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런치패드 (macOS)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런치패드는 macOS 운영 체제에서 응용 프로그램 아이콘을 표시하고 실행하는 런처이다. `/Applications` 폴더, `~/Applications` 폴더 및 하위 폴더에 있는 응용 프로그램 아이콘을 표시하며, 사용자는 아이콘을 추가, 삭제하고 iOS처럼 폴더로 구성할 수 있다. 런치패드는 F4 키를 단축키로 사용하며, 터치패드 제스처를 지원한다. OS X Mountain Lion부터 검색 기능이 추가되었고, 이후 macOS 버전 업데이트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기능이 개선되었다. 런치패드는 iOS의 SpringBoard와 유사하지만, 3D 터치, 멀티 터치 기능 등 일부 기능은 지원하지 않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1년 소프트웨어 - 아이클라우드
    아이클라우드는 애플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 및 동기화하며 여러 기기에서 접근 가능하고, 추가 기능과 저장 공간 확장을 제공하지만 보안 및 개인 정보 보호에 대한 논란도 있다.
  • 2011년 소프트웨어 - HHVM
    HHVM은 페이스북에서 개발한 PHP 및 Hack 언어 실행 엔진으로, JIT 컴파일을 통해 높은 성능을 제공하며 웹 개발 분야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런치패드 (macOS)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개요

2. 특징

런치패드는 macOS에서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을 한눈에 보고 실행할 수 있도록 iOS의 홈 화면과 유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능이다. `/Applications` 폴더와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 내 `Applications` 폴더(`~/Applications`), 그리고 이 폴더들 안의 하위 폴더에 있는 응용 프로그램 아이콘들을 격자 형태로 보여준다.

사용자는 런치패드 내에서 앱 아이콘을 드래그하여 위치를 바꾸거나 폴더로 묶어 정리할 수 있다. 아이콘을 길게 누르면 아이콘이 흔들리면서 Mac App Store에서 설치한 앱의 경우 삭제 버튼(X 표시)이 나타나 앱을 삭제할 수도 있다. 앱 스토어를 통하지 않고 설치된 앱은 아이콘을 삭제해도 응용 프로그램 자체가 지워지지는 않을 수 있다. OS X Mountain Lion부터는 상단에 검색 창이 추가되어 원하는 앱을 이름으로 쉽게 찾을 수 있게 되었다.[3]

런치패드는 기본적으로 펑션 키 F4를 눌러 실행할 수 있으며, 터치패드가 있는 MacBook 등에서는 엄지와 세 손가락을 오므리는 핀치 제스처로도 열 수 있다.

macOS 버전이 업데이트되면서 런치패드의 디자인과 기능도 지속적으로 변화해왔다. 예를 들어, OS X Mavericks에서는 배경 디자인이 변경되었고,[4] OS X Yosemite에서는 폴더 기능이 iOS와 더욱 유사해졌으며,[5] macOS Monterey에서는 게임 앱을 자동으로 분류하는 기능 등이 추가되었다.[6] 각 버전별 상세한 변화는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하지만 iOS의 SpringBoard와 비교했을 때, 3D 터치나 보조 클릭을 통한 상황 메뉴 표시, 멀티 터치로 여러 아이콘을 동시에 이동시키는 기능, 위젯 배치 기능 등은 지원하지 않는다.

2. 1. 응용 프로그램 관리

런치패드는 사용자가 설치한 응용 프로그램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실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이다. `/Applications` 폴더 및 사용자의 `~/Applications` 폴더 등에 있는 앱 아이콘들이 표시되며, 사용자는 아이콘을 추가하거나 삭제하고, iOS처럼 폴더로 묶어 관리할 수 있다. OS X Mountain Lion부터는 검색 기능도 지원한다.[3]

2. 1. 1. 아이콘 표시 및 구성

런치패드에는 `/Applications` 폴더와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 아래에 있는 `~/Applications` 폴더, 그리고 이 두 폴더 내의 하위 폴더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들의 아이콘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런치패드에 응용 프로그램 아이콘을 직접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다만, Mac App Store를 통해 설치한 앱이 아닌 경우, 아이콘을 삭제해도 응용 프로그램 자체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앱 아이콘들은 iOS에서처럼 폴더로 묶어 정리하고 사용자 정의 이름을 붙일 수 있다.

Mac OS X Lion 버전에서는 한 줄에 8개의 아이콘이 배열되었다. 이후 OS X Mountain Lion에서는 한 줄에 7개의 아이콘이 표시되도록 변경되었지만, root 권한이 있다면 행과 열의 수를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2]

Mac OS X Lion부터 펑션 키 F4는 런치패드를 여는 기본 단축키로 지정되었다. 또한, 애플의 제스처 인식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다면, 터치패드에서 엄지와 세 손가락을 오므리는 동작(핀치)으로 런치패드를 실행할 수 있다.

각 운영체제 버전별로 다음과 같은 변화가 있었다.

  • OS X Mountain Lion: 런치패드 내에서 원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빠르게 찾을 수 있는 검색 기능이 추가되었다.[3]
  • OS X Mavericks: 디자인 경향이 스큐어모피즘에서 벗어나면서, 런치패드의 배경이 사용자 데스크톱 배경 이미지를 흐릿하게 처리한 효과로 변경되었다. 폴더의 배경 역시 기존의 리넨(linen) 질감에서 더 어두운 반투명 배경으로 바뀌었다.[4]
  • OS X Yosemite: 폴더의 디자인과 작동 방식이 iOS의 폴더와 매우 유사해졌다. 폴더가 닫혀 있을 때는 안에 포함된 앱 아이콘들의 3×3 미리보기가 둥근 반투명 사각형 안에 표시되고, 폴더를 열면 더 큰 직사각형 형태로 확장된다. 또한, 하나의 폴더 안에 여러 페이지를 만들어 더 많은 앱을 담을 수 있게 되었다.[5]
  • macOS Big Sur: 런치패드 아이콘의 디자인이 앱 아이콘과 유사한 다양한 색상의 3×3 격자 형태로 변경되었으나, 기본적인 사용 방법은 이전과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 macOS Monterey: 컴퓨터에 게임이 설치되면 자동으로 '게임' 카테고리로 분류된다. 또한, 게임 컨트롤러가 연결된 상태에서 컨트롤러의 홈 버튼을 누르면 런치패드의 '게임' 카테고리가 바로 열리는 기능이 추가되었다.[6]


런치패드는 iOS의 홈 화면(SpringBoard 인터페이스)과 비교했을 때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3D 터치나 보조 클릭(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 등)을 통한 상황 메뉴 표시 기능, 멀티 터치 제스처를 이용해 여러 아이콘을 동시에 이동시키는 기능, 위젯을 배치하는 기능 등은 지원하지 않는다.

2. 1. 2. 폴더 기능

앱 아이콘들을 iOS에서처럼 폴더로 묶어 정리할 수 있다.

Mac OS X Lion에서 런치패드가 처음 도입되었을 때부터 폴더 기능이 포함되었다. 당시에는 한 줄에 8개의 아이콘이 표시되었다. OS X Mountain Lion에서는 한 줄당 아이콘 수가 7개로 줄어들었으며, 응용 프로그램을 검색하는 기능이 추가되었다.[3] 시스템 파일을 수정하면(root 권한 필요) 행과 열의 수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2]

OS X Mavericks에서는 폴더의 배경 디자인이 변경되었다. 기존의 리넨(linen) 질감 대신 반투명한 어두운 배경이 적용되었는데, 이는 당시 애플이 스큐어모피즘 디자인에서 벗어나려는 시도의 일환이었다.[4]

OS X Yosemite에 이르러서는 폴더의 작동 방식이 iOS와 더욱 유사해졌다. 폴더가 닫혀 있을 때는 안에 담긴 앱 아이콘들의 3×3 미리 보기가 반투명한 사각형 안에 표시되며, 폴더를 열면 더 큰 직사각형 형태로 확장된다. 또한, 폴더 내부에 여러 페이지를 만들어 더 많은 앱을 정리할 수 있게 되었다.[5]

macOS Monterey부터는 사용자가 게임을 설치하면 자동으로 '게임'이라는 이름의 폴더로 분류된다. 게임 컨트롤러가 연결된 상태에서 컨트롤러의 홈 버튼을 누르면 런치패드의 '게임' 폴더가 바로 열리는 기능도 추가되었다.[6]

런치패드의 폴더 기능은 iOS의 홈 화면(SpringBoard)과 비교했을 때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3D 터치나 보조 클릭(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 등)을 이용한 상황 메뉴 표시, 멀티 터치 제스처로 여러 아이콘을 한 번에 옮기는 기능, 위젯을 배치하는 기능 등은 지원하지 않는다.

2. 2. 사용자 인터페이스

런치패드는 `/Applications` 폴더와 사용자의 `~/Applications` 폴더 및 그 하위 폴더에 있는 응용 프로그램 아이콘을 격자 형태로 보여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사용자는 아이콘을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으며, iOS와 유사하게 앱 아이콘을 폴더로 묶어 관리할 수도 있다.

런치패드의 인터페이스는 Mac OS X Lion에서 처음 도입된 이후 여러 macOS 버전을 거치며 시각적인 요소와 기능적인 면에서 변화를 겪어왔다. 아이콘 배열 방식, 검색 기능[3], 배경 및 폴더 디자인[4][5], 특정 앱(예: 게임) 자동 분류 기능[6] 등이 개선되었다.

런치패드를 여는 기본적인 방법으로는 펑션 키 F4 단축키 사용 또는 터치패드 제스처 활용 등이 있다.

2. 2. 1. 아이콘 배열

`/Applications` 폴더와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 아래 `~/Applications` 폴더, 그리고 이 두 폴더 안의 하위 폴더에 있는 응용 프로그램 아이콘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런치패드에 응용 프로그램 아이콘을 추가할 수 있으며, 삭제도 가능하다. 다만, Mac App Store에서 직접 다운로드한 앱이 아니라면 아이콘을 삭제해도 응용 프로그램 자체가 삭제되지 않을 수 있다.

앱 아이콘은 iOS처럼 이름이 있는 폴더로 묶어 정리할 수 있다. Mac OS X Lion에서는 한 줄에 8개의 아이콘이 배열되었으나, OS X Mountain Lion부터는 한 줄에 7개로 변경되었다. root 권한이 있다면 행과 열의 개수를 직접 수정할 수도 있다.[2]

Mac OS X Lion 이후부터 펑션 키 F4는 런치패드를 여는 단축키로 지정되었다. 애플의 제스처 인식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터치패드에서 엄지와 세 손가락을 오므리는 동작(핀치)으로도 런치패드를 열 수 있다.

OS X Mountain Lion에서는 응용 프로그램을 검색하는 기능이 추가되었다.[3]

OS X Mavericks에서는 런치패드 배경이 사용자의 데스크톱 배경을 흐릿하게 처리한 모습으로 바뀌었다. 폴더 디자인 역시 기존의 리넨 질감에서 더 어두운 반투명 배경으로 변경되었는데, 이는 스큐어모피즘 디자인에서 벗어나려는 시도의 일부였다.[4]

OS X Yosemite에서는 폴더 기능이 iOS의 폴더와 매우 유사하게 개선되었다. 닫힌 상태에서는 폴더 안의 앱 아이콘 9개(3×3 배열)가 미리보기 형태로 둥근 반투명 사각형 안에 표시되고, 폴더를 열면 더 큰 직사각형 형태로 확대된다. 또한, 폴더 안에 여러 페이지를 만들어 더 많은 앱을 넣을 수 있게 되었다.[5]

macOS Big Sur에서는 런치패드 아이콘 디자인이 앱 아이콘과 유사하게 다양한 색상을 가진 3×3 격자 형태로 변경되었지만, 사용 방식은 이전과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macOS Monterey에서는 게임 앱을 설치하면 자동으로 '게임' 카테고리로 분류되며, 게임 컨트롤러를 연결한 상태에서 홈 버튼을 누르면 런치패드의 '게임' 카테고리가 바로 열리는 기능이 추가되었다.[6]

런치패드는 iOS의 홈 화면(SpringBoard)과 비교했을 때, 3D 터치나 보조 클릭을 통한 상황 메뉴 표시, 멀티 터치를 이용한 여러 아이콘 동시 이동, 위젯 배치 등의 기능은 지원하지 않는다.

2. 2. 2. 제스처 및 단축키

Mac OS X Lion 이후, 펑션 키 F4는 런치패드를 여는 단축키로 지정되어 있다. 애플의 제스처 인식 소프트웨어가 활성화된 경우, 터치패드에서 엄지와 세 손가락을 오므리는 핀치 동작으로 런치패드를 열 수 있다.

macOS Monterey에서는 게임 컨트롤러를 연결한 상태에서 홈 버튼을 누르면 런치패드의 "게임" 카테고리를 바로 열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었다.[6]

2. 3. 검색 기능

OS X Mountain Lion에서 응용 프로그램을 검색하는 기능이 추가되었다.[3]

2. 4. 버전별 변화

런치패드는 `/Applications` 폴더와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 내 `Applications` 폴더(`~/Applications`), 그리고 이 두 폴더의 하위 폴더에 있는 응용 프로그램들의 아이콘을 보여준다. 사용자는 런치패드에 응용 프로그램 아이콘을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다만, Mac App Store를 통해 설치하지 않은 앱의 경우, 아이콘을 삭제해도 응용 프로그램 자체가 삭제되지는 않을 수 있다. 앱 아이콘들은 iOS에서처럼 이름이 있는 폴더로 묶어 정리할 수 있다.

Mac OS X Lion에서는 한 줄에 8개의 아이콘이 표시되었으나, OS X Mountain Lion에서는 한 줄당 7개로 변경되었다. 사용자는 설정을 통해 행과 열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2] OS X Mountain Lion에서는 응용 프로그램을 검색하는 기능이 추가되었다.[3]

Mac OS X Lion 이후부터 펑션 키 F4는 런치패드를 여는 단축키로 지정되었다. 터치패드가 있는 경우, 엄지와 세 손가락을 오므리는 핀치 제스처를 통해 런치패드를 실행할 수도 있다.

iOS의 SpringBoard 인터페이스와 비교하면, 3D 터치나 보조 버튼 클릭을 통한 상황 메뉴 표시, 멀티 터치를 통한 여러 아이콘 동시 이동, 위젯을 배치하는 기능 등은 지원하지 않는다.

2. 4. 1. OS X Mavericks

OS X Mavericks에서는 런치패드의 배경이 사용자의 데스크톱 배경을 흐릿하게 처리한 모습으로 변경되었다. 폴더 배경 역시 기존의 리넨(linen) 질감 대신 더 어두운 반투명 배경으로 바뀌었는데, 이는 스큐어모피즘 디자인에서 벗어나려는 시도의 일환이었다.[4]

2. 4. 2. OS X Yosemite

OS X Yosemite에서는 런치패드의 폴더가 iOS의 폴더와 매우 비슷하게 작동하도록 변경되었다. 폴더가 닫혀 있을 때는 안에 포함된 앱 아이콘들의 3×3 미리보기가 둥근 반투명 사각형 안에 표시되고, 폴더를 열면 더 큰 직사각형 형태로 확대된다. 또한, 폴더 안에 페이지를 만들어 더 많은 앱을 넣을 수 있게 되었다.[5]

2. 4. 3. macOS Big Sur

macOS Big Sur에서는 런치패드 아이콘이 앱 아이콘처럼 다양한 색상을 가진 3×3 그리드 형태로 변경되었다. 그러나 런치패드의 사용 방식은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2. 4. 4. macOS Monterey

macOS Monterey에서는 게임을 설치하면 해당 응용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게임" 카테고리에 정리된다. 또한, 게임 컨트롤러를 연결한 상태에서 홈 버튼을 누르면 런치패드의 "게임" 카테고리를 바로 열 수 있게 되었다.[6]

2. 5. iOS SpringBoard와의 비교

iOS의 SpringBoard 인터페이스와 비교하면, 3D 터치나 보조 버튼 클릭을 통한 상황 메뉴 표시, 멀티 터치를 통한 여러 아이콘 동시 이동, 위젯을 배치하는 기능 등을 갖추고 있지 않다.

참조

[1] 웹사이트 Mac OS X 10.7 Lion: the Ars Technica review https://arstechnica.[...] 2011-07-20
[2] 웹사이트 Change launchpad icon rows and columns to fit more icons http://www.tutposts.[...] TutPosts 2015-05-23
[3] 웹사이트 Use Launchpad Search to Quickly Open Apps in OS X http://osxdaily.com/[...] OS X Daily 2012-10-08
[4] 웹사이트 Launchpad folders are now semi-translucent in Mavericks http://www.tips-and-[...]
[5] 웹사이트 OS X Yosemite: Tips, Tricks, and Details https://www.macstori[...]
[6] 웹사이트 macOS 12 MontereyではXboxやPlayStationのゲームコントローラーだけを利用して、LaunchPadからゲームアプリを起動&ゲームのハイライト動画を収録することが可能に。 https://applech2.com[...]
[7] 웹인용 Mac OS X 10.7 Lion: the Ars Technica review https://arstechnica.[...] 2018-08-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