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프리미어리그 2018-19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2018-19 시즌은 2018년에 시작하여 2019년에 종료되었으며, 16개 팀이 참가했다.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가 우승을 차지했고, 로코모티프 모스크바와 FC 크라스노다르가 UEFA 챔피언스리그 진출권을 획득했다. FC 오렌부르크, 크릴랴 소베토프 사마라, 예니세이 크라스노야르스크가 승격했으며, 안지 마하치칼라와 예니세이 크라스노야르스크는 강등되었다. 표도르 찰로프가 최다 득점자, 아르템 주바가 올해의 선수로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시즌 -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2012-13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2012-13은 16개 팀이 참가하여 풀 리그 방식으로 진행된 러시아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의 21번째 시즌으로, CSKA 모스크바가 우승했고 외국인 선수 출전 제한 규정 변경 및 경기 중단 사건 등이 있었다. -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시즌 -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2013-14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2013-14 시즌은 PFC CSKA 모스크바가 우승하고 세이두 둠비아가 득점왕을 차지했으며, FC 로스토프가 러시아 컵에서 우승했고, 안지 마하치칼라는 강등되었다. - 2018-19 축구 리그 - 프리미어리그 2018-19
프리미어리그 2018-19는 20개 팀이 참가하여 맨체스터 시티가 우승을 차지하고, 일부 팀의 감독 교체와 토트넘의 홈 경기장 이전, 오바메양, 마네, 살라의 공동 득점왕, 아자르의 도움왕 기록 등 다양한 이슈가 있었던 잉글랜드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 27번째 시즌이다. - 2018-19 축구 리그 - 리그 1 2018-19
리그 1 2018-19는 프랑스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의 시즌으로, 20개 팀이 참가하여 파리 생제르맹이 우승을 차지하고 킬리안 음바페가 득점왕에 오른 시즌이다. - 유럽의 축구 1부 리그 - 프리미어리그
프리미어리그는 1992년 잉글랜드 1부 리그 클럽들이 풋볼 리그에서 독립하여 창설된 잉글랜드 최상위 프로축구 리그로, 20개 클럽이 참가하여 승점에 따라 순위를 결정하며, UEFA 챔피언스리그 및 유로파리그 진출과 EFL 챔피언십 강등이 결정되는 인기와 수익이 높은 리그이다. - 유럽의 축구 1부 리그 - 라리가
라리가는 스페인의 프로축구 1부 리그로, 20개 구단이 더블 리그 방식으로 총 38경기를 치르며, 상위 팀은 UEFA 챔피언스리그와 유로파리그에 진출하고, 하위 팀은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강등된다.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2018-19 | |
---|---|
시즌 정보 | |
대회 |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
시즌 | 2018-19 |
대회 순번 | 제27시즌 |
날짜 | 2018년 7월 29일부터 2019년 5월 26일까지 |
이전 시즌 우승 |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
우승 |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
승격팀 | 오렌부르크 크릴랴 소베토프 사마라 예니세이 크라스노야르스크 |
강등팀 | 안지 마하치칼라(3부리그로 강등) FC 예니세이 크라스노야르스크(2부리그로 강등) |
참가팀 수 | 16 |
경기 수 | 240 |
유럽 대회 진출 | |
챔피언스리그 진출팀 |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본선 조별리그 직행) 로코모티프 모스크바(본선 조별리그 직행) 크라스노다르(3차예선에서 출발) |
유로파리그 진출팀 | CSKA 모스크바(본선 조별리그 직행) 스파르타크 모스크바(3차예선에서 출발) 아르세날 툴라(2차예선에서 출발) |
통계 | |
총 득점 | 542 |
최다 득점 경기 | 제니트 5–3 로코모티프 |
최다 점수차 홈 승리 | CSKA 모스크바 6–0 크릴리야 소베토프 |
최다 점수차 원정 승리 | 안지 0–4 크라스노다르 |
최다 연승 | 5경기: 제니트 (7월 29일 – 9월 2일) |
최다 무패 | 8경기: 제니트 (7월 29일 – 9월 30일) |
최다 무승 | 9경기: 예니세이 (8월 27일 - 현재) |
최다 연패 | 6경기: 안지 (8월 6일 – 9월 22일) |
최고 관중 | 61,500명, 제니트 3–1 CSKA (2019년 5월 12일) |
최저 관중 | 1,285명, 예니세이 0–0 아르세날 (2018년 9월 2일) |
총 관중 | 4,036,196명 |
평균 관중 | 16,817명 |
득점왕 | 표도르 찰로프 (15골) |
관련 정보 | |
이전 시즌 | 2017-18 |
다음 시즌 | 2019-20 |
공식 웹사이트 |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공식 웹사이트 (러시아어) |
2.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참가팀
2018-19 시즌에는 이전 시즌과 마찬가지로 16개 팀이 참가한다. 안지 마하치칼라, 토스노, SKA-하바롭스크가 러시아 2부리그 2018-19로 강등되었다. 러시아 2부리그 2017-18에서 오렌부르크, 크릴리아 소베토프 사마라, 예니세이 크라스노야르스크가 승격되었다. 오렌부르크와 크릴리아 소베토프는 1시즌 만에 복귀했고, 예니세이는 프리미어 리그에 처음으로 참가하게 되었다.
2018년 6월 13일, FC 암카르 페름은 러시아 축구 연합이 2018-19 시즌 라이센스를 회수하여 참가가 불허되었다.[2] FC 안지 마하치칼라는 강등 플레이오프에서 패배했으나, 이미 2018-19 프리미어 리그 라이센스를 획득하여 리그에 잔류하게 되었다.[3][4]
2. 1. 참가팀 위치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2018-19 시즌에는 러시아 전역의 여러 도시를 연고로 하는 팀들이 참가했다. 특히 모스크바를 연고로 하는 CSKA 모스크바, 디나모 모스크바,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4팀이 참가하여 수도 모스크바 연고 팀들이 강세를 보였다.팀 | 경기장 | 수용 인원 | 이미지 |
---|---|---|---|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 크레스톱스키 스타디움 | 67,800 | ![]() |
루빈 카잔 | 카잔 아레나 | 45,093 | ![]() |
로스토프 | 로스토프 아레나 | 45,000 | ![]() |
크릴리아 소베토프 사마라 | 코스모스 아레나 | 44,918 | ![]() |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 오트크리티예 아레나 | 44,307 | ![]() |
우랄 예카테린부르크 | 중앙 경기장 | 35,696 | ![]() |
크라스노다르 | 크라스노다르 스타디움 | 34,291 | ![]() |
아흐마트 그로즈니 | 아흐마트-아레나 | 30,597 | ![]() |
CSKA 모스크바 | VEB 아레나 | 30,457 | ![]() |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 RZD 아레나 | 27,320 | ![]() |
안지 마하치칼라 | 안지 아레나 | 26,500 | ![]() |
예니세이 크라스노야르스크 | 중앙 경기장 | 22,500 | |
아르세날 툴라 | 아르세날 스타디움 | 20,048 | ![]() |
디나모 모스크바 | 아레나 힘키 | 18,636 | |
우파 | 네프티야니크 스타디움 | 15,132 | ![]() |
오렌부르크 | 가조비크 스타디움 | 7,520 | ![]() |
2. 2. 경기장
2018-19 시즌 러시아 프리미어리그에 참가한 팀들의 홈 경기장은 다음과 같다. 일부 경기장은 2018년 FIFA 월드컵에 사용된 최신 시설이었다.축구팀 | 경기장 | 도시 | 개장 | 수용 규모 |
---|---|---|---|---|
아흐마트 그로즈니 | 아흐마트-아레나 | 그로즈니 | 2011 | 30597 |
안지 마하치칼라 | 안지 아레나 | 마하치칼라 | 1969 | 17000 |
아르세날 툴라 | 아르세날 경기장 | 툴라 | 1959 | 20048 |
PFC CSKA 모스크바 | VEB 아레나 | 모스크바 | 2016 | 30000 |
디나모 모스크바 | 아레나 힘키 | 힘키 | 2008 | 18636 |
크라스노다르 | 크라스노다르 경기장 | 크라스노다르 | 2016 | 34291 |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 사마라 아레나 | 사마라 | 2018 | 44918 |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 RZD 아레나 | 모스크바 | 2002 | 28800 |
오렌부르크 | 가조빅 경기장 | 오렌부르크 | 2018 | 7500 |
루빈 카잔 | 카잔 아레나 | 카잔 | 2013 | 45379 |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 옷크리티예 아레나 | 모스크바 | 2014 | 45360 |
FC 우파 | 네프탸닉 경기장 | 우파 | 1967 | 15234 |
예니세이 크라스노야르스크 | 예니세이 경기장 | 크라스노야르스크 | 2018 | |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 크레스톱스키 스타디움 | 상트페테르부르크 | 2017 | 64287 |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 루빈 카잔 | 로스토프 | 크릴리아 소베토프 사마라 |
---|---|---|---|
크레스톱스키 스타디움 | 카잔 아레나 | 로스토프 아레나 | 코스모스 아레나 |
수용 인원: 67800 | 수용 인원: 45093 | 수용 인원: 45000 | 수용 인원: 44918 |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 우랄 예카테린부르크 | ||
오트크리티예 아레나 | 중앙 경기장 | ||
수용 인원: 44307 | 수용 인원: 35696 | ||
크라스노다르 | 아흐마트 그로즈니 | ||
크라스노다르 스타디움 | 아흐마트-아레나 | ||
수용 인원: 34291 | 수용 인원: 30597 | ||
CSKA 모스크바 |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 ||
VEB 아레나 | RZD 아레나 | ||
수용 인원: 30457 | 수용 인원: 27320 | ||
안지 마하치칼라 | 예니세이 크라스노야르스크 | ||
안지 아레나 | 중앙 경기장 | ||
수용 인원: 26500 | 수용 인원: 22500 | ||
아르세날 툴라 | 디나모 모스크바 | 우파 | 오렌부르크 |
아르세날 스타디움 | 아레나 힘키 | 네프티야니크 스타디움 | 가조비크 스타디움 |
수용 인원: 20048 | 수용 인원: 18636 | 수용 인원: 15132 | 수용 인원: 7520 |
2. 3. 승격팀과 강등팀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2017-18 시즌 결과에 따라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2018-19 시즌 참가팀이 결정되었다. 러시아 2부리그 2017-18 시즌 우승팀과 2위팀은 자동 승격되었고, 프리미어리그 13위팀과 14위팀은 각각 러시아 2부리그 4위팀, 3위팀과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러 최종 승자 2팀이 프리미어리그에 합류했다.러시아 프리미어리그 2017-18 시즌에서 러시아 2부리그로 강등 | 러시아 2부리그 2017-18 시즌에서 러시아 프리미어리그(2018-19 시즌)로 승격 |
---|---|
FC 암카르 페름은 러시아 축구 연합으로부터 라이센스를 회수당해 프리미어리그 참가가 불허되었고, 이에 따라 FC 안지 마하치칼라가 리그에 잔류하게 되었다.[2][3][4] FC 토스노는 2017-18 시즌 이후 해체되었다. 오렌부르크와 크릴랴 소베토프는 1시즌 만에 1부 리그로 복귀했고, 예니세이는 역사상 처음으로 프리미어 리그에 진출했다.
2. 3. 1.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2017-18 시즌에서 러시아 2부리그로 강등
SKA-하바롭스크는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2017-18 시즌에서 16위를 기록하여 러시아 2부리그로 강등되었다.[2] FC 토스노는 2017-18 시즌 이후 해체되었다.[2] FC 암카르 페름은 러시아 축구 연합으로부터 2018-19 시즌 라이센스를 회수당해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참가가 불허되었고,[2] 이에 따라 FC 안지 마하치칼라가 강등 플레이오프에서 패배했음에도 불구하고 리그에 잔류하게 되었다.[3][4]2. 3. 2. 러시아 2부리그 2017-18 시즌에서 러시아 프리미어리그(2018-19 시즌)로 승격
FC 오렌부르크(1위, 우승팀), 크릴랴 소베토프 사마라(2위, 준우승팀), 예니세이 크라스노야르스크(승강 플레이오프 승리)가 러시아 2부리그 2017-18시즌에서 러시아 프리미어리그(2018-19 시즌)로 승격하였다.[2] 오렌부르크와 크릴랴 소베토프는 1시즌 만에 1부 리그로 복귀했고, 예니세이는 역사상 처음으로 프리미어 리그에 진출했다.2. 4. 감독과 유니폼
팀 | 감독 | 유니폼 공급 업체 | 유니폼 스폰서 |
---|---|---|---|
아흐마트 그로즈니 | 이고리 레댜호프|Igor Ledyakhovru | 아디다스 | 아흐마트 재단 |
안지 마하치칼라 | 마고메드 아디예프|Magomed Adiyevru | 나이키 | |
아르세날 툴라 | 올레그 코노노프|Oleg Kononovru | 아디다스 | SPLAV |
CSKA 모스크바 | 빅토르 곤차렌코|Viktor Goncharenkobe | 엄브로 | 로세티 |
디나모 모스크바 | 드미트리 호흘로프|Dmitri Khokhlovru | 나이키 | VTB |
FC 크라스노다르 | 무라드 무사예프|Murad Musayevru | 푸마 | 콘스텔 그룹 |
크릴랴 소베토프 사마라 | 안드레이 티호노프|Andrey Tikhonovru | 푸마 | |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 유리 세민|Yuri Seminru | 언더아머 | 러시아 철도 |
오렌부르크 | 블라디미르 페도토프|Vladimir Fedotovru | 나이키 | |
로스토프 | 발레리 카르핀|Valery Karpinru | 호마/조마 | |
루빈 카잔 | 쿠르반 베르디예프|Kurban Berdyevtk | 야코 | 니쥬네캄스크네프테힘 |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 마시모 카레라|Massimo Carrerait | 나이키 | 루코일 |
FC 우파 | 세르게이 토마로프|Sergei Tomarovru | 호마 | |
FC 우랄 예카테린부르크 | 드미트로 파르페노프|Dmytro Parfenovuk | 호마 | 레노바, TMK |
예니세이 크라스노야르스크 | 드미트리 알레니체프|Dmitri Alenichevru | 나이키 | |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 세르게이 세막|Sergei Semakru | 나이키 | 가즈프롬 |
2. 5. 감독 교체
2018-19 시즌 중 여러 팀에서 감독 교체가 있었다.팀 | 떠난 감독 | 떠난 방식 | 공석 날짜 | 당시 순위 | 대체자 | 임명 날짜 |
---|---|---|---|---|---|---|
제니트 | 로베르토 만치니|로베르토 만치니it | 상호 합의 | 2018년 5월 13일[5] | 프리 시즌 | 세르게이 세막|세르게이 세막ru | 2018년 5월 29일[6] |
우랄 | 알렉산드르 타르하노프|알렉산드르 타르하노프ru | 고문직으로 이동 | 2018년 5월 21일[7] | 프리 시즌 | 드미트로 파르페노프|드미트로 파르페노프uk | 2018년 5월 21일 |
아르세날 | 미오드라그 보조비치|미오드라그 보조비치me | 계약 만료 | 2018년 5월 21일[8] | 프리 시즌 | 올레크 코노노프|올레크 코노노프ru | 2018년 6월 1일[9] |
우파 | 세르게이 세막|세르게이 세막ru | 상호 합의 | 2018년 5월 29일[10] | 프리 시즌 | 세르게이 토마로프|세르게이 토마로프ru | 2018년 6월 13일[11] |
안지 | 바딤 스크립첸코|바딤 스크립첸코be | 계약 만료 | 2018년 5월 31일[12] | 프리 시즌 | 마고메드 아디예프|마고메드 아디예프ru | 2018년 6월 4일[13] |
아흐마트 | 이고르 레디야코프|이고르 레디야코프ru | 사임 | 2018년 9월 2일[14] | 10위 | 루슬란 이디고프|루슬란 이디고프ru (임시 감독) | 2018년 9월 2일 |
아흐마트 | 루슬란 이디고프|루슬란 이디고프ru (임시 감독) | 임시 감독 임무 종료 | 2018년 9월 5일 | 10위 | 라시드 라히모프|라시드 라히모프tg | 2018년 9월 5일[15] |
크릴리야 소베토프 | 안드레이 티호노프|안드레이 티호노프ru | 해고 | 2018년 10월 5일[16] | 15위 | 미오드라그 보조비치|미오드라그 보조비치me | 2018년 10월 5일[17] |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 마시모 카레라|마시모 카레라it | 해고 | 2018년 10월 23일[18] | 6위 | 라울 리안초|라울 리안초es (임시 감독) | 2018년 10월 23일[18] |
우파 | 세르게이 토마로프|세르게이 토마로프ru | 사임 | 2018년 11월 7일[19] | 15위 | 드미트리 키리첸코|드미트리 키리첸코ru | 2018년 11월 7일 |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 라울 리안초|라울 리안초es | 임시 감독 임무 종료 | 2018년 11월 12일 | 9위 | 올레크 코노노프|올레크 코노노프ru | 2018년 11월 12일[20] |
아르세날 툴라 | 올레크 코노노프|올레크 코노노프ru | 상호 합의 | 2018년 11월 12일[21] | 11위 | 이고르 체레브첸코|이고르 체레브첸코tg | 2018년 11월 13일[22] |
우파 | 드미트리 키리첸코|드미트리 키리첸코ru | 상호 합의 | 2019년 3월 27일[23] | 15위 | 바딤 에브세예프|바딤 에브세예프ru | 2019년 3월 27일[24] |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2018-19 시즌에는 16개 팀이 참가하여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각 팀당 총 30경기를 치렀다.[5] 시즌 종료 후, 하위 2개 팀은 러시아 내셔널 풋볼 리그로 강등되고, 상위 2개 팀은 러시아 프리미어리그로 승격했다. 리그 13위와 14위 팀은 러시아 내셔널 풋볼 리그 3위, 4위 팀과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러 잔류 또는 승격을 결정했다.[5]
3. 대회 형태와 규정
3. 1. 기본규칙
16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팀당 30경기를 치렀다.[5]
3. 2. 승격과 강등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15위팀과 16위팀은 러시아 내셔널 축구리그(2부리그)로 바로 강등되며, 러시아 내셔널 축구리그(2부리그) 우승팀과 2위팀은 다음 시즌에 러시아 프리미어리그로 바로 승격한다.[5]
1부리그(러시아 프리미어리그) 13위팀과 14위팀은 2부리그(러시아 내셔널 축구리그) 4위팀과 3위팀과 홈앤드어웨이 방식으로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르고 각 승자들은 다음 시즌 러시아 프리미어리그로 승격(2부->1부)하거나 잔류(1부리그팀)한다.[5]
4. 리그 순위
2019년 5월 26일에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2018-19 시즌의 최종 순위가 확정되었다.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가 우승을 차지하였고, 로코모티프 모스크바와 크라스노다르가 각각 2위와 3위를 기록하였다.
순위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차 | 승점 | 비고 |
---|---|---|---|---|---|---|---|---|---|---|
1 |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 30 | 20 | 4 | 6 | 57 | 29 | +28 | 64 | UEFA 챔피언스리그 2019-20 조별 리그 진출 |
2 |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 30 | 16 | 8 | 6 | 45 | 28 | +17 | 56 | UEFA 챔피언스리그 2019-20 조별 리그 진출 |
3 | 크라스노다르 | 30 | 16 | 8 | 6 | 55 | 23 | +32 | 56 | UEFA 챔피언스리그 2019-20 3차 예선 진출 |
4 | CSKA 모스크바 | 30 | 14 | 9 | 7 | 46 | 23 | +23 | 51 | UEFA 유로파리그 2019-20 조별 리그 진출 |
5 |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 30 | 14 | 7 | 9 | 36 | 31 | +5 | 49 | UEFA 유로파리그 2019-20 3차 예선 진출 |
6 | 아르세날 툴라 | 30 | 12 | 10 | 8 | 40 | 33 | +7 | 46 | UEFA 유로파리그 2019-20 2차 예선 진출 |
7 | 오렌부르크 | 30 | 12 | 7 | 11 | 39 | 34 | +5 | 43 | |
8 | 아흐마트 그로즈니 | 30 | 11 | 9 | 10 | 29 | 30 | -1 | 42 | |
9 | 로스토프 | 30 | 10 | 11 | 9 | 25 | 23 | +2 | 41 | |
10 | 우랄 예카테린부르크 | 30 | 10 | 8 | 12 | 33 | 45 | -12 | 38 | |
11 | 루빈 카잔 | 30 | 7 | 15 | 8 | 24 | 30 | -6 | 36 | 유럽 대회 참가 금지[39] |
12 | 디나모 모스크바 | 30 | 6 | 15 | 9 | 28 | 28 | 0 | 33 | |
13 | 크릴랴 소베토프 사마라 | 30 | 8 | 4 | 18 | 25 | 46 | -21 | 28 | 러시아 프리미어리그(1부)~러시아 FNL(2부) 승강 플레이오프 |
14 | 우파 | 30 | 5 | 11 | 14 | 24 | 34 | -10 | 26 | 러시아 프리미어리그(1부)~러시아 FNL(2부) 승강 플레이오프 |
15 | 안지 마하치칼라 | 30 | 5 | 6 | 19 | 13 | 50 | -37 | 21 | 러시아 FNL(2부리그) 2019-20으로 강등 |
16 | 예니세이 크라스노야르스크 | 30 | 4 | 8 | 18 | 24 | 55 | -31 | 20 | 러시아 FNL(2부리그) 2019-20으로 강등 |
- 로코모티프 모스크바는 러시안컵 2018-19에서 우승하여 UEFA 유로파리그 2019-20 조별 리그 진출권을 획득하였다.
- 루빈 카잔은 재정적 페어플레이(FFP) 위반으로 UEFA에 의해 모든 유럽 대회 참가가 금지되었다.[39]
- 안지 마하치칼라는 재정 문제로 인해 러시아 PFL(3부리그) 2019-20 시즌으로 추가 강등되었다.[41]
- 순위 결정 방식: 1) 승점; 2) 동률팀간 승점(승자승 1단계); 3) 동률팀간 승리수(승자승 2단계); 4) 동률팀간 골득실차(승자승 3단계); 5) 동률팀간 다득점(승자승 4단계); 6) 동률팀간 원정다득점(승자승 5단계); 7) 전경기 승리수; 8) 전체 골득실차; 9) 전체 다득점; 10) 전체 원정다득점; 11) 플레이오프.[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