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레소토의 국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소토의 국가는 프랑수아 코이야르와 아돌프 마빌이 작사하고 스위스 작곡가 페르디난트-사무엘 로르의 찬송가 곡조를 사용한 노래이다. 이 노래는 1869년경 노동요와 찬송가 모음집에 처음 소개되었으며, 1870년 작업 파티에서 처음 불린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세기 초 중요한 행사에서 사용되다가, 합창 작곡가 조슈아 풀루모 모하펠로아가 축약한 버전이 1967년 레소토의 공식 국가로 채택되었다. 가사는 레소토를 우리 아버지들의 땅, 가장 아름다운 곳으로 묘사하며, 신에게 레소토를 보호해 달라고 기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소토의 상징 - 레소토의 국기
    레소토의 국기는 2006년에 채택되어 검은색 바소토 모자를 중심으로 파란색, 흰색, 초록색을 사용하여 레소토의 문화와 역사를 나타내는 레소토의 공식적인 상징물이다.
  • 레소토의 상징 - 레소토의 국장
    레소토의 국장은 1951년에 제정되어 방패와 악어 디자인을 포함하며 "평화는 번영이다"라는 모토를 통해 국가적 가치와 지향점을 상징하는 레소토의 공식 문장이다.
  • 1966년 노래 - God Only Knows
    "God Only Knows"는 브라이언 윌슨과 토니 애셔가 작곡하고 비치 보이스가 1966년 발표한, 앨범 《Pet Sounds》의 수록곡으로, 종교적 단어 사용 논란에도 불구하고 독특한 음악 구성과 가사로 호평받으며 폴 매카트니를 포함한 많은 음악가에게 극찬을 받은 비치 보이스의 대표곡 중 하나이다.
  • 1966년 노래 - Somethin' Stupid
    "Somethin' Stupid"은 C. 카슨 파크스가 작사하고 프랭크 시나트라와 낸시 시나트라 부녀의 듀엣곡으로 빌보드 핫 1위를 기록한 후 로비 윌리엄스와 니콜 키드먼을 포함한 다양한 아티스트들이 리메이크한 곡이다.
레소토의 국가
기본 정보
레소토 국기
국기
국가명레소토
영어 명칭Lesotho
소토어 명칭Lesōthō
표어Khotso, Pula, Nala (평화, 비, 번영)
국가Lesōthō Fatše La Bo-Ntat'a Rōna (레소토, 우리 아버지의 땅)
공용어소토어
영어
위치
상징
작사가프랑수아 코이야르 (원래 가사), 조슈아 풀루모 모하펠로아 (현재 가사)
작곡가페르디난트 사무엘 라우르
채택일1967년 6월 1일

2. 역사

(내용 없음)

2. 1. 국가의 기원

이 노래는 프랑스 선교사 프랑수아 코이야르와 아돌프 마빌이 작사했으며, 스위스 작곡가 페르디난트-사무엘 로르의 1820년 찬송가 "Freiheit"(Freiheit|자유영어)의 곡조를 사용했다.[1] 이 노래는 1869년경 노동요와 찬송가 모음집의 일부로 소개되었다. 이는 세 번째이자 마지막 자유국-바소토 전쟁(1867-1868) 직후였으며, 가사는 바소토인들이 영국과 보어 오렌지 자유국 간의 1869년 알리왈 노스 조약에서 정의된 국경을 받아들일 것을 권장했는데, 이 조약으로 전쟁이 종식되었다.[2]

이 노래는 1870년 바소토 추장 몰라포를 위한 작업 파티에서 처음 공연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래는 현장 노동자들이 불렀지만, 1900년대에 파리 복음주의 선교 협회가 운영하는 선교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이 노래를 가르치기 시작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노래는 축약되었고, 첫 번째와 다섯 번째(마지막) 절만 가르치기 시작했다. 선교사들은 또한 특별한 경우에 학생들에 의해 이 노래의 공개 공연을 조직했다.[2]

이 노래는 20세기 초 중요한 행사에서 사실상 사용되었으며, 일반적으로 "여왕 폐하 만세" 후에 불렸고, 1940년대에는 이미 국가로 언급되었다. 합창 작곡가 조슈아 풀루모 모하펠로아가 축약한 첫 번째와 마지막 절을 포함한 버전[1]레소토가 1966년 10월 4일 독립한 후 1년이 조금 넘은 1967년 6월 1일에 레소토의 공식 국가로 선포되었다.[3]

2. 2. 초기 사용과 확산

이 노래는 프랑스 선교사 프랑수아 코이야르와 아돌프 마빌이 작사했으며, 스위스 작곡가 페르디난트-사무엘 로르가 1820년에 작곡한 찬송가 'Freiheit|프라이하이트de'("자유")의 곡조를 사용했다.[1] 이 노래는 1869년경 노동요와 찬송가 모음집의 일부로 소개되었다. 소개된 시점은 세 번째이자 마지막 자유국-바소토 전쟁(1867-1868)이 끝난 직후였다. 당시 가사는 바소토인들에게 영국과 보어 오렌지 자유국 사이에서 체결된 1869년 알리왈 노스 협약에서 정해진 국경선을 받아들이도록 권장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는데, 이 협약은 해당 전쟁을 종결시킨 조약이었다.[2]

이 노래는 1870년 바소토 추장 몰라포를 위한 작업 파티에서 처음으로 불렸다고 전해진다. 처음에는 현장 노동자들이 주로 불렀으나, 1900년대에 들어 파리 복음주의 선교 협회가 운영하는 선교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가르치기 시작하면서 널리 퍼지게 되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노래는 점차 축약되었고, 나중에는 첫 번째 절과 다섯 번째(마지막) 절만 가르치게 되었다. 선교사들은 특별한 행사가 있을 때 학생들이 이 노래를 공개적으로 부르도록 하기도 했다.[2]

20세기 초반에 이르러 이 노래는 중요한 행사에서 사실상의 국가처럼 사용되었으며, 보통 영국의 국가인 "여왕 폐하 만세" 다음에 불렸다. 1940년대에는 이미 국가로 언급되기도 했다. 합창 작곡가 조슈아 풀루모 모하펠로아가 편곡하여 축약한 버전(첫 번째와 마지막 절 포함)[1]레소토가 1966년 10월 4일 독립한 지 약 1년 후인 1967년 6월 1일에 공식 국가로 지정되었다.[3]

2. 3. 공식 국가 채택

이 노래는 프랑스 선교사 프랑수아 코이야르와 아돌프 마빌이 작사했으며, 스위스 작곡가 페르디난트-사무엘 로르의 1820년 찬송가 Freiheit|자유영어의 곡조를 사용했다.[1] 1869년경 노동요와 찬송가 모음집의 일부로 소개되었다. 이는 제3차 자유국-바소토 전쟁(1867-1868) 직후였으며, 가사는 바소토인들이 영국과 보어 오렌지 자유국 간의 1869년 알리왈 노스 협약에서 정의된 국경을 받아들일 것을 권장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는데, 이 협약으로 전쟁이 종식되었다.[2]

이 노래는 1870년 바소토 추장 몰라포를 위한 작업 파티에서 처음 공연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래는 현장 노동자들이 불렀지만, 1900년대에 파리 복음주의 선교 협회가 운영하는 선교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이 노래를 가르치기 시작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노래는 축약되었고, 첫 번째와 다섯 번째(마지막) 절만 가르치기 시작했다. 선교사들은 또한 특별한 경우에 학생들에 의해 이 노래의 공개 공연을 조직했다.[2]

이 노래는 20세기 초 중요한 행사에서 사실상 국가처럼 사용되었으며, 일반적으로 "여왕 폐하 만세" 후에 불렸다. 1940년대에는 이미 국가로 언급되기도 했다. 합창 작곡가 조슈아 풀루모 모하펠로아가 축약한 첫 번째와 마지막 절을 포함한 버전[1]레소토가 독립(1966년 10월 4일)한 지 1년이 조금 넘은 1967년 6월 1일에 공식 국가로 선포되었다.[3]

3. 가사

레소토의 국가 가사는 세소토어로 작성되었다.[4][5] 현재 공식적으로 사용되는 가사는 프랑수아 코이야르가 쓴 원 가사[6] 5개 절 중 첫 번째와 마지막 절을 축약한 것이다. 가사는 레소토의 아름다움과 조상들의 땅이라는 자부심, 그리고 하느님께 평화를 기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자세한 가사와 번역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현재 가사

세소토어 가사[4][5]한국어 번역
1
Lesōthō fatše la bo ntat'a rōna;
Ha ra mafatše le letle ke lona;
Ke moo re hlahileng,
ke moo re hōlileng,
Rea lerata,st
1
레소토, 우리 조상의 땅이여,
모든 땅 가운데 가장 아름답구나.
이곳은 우리가 태어난 곳,
이곳은 우리가 자라난 곳,
우리는 그대를 사랑하네.
2
Mōlimō ak'u bōlōke Lesōthō;
U felise lintoa le matšoenyeho;
Oho fatše lena;
La bo ntata rōna;
Le be le khotso.st
2
하느님, 부디 레소토를 지켜주소서.
싸움과 고난을 끝내주소서.
오, 이 땅이여,
우리 조상의 땅이여,
평화를 누리게 하소서.


3. 2. 원 가사 (Original lyrics)

세소토어 가사[6]영어 번역한국어 번역
:Ist:I영어:I
:IIst:II영어:II
:IIIst:III영어:III
:IVst:IV영어:IV
:Vst:V영어:V



국가 가사의 마지막 부분은 레소토의 국가 모토인 "평화, 비, 번영"(Khotso, Pula, Nalast)을 나타낸다.

참조

[1] 서적 '"Unser Land"? / "Our Land"? Lesothos schweizerische Nationalhymne / Lesotho's Swiss National Anthem' https://www.ideabook[...] Christoph Merian Verlag
[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Lesotho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3-06-13
[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Lesotho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3-06-13
[4] 웹사이트 About Lesotho http://www.lesothoem[...] 2022-05-17
[5] 서적 The Laws of Lesotho https://books.google[...] Government Printer 1967
[6] 서적 Everyday Sesotho Reader https://books.google[...] Morija Sesuto Book Depot 195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