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크라스노야르스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라스노야르스크는 러시아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의 행정 중심 도시이다. 1628년 코사크 부대가 예니세이 강과 카차 강 합류 지점에 요새를 건설하면서 시작되었으며, 1690년 도시 지위를 얻었다. 19세기 금광 발견과 시베리아 횡단 철도 개통으로 급성장했고, 정치범 유형지이기도 했다. 소련 시대에는 공업 도시로 발전했으며, 굴라그 시스템의 중심지이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공장 이전으로 산업이 더욱 성장했다. 2019년 동계 유니버시아드 개최지였으며, 현재는 시베리아의 과학, 교육, 스포츠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예니세이 강을 끼고 있으며, 습윤 대륙성 기후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라스노야르스크 - 크라스노야르스크 시간
    크라스노야르스크 시간은 IANA 시간대 데이터베이스에서 Asia/Krasnoyarsk로 식별되며, UTC+07:00을 사용하고, 시베리아 중부의 여러 지역에서 사용된다.
  • 러시아의 변경주의 행정 중심지 - 블라디보스토크
    블라디보스토크는 "동방을 지배하다"라는 뜻을 가진 러시아 프리모르스키 지방의 행정 중심지이자 항구 도시로, 태평양 함대 기지가 주둔하며 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종착역이자 주요 무역항으로 발전했고, 한때 폐쇄 도시였다가 현재는 극동 연방관구의 행정 중심지이다.
  • 러시아의 변경주의 행정 중심지 - 하바롭스크
    하바롭스크는 러시아 극동부에 위치하며 아무르 강과 우수리 강 합류 지점에 있는 도시로, 1858년 건설되어 17세기 탐험가 이름을 따 명명되었고, 극동 연방관구의 행정 중심지이자 교통, 경제, 문화의 요충지이다.
  • 크라스노야르스크 변경주의 도시 - 두딘카
    두딘카는 러시아 예니세이강 하구에 위치한 타이미르 돌간-네네츠 자치구의 행정 중심지이자 노릴스크 광업 및 야금 단지의 주요 항구로서 북극해 항로와 연결되는 중요한 도시이다.
  • 크라스노야르스크 변경주의 도시 - 이가르카
    이가르카는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투루한스키 구에 위치한 러시아 도시로, 예니세이강 하류에 위치한 목재 수출항으로 건설되어 북극 항로의 거점 역할을 했으나, 소련 붕괴 후 인구 감소와 경제적 어려움을 겪으며 현재는 영구 동토층 해빙으로 인한 도시 기반 시설 붕괴 문제에 직면해 있다.
크라스노야르스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크라스노야르스크 야경
크라스노야르스크의 야경
크라스노야르스크 황혼녘
크라스노야르스크 황혼녘
크라스노야르스크 기차역
크라스노야르스크 기차역
크라스노야르스크 성모 수태 고지 대성당
크라스노야르스크 성모 수태 고지 대성당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정부 청사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정부 청사
공식 명칭Красноярск (크라스노야르스크)
다른 이름크라스니야르 (Кра́сный Яр, Krasny Yar)
도시의 날6월 두 번째 일요일
국가러시아
연방 주체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행정 구역크라스노야르스크 도시 구역
설립일1628년 8월 19일
도시 지위 획득일1690년
시가크라스노야르스크 시가
시간대크라스노야르스크 시간대(UTC+7)
우편 번호660000, 660001, 660003–660005, 660006, 660009–660023, 660025, 660027, 660028, 660030–660032, 660036, 660037, 660041–660043, 660046–660050, 660052, 660054–660056, 660058–660062, 660064, 660067–660069, 660071, 660073–660075, 660077–660079, 660091–660095, 660097–660100, 660113, 660115, 660118, 660119, 660121–660127, 660130–660133, 660135, 660136, 660880, 660890, 660899, 660911–660946, 660960–660966, 660970, 660999, 901175, 901177, 901179, 901181, 993600
전화 지역 번호391
차량 번호판24, 84, 88, 124
공식 웹사이트크라스노야르스크 시 공식 웹사이트
정치
시장블라디슬라프 로기노프
시의회크라스노야르스크 시의회
지리
면적348 km²
인구
2010년 인구 순위14위
2021년 추정 인구1,187,771명
로마자 표기
러시아어 로마자 표기Krasnoyarsk (크라스노야르스크)

2. 역사

1628년 8월, 안드레이 두벤스키가 이끄는 코사크 부대가 카차 강과 예니세이 강의 합류 지점에 요새를 건설하면서 도시의 역사가 시작되었다.[15] 이 요새는 예니세이 강과 그 지류를 따라 사는 원주민들의 공격으로부터 국경을 보호하기 위해 건설되었다.[15] 요새의 이름은 현지 야린어(하카스어 방언)로 '붉은 가파른 강둑'을 뜻하는 '크즐 차르'를 러시아어로 번역한 '크라스니 야르'로 명명되었다. 1690년 '크라스니 야르'는 도시 지위를 부여받았다.[16]

러시아 내전 당시 시베리아 횡단 철도를 장악했던 체코슬로바키아 군단을 기리는 트리니티 묘지의 기념비


1735년부터 1741년 사이에는 모스크바에서 온 우편 도로가 인근 도시 아친스크칸스크를 거쳐 크라스니 야르에 연결되면서, 크라스니 야르는 도로와 수운으로 크게 발전하기 시작했다. 1749년에는 도시 남쪽 230km 지점에서 무게 약 700kg의 운석이 발견되었다. 이 운석은 1772년 페테르 시몬 팔라스에 의해 발굴되어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운반되었으며, 크라스노야르스크 운석은 최초로 연구된 팔라사이트이자 최초로 에칭된 운석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19세기에는 크라스니 야르가 시베리아 코사크들의 중심지가 되었다. 1822년에는 도시 지위를 얻어 예니세이스크 주의 주도가 되었다. 광 발견과 1895년 시베리아 횡단 철도 개통으로 성장이 가속화되었으며, 여러 공장과 철도 수리 공장, 차고 등이 생겨났다.

1928년 시가지 풍경. 배경의 성모 영아 수태 대성당은 소련 시대에 철거되었다


러시아 제국 시대에 크라스노야르스크는 정치범들의 유형지이기도 했다. 데카브리스트 8명이 봉기 실패 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크라스노야르스크로 추방되었다.

1917년 러시아 혁명과 러시아 내전 이후, 소련의 5개년 계획 기간 동안 크라스노야르스크에는 시브티아즈마시, 도크야드, 제지 공장, 수력 발전소(현재 세계 5위, 러시아 2위), 강항 등 많은 대형 공장이 건설되었다. 1934년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이 설립되면서 크라스노야르스크는 그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

크라스노야르스크 강항


스탈린 시대에 크라스노야르스크는 굴라그 시스템의 주요 중심지였다. 가장 중요한 노동 수용소는 칸스크와 레쇼티에 위치한 두 개의 부대가 있는 크라슬라그 또는 ''크라스노야르스키 ITL''(1938년~1960년경)였다. 크라스노야르스크 자체 도시에서는 예니세일라그 또는 ''예니세이스키 ITL'' 노동 수용소가 제2차 세계 대전(1940년~41년경) 동안 두드러졌다. 이들 수용소의 수감자들은 크라스노야르스크 부근의 개발 작업에 동원되었다.

크라스노야르스크 수력 발전소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많은 공장이 우크라이나와 서부 러시아에서 크라스노야르스크와 인근 도시로 이전되어 도시의 산업 성장을 촉진했다. 전쟁 후, 알루미늄 공장, 야금 공장, 비철금속 공장 등 추가적인 대형 공장이 건설되었다. 1971년에 거대한 크라스노야르스크 수력 발전소(Красноярская ГЭС)가 완공되었다.

1970년대 후반, 소련은 크라스노야르스크 근처 아발라코바에 위상 배열 레이더 기지를 건설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ABM 조약을 위반하는 것이었다. 1983년부터 미국은 소련이 1989년 레이더 기지가 위반이라고 인정할 때까지 철거를 요구했다. 장비는 천천히 현장에서 제거되었고 1992년에는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고 선언되었지만, 현장의 장비는 콤소몰스크나아무레 근처의 새로운 현장으로 이전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소련 해체와 민영화의 시작 이후, 크라스노야르스크 알루미늄 공장과 같은 많은 대형 공장은 범죄 조직이나 올리가르히의 소유가 되거나 파산 선고를 받았다. 경제 전환으로 실업이 급증하고 수많은 파업이 발생했다. 1990년대 후반 가장 잘 알려진 금융 스캔들은 아나톨리 비코프가 파트너 빌로르 스트루가노프를 살해한 혐의로 기소된 후 크라스노야르스크 알루미늄 공장의 소유권이 취소되었을 때 발생했다. 결국 이 혐의는 거짓으로 밝혀졌다. 크라스노야르스크 공장의 소유권 문제는 거의 모두 독점 금융 그룹이나 올리가르히가 소유하고 있기 때문에 21세기 초까지 계속되었다. 1996년 표트르 피마시코프가 크라스노야르스크 시장으로 선출된 이후 도시의 모습이 점차 개선되었다. 오래된 역사적 건물들이 복원되었고, 아스팔트 보도가 포장 돌로 교체되었으며, 분수가 있는 많은 광장과 휴식 공간이 복원되거나 새로 건설되었다. 1997년 11월에는 크라스노야르스크에서 하시모토 류타로 수상과 보리스 옐친 대통령의 정상 회담이 열려 "20세기 중에 영토 문제를 해결하고 평화 조약을 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내용의 "크라스노야르스크 합의"가 이루어졌다. 2019년 동계 유니버시아드 개최지.

2. 1. 초기 역사

1628년 8월, 안드레이 두벤스키가 이끄는 코사크 부대가 카차 강과 예니세이 강의 합류 지점에 요새를 건설하면서 도시의 역사가 시작되었다.[15] 이 요새는 예니세이 강과 그 지류를 따라 사는 원주민들의 공격으로부터 국경을 보호하기 위해 건설되었다.[15] 요새의 이름은 현지 야린어(하카스어 방언)로 '붉은 가파른 강둑'을 뜻하는 '크즐 차르'를 러시아어로 번역한 '크라스니 야르'로 명명되었다.[14] '크라스니 야르'는 1690년에 도시 지위를 부여받았다.[16]

1735년부터 1741년 사이에는 모스크바에서 온 우편 도로가 인근 도시 아친스크칸스크를 거쳐 크라스니 야르에 연결되면서, 크라스니 야르는 도로와 수운으로 크게 발전하기 시작했다. 1749년에는 도시 남쪽 230km 지점에서 무게 약 700kg의 운석이 발견되었다. 이 운석은 1772년 페테르 시몬 팔라스에 의해 발굴되어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운반되었으며, 크라스노야르스크 운석은 최초로 연구된 팔라사이트이자 최초로 에칭된 운석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19세기에는 크라스니 야르가 시베리아 코사크들의 중심지가 되었다. 1822년에는 도시 지위를 얻어 예니세이스크 주의 주도가 되었다. 광 발견과 1895년 시베리아 횡단 철도 개통으로 성장이 가속화되었으며, 여러 공장과 철도 수리 공장, 차고 등이 생겨났다.

러시아 제국 시대에 크라스노야르스크는 정치범들의 유형지이기도 했다. 데카브리스트 8명이 봉기 실패 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크라스노야르스크로 추방되었다.

2. 2. 성장과 발전

크라스노야르스크의 집중적인 성장은 1735년에서 1741년 사이에 아친스크칸스크를 거쳐 러시아의 다른 지역과 연결되는 시베리아 노선(현재 M53 도로)이 도착하면서 시작되었다.[16] 1749년에는 크라스노야르스크 남쪽 230km 지점에서 무게 약 700kg의 운석이 발견되었다.[15] 이 크라스노야르스크 운석은 페테르 시몬 팔라스에 의해 연구되었으며, 최초로 연구된 팔라사이트이자 최초로 에칭된 운석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1822년 크라스노야르스크는 예니세이스크 주의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16] 19세기 말, 광 발견과 1895년 시베리아 횡단 철도 개통으로 성장이 가속화되었다.[15] 러시아 제국 시대에 크라스노야르스크는 정치범들의 추방 장소 중 하나였으며, 데케엠브리스트 8명이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이곳으로 추방되기도 했다.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러시아 내전 기간 동안 볼셰비키가 도시를 장악했다. 중앙 계획( 5개년 계획) 기간 동안 시브티아즈마시, 도크야드, 제지 공장, 수력 발전소(현재 세계 5위, 러시아 2위), 강항 등 많은 대형 공장이 건설되었다.[15] 1934년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이 설립되면서 크라스노야르스크는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

스탈린 시대에 크라스노야르스크는 굴락 시스템의 주요 중심지였다. 칸스크와 레쇼티에 위치한 크라슬라그 또는 ''크라스노야르스키 ITL''(1938년~)와 크라스노야르스크 자체에 있었던 예니세일라그 또는 ''예니세이스키 ITL'' 노동 수용소가 대표적이었다.[52][53]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수십 개의 공장이 우크라이나와 서부 러시아에서 크라스노야르스크와 인근 도시로 이전되어 도시의 산업 성장을 자극했다. 전쟁 후 알루미늄 공장, 야금 공장, 비철금속 공장 등 추가적인 대형 공장이 건설되었다.

1970년대 후반, 소련은 크라스노야르스크 근처 아발라코바에 위상 배열 레이더 기지를 건설했는데, 이는 ABM 조약을 위반하는 것이었다. 1983년부터 미국은 철거를 요구했고, 소련은 1989년 레이더 기지가 위반이라고 인정했다.[55]

소련 해체와 민영화의 시작 이후, 많은 대형 공장은 올리가르히의 소유가 되거나 파산 선고를 받았다. 이 과정에서 실업이 급증하고 수많은 파업이 발생했다. 1990년대 후반, 아나톨리 비코프가 크라스노야르스크 알루미늄 공장의 소유권 분쟁에 휘말리기도 했다.[18]

1996년 표트르 피마시코프가 크라스노야르스크 시장으로 선출된 이후, 오래된 역사적 건물들이 복원되고, 아스팔트 보도가 포장 돌로 교체되는 등 도시의 모습이 점차 개선되었다.

1997년 11월에는 크라스노야르스크에서 하시모토 류타로 수상과 보리스 옐친 대통령의 정상 회담이 열려 "20세기 중에 영토 문제를 해결하고 평화 조약을 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내용의 "크라스노야르스크 합의"가 이루어졌다.

2. 3. 소련 시대

1917년 러시아 혁명과 러시아 내전 이후, 소련의 5개년 계획 기간 동안 크라스노야르스크에는 시브티아즈마시, 도크야드, 제지 공장, 수력 발전소(현재 세계 5위, 러시아 2위), 강항 등 많은 대형 공장이 건설되었다.[52][53] 1934년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이 설립되면서 크라스노야르스크는 그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50]

스탈린 시대에 크라스노야르스크는 굴라그 시스템의 주요 중심지였다. 가장 중요한 노동 수용소는 칸스크와 레쇼티에 위치한 두 개의 부대가 있는 크라슬라그 또는 ''크라스노야르스키 ITL''(1938년~)였다.[52] 크라스노야르스크 자체 도시에서는 예니세일라그 또는 ''예니세이스키 ITL'' 노동 수용소가 제2차 세계 대전(~41년) 동안 두드러졌다.[53] 이들 수용소의 수감자들은 크라스노야르스크 부근의 개발 작업에 동원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많은 공장이 우크라이나와 서부 러시아에서 크라스노야르스크와 인근 도시로 이전되어 도시의 산업 성장을 촉진했다.[54] 전쟁 후, 알루미늄 공장, 야금 공장, 비철금속 공장 등 추가적인 대형 공장이 건설되었다. 1971년에 거대한 크라스노야르스크 수력 발전소(Красноярская ГЭС)가 완공되었다.

1970년대 후반, 소련은 크라스노야르스크 근처 아발라코바에 위상 배열 레이더 기지를 건설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ABM 조약을 위반하는 것이었다.[55] 1983년부터 미국은 소련이 1989년 레이더 기지가 위반이라고 인정할 때까지 철거를 요구했다. 장비는 천천히 현장에서 제거되었고 1992년에는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고 선언되었지만, 현장의 장비는 콤소몰스크나아무레 근처의 새로운 현장으로 이전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2. 4. 현대

소련 해체와 민영화의 시작 이후, 크라스노야르스크 알루미늄 공장과 같은 많은 대형 공장은 범죄 조직이나 올리가르히의 소유가 되거나 파산 선고를 받았다.[18] 경제 전환으로 실업이 급증하고 수많은 파업이 발생했다. 1990년대 후반 가장 잘 알려진 금융 스캔들은 아나톨리 비코프가 파트너 빌로르 스트루가노프를 살해한 혐의로 기소된 후 크라스노야르스크 알루미늄 공장의 소유권이 취소되었을 때 발생했다. 결국 이 혐의는 거짓으로 밝혀졌다.[18] 크라스노야르스크 공장의 소유권 문제는 거의 모두 독점 금융 그룹이나 올리가르히가 소유하고 있기 때문에 21세기 초까지 계속되었다. 1996년 표트르 피마시코프가 크라스노야르스크 시장으로 선출된 이후 도시의 모습이 점차 개선되었다. 오래된 역사적 건물들이 복원되었고, 아스팔트 보도가 포장 돌로 교체되었으며, 분수가 있는 많은 광장과 휴식 공간이 복원되거나 새로 건설되었다.[56] 1997년 11월에는 크라스노야르스크에서 하시모토 류타로 수상과 보리스 옐친 대통령의 정상 회담이 열려 "20세기 중에 영토 문제를 해결하고 평화 조약을 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내용의 "크라스노야르스크 합의"가 이루어졌다.[55] 2019년 동계 유니버시아드 개최지.[55]

3. 지리

예니세이 강이 크라스노야르스크를 서쪽에서 동쪽으로 관통하며, 강에는 여러 섬이 있다. 가장 큰 섬은 타티셰프 섬과 오뜨디하 섬이다.[19] 도시 중심부 근처의 고도는 해수면 위 136m이다.[19]

크라스노야르스크 항공 사진


크라스노야르스크는 남쪽과 서쪽으로 숲이 우거진 산들에 둘러싸여 있다. 가장 눈에 띄는 산으로는 니콜라예프스카야 소프카, 카라울나야 고라, 초르나야 소프카가 있다.[20] 예니세이 강 남쪽 제방의 산들에서 스톨비 자연보호구역의 거대한 암석 절벽이 솟아 있다. 북쪽은 대체로 평평하며, 북서쪽에는 숲이, 북쪽과 동쪽에는 농경지가 있다.

도시 근처의 숲은 대부분 소나무자작나무로 이루어져 있으며, 더 멀리 가면 많은 지역에서 사시나무가 우세하다. 이끼가 덮인 전나무와 시베리아 소나무는 도시에서 서쪽으로 약 15km 떨어진 카라울나야 강 서쪽 산악지대의 다른 나무들을 대체하며, 남쪽의 숲은 대부분 소나무, 전나무, 그리고 사시나무로 이루어져 있다.[21]

예니세이 강이 도시를 서쪽에서 동쪽으로 흐른다. 상류 32km 지점에 있는 크라스노야르스크 수력발전 댐으로 인해 예니세이 강은 겨울에도 얼지 않으며 도시를 통과하는 여름 강물의 온도는 14°C를 넘지 않는다.[19] 강에는 여러 섬이 있으며, 그중 가장 큰 섬은 주로 휴양지로 사용되는 타티셰프 섬과 오뜨디하 섬이다.

크라스노야르스크와 그 인근의 주요 강으로는 예니세이 강, 마나 강, 바자이하 강, 그리고 도시의 역사적 중심지를 흐르는 카차 강이 있다. 지형의 특성상 크라스노야르스크 인근에는 자연 호수가 거의 없다.

도시 근처의 숲은 대부분 소나무자작나무로 이루어져 있으며, 더 멀리 가면 사시나무가 우세하다.[21] 도시에서 서쪽으로 약 15km 떨어진 카라울나야 강 서쪽 산악지대에는 이끼가 덮인 전나무와 시베리아 소나무가 자란다.[21] 남쪽의 숲은 대부분 소나무, 전나무, 사시나무로 이루어져 있다.[21]

3. 1. 위치 및 지형

예니세이 강이 크라스노야르스크를 서쪽에서 동쪽으로 관통하며, 강에는 여러 섬이 있다. 가장 큰 섬은 타티셰프 섬과 오뜨디하 섬이다.[19] 도시 중심부 근처의 고도는 해수면 위 136m이다.[19]

크라스노야르스크는 남쪽과 서쪽으로 숲이 우거진 산들에 둘러싸여 있다. 가장 눈에 띄는 산으로는 니콜라예프스카야 소프카, 카라울나야 고라, 초르나야 소프카가 있다.[20] 예니세이 강 남쪽 제방의 산들에서 스톨비 자연보호구역의 거대한 암석 절벽이 솟아 있다. 북쪽은 대체로 평평하며, 북서쪽에는 숲이, 북쪽과 동쪽에는 농경지가 있다.

도시 근처의 숲은 대부분 소나무자작나무로 이루어져 있으며, 더 멀리 가면 많은 지역에서 사시나무가 우세하다. 이끼가 덮인 전나무와 시베리아 소나무는 도시에서 서쪽으로 약 15km 떨어진 카라울나야 강 서쪽 산악지대의 다른 나무들을 대체하며, 남쪽의 숲은 대부분 소나무, 전나무, 그리고 사시나무로 이루어져 있다.[21]

3. 2. 수계

예니세이 강이 도시를 서쪽에서 동쪽으로 흐른다. 상류 32km 지점에 있는 크라스노야르스크 수력발전 댐으로 인해 예니세이 강은 겨울에도 얼지 않으며 도시를 통과하는 여름 강물의 온도는 14°C를 넘지 않는다.[19] 도시 중심부 근처의 고도는 해수면 위 136m이다. 강에는 여러 섬이 있으며, 그중 가장 큰 섬은 주로 휴양지로 사용되는 타티셰프 섬과 오뜨디하 섬이다.

크라스노야르스크와 그 인근의 주요 강으로는 예니세이 강, 마나 강, 바자이하 강, 그리고 도시의 역사적 중심지를 흐르는 카차 강이 있다.[19] 지형의 특성상 크라스노야르스크 인근에는 자연 호수가 거의 없다.[19]

3. 3. 식생

도시 근처의 숲은 대부분 소나무자작나무로 이루어져 있으며, 더 멀리 가면 사시나무가 우세하다.[21] 도시에서 서쪽으로 약 15km 떨어진 카라울나야 강 서쪽 산악지대에는 이끼가 덮인 전나무와 시베리아 소나무가 자란다.[21] 남쪽의 숲은 대부분 소나무, 전나무, 사시나무로 이루어져 있다.[21]

4. 기후

크라스노야르스크는 쾨펜 기후 분류습윤 대륙성 기후(''Dfb'')를 나타내며, 산악 지역에서는 아한대 기후(''Dfc'')에 가깝다.[66] 여름과 겨울 기온의 차이가 큰 것이 특징이다.

크라스노야르스크의 기후는 캐나다의 포트 맥머레이나 위니페그와 매우 유사하지만, 위니페그가 지리적으로 더 남쪽에 위치한다.[66] 매니토바주 톰슨이나 비슷한 위도의 라브라도르 시티와 비교했을 때, 크라스노야르스크의 겨울은 상대적으로 온화하다.[66] 비슷한 위도의 유럽 도시들과 비교하면, 크라스노야르스크는 여름이 훨씬 따뜻하지만 겨울은 훨씬 춥고 길다(예: 덴마크 올보르).[66] 시베리아의 대륙성이 더 크기 때문에 여름은 스칸디나비아의 비슷한 내륙 위도보다 평균적으로 더 따뜻하다.[66]

1월 평균 기온은 -15.5도, 7월 평균 기온은 18.7도로 연교차가 크다.[57] 최저 기온 기록은 1931년 1월의 -52.8도,[57] 최고 기온 기록은 2002년 7월의 36.2도였다.[28] 그러나 최한월 평균 기온은 하바롭스크(-19.8도)나 하얼빈(-18.6도)보다 높아 비교적 온화한 편이다.[57]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C)-11.6-7.50.79.317.123.525.222.214.66.7-3.6-9.37.3
평균 최저 기온 (°C)-19.2-16.3-9.4-1.44.711.113.711.25.0-1.3-10.7-16.9-2.5
평균 강수량 (mm)171519294866707655423931507
평균 상대 습도 (%)73706458546472767571747369



평년값은 1991년~2020년, 극값은 1891년~현재까지의 자료를 기준으로 한다.[66] 일조 시간은 1961년~1990년 자료를 참고했다.[67]

5. 행정 구역

크라스노야르스크는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의 행정 중심지이다.[22] 행정 구역 체계 내에서, 크라스노야르스크는 페찬카 마을과 함께 크라이 도시 크라스노야르스크로 통합되어 있으며, 이는 구와 동등한 지위를 가진 행정 단위이다.[23] 지방 자치 구역으로서, 크라스노야르스크 크라이 도시는 크라스노야르스크 도시 구역으로 통합되어 있다.[24]

5. 1. 시 구역

크라스노야르스크는 행정 목적으로 7개의 시 구역으로 나뉜다. 키로프스키 구 레닌스키 구 옥탸브르스키 구 소베츠키 구 스베르들롭스키 구 첸트랄니 구 젤레즈노도로즈니 구가 있다.

6. 인구

크라스노야르스크의 인구는 2021년 기준 약 118만 명이다.[31] 1897년 26,700명에서 1989년 912,445명, 2021년에는 1,187,771명으로 증가했다.[31] 1923년에는 약 60,400명이었던 인구는 1939년에 190,000명, 1959년에는 412,000명, 1970년에는 648,000명으로 증가했다. 1989년에는 912,600명에 달했지만, 소련 붕괴 이후 불황으로 인구 증가는 둔화되고 감소 추세를 보였다. 그러나 2000년 이후 인구가 증가하기 시작하여 2012년에 100만 명에 도달, 러시아 14번째 백만 도시가 되었다[59].

인구 그래프 (1855년~2012년)


크라스노야르스크의 인구 중 대부분은 러시아인이며,[31] 우크라이나인, 타타르족, 독일인, 벨라루스인도 거주한다. 최근에는 중앙아시아와 카프카스 지역에서 일자리를 찾아온 타지크인, 우즈베크족 등의 이민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불법 이민자들도 일부 존재한다.

중국인 이민자들도 상당수 존재하며, 이들은 주로 상업 분야에 종사한다. 많은 중국인들이 바자르에서 무역을 하고, "소드루제스트보"(러시아어로 "동포"라는 뜻)라는 특별한 대규모 중국 바자르와 "중국 무역 도시"(러시아어로 Китайский торговый город 또는 구어체로 키타이-고로드)가 스트렐카에 있다.

2021년 인구 조사 기준 크라스노야르스크의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31]

민족인구비율
러시아인948,94994.2%
타지크족9,0570.9%
키르기스족8,9540.9%
우즈베크인5,5770.6%
타타르인4,8550.5%
아르메니아인4,7270.5%
아제르바이잔인4,4520.4%
기타20,5752.0%


7. 경제

7. 1. 산업

7. 2. 무역

8. 교통

크라스노야르스크는 두 공항이 있다. 예밀야노보 공항은 중·장거리 국내선과 국제선을 모두 취급하는 주요 공항으로 시내 북서쪽 27km 지점에 위치해 있다.[64] 체렘샨카 공항은 단거리 비행을 처리하곤 했다. 체렘샨카는 이전에 지역 아에로플로트 크라스노야르스크 국장이 사용했던 크라스노야르스크 지역의 광범위한 지역 항공 서비스 네트워크(MVL)를 위한 주요 공항으로서의 역할을 상실했다. 2011년 12월 체렘샨카 공항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터미널 건물과 항공 교통 관제탑이 파괴되었다.[65]

크라스노야르스크의 트램


크라스노야르스크 여객역


크라스노야르스크에는 크라스노야르스크 시내전차가 운행되고 있으며, 3개 노선으로 구성된 크라스노야르스크 지하철이 계획되어 있다. 수십 년 동안 건설이 진행되어 2014년경 개통을 목표로 했으나, 2015년 초 시베리아 연방관구 대통령 전권대표인 빅토르 토로콘스키에 의해 2020년까지 개통이 연기되는 것이 발표되었다. 또한 크라스노야르스크에는 시베리아 횡단철도의 크라스노야르스크 여객역이 있다. 그 외에 하항도 있어 예로부터 철도 수송과 수운의 중계지 역할을 해왔다.

크라스노야르스크 공항(예밀야노보 공항)은 시내에서 북서쪽으로 37k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러시아와 구소련 국가, 아시아유럽 여러 국가 등으로 향하는 노선이 취항하고 있다. 일본과의 여객 정기편은 취항하고 있지 않지만, 나리타 국제공항간사이 국제공항 사이에 독일 루프트한자 항공의 화물편이 정기적으로 취항하고 있다.

그 외에 국내선이 운항하는 군민 공용 공항인 체렘샨카 공항이 있다.

8. 1. 항공

크라스노야르스크에는 두 개의 공항이 있다. 예밀야노보 공항은 중·장거리 국내선과 국제선을 모두 취급하는 주요 공항으로 시내 북서쪽 27km 지점에 위치해 있다.[64] 체렘샨카 공항은 단거리 비행을 처리하곤 했다. 2011년 12월 체렘샨카 공항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터미널 건물과 항공 교통 관제탑이 파괴되었다.[65][37]

예멜랴노보 공항은 러시아와 구소련 국가, 아시아유럽 여러 국가 등으로 향하는 노선이 취항하고 있다. 일본과의 여객 정기편은 취항하고 있지 않지만, 나리타 국제공항간사이 국제공항 사이에 독일 루프트한자 항공의 화물편이 정기적으로 취항하고 있다.

8. 2. 철도

크라스노야르스크는 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중요한 교차점이었다.[64] 크라스노야르스크-파사지르스키 (Красноярск-Пассажирскийru, 즉 크라스노야르스크-여객)는 크라스노야르스크의 주요 철도역이다.[64] 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장거리 열차는 이 역에 정차한다.[64] 전철이 운행되는 역들이 있으며, 크라스노야르스크-동부 화물역은 크라스노야르스크-파사지르스키에서 동쪽으로 26.3km 떨어져 있다.

8. 3. 대중교통

크라스노야르스크의 대중교통은 버스가 주를 이루지만, 여러 노선의 트롤리버스와 트램도 운행된다.[64] 크라스노야르스크 지하철 시스템(3개 노선)은 수십 년 동안 계획 및 건설 단계에 있었으나, 2020년까지 개통이 연기되었다.[64] 크라스노야르스크에는 시베리아 횡단철도의 크라스노야르스크 여객역이 있으며, 하항도 있어 예로부터 철도 수송과 수운의 중계지 역할을 해왔다.

크라스노야르스크에는 두 공항이 있다. 예밀야노보 공항은 중·장거리 국내선과 국제선을 모두 취급하는 주요 공항으로 시내 북서쪽 27km 지점에 위치해 있다.[64] 체렘샨카 공항은 단거리 비행을 처리하곤 했으나, 2011년 12월 체렘샨카 공항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터미널 건물과 항공 교통 관제탑이 파괴되었다.[65] 크라스노야르스크 공항(예멜랴노보 공항)은 러시아와 구소련 국가, 아시아유럽 여러 국가 등으로 향하는 노선이 취항하고 있다. 일본과의 여객 정기편은 취항하고 있지 않지만, 나리타 국제공항간사이 국제공항 사이에 독일 루프트한자 항공의 화물편이 정기적으로 취항하고 있다.

8. 4. 수운

크라스노야르스크는 예니세이 강에 위치하여, 강을 이용한 수운이 발달했다.[64] 크라스노야르스크 강항은 철도 수송과 수운의 중계지 역할을 해왔다.[64]

9. 문화

크라스노야르스크에서는 매년 여러 지역 축제가 열린다. 가장 중요한 축제는 6월에 열리는 시의 날(Day of the City)이며, 보통 카니발이 함께 열린다. 다른 축제로는 6월 마지막 주말에 열리는 마나 축제(Manskiy festival/Манский фестивальru)가 있으며, 전통적인 바드 경연대회가 포함된다. 국제 박물관 비엔날레는 크라스노야르스크 문화/역사 센터에서 열리고, 아방가르드풍 '박물관의 밤' 축제는 국제 박물관의 날(5월 18일)을 기념하여 열린다. 예니세이 재즈 페스티벌, 스톨비스의 날(Stolbist Day), 바이커 랠리도 개최된다.

크라스노야르스크에는 여러 지역 텔레비전 방송국과 고도로 발달된 통신 시설이 있으며, 도시의 많은 지역은 LAN 기반의 광대역 인터넷 접속을 제공한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크라스노야르스크 어린이 합창단은 The Little Eagles of Siberia이라는 이름으로 많은 국가를 순회 공연한다.

10. 교육 및 과학

크라스노야르스크는 노보시비르스크 다음으로 시베리아의 중요한 과학 및 교육 중심지이며, 30개 이상의 고등 교육 기관과 약 200개의 고등학교가 있다. 이 도시에는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Российская академия наук)의 분원이 다수 존재한다.

주요 고등 교육 기관으로는 2006년 11월 4일 설립된 시베리아 연방 대학교(SibFU)가 있는데, 이 대학교는 크라스노야르스크 국립대학교, 크라스노야르스크 국립 건축 및 토목 건설 아카데미, 크라스노야르스크 국립 기술대학교, 국립 비철금속 및 금속 대학교 등 4개의 대규모 고등 교육 기관이 통합되어 설립되었다. 1932년 설립된 크라스노야르스크 국립 사범대학교(KGPU), 1930년 시베리아 임업 연구소로 설립되어 도시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교인 시베리아 국립 기술대학교(SibGTU), 1960년 설립된 시베리아 항공우주대학교(SibGAU), 1942년 설립된 크라스노야르스크 국립 의과대학교(KrasGMU), 1952년 설립된 크라스노야르스크 국립 농업 대학교(Krasnoyarsk GAU) 등이 있다.

크라스노야르스크 아카뎀고로도크


노보시비르스크와 마찬가지로 크라스노야르스크에는 '아카뎀고로도크'(Академгородок, "학술 도시")라고 불리는 특별 시가지가 있으며, 여러 과학 연구소가 위치해 있다. 크라스노야르스크 생물물리학 연구소는 1973년부터 1985년까지 인간의 생태적 격리에 대한 실험("바이오스 실험(Bios Experiment)")으로 유명하다. 수카체프 임업 연구소는 1944년 모스크바에서 설립되어 1959년 크라스노야르스크로 이전했다.

크라스노야르스크에는 여러 박물관이 있으며, 그중 하나인 크라스노야르스크 지역 박물관에는 고대사, 시베리아 원주민, 털매머드 등 지역의 역사적 유물과 전시물이 있다. 크라스노야르스크 동물원 또한 시민과 관광객에게 주요 명소이다.

11. 스포츠

크라스노야르스크는 시베리아 스포츠의 중심지이다. 크라스노야르스크가 다른 러시아 도시들에 비해 뛰어난 종목으로는 럭비 유니온, 밴디, 자유형 레슬링이 있다.

예니세이는 1980년대 매년 그리고 1991년에 소비에트 밴디 챔피언이었다. 첫 러시아 타이틀은 2001년에 획득했다. 2014년에는 밴디 슈퍼리그 챔피언이 되었고, 평균 관중 수 5,747명으로 최고 기록을 세웠다.[38] 2015년과 2016년에도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39][40] 2019 동계 유니버시아드에서는 처음으로 밴디가 시범 종목으로 채택되어 남녀 토너먼트가 계획되었다.[41]

이 도시는 러시아 내 럭비 유니온의 중심지로 여겨지며, 러시아 럭비 유니온 본부가 오랫동안 이곳에 있었다. 크라스노야르스크의 두 클럽, 크라스니 야르와 예니세이-STM은 전국 프로 럭비 리그와 팬유럽 클럽 2부 리그인 유러피언 럭비 챌린지컵에 참가하고 있다. 경기는 지역 언론에서 주요 뉴스로 다루어지며, 도시 더비 경기는 약 3,000~5,000명의 관중을 모을 수 있다. 러시아 국가대표팀 선수들 중 다수가 이 지역 출신이다. 러시아의 일부 국제 럭비 경기는 중앙 경기장에서 열린다.

클럽종목창립현재 리그리그 순위경기장
예니세이 크라스노야르스크축구1937러시아 프리미어 리그2위중앙 경기장
소콜 크라스노야르스크아이스하키1977하이어 하키 리그2위아레나 세베르
예니세이 크라스노야르스크밴디1934밴디 슈퍼리그1위예니세이 스타디움
BC 예니세이농구1993VTB 유나이티드 리그1위아레나 세베르
크라스니 야르럭비 유니온1969프로 럭비 리그1위크라스니 야르 스타디움
예니세이-STM럭비 유니온1975프로 럭비 리그1위아방가르드 스타디움
예니세이 크라스노야르스크배구1992여자 배구 슈퍼리그1위드보르킨 스포츠 하우스
예니세이 크라스노야르스크배구1993배구 최고리그 A2위드보르킨 스포츠 하우스



전 캐롤라이나 허리케인스 레프트 윙어 알렉산더 세민은 크라스노야르스크 출신이다.

이반 야리긴의 이름을 딴 국제 레슬링 토너먼트 개최지이다.

2019년 동계 유니버시아드(2019 Winter Universiade)가 2019년 크라스노야르스크(Krasnoyarsk)에서 개최되었다.

12. 건축

크라스노야르스크에는 여러 역사적인 건물들이 있다. 가장 오래된 건물은 성모 수태고지 성당(Покровский собор)으로 1785년부터 1795년까지 건립되었고 1977년부터 1978년까지 복원되었다. 이 외에도 성모영보 대성당(Благовещенский собор, 1802~12년), 성삼위일체 대성당(Свято-Троицкий собор, 1802~12년), 세례자 요한 성당(Церковь Иоанна Предтечи, 1899년, 전 주교 관저), 그리고 새로운 미하일 성당(Церковь Архистратига Михаила, 1998~2003년)이 있다.

크라스노야르스크의 미완공 건물


카라울나야 언덕 정상에는 원래 이교도 신전이 있었고, 나중에 크라스노야르스크 요새의 감시탑이 있었던 자리에 파라스케바 피야트니차 예배당(Часовня Параскевы Пятницы, 1804년 건립, 1854~55년 재건)이 있다. 10루블 지폐에 그려져 있는 이 예배당은 도시의 상징적인 이미지 중 하나이다. 이 예배당은 소비에트 시대에 버려져 낡았지만,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예니세이 주교구에 의해 회복되었다.

크라스노야르스크의 또 다른 비공식적인 상징은 스트렐카에 위치한 미완공 24층 탑이다. 이 탑의 건설은 페레스트로이카 직전에 시작되었지만 행정적 위기로 인해 중단되었다. 탑의 윤곽은 도시의 많은 곳에서 분명하게 보인다.

크라스노야르스크 근처의 다리는 시베리아 횡단 철도를 예니세이강을 가로질러 연결한다. 1893년부터 1896년 사이에 건설된 이 다리는 라브르 프로스쿠랴코프의 설계에 따라 건설되었다. 2003년 세계유산 목록에 긴급 등록이 거부되었다.[32] 당시 ICOMOS는 이 다리를 "러시아에서 전형적인 포물선 다각형 트러스교의 초기 사례"로 묘사했으며, 이는 "공학 이론의 적용과 새로운 혁신적인 솔루션의 개발을 위한 시험장이 되었고, 많은 후속 사례가 있었다"고 평가했다.[33] 이 다리는 2002년부터 2007년 사이에 해체되었다.[34][35]

그 밖의 주목할 만한 건물로는 상인 니콜라이 가달로프의 저택(20세기 초), 로마 가톨릭 변용 성당(Преображенский собор, 1911년, 크라스노야르스크 오르간홀로도 알려짐), 고대 이집트 사원 스타일로 지어진 크라스노야르스크 크라이 박물관, 크라스노야르스크 문화/역사 센터, 스트렐카의 개선문(2003년) 등이 있다.

도시에는 주로 20세기 중반에 임시 거주지로 지어진 2층 목조 주택이 많이 있다. 도시 안에 있는 많은 도시화된 마을들은 전통적인 러시아 마을 건축의 흔적을 간직하고 있다. 뒷마당이 있는 목조 주택들 중 상당수는 현재 다소 낡았지만 여전히 사람들이 살고 있다.

13. 관광

크라스노야르스크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곳은 면적이 470km²에 달하는 거대한 국립자연보호구역인 스톨비(Столбы, "기둥들")이다. 이곳에는 높이 100미터에 달하는 수많은 거대한 화강암 암석들이 매우 특이한 형태로 솟아 있다. 스톨비는 주요 암벽등반 장소이기도 하다. 많은 현지 등반가들은 고의로 안전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그들의 익스트림 스포츠를 "스톨비즘"(stolbizm)이라고 부르는데, 다른 곳에서는 솔로 클라이밍으로 알려져 있다.

그 외 인기 있는 관광지는 크라스노야르스크 수력발전소 댐, 파라스케바 피야트니차 예배당이 있는 카라울나야 고라 언덕, 박물관, 극장 등이 있다.

14. 자매 도시

크라스노야르스크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46]


  • 헤이허, 중국 (1999)
  • 이스타라프샨, 타지키스탄 (2000)
  • 수세인트메리, 캐나다 (2002)
  • 울란바토르, 몽골 (2003)
  • 사마르칸트, 우즈베키스탄 (2003)
  • 오니온타, 미국 (2004)
  • 크레모나, 이탈리아 (2006)
  • 질리나, 슬로바키아 (2013)
  • 창춘, 중국 (2014)
  • 만저우리, 중국 (2017)
  • 코크셰타우, 카자흐스탄 (2022)[47]
  • 하얼빈, 중국[62]

참조

[1] 문서 Decision #855
[2] 웹사이트 Krasnoyarsk http://www.calend.ru[...]
[3] 웹사이트 Sergey Yeryomin appointed head of Krasnoyarsk http://tvk6.ru/publi[...] 2017-10-26
[4] 웹사이트 Предварительная оценка численности постоянного населения на 1 января 2017 года и в среднем за 2016 год по городским округам и муниципальным районам Красноярского края https://web.archive.[...]
[5] 웹사이트 Tab-5_VPN-2020.XLSX - Яндекс.Документы https://docs.yandex.[...]
[6] 웹사이트 Основание Красноярска http://www.krinfo.ru[...]
[7] 웹사이트 Телефонные коды Красноярский край http://www.ruspostin[...] 2013-03-26
[8] 서적 Cambridge English Pronouncing Dictiona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사전 Krasnoyarsk 2019-08-14
[10] 백과사전 Krasnoyarsk http://www.lexico.co[...] Oxford University Press
[11] 사전 Krasnoyarsk 2019-08-14
[12] 인구조사 2021Census
[13] 서적 "The Crooked Mirror" and Other Stories Zebra Book
[14] 서적 Топоним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Хакасско-Минусинского края
[15] 문서 Charter of Krasnoyarsk
[16] 웹사이트 Народн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Мой город". Красноярск (Красноярский край) http://www.mojgorod.[...]
[17] 서적 Elsa Brändström
[18] 뉴스 Today, Let's Go Inside the Other Russia Moscow Times 2001-02-21
[19] 웹사이트 Krasnoyarsk http://www.poexaly.r[...]
[20] 웹사이트 Атлас достопримечательностей http://www.krskstate[...] 2013-03-26
[21] 서적 Окрестности Красноярска. Карта. ФГУП Госцентр "Природа"
[22] 문서 Law #10-4763
[23] 문서 Law #10-4765
[24] 문서 Law #13-3148
[25] 웹사이트 Герб города Красноярска http://www.kracnoyar[...]
[26] 웹사이트 Красноярск, администрация города - Красноярск http://www.admkrsk.r[...]
[27] 문서 Решение Красноярского городского Совета депутатов от 26 мая 2010 года No. В-169 2010-05-26
[28] 웹사이트 Pogoda.ru.net (Weather and Climate – The Climate of Krasnoyarsk) http://www.pogodaikl[...] 2021-11-08
[29] 웹사이트 Krasnojarsk (Krasnoyarsk) Climate Normals 1961–1990 https://www.ncei.noa[...] 2021-10-29
[30] 인구조사 2010Census
[31] 웹사이트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https://24.rosstat.g[...] 2023-05-17
[32] 웹사이트 Decision: 27 COM 8C.47 - The First Railway Bridge over the Yenisei River (Russian Federation) https://whc.unesco.o[...] UNESCO 2003
[33] 간행물 Evaluations of Cultural Properties - World Heritage Committee 27th Ordinary Session https://whc.unesco.o[...] UNESCO 2003-06-16
[34] 웹사이트 Мосты Красноярска. История покорения Енисея https://gornovosti.r[...] 2018-05-21
[35] 뉴스 В Красноярске уникальный старинный Царский мост пошёл на металлолом https://tayga.info/7[...] Tayga.info 2007-04-07
[36] 웹사이트 Yemelyanovo International Airport – About/General Information http://www.yemelyano[...]
[37] 웹사이트 Tower and terminal of Krasnojarsk Cheremshanka Airport burned down http://www.avherald.[...]
[38] 웹사이트 ABC of the golden season https://translate.go[...] 2014-04-10
[39] 웹사이트 FHMR congratulates the Krasnoyarsk "Yenisei" https://translate.go[...] 2016-03-26
[40] 이미지 https://i.ytimg.com/[...] 2022-03-00
[41] 웹사이트 Sports http://krsk2019.ru/e[...] 2015-12-14
[42] 웹사이트 К Универсиаде в Красноярске появится крытый стадион для хоккея с мячом / Новости спорта Красноярска и Красноярского края / Newslab.Ru https://translate.go[...] 2022-03-14
[43] 웹사이트 Google Translate https://translate.go[...] 2016-12-15
[44] 웹사이트 Есть вторая арка! - Архив новостей - Федерация хоккея с мячом России https://translate.go[...] 2022-03-14
[45] 웹사이트 Делегация FIB и ФХМР посетила арену в Красноярске - Архив новостей - Федерация хоккея с мячом России https://translate.go[...] 2022-03-14
[46] 웹사이트 Контакты с иностранными городами и организациями http://www.admkrsk.r[...] Krasnoyarsk 2021-01-19
[47] 웹사이트 Krasnoyarsk signed a memorandum of cooperation with the city of Kokshetau of the Republic of Kazakhstan http://www.admkrsk.r[...] Krasnoyarsk - City Administration 2022-08-27
[48] 웹사이트 Krasnoyarsk City administration http://www.admkrsk.r[...]
[49] 문서 Krasnoyarsk
[50] 문서 Krasny Yar
[51] 문서 Khyzyl Char
[52] 문서 Kraslag
[53] 문서 Yeniseylag
[54] 서적 シベリア抑留全史 原書房 2013-08-08
[55] 웹사이트 Yeniseysk (Krasnoyarsk) http://www.globalsec[...]
[56] 문서 Anatoliy Bykov
[57] 웹사이트 Pogoda.ru.net (Weather and Climate-The Climate of Krasnoyarsk) http://pogoda.ru.net[...] Weather and Climate 2012-08-16
[58] 웹사이트 World Weather Information Service – Krasnojarsk http://worldweather.[...] World Meteorological Organisation (United Nations) 2012-08-16
[59] 뉴스 シベリアのクラスノヤルスク、百万人都市へ http://japanese.ruvr[...] ロシアの声 2012-04-18
[60] 웹사이트 Railway Bridge Over Yenissey River - Tentative Lists -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http://whc.unesco.or[...]
[61] 뉴스 フェンスの解体後、トリニティ墓地は記念碑のリストに含まれていました https://kras.mk.ru/s[...] 新聞"MK. クラスノヤルスク" 2020-01-09
[62] 웹사이트 Krasnoyarsk city administration http://eng.admkrsk.r[...]
[63] 백과사전 크라스노야르스크
[64] 웹사이트 Yemelyanovo International Airport – About/General Information http://www.yemelyano[...]
[65] 웹사이트 The Aviation Herald – Tower and terminal of Krasnojarsk Cheremshanka Airport burned down http://www.avherald.[...]
[66] 웹인용 Pogoda.ru.net (Weather and Climate – The Climate of Krasnoyarsk) http://www.pogodaikl[...] Weather and Climate 2021-11-08
[67] 웹인용 Krasnojarsk (Krasnoyarsk) Climate Normals 1961–1990 https://www.ncei.noa[...] 미국 해양대기청 2021-10-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