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사라고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사라고사는 스페인 북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아라곤 왕국의 옛 수도였으며, 에브로 강과 갈예고 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자리 잡고 있다. 로마 시대에는 카이사라우구스타로 불렸으며, 이슬람 지배 시대에는 사라구스타로 불리다가 레콩키스타 이후 현재의 이름으로 정착되었다. 반건조 기후를 보이며, 주요 도시들과의 접근성이 뛰어나 교통의 요충지 역할을 한다. 사라고사는 15개의 도시 지역과 14개의 농촌 지역으로 행정 구역이 나뉘며, 자동차 산업을 중심으로 경제가 발전했다. 또한, 필라르 성모 대성당, 라 세오 대성당, 알하페리아 궁전 등 역사적인 건축물과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무데하르 양식 건축물을 보유하고 있다. 스포츠 분야에서는 레알 사라고사 축구팀이 유명하며, 다양한 스포츠 클럽의 활동이 활발하다. 사라고사는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으며, 다양한 문화 축제를 개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페인의 옛 수도 - 카디스
    카디스는 기원전 1100년경 페니키아인들이 건설한 스페인 안달루시아 지방의 오랜 역사를 지닌 항구 도시로, 대항해시대 주요 기항지, 자유주의 운동 중심지였으며, 현재는 해상 무역과 관광, 역사적 건축물, 해변, 카니발 축제, 해산물 요리로 유명하다.
  • 스페인의 옛 수도 - 발렌시아
    발렌시아는 스페인에서 세 번째로 큰 지중해 연안 도시로, 로마 시대에 건설되어 다양한 세력의 지배를 거치며 중세 이슬람 시대 번영과 레콩키스타 이후 아라곤 왕국의 중요 도시로 성장, 20세기 스페인 내전 피해를 극복하고 발렌시아 지방의 수도로서 문화, 역사, 현대 건축, 경제 활동의 중심지이다.
  • 스페인의 도청 소재지 - 마드리드
    마드리드는 스페인의 수도이자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로서 메세타 고원에 위치하여 풍부한 역사와 문화, 밤문화, 미술관, 스포츠 클럽으로 유명하며 국제기구 본부가 위치한 국제적인 도시이다.
  • 스페인의 도청 소재지 - 카디스
    카디스는 기원전 1100년경 페니키아인들이 건설한 스페인 안달루시아 지방의 오랜 역사를 지닌 항구 도시로, 대항해시대 주요 기항지, 자유주의 운동 중심지였으며, 현재는 해상 무역과 관광, 역사적 건축물, 해변, 카니발 축제, 해산물 요리로 유명하다.
  • 스페인의 도시 - 비야레알
    비야레알은 스페인 발렌시아 지방에 위치한 도시로, 세라믹 타일 제조업이 발달하고 프리메라리가 축구팀 비야레알 CF의 연고지이며, 산 파스콸 바실리카 등 다양한 명소가 있다.
  • 스페인의 도시 - 알리칸테
    알리칸테는 스페인 발렌시아 지방의 지중해 연안 도시로, 70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니고 지중해성 기후를 띠며 관광 및 서비스업 기반 경제를 갖춘 33만 명 이상 거주하는 도시이며, 산타 바르바라 성, 알리칸테 항구 등의 관광 명소와 축구 클럽, 볼보 오션 레이스 본부 도시로서의 특징을 가진다.
사라고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누에스트라 세뇨라 델 필라르 대성당
누에스트라 세뇨라 델 필라르 대성당
라 세오 델 살바도르
라 세오
알하페리아
알하페리아
사라고사 그란 비아
그란 비아
물의 탑 (엑스포 2008)
물의 탑
사라고사 세계 무역 센터 및 그란카사 몰
WTCZ
별칭스페인의 피렌체
다른 이름사라고사
지위자치시
국가스페인
자치 공동체아라곤
사라고사 주
코마르카사라고사
구역센트로
카스코 이스토리코
델리시아스
우니베르시다드
산 호세
라스 푸엔테스
라 알모사라
올리베르-발데피에로
토레로-라 파스
악투르-레이 페르난도
엘 라발
카사블랑카
산타 이사벨
미랄부에노
수르
디스트리토 루랄
정치
정부 형태아윤타미엔토
행정 기관사라고사 시의회
시장 소속 정당국민당
시장나탈리아 추에카
면적
총면적973.78 제곱킬로미터
고도
해발 고도243 미터
인구
인구675,301 (2021년)
인구 밀도자동 계산
인구 통계사라고사 사람(남성: 사라고사노, 여성: 사라고사나)
경제
GDP (도시권)260억 4000만 유로 (2020년)
시간대
시간대CET
UTC 오프셋+01:00
서머타임CEST
UTC 오프셋 (서머타임)+02:00
기타 정보
우편 번호50001–50022
웹사이트사라고사 시 공식 웹사이트
ISO 3166-2ES-Z

2. 명칭

로마 식민지화 이전의 이베리아 도시는 ''Salduie''[6] 또는 ''Salduba|살두바la''[7]라고 불렸다. 로마인과 그리스인은 고대 도시를 Caesaraugusta|카이사라우구스타la (Καισαραυγοῦστα|카이사라우구스타grc)[8][9]라고 불렀는데, 이 이름에서 아랍어 이름 سرقسطة|사라쿠스타ar (알-안달루스 시대에 사용됨), 중세 Çaragoça|사라고사osp를 거쳐 현대의 'Zaragoza'가 유래되었다.

이슬람 지배 시대에는 사라쿠스타(Saraqusta) 또는 메디나 알바이다(Medina Albaida, 흰 도시라는 뜻)라고 불렸다. 레콩키스타 이후에는 로망스어인 Saragoça로 변했고, 시간이 흐르면서 최종적으로 Zaragoza로 표기가 정착되었다.

3. 지리

에브로 강 중류 지역에 위치하며, 가예고 강이 북쪽에서 합류한다. 카스티야 왕국과 함께 스페인의 기초를 세운 아라곤 왕국의 옛 수도이다. 마드리드, 바르셀로나, 발렌시아, 빌바오, 프랑스 툴루즈 등 주요 도시들과 약 300km 거리에 있어, 현대에도 교통의 요충지이다.

아우구스투스에 의해 기원전 25년에서 기원전 11년 사이 식민지로 건설되었으며, ''카이사라우구스타''라 명명되었다.[10] 칸타브리아 전쟁 참전 용사들의 정착지였으며, 포룸, 온천, 극장 등 로마 도시의 전형적인 공공 건물들을 갖추고 있어 중요한 경제 중심지였다. 오늘날 사라고사에서도 많은 로마 유적을 볼 수 있다.

로마 시대 카이사라우구스타 (1. 데쿠마누스; 2. 카르도; 3. 포룸; 4. 항구; 5. 온천; 6. 극장; 7. 성벽)


카이사라우구스타의 로마 중심지는 에브로 강 우안에 세워졌으며, 북동쪽 모퉁이는 에브로 강과 그 지류인 우에르바 강의 합류점과 경계를 이룬다. 우에르바 강은 하류 대부분이 지하를 흐른다.[28]

사라고사 시의 면적은 973.78km2로,[26] 스페인에서 9번째로 큰 시이다.

3. 1. 지형

유럽우주국(ESA)의 센티넬-2(Sentinel-2)가 본 사라고사


1:50,000 축척의 스페인 국립 지형도(MTN50) 사라고사 지도, 첫 번째 디지털판(2006년)


사라고사는 이베리아 반도 북동부, 에브로 강 계곡이 형성한 다소 건조한 분지에 위치한다. 에브로 강은 서북서에서 동남동 방향으로 도시를 가로지르며, 해발 205m 지점에서 시 경계에 진입하여 해발 180m 지점에서 시 경계를 빠져나간다.[10]

강변은 대체로 평평하지만, 주변 지역은 험준한 지형을 보이며, muelas|무엘라스es와 절벽이 나타난다.[27] 주변 고도는 해발 약 600m~750m까지 상승한다.[10] 에브로 강의 곡류 부근에는 석고가 풍부한 토양의 침하로 형성된 돌리네가 있으며, 관개용수로 채워진 연못을 형성할 수 있다.[27] 또한 시 남부의 황무지에는 la Sulfúrica|라 술푸리카es라는 계절적 내륙 분지 석호가 있다.[27]

3. 2. 기후

사라고사는 주변을 완전히 둘러싸고 있는 산맥이 대서양과 지중해에서 불어오는 습한 공기를 차단하기 때문에 반건조 기후(쾨펜: ''BSk'')를 보인다.[29][30][31] 연평균 강수량은 328mm에 불과하며, 맑은 날이 많다. 강수량이 가장 많은 계절은 봄(4월~5월)과 가을(9월~11월)이며, 여름(7월~8월)과 겨울(12월~3월)에는 상대적으로 가뭄이 발생한다.

여름에는 기온이 높고, 겨울에는 북서쪽에서 차갑고 건조한 바람인 ''시에르소(Cierzo)''가 분다. 밤 서리는 흔하며, 산발적인 이 내린다. 가을 후반과 겨울 초에는 안개가 지속될 수 있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11°C13.4°C17.5°C20.4°C24.9°C30°C32.8°C32.4°C27.4°C21.8°C15°C11.1°C
평균 최저 기온 (℃)2.9°C3.5°C6°C8.5°C12.3°C16.2°C18.6°C18.8°C15.4°C11.3°C6.5°C3.3°C
월 강수량 (mm)23.6mm19.8mm28mm40mm40.2mm28.5mm16.5mm17.8mm27.3mm34mm34mm19.1mm
평균 강수일수 (≥ 1mm)4.43.74.85.66.24.02.62.23.25.35.64.5
평균 적설일수0.50.60.30.00.00.00.00.00.00.00.10.4
평균 상대 습도 (%)746659565248464855657276
평균 일조 시간143181226246294324363329258208156127

[30][31]

3. 3. 행정 구역

사라고사는 행정구역상 15개의 도시 지역과 14개의 농촌 지역으로 나뉜다.[32]

#도시 지역
1카스코 이스토리코
2센트로
3델리시아스
4우니베르시다드
5산호세
6라스 푸엔테스
7라 알모사라
8올리베르-발데피에로
9토레로
10엘 라발
11악투르-레이 페르난도
12카사블랑카
13산타 이사벨
14미랄부에노
15디스트리토 수르


4. 역사

기원전 7세기경부터 사라고사에 정착지가 형성되었다. 로마 제국 시대에는 '카이사라우구스타'라는 이름의 식민 도시로 번성했다. 서고트 왕국 문화의 중심지였으며, 이슬람 지배 시대에는 '사라쿠스타'라는 이름으로 알안달루스의 중요한 도시였다. 아라곤 왕국의 수도로 지정된 이후 중세 시대에 크게 번성했다.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반도 전쟁 등 여러 역사적 사건을 겪었다. 스페인 내전 당시에는 프랑코파의 주요 거점 중 하나였으며, 이후 산업 중심지로 발전했다.

1564년, 흑사병이 도시를 휩쓸어 큰 피해를 입혔다.[18] 당시 약 2만 5천~3만 명으로 추산되는 인구 중 약 1만 명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후안 바우티스타 마르티네스 델 마소(Juan Bautista Martínez del Mazo)의 ''사라고사 전경'' (1647)


1701~1714년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당시]], 이 도시는 대공 카를을 지지하며 무기를 들었다. 1706년 6월 29일 사라고사에서 카를이 "아라곤 국왕"으로 선포되었다. 카를은 1706년 7월 도시에 입성하여 부르봉 측에 가담한 아라곤 지역들을 공격했다.[19] 1707년 4월 알만사 전투 이후, 오스트리아 지지 세력이 패주하며 전세가 역전되었고, 오를레앙 공작이 이끄는 부르봉군이 1707년 5월 26일 도시에 입성했다. 그는 왕국을 장악하자 누에바 플란타 칙령으로 알려진 일련의 제도 개혁을 단행하여 아라곤의 제도를 카스티야 제도로 대체했다. 1710년 알메나르 전투 이후 전세가 다시 뒤바뀌었고, 1710년 8월 20일 사라고사 근처에서 부르봉군이 패배한 후, 대공 카를이 다음 날 도시로 돌아왔다.[19] 하지만 이는 짧은 기간이었고, 필리프 5세는 아라곤 왕국에 대한 통치를 강화하고 제도적 공백 이후 행정 개혁을 재개했다.

1766년 4월, 빵과 기타 필수재의 높은 가격으로 인한 심각한 식량 폭동이 발생했다. 이른바 motín de los broqueleroses로 불리는 이 폭동은 검과 방패(broqueleses)를 든 억압 요원, 자원 농민 및 장인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폭동 진압으로 약 300명이 부상하고 200명이 구금되었으며 8명이 사망했다. 이후 17건의 공개 처형과 알자페리아 지하 감옥에서 무수한 살인이 자행되었다.

철도 교통은 1861년 9월 16일 바르셀로나-사라고사 노선이 개통되면서 바르셀로나에서 북역에 열차가 도착하면서 사라고사에 도입되었다.[21] 마드리드-사라고사 노선은 1년 반 후인 1863년 5월 16일에 개통되었다.[21]

4. 1. 고대

사라고사에서 가장 오래된 정착지는 기원전 7세기의 것이다. 기원전 3세기경에는 이베리아인의 일족인 Salduie|살두이에es족이 현재의 사라고사를 중심으로 살았다. 근처 이베리아인들이 카르타고와 동맹하여 제2차 포에니 전쟁을 벌인 것과는 대조적으로, 살두이에족은 로마 공화정에 협력했다.

로마 제국 시대에 아우구스투스는 기원전 25년에서 기원전 11년 사이에 군인 출신 원로들을 정착시키기 위한 식민지로서 도시를 건설하고 ''카이사라우구스타''라 명명하였다.[10] 이 도시는 칸타브리아 전쟁 참전 용사들을 위한 정착지였다. 로마 황제 아우구스투스 시대인 2세기에는 최전성기를 맞아 포룸, 온천, 극장 등의 공공 시설이 건설되었고, 이러한 유적은 오늘날까지 남아 있다.

2세기에서 3세기에 걸친 카이사르아우구스타의 모자이크


3세기에는 로마의 "3세기의 위기"로 인해 공공 시설은 쇠퇴하고 성벽이 건설되었다.

4. 2. 중세

5세기, 서고트족이 사라고사를 점령했지만, 큰 유혈 사태나 파괴는 없었다.[4] 7세기 사라고사는 산타 엔그라시아 수도원과 관계가 깊은 다수의 교회 지식인과 사라고사 주교를 배출했기 때문에, 세비야, 톨레도와 함께 서고트 왕국 문화의 중심지가 되었다.

8세기, 우마이야 왕조의 이베리아 반도 정복 이후 사라고사는 알안달루스의 상부 변경 지역의 수도가 되었다. 1018년, 코르도바 칼리파국의 붕괴 속에서 사라고사는 독립적인 사라고사 타이파가 되었다. 처음에는 바누 투지브 가문이 지배했고,[12] 1039년부터는 바누 후드 가문이 통치했다.[12]타이파는 11세기 후반에 문화적, 정치적으로 크게 번영했으며, 아흐마드 알 무크타디르, 유수프 알 무타만 이븐 후드, 알 무스타인 2세가 통치했다.[13] 1110년 알모라비드 왕조에 함락되었다.[12]

1118년 12월 18일, 아라곤 왕국의 알폰소 1세가 알모라비드 왕조로부터 사라고사를 정복[14]하고 아라곤 왕국의 수도로 삼았다.[15]

무슬림 지배 시대 사라고사(Saraqusta) 지도, 현재 도시(밝은 회색)에 겹쳐 표시됨

4. 3. 근세

1591년, 사라고사에서는 필리페 2세에게 기소된 전 비서관 Antonio Pérez (statesman)영어가 아라곤 왕국으로 도망쳐 재판권을 둘러싸고 대립이 발생하면서 이 일어났다.[58] 아라곤의 특권을 지키기 위해 민중이 폭동을 일으켰고, 필리페 2세는 군대를 파견하여 이를 진압하고 시장을 사형에 처했다. 이로 인해 아라곤의 특권 일부가 상실되었다.

스페인 독립 전쟁에서 나폴레옹 군의 침입에 저항하여 1808년부터 1809년까지 두 차례에 걸쳐 을 받았다.[58] 당시 폐위되었던 페르난도 7세에게 충성했던 사라고사는 아라곤 귀족 José de Palafox y Melcies의 지휘 아래 알자페리아 궁전을 프랑스로부터 되찾았다. 프랑스는 사라고사를 포위했지만, 주민들의 격렬한 저항에 맞서 포기했다. 5만 5천 명에 달했던 사라고사의 인구는 이 전투에서 1만 2천 명으로 감소했다.

4. 4. 현대

1936년 7월 쿠데타는 미겔 카바넬라스 장군 등이 주도하여 사라고사에서 성공했다. 군사 반란 이후, 민정 장관이 시민들에게 무기를 제공하는 것을 거부했기 때문에, 노동자들은 카스페로 피신했다.[20] 쿠데타 주동자들의 후방 폭력은 7월 19일부터 시작되어 스페인 내전 초기 단계 동안 계속 증가했다.[22] 사라고사는 프랑코파에게 중요한 역할을 했다.[22]

파랑헤 대원들이 엘 필라르 대성당 앞에 서 있다 (1936년 10월 12일)


1940년 9월 27일, 호세 엔리케 바렐라에 의해 육군사관학교가 재설립되었다.[20] 1953년 마드리드 협정으로 미국-스페인 합동 공군기지가 설치되었다.[23] 1964년, 사라고사는 Polo de Desarrollo Industriales("산업 개발 거점")으로 선포되어 인구가 급증했다.[23]

1979년 아라곤 코로나 호텔 화재로 최소 80명이 사망했다.[24] 1987년 ETA의 사라고사 병영 폭탄 테러로 11명이 사망하여, 25만 명이 시위에 참여했다.[25]

1982년부터 이 도시는 제너럴 모터스오펠 자동차 생산을 위해 건설한 대규모 공장의 본거지가 되었다.[20] 2008년에는 사라고사 엑스포(Expo Zaragoza)가 개최되었다.

5. 정치

임기시장정당
1라몬 사인스 데 바란다스페인 사회노동당(PSOE)
2라몬 사인스 데 바란다 (1983-1986)
안토니오 곤잘레스 트리비뇨 (1986-1987)
스페인 사회노동당(PSOE)
3, 4안토니오 곤잘레스 트리비뇨스페인 사회노동당(PSOE)
5루이사 페르난다 루디 우베다인민당(PP)
6루이사 페르난다 루디 우베다 (1999-2000)
호세 아타레스 마르티네스 (2000-2003)
인민당(PP)
7, 8, 9후안 알베르토 벨로크 줄베스페인 사회노동당(PSOE)
10페드로 산티스테베 로체사라고사 엔 코문
11호르헤 안토니오 아스콘 나바로인민당(PP)
12나탈리아 추에카 무뇨스인민당(PP)


6. 경제

자동차 산업이 발달했다. 1982년 인근 소도시 피게루엘라스(Figueruelas)에 오펠(Opel) 공장이 문을 열었으며, 지역 경제의 주요 축은 자동차 산업이다.[35] 이 외에도 가전제품을 생산하는 (주)발라이, 국내외 시장에 철도 차량(rolling stock)을 공급하는 CAF, 문구류 분야의 SAICA와 Torraspapel, 피콜린(Pikolin), 라카사(Lacasa), 이마지나리움 SA(Imaginarium SA) 등 여러 지역 기업들이 있다.

사라고사시의 경제는 2008년 세계 박람회(Expo 2008) 개최를 통해 혜택을 보았다.[35] 2008년 6월 14일부터 9월 14일까지 개최된 이 박람회는 물과 지속 가능한 개발을 주제로 하였다. 또한 Plataforma Logística de Zaragoza|사라고사 물류 플랫폼es (PLAZA), Parque Tecnológico de Reciclado|재활용 기술 공원es (PTR)과 같은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2003년 12월부터 AVE(AVE) 고속철도가 통과하는 도시가 되었다. 현재 사라고사 공항(Zaragoza Airport)은 마드리드, 바르셀로나, 리스본에 이어 이베리아 반도에서 주요 화물 허브 역할을 하고 있다.

7. 사회

사라고사에는 아라곤 주 인구의 약 절반, 사라고사 주 인구의 약 4분의 3이 집중되어 있다. 1900년부터 2020년까지 사라고사 인구 변화 추이는 다음과 같다.[34]

1900년부터 2020년까지의 사라고사 인구 변화 추이
연도1900191019201930194019501960197019811991199419962001200420062008201020122014201620182020
인구(천 명)99112141174239264326480591594607602611639649666675680666661667682



2017년에는 64,003명의 외국인이 거주하여 전체 인구의 9.6%를 차지했다. 2010년부터 2017년까지 이민자 수는 87,735명에서 64,003명으로 27% 감소했다. 국적별로는 루마니아인이 29.8%로 가장 많고, 모로코인(9.1%)과 중국인(7%)이 그 뒤를 잇는다.[34]

2017년 사라고사 외국인 국적별 인구
순위국적인구
1România|루마니아ro19,064
2المغرب|모로코ar5,804
3中国|중국중국어4,497
4Ecuador|에콰도르es3,302
5Colombia|콜롬비아es2,488
6الجزائر|알제리ar2,470
7Sénégal|세네갈프랑스어2,117
8República Dominicana|도미니카 공화국es1,115
9Україна|우크라이나uk1,030



사라고사 세계무역센터(World Trade Center Zaragoza)


2019년 스페인의 사회과학연구센터(CIS) 설문조사에 따르면,[33] 사라고사 주민들의 종교는 다음과 같다.

7. 1. 교통

사라고사는 마드리드, 바르셀로나, 발렌시아, 빌바오 등 주요 도시들과 약 300km 거리에 있으며, 고속도로를 통해 이들 도시와 연결되어 있다.[59]

사라고사 시내에서는 사라고사 시내버스(AUZSA)가 31개의 일반 노선 등을 운영하고 있다.[43] 사라고사 지역 교통 컨소시엄(CTAZ)이 운영하는 시외 버스 네트워크도 있다.[44]

시는 자전거 전용 도로를 갖추고 있으며, 공공 자전거 대여 시스템인 bizi zaragoza|비시 사라고사es를 운영하고 있다. 사라고사 트램 1호선이 완전 개통되었다.

스페인 고속철도망(AVE)을 통해 고속철도로 마드리드와 바르셀로나 등 주요 도시와 연결된다. 마드리드까지는 75분, 바르셀로나까지는 약 90분이 소요된다. 사라고사-델리시아스 역은 철도와 버스를 모두 이용할 수 있는 중앙역이다. 렌페가 운영하는 통근열차인 ''세르카니아스 사라고사'' 네트워크도 있다.

사라고사 공항은 도시 중심부에서 10km 떨어진 가라피니요스 지역에 위치해 있다. 주요 상업 공항이며, 스페인 공군 제15비행단의 기지 역할을 한다. NASA는 우주왕복선의 대서양 긴급 착륙 상황에 대비한 긴급 착륙지로도 사용되었다.

7. 2. 교육

사라고사 대학교는 1542년에 설립된 아라곤 지방의 유일한 공립 대학교이다. 산티아고 라몬 이 카할(신경해부학자), 호세 마르티(혁명가), 마누엘 아사냐(스페인 제2공화국 총리) 등을 배출했다. 사라고사 대학교의 캠퍼스는 우에스카테루엘 등 아라곤 지방 각지에 위치해 있다. 사라고사 대학교는 스페인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교 중 하나이자 주요 연구개발 중심지이며, 수십 개 분야에서 최고 학위를 수여한다.

사라고사 대학교


사라고사에는 MIT, 아라곤 주 정부, 사라고사 대학교 간의 독특한 파트너십인 MIT-사라고사 국제 물류 프로그램(MIT-Zaragoza International Logistics Program)도 있다.

사립 대학교로는 Universidad San Jorge|산 호르헤 대학교es가 있으며, 사라고사 인근 Villanueva de Gállego|비야누에바 데 갈례고es에 캠퍼스를 두고 있다. 프랑스어로 교육하는 국제학교로는 Lycée Français Molière de Saragosse|리세 프랑세 몰리에르 드 사라고사영어가 있다.

7. 3. 인구

아라곤 주 인구의 약 절반, 사라고사 주 인구의 약 4분의 3이 사라고사에 집중되어 있다.

1900년부터 2020년까지의 사라고사 인구 변화 추이[34]
연도1900191019201930194019501960197019811991199419962001200420062008201020122014201620182020
인구(천 명)99112141174239264326480591594607602611639649666675680666661667682



2017년 사라고사에는 64,003명의 외국인이 거주하여[34] 전체 인구의 9.6%를 차지했다. 2010년부터 2017년까지 이민자 수는 87,735명에서 64,003명으로 27% 감소했다. 사라고사에 거주하는 외국인 중 루마니아인이 29.8%를 차지하며 전체 도시 인구의 2.9%에 해당하고, 다음으로 모로코인(9.1%)과 중국인(7%)이 뒤를 잇는다.

2017년 사라고사 외국인 국적별 인구[34]
순위국적인구
1România|루마니아ro19,064
2المغرب|모로코ar5,804
3中国|중국중국어4,497
4Ecuador|에콰도르es3,302
5Colombia|콜롬비아es2,488
6الجزائر|알제리ar2,470
7Sénégal|세네갈프랑스어2,117
8República Dominicana|도미니카 공화국es1,115
9Україна|우크라이나uk1,030



7. 4. 종교

2019년 스페인의 사회과학연구센터(CIS)가 3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51.0%는 비실천적 가톨릭 신자, 24.0%는 실천적 가톨릭 신자, 6.7%는 무관심/무신론자, 5.0%는 불가지론자, 4.3%는 무신론자, 2.3%는 "기타 종교"라고 응답했으며, 6.7%는 응답하지 않았다.[33]

8. 문화

기독교는 일찍이 사라고사에 뿌리를 내렸다.[37] 전설에 따르면, 1세기에 사라고사에서 성모 마리아가 기둥 위에 서서 성 야고보에게 기적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이 발현은 '기둥의 성모'(Nuestra Señora del Pilar)라는 이름의 가톨릭 대성당인 누에스트라 세뇨라 델 필라르 성당에서 기념되고 있다.[38]

아라곤어는 수 세기 동안 쇠퇴하여 주로 아라곤 북부에만 제한되어 있었으나, 최근 지역 내에서 더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오늘날 사라고사에서는 최대 7,000명이 아라곤어를 사용한다.[39]

8. 1. 축제

매년 열리는 사라고사의 필라르 축제(Fiestas del Pilar)는 9일간 지속되며, 주요 행사는 10월 12일에 열린다. 이 날짜는 스페인의 국경일인 엘 디아 데 라 이스파니다드(히스파니시티의 날, El Día de la Hispanidad)와 일치하며, 이 날은 스페인과 히스패닉 아메리카의 문화적, 역사적 유대감을 기념한다.[40] 10월 12일은 또한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아메리카에 도착한 날과 일치한다.

피라르 축제(Fiestas del Pilar)의 불꽃놀이


축제 기간 동안에는 개막 연설부터 에브로 강 위의 마지막 불꽃놀이까지 다양한 행사가 열린다. 행진 밴드, jota aragonesa|호타 아라고네사es(가장 인기 있는 민속 음악 춤)와 같은 춤, ''거인과 머리 큰 인형(gigantes y cabezudos)'' 행렬, 콘서트, 전시회, ''바키야스(vaquillas)'', 투우, 놀이공원 놀이기구, 불꽃놀이 등이 포함된다. 가장 중요한 행사 중 일부는 10월 12일에 열리는 성모 마리아에게 꽃을 바치는 Ofrenda de Flores|오프렌다 데 플로레스es (꽃 공물) 행사로, 성모 마리아의 망토를 연상시키는 거대한 표면이 꽃으로 뒤덮인다. 그리고 10월 13일에 열리는 Ofrenda de Frutos|오프렌다 데 프루토스es (과일 공물) 행사에서는 모든 스페인의 자치주가 전형적인 지역 요리를 성모 마리아에게 바치고, 이를 무료 급식소에 기증한다.

사라고사의 성주간은 안달루시아 또는 바호 아라곤(Bajo Aragón) 지역만큼 정교하지는 않지만, 매일 수많은 행렬이 시내 중심부를 지나가며 극적인 조각상, 검은색 옷을 입고 기도하는 여성들, 그리고 수백 명의 두건을 쓴 사람들이 북을 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2014년부터 국제 관광 명소 축제로 지정되었다.[41]

사라고사의 성주간

8. 2. 건축물



에브로 강변에 있는 필라르 성당은 1세기에 사라고사에서 성모 마리아가 기둥 위에 서서 성 야고보에게 기적으로 나타났다는 전설을 기념하는 성당이다.[37] 필라르 성당 근처에는 사라고사 시청, 론하(옛 환전소), 산 살바도르 대성당(라 세오)이 있다.

산 살바도르 대성당(라 세오)은 주요 모스크 위에 세워진 교회로, 11세기 파로케타의 북쪽 벽에 부분적으로 보존되어 있으며, 12세기 로마네스크 양식의 후진부가 있다. 내부에는 15세기부터 16세기에 걸쳐 건설된 인상적인 홀 교회, 바로크 양식의 탑, 그리고 로마 유적지인 포럼과 항구 성벽 근처에 있는 유명한 tapestry 박물관이 있다.[38] 살바도르 데 사라고사 대성당(라 세오)은 로마네스크 양식, 고딕 양식, 무데하르 양식 등의 건축 양식이 융합된 대성당이다. "세오"는 아라곤어로 "대주교좌"를 의미한다.

알하페리아 궁전은 11세기 3분기에 후디드 왕조를 위해 건설되었으며, 서양이나 동양 어느 곳에서도 가장 풍부하고 복잡한 이슬람 장식 예술의 사례 중 하나를 자랑한다.[48] 현재는 아라곤 의회 건물로 사용되고 있다. 타이파 시대에 이슬람 군주에 의해 건축된 성으로, 아라곤 왕국의 궁전으로도 사용되었다.

산 파블로 교회, 산타 마리아 마달레나 교회, 산 질 아바드 교회는 14세기에 건립되었지만, 탑은 11세기에 건립된 옛 미나렛일 수 있다. 산 미겔 교회(14세기), 산티아고(산 일데폰소), 페세타스 수도원은 17세기 무데하르 천장이 있는 바로크 양식 건물이다. 이 모든 교회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무데하르 기념물이다.[49]

누에스트라 세뇨라 델 피라르 성당은 서기 40년 1월 2일, 야고보 앞에 성모 마리아가 기둥 위에 나타났다는 전설(피라르의 성모)에 기인한다. 현재 건물은 17세기부터 19세기에 걸쳐 건축되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아라곤의 무데하르 양식 건축물」에는 사라고사에 있는 "알하페리아 궁전의 무데하르 양식 유적", "라 세오의 후진, 예배당(파로키에타), 돔", "산 파블로 교회의 탑과 교구 교회"의 세 건축물이 포함되어 있다.

9. 스포츠

사라고사에는 레알 사라고사(Real Zaragoza)(축구), 바스켓 사라고사 2002(Basket Zaragoza 2002)(농구), AD사라10(AD Sala 10)(풋살) 등 다양한 스포츠 클럽이 활동하고 있다.

1983년부터 사라고사 인근의 에서 랠리 레이드(Rally raid) 대회인 이 개최되고 있다.

사라고사는 동계 올림픽 유치에 관심을 보였으나, 1998년부터 2014년까지 4회 연속 유치에 실패했다.[65] 2022년 동계 올림픽 유치도 검토했지만, 바르셀로나의 유치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2011년에 포기했다.[68]

디비시온 데 오노르 B (2부 리그)나 지역 리그 등에 속해 있는 럭비 클럽으로는 이베로 클루브 데 라그비 사라고사, 페닉스 클루브 데 라그비, CD 우니베르시타리오 데 라그비가 있다.

9. 1. 축구

레알 사라고사는 사라고사를 연고지로 하는 축구 클럽으로, 세군다 디비시온에서 활동하고 있다. 1932년 3월 18일에 창단되었으며, 홈 경기는 34,596명을 수용할 수 있는 라 로마레다에서 치른다.[65] 코파 델 레이에서 6회(1965년, 1966년, 1986년, 1994년, 2001년, 2004년) 우승했으며, 인터시티즈 페어스컵(1964)과 1994-95 시즌 UEFA컵 위너스컵에서도 우승했다. 2007년 정부 조사에 따르면 스페인 인구의 2.7%가 이 클럽을 응원하여, 전국에서 7번째로 많은 팬을 보유한 팀으로 나타났다.

레알 사라고사의 홈구장인 라 로마레다


CD 에브로는 1942년에 창단된 사라고사의 또 다른 축구팀이다. 세군다 디비시온 B에서 활동하며, 1,000석 규모의 캄포 무니시팔 데 푸트볼 라 알모사라에서 홈 경기를 치른다.

사라고사 CFF는 사라고사 출신의 스페인 여자 축구팀으로, 한때 최상위 리그에서 활동했으며 현재는 세군다 페데라시온 페메니나에서 활동하고 있다.

9. 2. 농구

바스켓 사라고사는 스폰서십 계약으로 '카사데몬트 사라고사'로 알려져 있으며 리가 ACB에서 활동한다. 홈 경기는 파벨론 프린시페 펠리페에서 치른다.[65]

스타디움 카사블랑카는 스폰서십 계약으로 '만 필터'로도 알려져 있으며,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활동하는 여자 농구 클럽이다.[65]

남자 농구 클럽인 바스켓 사라고사는 파벨론 프린시페 펠리페를 홈 경기장으로 하고 있다. 바스켓 사라고사는 2008년과 2010년에 LEB 오로(LEB Oro)(2부 리그)에서 우승했고, 2012-13 시즌과 2013-14 시즌에는 2시즌 연속으로 리가 ACB(Liga ACB)(1부 리그)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2000년에는 여자 농구 클럽인 CDB 사라고사가 설립되어 12시즌 동안 리가 페미니나 바론세스토(Liga Femenina de Baloncesto)(1부 리그)에 속해 있었지만, 2013년에 해산했다.

9. 3. 풋살

Dlink 사라고사는 LNFS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활동하는 주요 풋살 팀이다.[65] 파벨론 시글로 XXI에서 경기를 치르며, 이 경기장은 2,600명을 수용할 수 있다.[65]

9. 4. 기타 스포츠

나니 로마(Nani Roma) 2009년 바하 에스파냐


BM 아라곤(BM Aragón)은 리가 아소발(Liga ASOBAL)에서 활동하는 핸드볼 팀이다.[47]

스페인 바하(Spanish Baja) 또는 바하 아라곤(Baja Aragon)은 스페인 북부 아라곤 지방에서 열리는 랠리 레이드 대회이다. 1983년에 시작되었으며, 사라고사의 풍경과 서비스 인프라를 이용할 수 있어 모네그로스 사막에서 개최된다.

사라고사 지역 리그에는 세 개의 럭비 유니온 팀이 있다.

# 이베로 클럽 드 럭비 사라고사(Ibero Club de Rugby Zaragoza)

# 페닉스 클럽 드 럭비(Fénix Club de Rugby)

# 클럽 데포르티보 우니베르시타리오 드 럭비(Club Deportivo Universitario de Rugby)

10. 관광 명소

라보르데타 대공원


에브로 강변에 있는 필라르 성당 근처에는 사라고사 시청, 론하(옛 환전소), 산 살바도르 대성당이 있다. 이 대성당은 주요 모스크 위에 세워진 교회로, 11세기 파로케타의 북쪽 벽에 부분적으로 보존되어 있으며, 12세기 로마네스크 양식의 후진부가 있다. 내부에는 15세기부터 16세기에 걸쳐 건설된 인상적인 홀 교회, 바로크 양식의 탑, 그리고 로마 유적지인 포럼과 항구 성벽 근처에 있는 유명한 태피스트리 박물관이 있다.[38]

알하페리아 궁전은 11세기 3분기에 후디드 왕조를 위해 건설되었으며, 서양이나 동양 어느 곳에서도 가장 풍부하고 복잡한 이슬람 장식 예술의 사례 중 하나를 내부에 자랑한다.[48] 현재는 아라곤 의회 건물로 사용되고 있다.

산 파블로 교회, 산타 마리아 마달레나 교회, 산 질 아바드 교회는 14세기에 건립되었지만, 탑은 11세기에 건립된 옛 미나렛일 수 있다. 산 미겔 교회(14세기), 산티아고(산 일데폰소), 페세타스 수도원은 17세기 무데하르 천장이 있는 바로크 양식 건물이다. 이 모든 교회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무데하르 기념물이다.[49]

다른 중요한 볼거리로는 주로 16세기에 건축된 시내의 저택과 궁전들이 있다. 모라타 백작 또는 루나 백작(오디엔시아) 궁전, 데안 궁전, 토레로 궁전(colegio de Arquitectos|건축가 협회es), 돈 로페 또는 레알 마에스트란자 궁전, 사스타고 백작 궁전, 아르길로 백작 궁전(현재 파블로 가르갈로 박물관), 대주교 궁전 등이 있다.

기타 주요 관광 명소는 다음과 같다.

  • 피에드라 다리
  • 산 일데폰소 교회
  • 산타 엔그라시아 수도원
  • 히스파니다드 분수


사라고사의 주요 박물관은 다음과 같다.[50]

11. 자매 도시

사라고사는 다양한 국가의 여러 도시들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으며, 특히 프랑스와의 교류가 활발하다.[52][53]

국가도시체결 연도
프랑스1960년
과테말라사라고사1976년
프랑스비아리츠1977년
아르헨티나라플라타1990년
미국 푸에르토리코폰세1993년
니카라과레온2002년
팔레스타인베들레헴2003년
헝가리오부다-베카슈메예르2004년
멕시코티후아나2005년
스페인모스톨레스2005년
포르투갈코임브라2005년
볼리비아라파스2008년
필리핀잠보앙가2008년
중국다롄2008년
중국유림2008년
북마케도니아스코페2008년
몰타엠디나2008년
아르헨티나코르도바2008년
멕시코아티사판2009년
콜롬비아쿠쿠타2010년
온두라스요로2012년
브라질캄피나스2012년
엘살바도르사라고사2014년
스페인캉프랑크2015년



사라고사는 다음 도시들과 특별한 양자 협력 협정을 맺고 있다.[54]


12. 주요 인물


  • 아브라함 아불라피아(1240–1291): 예언적 카발라 학파의 창시자이다.
  • 알론소 페르난데스 데 에레디아(1782년 3월 19일 사망): 온두라스(1747년), 플로리다(1751–1758년), 유카탄(현재 멕시코; 1758–?년), 과테말라 총독령(1761–1771년)과 니카라과(1761–1771년) 총독을 역임했다.
  • 레비 이븐 알-타반(12세기): 유대인 문법학자이자 시인이다.
  • 하스다이 크레스카스: 유대인 철학자이자 오르 아도나이의 저자이다.
  • 아마랄 (밴드)(1992년 결성): 스페인과 아메리카에서 인기 있는 음악 밴드이다.
  • 펠릭스 아나우트(1944년생): 화가이다.[55]
  • 아베엠파체(1085–1138): 박식가이다.
  • 바히야 벤 조셉 이븐 파쿠다(1050–1120): 유대인 철학자이자 ''호보트 할레바봇''의 저자이다.
  • 라몬 페레냐크(1763–1832): 작곡가이다.
  • 호세 루이스 질(1957년생): 배우이다.
  • 루이스 데 오르위티네르(? – ?): 스페인령 플로리다(1633 – 1638년) 주지사이자 사르데냐 총독이었다.
  • 호세 안토니오 히메네스 살라스(1916 – 2000): 지반공학자, 토목공학 교수, 스페인 왕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이었다.
  • 마피 레온(1995년생): 스페인 국가대표팀 축구 선수이다.
  • 라파엘 나바로(1940년 10월 8일생): 사진작가이다.
  • 살마 파랄루엘로(2003년생): 스페인 국가대표팀 축구 선수이다.
  • 세바스티안 포사스(1876–1946): 군인이다.
  • 알-사라쿠스티(1143년 사망): 12세기 안달루시아 사전 편찬자, 시인, 언어학자이다.
  • 마리아 델 필라르 시누에스 데 마르코(1835-1893): 19세기 다작 작가이다.
  • 이레네 발레호: 작가이다.
  • 디노 발스(1959년생): 화가이다.
  • 호세 마리아 비질(1946년생): 신학자이다.
  • 사라고사의 성 빈첸시오(304년 사망): 스페인의 기독교 순교자이다.
  • 이븐 바즈(1095-1138): 이슬람 철학자이자 무라비트 왕조의 재상이다.
  • 마리아노 라가스카 이 세구라(1776-1839): 식물학자이다.
  • 피라르 로렌게르(1928-1996): 소프라노 가수이다.
  • 알폰소 마르티네스(1937-2011): 농구 선수이다.
  • 빅토르 무뇨스(1957-): 축구 선수이자 축구 감독이다.
  • 프란시스코 비야로야(1966-): 축구 선수이다.
  • 알베르토 벨스에(1968-): 축구 선수이다. 전 스페인 대표이며, UEFA 유로 1996에 출전했다.
  • 다비 카냐다(1975-2016): 사이클 선수이다.
  • 살바 바예스타(1975-): 축구 선수이다.
  • 파울라 오르티스(1979-): 영화 감독이다.

참조

[1] 서적 La España de las ciudades: El Estado frente a la sociedad urbana https://books.google[...] ED Libros 2017
[2] 웹사이트 Gross domestic product (GDP) at current market prices by metropolitan regions https://ec.europa.eu[...]
[3] 웹사이트 Saragossa http://www.collinsdi[...] Collins Dictionary null
[4] 웹사이트 Zaragoza (conventional Saragossa) http://www.britannic[...]
[5] 웹사이트 null https://ine.es/jaxiT[...]
[6] 서적 Multilingualism in the Graeco-Roman World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9-06
[7] 서적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Walton and Maberly London 1854
[8] 웹사이트 Strabo, Geography, 3.2.15 http://www.perseus.t[...]
[9] 웹사이트 Charlton T. Lewis, Charles Short, A Latin Dictionary, Caesăraugusta http://www.perseus.t[...]
[10] 웹사이트 Places: 246344 (Col. Caesaraugusta) http://pleiades.stoa[...] Pleiades
[11] 문서 null
[12] 웹사이트 Los reinos de Taifas en la Marca Superior (Zaragoza-Albarracín) https://ifc.dpz.es/w[...] Institución Fernando el Católico
[13] 학술지 Historia, memoria y ciudad. La recuperación de la imagen de Alfonso I, El Batallador. https://revistas.uta[...] Universidad de Bogotá Jorge Tadeo Lozano
[14]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Medieval Warfare and Military Technolog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15] 웹사이트 Aragon region, Spain https://www.britanni[...]
[16] 서적 Honos alit artes. Studi per il settantesimo compleanno di Mario Ascheri. Il cammino delle idee dal medioevo all'età moderna http://www.rm.unina.[...] Firenze University Press
[17] 서적 Sages of Spain in the Eye of the Storm: Jewish Scholars of Late Medieval Spain Bialik
[18] 서적 Zaragoza 1564. El año de la peste https://ifc.dpz.es/r[...] Institución Fernando el Católico
[19] 서적 La Guerra de Sucesión en Ibdes y su comarca. Una villa privilegiada en la aplicación de los decretos de Nueva Planta https://ifc.dpz.es/r[...] Institución Fernando el Católico
[20] 웹사이트 Napoleon's Total War http://www.historyne[...] Historynet.com 2007-03-07
[21] 웹사이트 El tren cumple 150 años en Zaragoza https://www.elperiod[...] 2011-08-28
[22] 웹사이트 La primera gran fábrica de guerra de Franco https://www.heraldo.[...] 2010-07-18
[23] 서적 El espacio agrícola entre el campo y la ciudad Universidad Politécnica de Madrid
[24] 뉴스 El incendio del Corona de Aragón, fue provocado, según "El Alcázar" http://elpais.com/di[...] PRISA 1979-11-20
[25] 뉴스 11 Killed by Bomb in Northern Spain https://www.nytimes.[...] 1987-12-12
[26] 웹사이트 Datos del Registro de Entidades Locales https://ssweb.seap.m[...] Ministerio de Asuntos Económicos y Transformación Digital
[27] 웹사이트 Zaragoza Natural. Un mosaico de paisajes y de biodiversidad https://www.zaragoza[...] Ayuntamiento de Zaragoza 2020-08-12
[28] 웹사이트 El Huerva, el cauce más agraviado https://www.elperiod[...] 2010-01-31
[29] 웹사이트 Zaragoza, Spain Köppen Climate Classification (Weatherbase) http://www.weatherba[...]
[30] 웹사이트 AEMET OpenData https://www.aemet.es[...] AEMET
[31] 웹사이트 Zaragoza Aeropuerto - Valores exremos https://www.aemet.es[...]
[32] 웹사이트 La ciudad revisará las fronteras de sus distritos https://www.heraldo.[...] 2018-05-28
[33] 웹사이트 Postelectoral Elecciones Autonómicas y Municipales 2019. Zaragoza (Municipio de); Results on page 47 http://datos.cis.es/[...] 2019
[34] 웹사이트 Población por sexo, municipios y nacionalidad (principales nacionalidades) - Zaragoza http://www.ine.es/ja[...]
[35] 웹사이트 La Zaragoza americana https://www.heraldo.[...]
[36] 웹사이트 Spanish Army units at Zaragoza http://www.ejercito.[...] 2018-10-08
[37] 서적 Valladolid, Oviedo, Segovia, Zamora, Avil, & Zaragoza: An Historical & Descriptive Account https://archive.org/[...] Lane
[38] 서적 Faiths Across Time: 5,000 Years of Religious History https://books.google[...] ABC-CLIO 2014-01-15
[39] 뉴스 La lucha por la conservación del aragonés: "Tenim un patrimonio inmaterial que estam dixant perder y morir" https://www.eldiario[...] 2021-04-22
[40] 웹사이트 Hispanic Day 2024 in Spain https://www.timeandd[...]
[41] 웹사이트 Boletín Oficial del Estado http://www.boe.es/bo[...] 2018-01-07
[42] 웹사이트 Puente del Tercer Milenio – Third Millennium Bridge http://www.spain.inf[...] Sociedad Estatal para la Gestión de la Innovación y las Tecnologías Turísticas, S.A. (SEGITTUR) 2012-12-27
[43] 웹사이트 Avanza Zaragoza http://www.urbanosde[...] 2018-03-13
[44] 웹사이트 portada - consorciozaragoza.es http://www.consorcio[...] 2018-03-13
[45] 뉴스 El aeropuerto de Zaragoza supera al de Barcelona en tráfico de mercancías http://www.heraldo.e[...] Heraldo de Aragon Editora Digital 2012-09-13
[46] 웹사이트 Zaragoza Public Transportation Statistics https://moovitapp.co[...] Global Public Transit Index by Moovit 2017-06-19
[47] 웹사이트 Copa del mundo de futbolín - Zaragoza https://www.tablesoc[...] International Table Soccer Federation 2024-12-13
[48] 서적 La Aljafería y el arte del islam occidental en el siglo XI: Actas del Seminario Internacional celebrado en Zaragoza los días 1, 2 y 3 de diciembre de 2004 Institución "Fernando el Católico" (C.S.I.C.), Excma. Diputación de Zaragoza
[49] 웹사이트 Mudejar Architecture of Aragon https://whc.unesco.o[...] 2017-08-24
[50] 웹사이트 Municipal Museums and Exhibitions http://www.zaragoza.[...] 2018-03-13
[51] 웹사이트 Provincial Museum of Fine Arts http://www.inspain.o[...] 2018-03-13
[52] 웹사이트 Zaragoza Internacional: Hermanamientos con Zaragoza http://www.zaragoza.[...] Ayuntamiento de Zaragoza 2018-10-08
[53] 웹사이트 International Zaragoza: Town Twinnings https://web.archive.[...] Zaragoza Council 2018-10-08
[54] 웹사이트 Gobierno Municipal de Zapopan | Relaciones Internacionales https://web.archive.[...] 2021-01-29
[55] 간행물 Constraints of time, space and blisters explain the omission of Paul Mckinley at OMAC, Felix Anaut at the Arttank and the Disembodied Eye at the Golden Thread. Fortnight
[56] 웹사이트 Valores Climatológicos Normales. Zaragoza / Aeropuerto http://www.aemet.es/[...] 2010-08
[57] 서적 スペイン史1 山川出版社
[58] 웹사이트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7-22
[59] 웹사이트 Puente del Tercer Milenio – Third Millennium Bridge http://www.spain.inf[...] Sociedad Estatal para la Gestión de la Innovación y las Tecnologías Turísticas, S.A. (SEGITTUR) 2012-12-27
[60] 웹사이트 AUZSA http://www.urbanosde[...]
[61] 뉴스 El aeropuerto de Zaragoza supera al de Barcelona en tráfico de mercancías http://www.heraldo.e[...] Heraldo de Aragon Editora Digital 2012-09-13
[62] 웹사이트 Zaragoza Air Base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null
[63] 서적 Valladolid, Oviedo, Segovia, Zamora, Avil, & Zaragoza: An Historical & Descriptive Account https://books.google[...] Lane
[64] 서적 Faiths Across Time: 5,000 Years of Religious History https://books.google[...] ABC-CLIO 2014-01-15
[65] 웹사이트 Jaca to bid for 2014 Winter Games https://edition.cnn.[...]
[66] 웹사이트 Juegos Olímpicos Zaragoza Pirineos 2022 « Candidatura a los JJOO de Invierno de 2022 (No Oficial) http://www.zaragoza-[...]
[67] 웹사이트 Ayuntamiento de Zaragoza.Zaragoza Turismo. Candidatura Olimpica 2022 http://www.zaragoza.[...]
[68] 웹사이트 Barcelona is now Spain's sole candidate for the 2022 Winter Olympics | News | Homepage | The website of the Barcelona city http://w110.bcn.cat/[...]
[69] 웹인용 Standard Climate Values. Zaragoza Aeropuerto http://www.aemet.es/[...] 2019-07-0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