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트갈레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트갈레인은 기원이 불분명한 동발트 부족으로, 5~6세기에는 오늘날 비드제메 동부에 거주했으며, 11세기부터 문헌에 등장한다. 11세기에는 동방 정교회가 라트갈리아 지역으로 전파되었고, 12세기에는 폴로츠크 공작에게 조공을 바쳤다. 13세기 리보니아 십자군 시기에는 로마 가톨릭으로 개종하여 리보니아 기사단의 봉신이 되었으며, 이후 다른 발트 부족들과 동화되어 라트비아인의 형성에 기여했다. 고고학적으로는 서부 라트갈리아인과 동부 라트갈리아인의 묘지, 산성, 정착지 등이 발굴되었으며, 아라이시 호상 주거지가 대표적이다. 동부 라트갈리아인의 기원에 대해서는 슬라브족의 이동으로 인해 이주했다는 설과, 라트비아의 더 오래된 동발트 주민의 후손이라는 설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트비아의 민족 - 오세트인
    오세트인은 러시아 북오세티아-알라니아와 조지아 남오세티아에 주로 거주하며 사르마티아인, 특히 알란족의 후예로 여겨지는 이란계 민족으로, 오세티아어를 사용하며 이론인과 디고르인으로 나뉘고, 알라니아 왕국 건설, 몽골 제국 침략, 여러 갈등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독특한 문화와 전통, 아시안니즘 신앙을 지니고 있다.
  • 라트비아의 민족 - 가가우즈인
    가가우즈인은 튀르크어족에 속하는 가가우즈어를 사용하며 동방 정교회 신자로, 몰도바, 우크라이나 등에 거주하며, 기원은 불분명하지만 다양한 민족과의 연관성을 보이고, 몰도바 남부에 자치 지역을 두고 목축과 농업에 종사한다.
라트갈레인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언어라트갈어, 라트비아어
거주 지역라트갈레
인종적 연관성라트비아인
종교로마 가톨릭교회가 주요 종교
관련 민족라트비아인과 매우 밀접한 관계
역사
기원발트족의 라트갈족에서 유래
초기 역사기원전 1000년경부터 서기 1000년까지 발트해 동부 해안에 거주
이후 리보니아 십자군 전쟁과 리보니아 연맹의 일부가 됨
중세 시대라트갈레 지역의 고대 부족들 (주로 라트갈인)로 구성
고대 라트갈레어와 문화적 전통을 유지
근대 역사18세기 후반까지 독립된 문화적, 언어적 정체성을 유지
러시아 제국의 일부로 편입되어 라트비아인과 함께 통합되기 시작
문화
언어라트갈어를 사용하며, 라트비아어와 매우 밀접한 관계
종교주로 로마 가톨릭교회를 믿음
리보니아 십자군 전쟁 이후 가톨릭화
전통농업, 수공예와 관련된 전통 유지
독특한 민속 음악, 춤, 의상 보유
정체성라트비아인의 일부로 간주되지만, 고유한 정체성과 문화를 강조
라트갈어와 전통을 보존하려는 노력 지속
사회주로 농촌 지역에 거주
강한 공동체 의식과 가족 중심 문화
언어 정보
라트갈어라트비아어와 가까운 발트어파 언어
라트비아어의 방언으로 간주되기도 함
문학 작품, 지역 언론, 지역 사회 활동에서 사용
언어 사용주로 라트비아 동부 라트갈레 지역에서 사용
라트비아 전역의 라트갈레인 공동체에서 사용
참고 정보
라트갈레인라트비아의 중요한 하위 민족 그룹으로 인식됨
문화적 중요성라트비아 문화 다양성의 중요한 부분으로 간주됨

2. 역사

라트갈레인의 역사는 초기 역사와 중세 시대로 나눌 수 있다. 초기에는 기원이 거의 알려지지 않은 동발트 부족으로, 5~6세기경 오늘날 비드제메 동부에 살았고, 이후 그 지역 전체로 퍼져나갔다.[1] 11세기 문헌에 처음 등장하며, 13세기 초에는 독일 십자군과 동맹을 맺기도 했다.

11세기에는 동방 정교회폴로츠크 공국과 프스코프 공국에서 라트갈리아 땅으로 전파되기 시작했고, 12세기에는 라트갈리아 땅과 통치자들이 폴로츠크 공작들에게 조공을 바쳤다.[2] 13세기 리보니아 십자군 전쟁 동안 라트갈레인 장로들은 로마 가톨릭으로 개종하고 리보니아 기사단의 봉신이 되었다. 이후 이들의 땅은 리보니아에 봉신국으로 편입되었다. 십자군 전쟁 이후 세미갈리아와 쿠를란트 지역으로 이주한 라트갈레인들은 13세기부터 16세기까지 셀로니아인, 세미갈리아인, 쿠로니아인과 점차 동화되었고, 이는 오늘날 라트비아인의 핵심을 형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2. 1. 초기 역사

9세기에서 13세기경 여러 역사 지도에 따른 라트갈리아 지역. 예르시카 공국, 코크네세 공국, 탈라바 등을 보여줌.


라트갈리아인(Latgalians)은 기원이 거의 알려지지 않은 동 발트 부족이었다. 5세기와 6세기에는 오늘날 비드제메의 동부(아이비엑스테 강 서쪽)에 살았고, 이후 그 지역 거의 전체에 살았다.[1] 문헌 기록에는 11세기부터 등장한다. 13세기 처음 20년 동안 서부 라트갈리아인들은 독일(주로 작센) 십자군과 동맹을 맺었다. 그들의 땅(탈라바 장로구, 예르시카 공국, 코크네세 공국)은 봉신국으로 리보니아에 편입되었다.

thumb

11세기에는 동방 정교회폴로츠크 공국과 프스코프 공국에서 라트갈리아 땅으로 전파되기 시작했다. 12세기에는 라트갈리아 땅과 통치자들이 폴로츠크 공작들에게 조공을 바쳤다.[2] 13세기 리보니아 십자군 동안 라트갈리아 장로들은 동방 정교회에서 로마 가톨릭으로 개종하여 리보니아 기사단의 봉신이 되었다.

십자군 전쟁으로 인해 세미갈리아와 쿠를란트의 많은 지역이 인구 감소를 겪었다. 따라서 일부 라트갈리아인들은 전쟁 중과 전쟁 후에 그 지역으로 이주했다. 그 후 13세기부터 16세기까지 그들은 점차 다른 발트 부족들인 셀로니아인, 세미갈리아인, 쿠로니아인과 동화되었다. 이들은 오늘날의 민족인 라트비아인의 핵심을 형성했다.

2. 2. 중세 시대



11세기에는 동방 정교회폴로츠크와 프스코프에서 라트갈리아 땅으로 전파되기 시작했다.[2] 12세기에는 라트갈리아 땅과 통치자들이 폴로츠크 공작들에게 조공을 바쳤다.[2] 13세기 리보니아 십자군 동안 라트갈리아 장로들은 동방 정교회에서 로마 가톨릭으로 개종하여 리보니아 기사단의 봉신이 되었다.

thumb

십자군 전쟁으로 인해 세미갈리아와 쿠를란트의 많은 지역이 인구 감소를 겪었다. 따라서 일부 라트갈리아인들은 전쟁 중과 전쟁 후에 그 지역으로 이주했다.

3. 고고학적 자료

아라이시 호상 주거지(에제르필스)


서부 라트갈리아인과 동부 라트갈리아인이 거주했던 지역에서는 서부 라트갈리아인 기원의 평장묘 약 80곳이 발굴되었으며, 2천 기 이상의 매장 유적이 발견되었다.[1]

6세기와 7세기에 라트갈레에는 평장묘와 봉토묘가 존재했다.[1] 9세기와 10세기에는 평장묘에서 봉토묘로의 전환이 시작되었다.[1] 발굴된 동부 라트갈리아 봉토묘는 약 15곳이지만, 대부분의 묘지에서는 소수의 봉토만 조사되었다.[1]

라트갈레의 고고학적으로 확인된 주거지는 산성, 정착지, 호상 주거지 등이 있다.[1]

소위 동부 라트갈리아인의 조상들이 슬라브족의 이동으로 이전 거주지에서 밀려나 7세기와 11세기 사이에 현재 라트갈레 지역으로 이동했을 가능성이 있다. 일부 고고학자들은 동부 라트갈리아인이 "로마" 철기시대(1세기~4세기)에 비드제메(중앙 라트비아)와 라트갈레(동부 라트비아)에 거주했던 라트비아의 더 오래된 동발트 주민들의 후손이라고 믿고 있다.[1]

3. 1. 주요 유적지



서부 라트갈리아인과 동부 라트갈리아인이 거주했던 지역에서는 서부 라트갈리아인 기원의 평장묘 약 80곳이 발굴되었으며, 2천 기 이상의 매장 유적이 발견되었다.[1] 주요 발굴지는 다음과 같다.

  • 라트갈레 루드자 오두칼른스 묘지 (1890~1891년): 후기 철기시대 매장 유적 339기 발견.[1]
  • 필다스 누크시 묘지 (라트갈레, 1947~1948년): 9세기에서 12세기에 이르는 매장 유적 218기 발견.[1]
  • 즈비르그즈데네스 키브티 묘지 (라트갈레: 1948년, 1955~1958년): 7세기에서 12세기에 이르는 매장 유적 175기 발굴.[1]
  • 아글로나스 크리스타피니 묘지 (라트갈레; 1928년, 1938년, 1977~1980년, 1984~1987년, 1999~2000년): 8세기 후반부터 12세기에 이르는 기간 동안 사용된 매장 유적 315기 발견.[1]
  • 에르글류 야우나케니 묘지 (1971~1972년): 89기 매장 유적 발견.[1]
  • 코크네세 묘지 (1986~1989년): 후기 철기시대 매장 유적 102기 발굴.[1]
  • 가우야 강 지역: 라트갈리아 묘지 두 곳(드라베슈 리에피냐스, 프리에쿨류 규게리) 발굴.[1]


켄테, 코크네세, 사룸칼른스, 타니스칼른스 등의 산성과 기타 라트갈리아 유적지에서도 고고학적 발굴이 이루어졌다.[1] 서부 라트갈리아인의 정착지는 소수만 발굴되었다.[1] 아라이시 호상 주거지(9세기)에서는 대규모 발굴(1960~1970년대)과 복원 작업이 이루어졌다.[1]

라트갈레에서는 6세기와 7세기에 평장묘와 봉토묘가 존재했다.[1] 9세기와 10세기에는 평장묘에서 봉토묘로의 전환이 시작되었다.[1] 발굴된 동부 라트갈리아 봉토묘는 약 15곳이지만, 대부분의 묘지에서는 소수의 봉토만 조사되었다.[1]

라트갈레의 고고학적으로 확인된 주거지는 산성, 정착지, 호상 주거지 등이 있다.[1] 산성 중 가장 잘 연구된 곳은 예르시카 산성(1939년과 1990년 이후 발굴)으로, 다우가바 강 맞은편에 있는 디그냐자 산성과 함께 복합체를 이루고 있다.[1] 예르시카는 10세기부터 14세기까지 점유되었으며, 6세기부터 거주했던 디그냐자가 쇠퇴한 후에 점유되었을 가능성이 높다.[1]

3. 2. 동부 라트갈리아인의 기원



서부 라트갈리아인과 동부 라트갈리아인이 거주했던 지역에서는 서부 라트갈리아인 기원의 평장묘 약 80곳이 발굴되었으며, 2천 기 이상의 매장 유적이 발견되었다.[1] 대규모 발굴은 라트갈레의 루드자 오두칼른스 묘지에서 처음으로 이루어졌으며(1890~1891년), 339기의 후기 철기시대 매장 유적이 발견되었다.[1] 필다스 누크시 묘지(라트갈레, 1947~1948년) 발굴에서는 9세기에서 12세기에 이르는 218기의 매장 유적이 발견되었다.[1]

즈비르그즈데네스 키브티 묘지(라트갈레: 1948년, 1955~1958년)에서는 7세기에서 12세기에 이르는 175기의 매장 유적이 발굴되었다.[1] 아글로나스 크리스타피니 묘지(라트갈레; 1928년, 1938년, 1977~1980년, 1984~1987년, 1999~2000년)에서는 8세기 후반부터 12세기에 이르는 기간 동안 사용된 315기의 매장 유적이 발견되었다.[1]

에르글류 야우나케니 묘지는 1971~1972년에 완전히 발굴되었으며, 89기의 매장 유적이 발견되었다.[1] 코크네세 묘지에서는 후기 철기시대의 매장 유적 102기가 발굴되었다(1986~1989년).[1] 가우야 강 지역에서는 라트갈리아 묘지 두 곳, 드라베슈 리에피냐스와 프리에쿨류 규게리도 발굴되었다.[1]

고고학적 발굴은 켄테, 코크네세, 사룸칼른스, 타니스칼른스 등의 산성과 기타 라트갈리아 유적지에서도 이루어졌다.[1] 서부 라트갈리아인의 정착지는 소수만 발굴되었다.[1] 아라이시 호상 주거지(9세기)에서는 대규모 발굴(1960~1970년대)과 복원 작업이 이루어졌다.[1]

라트갈레에서는 6세기와 7세기에 평장묘와 봉토묘가 존재했다.[1] 9세기와 10세기에는 평장묘에서 봉토묘로의 전환이 시작되었다.[1] 발굴된 동부 라트갈리아 봉토묘는 약 15곳이지만, 대부분의 묘지에서는 소수의 봉토만 조사되었다.[1]

라트갈레의 고고학적으로 확인된 주거지는 산성, 정착지, 호상 주거지 등이 있다.[1] 산성 중 가장 잘 연구된 곳은 예르시카 산성(1939년과 1990년 이후 발굴)으로, 다우가바 강 맞은편에 있는 디그냐자 산성과 함께 복합체를 이루고 있다.[1] 예르시카는 10세기부터 14세기까지 점유되었으며, 6세기부터 거주했던 디그냐자가 쇠퇴한 후에 점유되었을 가능성이 높다.[1]

소위 동부 라트갈리아인의 조상들이 슬라브족의 이동으로 이전 거주지에서 밀려나 7세기와 11세기 사이에 현재 라트갈레 지역으로 이동했을 가능성이 있다.[1] 일부 고고학자들은 동부 라트갈리아인이 "로마" 철기시대(1세기~4세기)에 비드제메(중앙 라트비아)와 라트갈레(동부 라트비아)에 거주했던 라트비아의 더 오래된 동발트 주민들의 후손이라고 믿고 있다.[1]

참조

[1] 서적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Latv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Latvia 2006
[2] 서적 A Concise History of the Baltic Stat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02-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