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임와이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임와이어는 자바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파일 공유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실행되었다. 디지털 오디오 액세스 프로토콜(DAAP)을 통한 라이브러리 공유 및 전송 계층 보안(TLS)을 지원했으며, 무료 버전과 유료 버전인 LimeWire PRO로 배포되었다. 라임와이어는 스파이웨어, 개인 정보 유출, 악성 소프트웨어 유포 등의 비판을 받았으며, 저작권 침해 소송으로 인해 2010년 서비스가 중단되었다. 이후, 여러 포크(fork) 프로그램이 개발되었으며, 2022년에는 관련 없는 NFT 플랫폼이 라임와이어 이름을 사용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바 플랫폼 소프트웨어 - 자바 데스크톱 시스템
  • 자바 플랫폼 소프트웨어 - 핫자바
    핫자바는 자바 프로그래밍 언어 기반으로 개발된 웹 브라우저이며, 1995년 TED 컨퍼런스에서 처음 시연되고 SunWorld 컨퍼런스에서 공식 발표되었다.
  • 2000년 소프트웨어 - 모르프OS
    모르프OS는 1999년 Quark 마이크로커널 기반으로 개발되어 AmigaOS의 대안을 목표로 PowerPC 기반 컴퓨터를 위해 만들어진 운영체제로, 빠른 속도와 세련된 인터페이스를 지향하며 AmigaOne, Macintosh, Efika, Pegasos 등의 특정 하드웨어에서 실행되도록 설계되었다.
  • 2000년 소프트웨어 - 윈도우 2000
    윈도우 2000은 마이크로소프트의 NT 계열 운영 체제로, 윈도우 98의 기능을 NT 커널에 통합하여 안정성과 편의성을 높이고, NTFS 3.0, MMC, EFS 등 새로운 기능과 향상된 하드웨어 지원, 다국어 지원, 접근성 기능 등을 제공하며, 다양한 에디션으로 출시되어 기업 환경에서 널리 사용되었고 윈도우 XP의 기반이 되었다.
  • 자바로 작성된 자유 소프트웨어 - Jitsi
    Jitsi는 오픈 소스 화상 회의 솔루션으로, 학생 프로젝트에서 시작하여 여러 회사를 거쳐 현재 8x8에 인수되었으며, Jitsi Meet 등을 통해 간편한 화상 회의 기능을 제공하지만 개인 정보 보호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자바로 작성된 자유 소프트웨어 - I2P
    I2P는 2003년 Freenet에서 분기된 익명 P2P 분산 통신 계층으로, IP 주소 노출을 방지하며 다양한 소프트웨어와 익명성 응용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기부금으로 운영되며 6~8주마다 릴리스를 진행한다.
라임와이어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LimeWire 로고
LimeWire 로고
LimeWire 4.18.3 on Windows Vista
LimeWire 4.18.3, Windows Vista에서 실행 화면
개발사Lime Wire LLC
발표일2000년 5월 3일
마지막 버전5.5.16
마지막 버전 발표일2010년 9월 30일
마지막 평가판5.6.1
마지막 평가판 발표일2010년 5월 7일
지원 종료 여부
프로그래밍 언어자바
플랫폼자바 SE
지원 언어 수32
종류P2P 파일 공유
라이선스GPL-2.0-or-later
공식 웹사이트LimeWire 공식 웹사이트
상세 정보
개발 회사 소재지미국, 뉴욕 시

2. 특징

자바로 작성되어 자바 가상 머신이 설치된 모든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었다. 개발원은 Lime Wire LLC이다. 애플의 Mac OS X,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즈, 리눅스용 설치 프로그램이 제공되었으며, 일반 사용자의 설치 편의를 위해 deb/RPM 형식의 리눅스용 설치 패키지도 공개되었다. Mac OS 9 및 이전 버전 지원은 라임와이어 4.0.10 릴리스와 함께 중단되었다. 소스 코드를 직접 사용하는 경우 자바 런타임 환경을 별도로 준비해야 했다.

라임와이어는 Gnutella P2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사용자 간 파일을 공유했으며, 2004년 12월에 공개된 버전 4.2부터는 방화벽이 설치된 사용자 간의 파일 교환을 지원하는 최초의 파일 공유 소프트웨어가 되었다.

네트워크 기능으로는 버전 4.8부터 UPnP 인터넷 게이트웨이 장치 컨트롤러로 작동하여 UPnP 지원 라우터의 패킷 전달 규칙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었다. 또한 디지털 오디오 액세스 프로토콜(DAAP)을 통해 라이브러리 공유를 제공하여, 라임와이어가 실행 중이고 공유가 허용된 파일은 로컬 네트워크의 DAAP 지원 장치(예: , 아이튠즈)에서 감지하고 다운로드할 수 있었다. 보안 강화를 위해 버전 4.13.9부터 전송 계층 보안(TLS)으로 연결을 암호화하는 기능이 추가되었고, 버전 4.13.11부터는 TLS가 기본 연결 옵션이 되었다.[15] 베타판 4.13.1부터는 Mojito DHT 기술을 구현하여 네트워크 효율성을 높였다.

사용 편의성 측면에서는 초기 노드 설정 등이 필요 없었고, 파일 공유 성격이 강해 인스턴트 메시지 등으로 미리 알리지 않아도 대부분의 경우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었다.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였기 때문에 여러 파생 프로그램이 만들어졌는데, 대표적으로 펜실베이니아 주립 대학교의 실험적 프로젝트였던 LionShare, 독특한 인터페이스로 인기를 얻은 애플 Mac용 Gnutella 클라이언트 Acquisition, 그리고 Cabos, FrostWire 등이 있다.

3. 버전 역사

자바로 작성되어 자바 가상 머신이 설치된 모든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했으며, 애플의 Mac OS X, 윈도우, 리눅스용 설치 프로그램이 제공되었다. Mac OS 9 및 이전 버전 지원은 라임와이어 4.0.10 버전에서 중단되었다. 버전 4.8부터는 UPnP를 지원하여 라우터 설정을 자동으로 구성할 수 있었고, 디지털 오디오 액세스 프로토콜(DAAP)을 통해 아이튠즈(iTunes)와 같은 프로그램에서 라이브러리 공유가 가능했다. 버전 4.13.9부터는 전송 계층 보안(TLS) 암호화 연결을 지원했으며, 4.13.11 버전부터 기본 옵션이 되었다.[15]

2010년 10월까지 라임와이어는 기본 무료 버전과 향상된 기능의 유료 버전인 LimeWire PRO 두 가지로 배포되었다. LimeWire PRO는 6개월 업데이트에 21.95USD, 1년 업데이트에 약 35달러로 판매되었으며, 더 빠른 다운로드 속도와 향상된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무료 버전이 최대 8명의 호스트에 연결되는 반면, PRO 버전은 최대 10명의 호스트와 직접 연결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16][17] PRO 버전 5.5부터는 AVG 테크놀로지스(AVG Technologies)의 바이러스 백신 엔진이 탑재되어 다운로드된 파일의 안전성을 높였다.[54]

LimeWire 2


자유 소프트웨어였기 때문에 라임와이어를 기반으로 한 여러 포크 버전이 등장했다. 펜실베이니아 주립 대학교의 LionShare[18], Mac OS X 기반의 Acquisition[19] 등이 있었고, 코넬 대학교 연구원들은 파일 신뢰도를 평가하는 Credence 애드인을 개발했다.[20] 2005년 10월에는 일부 기여자들이 라임와이어를 포크하여 FrostWire를 만들었다.[21]

라임와이어는 버전 4.2(2004년 11월 출시)에서 방화벽 간 파일 전송 기능을 도입했으며, 이는 FrostWire에 이어 두 번째였다. 또한 제한적이지만 비트토렌트 프로토콜도 지원했다. 버전 5.0에서는 XMPP 프로토콜 기반의 인스턴트 메신저 기능이 추가되어 사용자 간 채팅 및 파일 공유가 가능해졌다.

Limewire 5 0 11 beta


버전 5.5.1부터는 PRO 버전 사용 시 고유 키를 입력하는 활성화 과정이 추가되어 무단 사용을 방지하려 했다. 하지만 이는 크랙 버전을 통해 우회되기도 했다. 라임와이어의 마지막 안정 버전은 5.5.16이다.

버전 5.5.11부터는 자동 업데이트 기능이 추가되어 개발사가 최신 버전을 비활성화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 기능이 없는 5.5.10 및 이전 버전 사용자들은 금지 명령 메시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었다. 이 때문에 미국 음반 산업 협회(RIAA)나 Lime Wire LLC는 구버전 사용을 완전히 막지는 못했다.[14]

2010년 11월, 라임와이어 공식 배포 중단 이후 'Secret Dev Team'이라는 그룹이 라임와이어 5.6 베타 버전을 기반으로 한 "라임와이어 해적판(LimeWire Pirate Edition)"을 출시했다.[22] 이 버전은 스파이웨어, 애드웨어 등을 제거하고 PRO 버전의 기능을 포함했으며, 개발사의 서버 의존성을 없애 계속 작동하도록 만들어졌다.[23][24] 하지만 라임와이어 측은 이 프로젝트와의 관련성을 부인했고,[27] RIAA의 압력으로 해적판 웹사이트는 폐쇄되었다.[28][29] 이후 이 프로젝트는 WireShare라는 이름으로 재개되어 개발이 이어지고 있다.[30][31]

2020년 8월에는 전 라임와이어 개발자가 참여한 MuWire라는 새로운 무료 파일 공유 프로그램이 출시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I2P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익명성을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32] MuWire 개발자는 한때 limewire.com 도메인을 구매하여 MuWire 웹사이트로 연결했으나, 이후 제3자에게 판매했다.[51]

4. LimeWire PRO

LimeWire의 유료 버전으로 LimeWire PRO가 판매되었으며, 가격은 21.95USD였다. PRO 버전의 혜택 기간을 1년 연장하는 LimeWire PRO 연장판도 판매되었으며, 가격은 34.95USD였다.[16][17]

PRO 버전은 기본 무료 버전(BASIC)보다 향상된 기능을 제공했다. 개발사인 Lime Wire LLC는 PRO 버전이 더 빠른 다운로드 속도와 66% 더 나은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무료 버전이 검색된 동일 파일에 대해 최대 8명의 호스트와 연결되는 반면, PRO 버전은 최대 10명의 호스트와 직접 연결을 지원했기 때문이다.[16][17] 또한, PRO 버전 사용자는 이메일 지원을 받을 수 있었고, 프로그램 시작 시 업그레이드 권유 메시지가 나타나지 않았다.

LimeWire PRO 버전 5.5부터 네덜란드의 AVG 테크놀로지스의 바이러스 백신 SDK 엔진이 탑재되었다.[54] 이를 통해 PRO 버전으로 다운로드된 파일은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전에 자동으로 검사되어 바이러스 감염 확산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버전 5.5.1부터 사용자가 PRO 버전을 활성화하기 위해 고유 키를 입력해야 하는 키 활성화 기능이 추가되었다. 이는 권한 없이 내려받은 PRO 버전을 사용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였으나, 인터넷상에는 이 보안 기능을 우회한 크랙 버전이 유포되기도 했다. 한편, 2010년 11월 'Secret Dev Team'이라는 그룹이 출시한 '라임와이어 해적판'(LimeWire Pirate Edition)은 라임와이어 5.6 베타를 기반으로 했으며, PRO 버전의 독점 기능을 잠금 해제하고 Lime Wire LLC가 설치한 보안 기능을 제거한 버전이었다.[23][24]

5. 비판

2004년 4월 이전, 라임와이어 무료 버전에는 스파이웨어인 '''라임샵'''(TopMoxie의 변형)이 번들로 포함되어 배포되었다. 라임샵은 사용자의 온라인 구매 활동을 감시하여 라임와이어 LLC 측에 판매 수수료가 돌아가도록 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했으며, 라임와이어를 삭제해도 라임샵은 그대로 남아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는 2004년 라임와이어 3.9.4 버전에서 모든 번들 소프트웨어를 제거하면서 해결되었다.

라임와이어 5.0 이전 버전에서는 사용자가 실수로 개인 정보가 담긴 문서 등 컴퓨터 내 모든 파일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는 보안 취약점이 존재했다. 이후 버전에서는 문서나 응용 프로그램의 의도치 않은 공유를 막도록 개선되었다. 2005년,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는 P2P 파일 공유 네트워크 사용 시 신원 도용이나 소송에 휘말릴 위험이 있음을 경고하기도 했다.

실제로 2007년에는 라임와이어를 이용한 신원 도용 범죄가 적발되기도 했다. 미국 법무부는 이를 파일 공유 프로그램을 이용한 첫 신원 도용 기소 사례로 설명했다. 범인은 라임와이어를 통해 다른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실수로 공유된 금융 정보를 찾아내 신용카드를 부정하게 발급받아 온라인 쇼핑에 사용했다.

한 조사에서는 무작위로 선택된 라임와이어 다운로드 파일 123개 중 37개(약 30%)에서 악성 소프트웨어가 발견되었다. 2008년 중반에는 macOS Tiger 및 Leopard 사용자를 대상으로 Apple Remote Desktop의 취약점을 악용한 트로이 목마가 라임와이어를 통해 유포되기도 했다. 라임와이어 5.0 이상 버전에서는 실행 파일이 기본 검색 설정에서 제외되면서 이러한 악성 코드나 바이러스 유포 가능성은 줄어들었다.

과거 소프트웨어 번들링에 반대 입장을 보였던 라임와이어는 2010년, Ask.com 기반의 브라우저 툴바를 배포하면서 사용자가 설치 과정에서 명시적으로 거부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설치되도록 하여 비판을 받았다.

또한 라임와이어는 IP 차단 목록이 포함된 암호화된 파일(simpp.xml)을 사용자 모르게 자동으로 내려받았다. 이 파일은 현재는 사라진 사이버 보안 회사 Tiversa의 핵심 기술과 관련된 것으로, Tiversa는 이 정보를 이용해 잠재 고객에게 자사 서비스 이용을 압박했다는 의혹을 받았다.

6. 몰락 (법적 문제)

2005년 6월, 뉴욕 타임스는 라임와이어(Lime Wire LLC)가 ''MGM v. Grokster'' 판결 이후 소프트웨어 배포 중단을 고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판결은 법원이 유인 행위를 폭넓게 인정할 수 있는 길을 열었기 때문이다.[40] 그럼에도 라임와이어는 운영을 계속했다.

2006년 8월 4일, 소니 BMG, 버진 레코드, 워너 브라더스 레코드 등이 참여한 주요 음반사들은 라임와이어와 경영진을 상대로 저작권 침해 소송을 제기했다. 이들은 곡당 약 15만달러의 배상금과 향후 합법적인 라이선스 계약 기반의 사업 모델 변경을 요구했다. 이에 라임와이어는 약 2개월 후, 음반사들이 부당하게 사용자 감소를 유도하고 온라인 음원 유통 시장에서 담합하여 셔먼 독점 금지법과 클레이턴 독점 금지법을 위반했다며 반소했다.

결정적인 소송은 Arista Records 등이 제기한 ''Arista Records LLC v. Lime Group LLC''였다. 2010년 5월 11일, 미국 뉴욕 남부 지방 법원의 킴바 우드 판사는 라임와이어의 모회사 라임 그룹(Lime Group)과 설립자 마크 고턴(Mark Gorton)이 저작권 침해, 불공정 경쟁, 그리고 타인의 저작권 침해를 유도하고 방조했다는 약식 판결을 내렸다.[41][42]

같은 해 10월 26일, 라임와이어는 미국 음반 산업 협회(RIAA)와의 또 다른 법정 다툼에서도 패배하여, 미국 연방 지방 법원으로부터 영구적인 서비스 중지 명령을 받았다.[43][44] 이에 따라 라임와이어는 소프트웨어 배포와 지원을 중단해야 했다.[45] 회사 측은 P2P 소프트웨어 배포 및 지원은 중단하지만 회사는 계속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45]

RIAA는 여기서 멈추지 않고 2011년 초, 라임와이어 플랫폼에서 발생한 저작권 침해에 대해 무려 72조달러에 달하는 법정 손해 배상을 청구하는 추가 소송을 제기했다.[46] 이 금액은 당시 세계 연간 GDP의 3배가 넘는 액수로, 플랫폼 내 11,000여 곡 각각에 대해 수천 건의 다운로드가 발생했다는 추정에 기반한 것이었다.[47][48]

결국 2011년 5월, 설립자 마크 고턴은 RIAA 소속 13개 주요 음반사에 약 1.05억달러를 지불하는 것으로 합의했다. 당시 RIAA 회장 Mitch Bainwol|미치 베인월eng은 "이번 사건의 해결은 창작자에게 정당한 보상이 이루어지는 합법적인 시장으로 온라인 음악이 계속 진화하는 과정에서 또 다른 이정표가 되었다"고 평가했다.[49]

7. 유사 판례

8. 이름 재사용

2022년, 기존 라임와이어와는 관련 없는 음악 기반의 NFT 플랫폼이 '라임와이어'라는 이름을 사용하기 시작했다.[50] 이에 대해 원 개발자인 Gorton은 불쾌감을 표현했다.[51] 이 NFT 마켓플레이스는 2022년 7월에 정식으로 출시되었으며, 미국의 음반 프로듀서이자 래퍼인 7 Aurelius의 첫 번째 NFT 컬렉션을 선보였다.[52] 2023년 9월, 라임와이어는 생성 인공 지능 도구인 BlueWillow를 인수하여, 이를 통해 생성된 이미지와 비디오를 공유하는 플랫폼이 되었다.[53]

참조

[1] 웹사이트 Downloads http://www.limewire.[...]
[2] 뉴스 Idea Man of LimeWire at a Crossroads https://www.nytimes.[...] 2022-10-07
[3] 웹사이트 What was Limewire? Here's its fascinating story https://slidebean.co[...] 2022-10-07
[4] 웹사이트 The Piracy Sites That Nearly Destroyed The Music Industry: What Happened To Limewire https://www.forbes.c[...] 2022-10-07
[5] 뉴스 Study: LimeWire demise slows music piracy https://www.cnet.com[...] 2022-10-07
[6] 웹사이트 The life and death of LimeWire https://marquettewir[...] 2022-10-08
[7] 웹사이트 Features http://www.limewire.[...]
[8] 뉴스 LimeWire shut down by federal court https://www.theguard[...] 2010-10-27
[9] 간행물 LimeWire Ordered To Shut Down – File Sharing Sites http://www.informati[...] 2011-01-12
[10] 웹사이트 Sour ruling for LimeWire as court says to turn off P2P functionality https://arstechnica.[...] Arstechnica.com 2011-01-12
[11] 웹사이트 The RIAA Claimed LimeWire Owed Them 72 TRILLION Dollars https://www.business[...]
[12] 웹사이트 Lime Wire settles with RIAA for $105 million https://www.cnet.com[...]
[13] 뉴스 'Anonymous' Plans DDoS Attack on RIAA on Friday https://www.pcmag.co[...] 2010-10-29
[14] 뉴스 Lime Wire Turns Off Limewire P2P Service https://www.pcmag.co[...] 2010-10-29
[15] 웹사이트 Changelog http://wiki.limewire[...]
[16] 웹사이트 The History of LimeWire - A P2P File Sharing Software of the 2000s https://youtubemusic[...] 2019-06-26
[17] 웹사이트 How LimeWire Works https://computer.how[...] 2019-06-26
[18] 웹사이트 Limewire - Dead Media Archive http://cultureandcom[...] 2019-06-26
[19] 웹사이트 Top 20 Best Peer to Peer P2P File Sharing Programs and Applications https://www.blogsdna[...] 2019-06-26
[20] 웹사이트 Credence - Thwarting P2P Pollution http://www.cs.cornel[...] 2018-06-26
[21] 웹사이트 FrostWire Beta Released http://www.slyck.com[...] 2007-03-11
[22] 웹사이트 Limewire Brought Back to Life by Secret Dev Team http://limewireinfo.[...] 2010-11-21
[23] 문서 LimeWire resurrected by Secret Dev Team http://www.neowin.ne[...] Neowin.net
[24] 문서 Torrentfreak (Torrentfreak) LimeWire Resurrected By Secret Dev Team http://torrentfreak.[...] TorrentFreak
[25] 뉴스 Report: LimeWire 'Resurrected' by Secret Dev Team & Opinion https://www.pcmag.co[...] 2010-11-30
[26] 뉴스 Horde of piratical monkeys creates LimeWire: Pirate Edition https://arstechnica.[...] 2010-11-30
[27] 웹사이트 LimeWire is back as LimeWire Pirate Edition (UPDATED) – Tech Products & Geek News http://www.geek.com/[...] Geek.com 2010-11-30
[28] 웹사이트 RIAA wants revived LimeWire dead and buried http://news.cnet.com[...] CNET 2011-05-12
[29] 웹사이트 LimeWire Pirate Edition Site Nuked By 'Cheap and Dishonest' RIAA Action http://torrentfreak.[...] 2011-05-12
[30] 웹사이트 WireShare https://sourceforge.[...] 2019-09-20
[31] 웹사이트 WireShare (formerly entitled LimeWire Pirate Edition) http://www.gnutellaf[...] 2019-09-20
[32] 웹사이트 LimeWire Developer Creates MuWire, an Anonymous File-Sharing Application https://torrentfreak[...]
[33] 웹사이트 Lime Wire » Features History http://www.limewire.[...] 2006-03-18
[34] 웹사이트 FTC Issues Report on Peer-to-Peer File Sharing http://www.ftc.gov/o[...] Ftc.gov 2011-01-12
[35] 문서 U.S. arrest puts spotlight on file-sharing risk https://www.cbc.ca/n[...]
[36] 간행물 PC Pro Magazine 2008-09
[37] 웹사이트 Firms discover Trojan horse targeted at Mac OS X http://www.macworld.[...]
[38] 웹사이트 Limewire Blog http://blog.limewire[...]
[39] 뉴스 A Cybersecurity Firm's Sharp Rise and Stunning Collapse https://www.newyorke[...] The New Yorker 2019-11-04
[40] 뉴스 Sharing Culture Likely to Pause but Not Wither https://www.nytimes.[...] 2008-04-15
[41] 뉴스 Court Rules That LimeWire Infringed On Copyrights https://www.nytimes.[...] 2010-05-13
[42] 뉴스 Music Biz Wins Big in LimeWire Copyright Case https://abcnews.go.c[...]
[43] 뉴스 Court shuts down LimeWire music-sharing service https://www.reuters.[...] 2010-10-26
[44] 뉴스 Judge slaps Lime Wire with permanent injunction http://news.cnet.com[...] CNET 2010-10-26
[45] 웹사이트 Sour ruling for LimeWire as court says to turn off P2P functionality https://arstechnica.[...] 2010-10-26
[46] 웹사이트 RIAA Lawsuit Against LimeWire for $72 Trillion Shot Down http://www.webpronew[...] WebProNews 2013-05-05
[47] 뉴스 RIAA Thinks LimeWire Owes $75 Trillion in Damages http://www.pcworld.c[...] PC World 2011-04-09
[48] 웹사이트 Opinion and order http://amlawdaily.ty[...] United States District Court, Southern District of New York 2012-04-17
[49] 웹사이트 LimeWire pays $105m illegal filesharing settlement http://www.factmag.c[...] FACT 2011-05-13
[50] 웹사이트 Early 2000s music file-sharing site LimeWire is relaunching as an NFT marketplace https://fortune.com/[...] 2022-03-15
[51] 웹사이트 LimeWire Founder 'Not Thrilled' That 'Strangers' Exploit the Brand for NFT Marketplace https://torrentfreak[...] 2022-03-17
[52] 웹사이트 It's 2022 and Limewire is now an NFT marketplace. Bye! https://mashable.com[...] 2022-07-29
[53] 웹사이트 LimeWire is back — but this time, it's all about AI https://www.axios.co[...] 2023-11-29
[54] 문서 ファイル共有ソフトウェア会社がアンチウィルスソフトウェア会社と提携した初めてのケースである。
[55] 웹사이트 CNET Japan 米レコード業界、PtoPソフトのライムワイヤーを提訴 https://japan.cnet.c[...]
[56] 웹사이트 P2Pとかその辺のお話 LimeWire、RIAAを逆提訴 http://peer2peer.blo[...]
[57] 웹사이트 ITmedia P2PサービスのLimeWireが停止 裁判所命令で https://www.itmedia.[...]
[58] 웹인용 Downloads http://www.limewire.[...]
[59] 웹인용 Features http://www.limewire.[...] 2022-07-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