비야 (6–0) 발렌시아–바야돌리드 (6–0) |
최대 점수차 원정 승리 | 바야돌리드–사라고사 (0–4) 무르시아–바르셀로나 (1–5) |
최다 점수 경기 | 레반테–바르셀로나 (4–5) |
시즌 흐름 | |
이전 시즌 | 1962–63 |
다음 시즌 | 1964–65 |
2. 참가 구단
1963-64 시즌 라 리가에는 총 16개 구단이 참가했다.
{| class="wikitable"
|-
|
|-
|
|}
2. 1. 참가 구단 및 위치
1963-64 시즌 라 리가에는 총 16개 구단이 참가했다. 다음은 이 시즌에 참가한 구단들의 위치와 경기장 정보를 나타낸 것이다.{| class="wikitable"
|-
|
|-
|
|}
2. 2. 경기장 및 위치
wikitable
{{#invoke:Sports table|main|style=WDL
1963-64 시즌 라리가의 리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3. 리그 순위
|update=complete|winpoints=2
|source=[http://www.bdfutbol.com/es/t/t1963-64.html BD푸트볼]
|result1=EC |result2=ICFC |result3=ICFC |result4=CWC1 |result6=ICFC |result7=ICFC |result8=ICFC |result13=RP |result14=RP |result15=R |result16=R
|team1 =RMA|win_RMA=22|draw_RMA=2 |loss_RMA=6 |gf_RMA=61|ga_RMA=23|name_RMA=레알 마드리드|status_RMA=C
|team2 =BAR|win_BAR=19|draw_BAR=4 |loss_BAR=7 |gf_BAR=74|ga_BAR=38|name_BAR=바르셀로나
|team3 =BET|win_BET=15|draw_BET=7 |loss_BET=8 |gf_BET=47|ga_BET=36|name_BET=베티스
|team4 =ZAR|win_ZAR=14|draw_ZAR=6 |loss_ZAR=10|gf_ZAR=52|ga_ZAR=42|name_ZAR=사라고사
|team5 =ELC|win_ELC=13|draw_ELC=7 |loss_ELC=10|gf_ELC=35|ga_ELC=31|name_ELC=엘체
|team6 =VAL|win_VAL=16|draw_VAL=0 |loss_VAL=14|gf_VAL=53|ga_VAL=47|name_VAL=발렌시아
|team7 =ATM|win_ATM=10|draw_ATM=9 |loss_ATM=11|gf_ATM=37|ga_ATM=34|name_ATM=아틀레티코 마드리드
|team8 =ATB|win_ATB=12|draw_ATB=5 |loss_ATB=13|gf_ATB=43|ga_ATB=40|name_ATB=아틀레티코 빌바오
|team9 =SEV|win_SEV=9 |draw_SEV=11|loss_SEV=10|gf_SEV=33|ga_SEV=38|name_SEV=세비야
|team10=LEV|win_LEV=10|draw_LEV=7 |loss_LEV=13|gf_LEV=43|ga_LEV=56|name_LEV=레반테
|team11=COR|win_COR=10|draw_COR=6 |loss_COR=14|gf_COR=32|ga_COR=38|name_COR=코르도바
|team12=MUR|win_MUR=11|draw_MUR=4 |loss_MUR=15|gf_MUR=41|ga_MUR=54|name_MUR=무르시아
|team13=ESP|win_ESP=10|draw_ESP=5 |loss_ESP=15|gf_ESP=34|ga_ESP=47|name_ESP=에스파뇰|status_ESP=O
|team14=OVI|win_OVI=10|draw_OVI=5 |loss_OVI=15|gf_OVI=27|ga_OVI=42|name_OVI=오비에도|status_OVI=O
|team15=PON|win_PON=8 |draw_PON=5 |loss_PON=17|gf_PON=30|ga_PON=45|name_PON=폰테베드라|status_PON=R
|team16=VAD|win_VAD=7 |draw_VAD=5 |loss_VAD=18|gf_VAD=27|ga_VAD=58|name_VAD=바야돌리드|status_VAD=R
|class_rules = 1) 승점; 2) 상대 전적; 3) 상대 골득실; 4) 골득실; 5) 다득점.
|res_col_header=QR
|col_EC=green1 |text_EC=유러피언컵 예선전 진출
|col_CWC1=yellow1 |text_CWC1=컵 위너스 컵 1라운드 진출
|note_res_CWC1=사라고사는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우승 구단 자격으로 컵 위너스 컵 1라운드 진출권을 획득했다.
|col_ICFC=blue1 |text_ICFC=인터시티스 페어스컵 초청
|col_R=red1 |text_R=세군다 디비시온으로 강등
|col_RP=red2 |text_RP=강등 플레이오프전 참가
}}
4. 리그 결과
순위 구단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1 레알 마드리드 30 22 2 6 61 23 +38 46 2 바르셀로나 30 19 4 7 74 38 +36 42 3 베티스 30 15 8 7 47 36 +11 38 4 사라고사 30 14 6 10 52 42 +10 34 5 엘체 30 13 7 10 35 31 +4 33 6 발렌시아 30 16 0 14 53 47 +6 32 7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30 10 9 11 37 34 +3 29 8 아틀레티코 빌바오 30 12 5 13 43 40 +3 29 9 세비야 30 9 11 10 33 38 -5 29 10 레반테 30 10 7 13 43 56 -13 27 11 코르도바 30 10 6 14 32 38 -6 26 12 무르시아 30 11 4 15 41 54 -13 26 13 에스파뇰 30 10 5 15 34 47 -13 25 14 폰테베드라 30 8 5 17 30 45 -15 21 15 오비에도 30 9 3 18 27 42 -15 21 16 바야돌리드 30 7 5 18 27 58 -31 19
5. 강등 플레이오프전
강등 플레이오프전은 프리메라 디비시온 13위, 14위 팀과 세군다 디비시온 그룹 A, B 2위 팀 간에 진행되었다. 에스파뇰과 오비에도가 각각 레알 히혼과 에르쿨레스를 꺾고 잔류에 성공했다.
6. 득점 집계
푸슈카시 페렌츠(레알 마드리드)가 21골로 득점왕(피치치)을 차지했다. 2위는 와우두 마샤두(발렌시아)가 18골을 기록했다. 3위는 17골을 기록한 페르난도 안솔라 (베티스)와 카예타노 레 (바르셀로나)가 차지했다. 5위는 후안 마누엘 비야 (사라고사)가 13골을 기록했다.
순위 | 이름 | 골 | 구단 |
---|---|---|---|
1 | 푸슈카시 페렌츠 | 21 | 레알 마드리드 |
2 | 와우두 | 18 | 발렌시아 |
3 | 페르난도 안솔라 | 17 | 베티스 |
카예타노 레 | 바르셀로나 | ||
5 | 후안 마누엘 비야 | 13 | 사라고사 |
6 | 코치시 샨도르 | 12 | 바르셀로나 |
프란시스코 헨토 | 레알 마드리드 | ||
헤수스 마리아 페레다 | 바르셀로나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