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노동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동요는 작업 중 부르는 노래, 작업에 관한 노래, 또는 작업을 주제로 하는 노래를 포괄하며, 인류 역사와 함께 발전해 왔다. 고대 사회에서는 공동 작업 동기를 부여하고 지루함을 달래는 역할을 했으며, 산업 혁명 이후에는 노동 환경을 묘사하고 저항의 목소리를 담는 형태로 변화했다.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노동요는 노예 제도의 고통을 표현하고 연대감을 형성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는 다양한 장르와 결합하여 노동자의 삶과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동요 - 구미발갱이들소리
    구미발갱이들소리는 경상북도 구미 지역의 논매기 소리로, 발갱이들이라는 지명 유래에 대한 설이 전해지며, 1970년대부터 조사를 통해 영남아리랑이 발굴되어 영향을 미쳤고, 구미시는 보존과 전승을 위해 전수관을 개관하고 보존회를 창립하여 활동하고 있다.
노동요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다른 이름작업 노래
일노래
노동 가요
설명일과 밀접하게 관련된 음악 작품
특징작업 속도와 리듬에 맞추어짐
협동심과 단결력을 높이는 역할
다양한 문화와 역사 속에서 존재
목적노동 효율성 증대
노동의 고통 완화
공동체 의식 강화
역사 및 문화
기원고대 사회의 노동에서 자연 발생
발전산업 혁명 이후 공장 노동자들의 작업 노래 발전
다양한 사회 계층의 노동 환경 반영
종류농업 노동요: 모내기, 김매기, 추수 등
어업 노동요: 뱃노래, 그물 당기기 등
건설 노동요: 땅 다지기, 벽돌 쌓기 등
광업 노동요: 채굴, 운반 등
공장 노동요: 기계 작업, 조립 등
국가별 특징각 나라와 민족의 문화적 배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 존재
한국 노동요농업 노동요: 모심기 노래, 논매기 노래, 타작 노래 등
어업 노동요: 해녀 노래, 뱃노래 등
그 외: 길쌈 노래, 나무꾼 노래 등
음악적 특징
리듬단순하고 반복적인 리듬 패턴
가사작업 내용이나 삶의 애환을 담은 내용
형식선창과 후창 형식 (응창)
반주악기 연주 없이 구전으로 전해지는 경우가 많음
멜로디반복적이고 단순한 멜로디
사회적 기능
노동 효율성 증대리듬에 맞춰 작업 속도 증가
노동 고통 완화단조로운 작업 환경에서 즐거움을 줌
공동체 의식 강화함께 노래하며 단결력 향상
문화적 전승전통적인 가치와 생활 방식 전달
현대적 의미
산업화 시대노동요의 전통은 많이 사라졌으나, 노동가요 형태로 발전
현대 사회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문화유산으로 보호 노력
문화 예술현대 음악이나 공연 예술에 영감을 주기도 함

2. 노동요의 정의와 분류

노동요는 역사 기록만큼이나 오래되었으며, 인류학적 증거에 따르면 대부분의 농업 사회가 노동요를 가지는 경향이 있다.[3]

노동요를 정의할 때, 대부분의 현대 논평가들은 작업 중에 부르는 노래뿐만 아니라 작업에 관한 노래 또는 작업을 주제로 하는 노래를 포함하는데, 이 두 가지 범주는 종종 상호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1]

노동요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분류설명
가정 노동요가정에서의 노동과 관련된 노래
농업 또는 목축 노동요농업 또는 목축과 관련된 노래. 테드 지오이아(Ted Gioia)는 농업 및 목축 노래를 사냥 노래, 경작 노래, 목축 노래의 하위 범주로 나누었다.[3]
선상 노동요선원들이 부르는 작업 노래. 씨 샹티 참조.
아프리카계 미국인 노동요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노동과 관련된 노래
지시 노래와 낭송작업 지시나 낭송과 관련된 노래
거리의 외침거리에서 외치는 소리와 관련된 노래
산업 또는 초기 산업 노래직물 노동자( 월킹송(Waulking song) 참조), 공장 노동자, 선원, 부두 노동자, 정비공, 배관공, 전기 기사, 벌목꾼, 카우보이, 광부들의 노래.[3]
죄수 노래죄수들이 부르는 노래[3]
현대 노동요현대 사회의 노동과 관련된 노래[3]



위의 분류는 노동요를 분류하는 하나의 예이며, 분류하는 사람에 따라 조금씩 다른 범주 구분과 용어의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작업요에는 논매는 소리처럼 호흡을 맞추기 위한 구호로 불린 것과 특정 작업을 주제로 만들어진 것이 있다. 농업 등 여러 사람이 호흡을 맞출 필요가 없는 작업에서는 특정 작업을 주제로 만들어진 노래에 비해 호흡을 맞추기 위한 구호로 불린 노래의 수가 매우 적다. 또한, 실제 작업의 리듬과 음악의 리듬이 무관한 노래도 많다. 대부분의 작업요는 작업을 하면서 부르는 노래라기보다는, 작업 중간에 피로를 풀거나 노동의 기쁨을 되새기기 위한 노래라고 할 수 있다.

3. 노동요의 역사

노동요에 대한 기록은 역사 기록만큼이나 오래되었으며, 인류학적 증거는 대부분의 농업 사회가 노동요를 가지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한다.[3]

노동요는 작업 중에 부르는 노래뿐만 아니라 작업에 관한 노래 또는 작업을 주제로 하는 노래를 포함하는데, 이 두 가지 범주는 종종 상호 연결되어 있다.[1] 노름 코헨은 수집된 노동요를 가정 노동요, 농업 또는 목축 노동요, 선상 노동요, 아프리카계 미국인 노동요, 지시 노래와 낭송, 그리고 거리의 외침으로 분류했다.[2] 테드 지오이아(Ted Gioia)는 농업 및 목축 노래를 사냥 노래, 경작 노래, 목축 노래의 하위 범주로 나누고, 섬유 산업 노동자와 공장 노동자, 선원, 부두 노동자, 정비공, 배관공, 전기 기사, 벌목꾼, 카우보이, 광부들의 산업 또는 초기 산업 노래, 죄수 노래와 현대 노동요를 추가했다.[3]

씨 샹티는 18세기부터 20세기 사이 선원들이 삭구 조정이나 닻을 올리는 등 여러 사람이 리듬에 맞춰 함께 힘을 써야 하는 작업을 할 때 부르던 작업 노래이다. '주고받기' 형식을 취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19세기 이전 노 젓는 배에서도 바다 노래가 흔했다. 많은 문화권에서 노예를 이용해 노를 젓게 했기 때문에 이러한 노래 중 일부는 노예 노래로 간주될 수도 있다. 선원들이 즉흥적으로 부른 구절에는 열악한 작업 환경과 선장에 대한 불만이 담겨 있었다.

19세기에 서쪽으로 이동한 이민자들의 민요 전통이 서양 음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카우보이의 삶과 미국 서부 생활을 특징짓는 외로움지루함을 극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3] 이러한 노래들은 종종 기타, 바이올린, 콘서티나하모니카와 함께 연주되었다.[23] 19세기 카우보이 밴드가 발전했고, 20세기 초부터 카우보이 노래들이 수집되고 출판되기 시작했다.[22] 20세기 중반 카우보이들이 미화되면서 컨트리 음악의 발전에 기여했다.[23]

1930년대, 민속학자 앨런 로맥스(Alan Lomax)는 수감 중이던 리드 벨리(Lead Belly)를 녹음했다. 리드 벨리는 목화밭, 철도, 그리고 감옥 노역자들로부터 수백 곡의 노동요와 전통 노래를 알고 있었다. 1940년대 그는 대학 캠퍼스와 민속 음악 공연장을 순회하며 "망치를 가져가세요", "존 헨리", "보리 딱정벌레", "자정 특별" 등의 노래를 대중화했다. 그의 레퍼토리는 1950년대와 1960년대 민속 음악 부흥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40년대 후반에는 컨트리 가수 머틀 트래비스(Merle Travis)와 빌리 에드 휠러(Billy Edd Wheeler)가 작곡한 광산 노래들 또한 널리 불리게 되었다.

마르크스주의 이론과 실천에서 노동 계급은 찬양되었고, 미국과 다른 곳에서 노동가와 활동주의 사이의 강력한 연관성이 발전했다. "먼지 그릇 발라드 가수" 우디 거스리(Woody Guthrie)는 1940년대와 1950년대에 노동 관련 노래를 작곡하고 공연했다. 피트 시거(Pete Seeger)가 있는 위버스(the Weavers)는 1900년대 초 조 힐(활동가)(Joe Hill (activist))이 시작한 노동 조합 노래 운동을 계속했다. 브루스 스프링스틴(Bruce Springsteen)과 같은 노동 계급에 대한 경향이 있는 록 가수들도 이 장르의 영향을 받았다.[28]

영국에서는 이완 맥콜(Ewan MacColl)과 페기 시거(Peggy Seeger)가 산업 및 노동 조건을 언급하는 많은 노래를 작곡하며 수백 장의 정치적 및 전통적인 노래 앨범을 제작했다.[29] 호주에서는 양털깎기 노래와 가축몰이 노래가 1950년대 현장에서 수집된 최초의 전통 노래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다. 머브 릴리와 도로시 휴잇(Dorothy Hewett)은 1960년대 초 민속 음악 부흥 기간 동안 음악으로 편곡된 노동시를 썼다.[30] 미드나잇 오일(Midnight Oil)과 고아나(밴드)(Goanna (band))와 같은 얼터너티브 록 밴드는 이 전통을 더 넓은 청중에게 전달했다.

1970년대 민속 음악 붐의 종식과 함께 이 장르는 대중적 인기를 잃었지만, 노동가는 민속 음악계, 시위 집회, 그리고 노동 조합 합창단에서 지속적으로 큰 인기를 누렸다.

노동 운동의 노래나 노동자를 격려하는 노래는 노동 운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전전이나 전시에는 부르는 것과 방송이 금지되기도 했다. 미국의 노예 노래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노예들이 부른 최초의 노래였다. “워크 송”[31]블루스[32]재즈 등의 기원이 되었다고 여겨진다. 아프리카계 미국인 노래의 일반적인 특징은, 리더가 한두 개의 가사를 부르고 다른 사람들이 합창으로 화답하는 “콜 앤드 레스폰스” 형식이었다. 이것은 아프리카 농업 노동가의 전통에서 유래했으며, 흑인 영가[33]와 가스펠 음악 그리고 블루스에서 구원의 길을 찾았다.

우디 거스리, 피트 시거 등이 민요 부흥 운동에서 노동자 편에 선 산업 민요를 부활시켰다. 영국에서는 이완 매콜 등이 유사한 음악 운동을 펼쳤다. 후에 빌리 브래그, 브루스 스프링스틴 등도 노동자와 서민 편에 선 곡을 발표했다. 대표적인 곡들은 다음과 같다.

제목발표 년도작사작곡비고
인터내셔널1888년위제느 포티에피에르 드제이텔프랑스에서 만들어진 혁명가. 노동운동을 대표하는 노래. 소비에트 연방의 국가(1944년까지)로 채택.
바르샤바 노동가70년대 초까지의 학생운동 전성기에 불림.
메이데이 노래1922년오바 이사무일본 제국 육군 도야마학교 군악대 대장 나가이 켄코군가 「소난공」이 원곡.
붉은 깃발의 노래짐 코넬독일 민요 (전나무)찬송가로 불리던 「전나무」에 가사를 붙임.
がんばろう1960년모리타 야에코아라키 에이미이케 투쟁에서 만들어짐.
탄광을 파는 동료1956년미이케 노동조합고바야시 히데오미이케 노동조합의 조합가.
불꽃 투혼1958년아라키 에이아라키 에이홋카이도의 탄광 노동자들로부터 시작.
우리들은 태양1962년몬쿠라 사토시아라키 에이
우리들의 실크로드1981년아라이 요시오타카다 류지1987년 국철 분할 민영화를 앞두고 제작.


3. 1. 고대 및 전통 사회의 노동요

기계적인 시간 측정이 없던 사회에서는 공동 작업을 위해 공동체 구성원들을 소집하는 노래, 즉 동원 노래가 매우 중요했다.[4] 사냥과 가축 사육은 주로 소년과 청년들로 구성된 소규모 집단이나 개인이 정착지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오랜 시간 일하는 경향이 있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활동들은 종종 혼자 부르는 긴 서사시적 노래를 만들어냈는데, 이 노래들은 지루한 작업 시간을 보내기 위해 목가적인 활동이나 동물을 주제로 다루곤 했다.[4]

엠부티족의 사냥 노래와 같이, 사냥 노래는 종종 독특한 휘파람과 요들을 포함하여 사냥꾼들이 서로의 위치와 사냥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4] 대부분의 농업 노동요는 리듬감 있는 아카펠라 노래로, 생산성을 높이고 지루함을 줄이기 위해 불렀다.[4] 아프리카 북소리와 비슷한 노동요의 리듬은 집단의 육체적 움직임을 동기화하여 파종, 괭이질, 수확 작업을 조율하는 데 사용되었다.[4] 노동요의 가사는 때때로 즉흥적으로 만들어져 매번 다르게 불렸다. 즉흥적인 가사는 노래하는 사람들에게 반항적인 표현의 수단을 제공했다. 노예들은 즉흥적인 가사를 통해 감독관을 조롱하고, 좌절감을 표출하고, 탈출에 대한 꿈을 공유했다. 많은 노동요는 노동자들 간의 유대감과 친밀감을 형성하는 역할을 했다.

양키 두들(Yankee Doodle)은 수확 노래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지며, 그 가사는 15세기 네덜란드 농부들로부터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 노래에는 대부분의 의미 없는 말들이 들어 있는데, 아마도 비슷한, 또는 동일한 곡조로 불렀을 것이다. "Yanker, didel, doodle down, Diddle, dudel, lanther, Yanke viver, voover vown, ''Botermilk'' und ''tanther''." 당시 네덜란드 농업 노동자들은 임금으로 "마실 수 있는 만큼의 버터밀크(''Botermilk'')와 곡식의 10분의 1(''tanther'')"을 받았다.[5][6][7]

3. 2.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노동요

아프리카계 미국인 노동요는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 노예 제도 시대에 처음 등장했다. 거의 전적으로 구전 문화의 일부였기 때문에 고정된 형태가 없었고, 1865년 이후 노예 제도가 종식된 이후에야 기록되기 시작했다. 미국 노예들의 노래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노예 노래"를 최초로 수록한 작품이다. 이 책은 1867년 윌리엄 프랜시스 앨런, 찰스 피커드 웨어, 그리고 루시 맥킴 개리슨에 의해 출판되었다.[8] 이 책에는 노예들이 부른 많은 노래가 포함되어 있지만, 노동요를 포함하는 다른 책들도 출판되었다. 노예들이 부른 많은 노래는 아프리카의 노래 전통에서 유래한 것으로, 아프리카인들이 고향을 생각나게 하는 노래였을 수도 있고, 노예 소유주들이 사기를 높이고 아프리카인들이 리듬에 맞춰 일하도록 하기 위해 도입한 노래였을 수도 있다.[9] 또한 고난을 견디고 창의성이나 은밀한 언어적 저항을 통해 분노와 좌절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여겨지기도 했다.[10] 마찬가지로 노동요는 반항과 저항의 한 형태로 사용되었다.[11] 특히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 노동요는 특별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저항과 자기 돌봄에 중점을 둔다.[12] 노동요는 노예로 살았던 사람들의 삶의 경험을 그들의 공동체와 가족에게 전달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12]

아프리카계 미국인 노래의 공통적인 특징은 ''주고받기'' 형식으로, 한 사람이 한 소절 또는 여러 소절을 부르면 다른 사람들이 후렴으로 화답하는 방식이다. 이것은 아프리카의 농업 노동요 전통에서 유래하여, 속박된 아프리카인들이 기독교로 개종하기 시작하면서 발전한 영적 노래와 그곳에서 가스펠 음악과 블루스로 이어졌다. 주고받기 형식은 노동요가 대화를 어떻게 촉진하는지 보여준다. 대화의 중요성은 많은 아프리카계 미국인 전통에서 조명되고 오늘날까지도 계속되고 있다.[12] 아프리카의 주고받기 전통에 특유한 것은 주고받기의 중첩이다.[13] 선창자의 부분이 응답과 겹쳐 독특한 협업적인 사운드를 만들어낸다. 마찬가지로 아프리카계 미국인 민요와 전통 음악은 화성을 가진 멜로디보다는 다성음악에 중점을 둔다.[13] 종종 같은 노래에서 여러 리듬 패턴이 사용되어 "리듬의 대위법"을 생성한다.[13] 다성음악에 대한 초점은 즉흥 연주를 가능하게 하는데, 이것은 아프리카계 미국인 노동요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13] 틸포드 브룩스 학자는 "즉흥 연주는 흑인 민요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특히 주고받기 패턴을 사용하는 노래에서 필수적인 요소입니다"라고 썼다.[13] 브룩스는 또한 노동요에서 "선창자는 [자신의] 선창에서 멜로디를 즉흥적으로 연주할 수 있는 반면, 응답은 일반적으로 기본 멜로디 라인을 변경 없이 반복합니다"라고 지적했다.[13] 또한 밭에서의 외침, 외침, 신음소리도 있었는데, 이것은 원래 다른 무리나 개인이 서로의 위치를 찾기 위해 고안된 것일 수도 있고, 민담과 민속 모티프를 사용하는 이야기 노래로, 종종 집에서 만든 악기를 사용했다.[14] 초기 아프리카 포로 시대에는 북이 리듬을 제공하는 데 사용되었지만, 아프리카인들이 반란을 일으키기 위해 북을 사용할 것이라는 우려 때문에 후년에는 금지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프리카인들은 다른 악기나 자신의 몸을 사용하여 타악기와 타악기 소리를 만들어냈다.[15] 1950년대에는 목화 따기에 관련된 노동요의 예가 매우 적다.[16]

그러나 옥수수는 전형적인 농장에서 노동요의 매우 일반적인 주제였다. 수확 여부에 관계없이 종종 옥수수에 대해 노래했다. 남부의 공동체들은 종종 "옥수수 껍질 벗기기 축제"를 열었는데, 이때 농장주들의 전체 공동체가 한 농장에 모였다. 농장주들은 수확물과 노예 노동자들을 데려왔고, 옥수수 껍질 벗기기, 통나무 굴리기, 벼 타작과 같은 작업은 아프리카인들이 일하면서 노래를 부르면서 진행되었다. 다음은 이러한 축제에 접근하면서 아프리카인들이 부르던 노래의 한 예이다. 이것은 해방된 아프리카인 윌리엄 웰스 브라운의 회고록 "나의 남부의 고향"에서 나온 것이다.

노동요는 1960년대에 현대 기계가 사용 가능해지기 전에 미국 남부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철도 작업반에 의해 사용되었다. 앨라배마 전통 문화 센터의 앤 킴지(Anne Kimzey)는 다음과 같이 썼다. "전 흑인 갠디 댄서들은 노래와 구호를 특정 작업을 수행하고 감독관과 다른 사람들이 이해하지 못하도록 서로에게 암호화된 메시지를 보내는 도구로 사용했습니다. 선창자 또는 부르는 사람은 예를 들어 레일을 특정 위치로 재정렬하기 위해 자신의 팀에게 노래했습니다. 그의 목적은 작업을 수행하면서 육체적, 정서적으로 팀을 고양시키는 것이었습니다. 맡은 작업과 사람들의 분위기에 맞는 적절한 노래를 부르는 숙련되고 민감한 부르는 사람이 필요했습니다. 블루스의 전형적인 음조 경계와 멜로디 스타일을 사용하여 각 부르는 사람은 자신만의 특징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을 움직이는 부르는 사람의 효과는 설교자가 교회 신도들을 움직이는 방식에 비유되었습니다."[18]

또 다른 일반적인 유형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노동요는 "배 노래"였다. 노 젓는 일을 하는 노예들이 부른 이러한 유형의 노동요는 "슬프고 우울한 노래"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노래가 침울했던 것은 곡물 수확 작업보다 노 젓는 작업이 더 힘들었기 때문이 아닙니다. 오히려 노 젓는 데 필요한 느리고 꾸준한 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침울했다. 이런 식으로 노동요는 아프리카 전통을 따르면서 적절한 노래가 수반되는 활동의 중요성을 강조했다.[19]

역사가 실비안 디우프와 민족음악학자 게르하르트 쿠빅은 이슬람 음악을 밭에서의 외침 음악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한다.[20][21] 디우프는 이슬람 기도의 부름(7세기 초 유명한 아비시니아 아프리카 무슬림인 빌랄 이븐 라바에서 유래)과 19세기 밭에서의 외침 음악 사이의 놀라운 유사성을 지적하면서, 두 가지 모두 신을 찬양하는 비슷한 가사, 멜로디, 음표 변화, 성대에서 "떨리고 흔들리는 것처럼 보이는 단어", 음계의 극적인 변화, 그리고 코맹맹이 소리 음높이를 가지고 있다고 지적한다. 그녀는 아메리카의 아프리카 노예의 약 30%를 차지했던 아프리카 무슬림 노예에게 밭에서의 외침 음악의 기원을 돌린다. 쿠빅에 따르면, "멜리스마, 물결치는 음높이 등을 사용하는 많은 블루스 가수의 보컬 스타일은 7세기와 8세기 이후로 마그레브아랍-이슬람 세계와 접촉해 온 서아프리카의 광대한 지역의 유산입니다."[20][21] 마그레브와 사헬의 음악 전통 사이에 특히 중요한 사하라 사막을 넘나드는 교류가 있었다.[21]

3. 3. 산업 혁명과 산업 민요

산업 민요는 18세기 영국에서 노동자들이 발라드와 농업 노동요 등 익숙한 음악 형태를 차용하여 새로운 경험과 환경에 맞게 변형시키면서 등장했다.[24] 농업 노동요와 달리, 물, 증기, 화학, 그리고 전력에 의해 작업 속도가 점점 더 결정되고 초기 산업의 소음으로 인해 노동자들 간의 행동을 동기화하기 위해 음악을 사용할 필요가 거의 없었다.[25]

그 결과, 산업 민요는 작업, 환경 또는 정치적 성격을 묘사하는 경향이 있어 초기 항의 노래 중 하나가 되었으며, 작업 중이 아닌 작업 교대 시간이나 여가 시간에 불렸다. 이러한 패턴은 섬유 생산, 광업, 그리고 결국 제철, 조선, 철도 작업 및 기타 산업에서 볼 수 있다. 다른 국가들이 산업화됨에 따라 민요는 프랑스에서 볼 수 있듯이 유사한 변화 과정을 거쳤다. 생시몽은 19세기 초 직물 노동자들 사이에서 '산업 노래(Chansons Industriale)'의 등장을 언급했으며, 미국에서는 남북 전쟁 이후 산업화가 급속도로 확장되었다.[26]

A.L. 로이드는 산업 노동요를 "노동자 자신이 직접 자신의 경험에서 만들어낸, 자신의 관심과 열망을 표현하는 일종의 구어체 노래"로 정의했다.[24] 로이드는 또한 노동가, 사랑과 에로틱한 직업 노래, 그리고 재난의 이야기(특히 광부들 사이에서), 환경에 대한 애가, 공공연한 정치적 파업 발라드를 포함한 다양한 유형의 노래를 지적했다.[24] 그는 또한 '큰 석탄 채굴자(Big Hewer)' 또는 '큰 아이작(Big Isaac)' 루이스와 같이 산업 노동의 영웅적이고 신화적인 인물에 관한 노래의 존재를 언급했다.[24]

이러한 경향은 초기 미국 산업 노래에서 더욱 두드러졌는데, 19세기 블루스 발라드에서 케이시 존스와 존 헨리와 같은 대표적인 영웅들이 찬사를 받았다.[27]

전전이나 전시에는 노동 운동의 노래나 노동자를 격려하는 노래를 부르는 것과 방송이 금지되기도 했다.

우디 거스리, 피트 시거 등이 민요 부흥 운동에서 노동자 편에 선 산업 민요를 부활시켰다. 영국에서는 이완 매콜 등이 유사한 음악 운동을 펼쳤다. 후에 빌리 브래그, 브루스 스프링스틴 등도 노동자와 서민 편에 선 곡을 발표했다.

대표적인 곡은 다음과 같다.

  • 인터내셔널
  • 바르샤바 노동가
  • 메이데이 노래
  • 붉은 깃발의 노래

3. 4. 한국의 노동요

제시된 원본 소스에는 한국의 노동요에 대한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 섹션에 작성할 내용은 없습니다.

4. 노동요의 사회적 기능

노동요는 단순한 노래를 넘어, 사회적으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했다. 노동요에 대한 기록은 역사 기록만큼이나 오래되었으며, 인류학적 증거에 따르면 대부분의 농업 사회가 노동요를 가지는 경향이 있었다.[3]

현대에는 노동요를 정의할 때 작업 중에 부르는 노래뿐만 아니라, 작업에 관한 노래 또는 작업을 주제로 하는 노래를 포함한다. 이 두 가지 범주는 종종 상호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1]

노름 코헨(Norm Cohen)은 수집된 노동요를 다음과 같은 범주로 나누었다.[2]

구분내용
가정 노동요가정에서 하는 노동과 관련된 노래
농업 또는 목축 노동요농사나 가축을 기르는 일과 관련된 노래
선상 노동요배에서 하는 노동과 관련된 노래
아프리카계 미국인 노동요노예 제도 시대에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부르던 노래
지시 노래와 낭송작업을 지시하거나 특정한 내용을 읊는 노래
거리의 외침거리에서 물건을 팔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며 부르는 노래



테드 지오이아(Ted Gioia)는 농업 및 목축 노래를 사냥 노래, 경작 노래, 목축 노래의 하위 범주로 나누고, 여기에 직물 노동자, 공장 노동자, 선원, 부두 노동자, 정비공, 배관공, 전기 기사, 벌목꾼, 카우보이, 광부들의 산업 또는 초기 산업 노래를 추가했다. 그는 또한 죄수 노래와 현대 노동요를 포함했다.[3]

아프리카계 미국인 노동요는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 노예 제도 시대에 처음 등장했다. 거의 전적으로 구전 문화의 일부였기 때문에 고정된 형태가 없었고, 1865년 노예 제도가 종식된 이후에야 기록되기 시작했다. 미국 노예들의 노래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노예 노래"를 최초로 수록한 작품으로, 1867년에 출판되었다.[8] 노예들이 부른 많은 노래는 아프리카의 노래 전통에서 유래한 것으로, 고향을 생각나게 하거나, 노예 소유주들이 사기를 높이고 리듬에 맞춰 일하도록 하기 위해 도입한 노래였을 수 있다.[9] 또한 고난을 견디고 창의성이나 은밀한 언어적 저항을 통해 분노와 좌절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여겨지기도 했다.[10]

아프리카계 미국인 노래의 공통적인 특징은 ''주고받기'' 형식으로, 한 사람이 한 소절 또는 여러 소절을 부르면 다른 사람들이 후렴으로 화답하는 방식이다. 이것은 아프리카의 농업 노동요 전통에서 유래하여 영적 노래와 가스펠 음악, 블루스로 이어졌다. 주고받기 형식은 노동요가 대화를 어떻게 촉진하는지 보여주며, 대화의 중요성은 많은 아프리카계 미국인 전통에서 강조되고 오늘날까지도 이어지고 있다.[12] 아프리카의 주고받기 전통에 특유한 것은 주고받기의 중첩이다.[13] 선창자의 부분이 응답과 겹쳐 독특한 협업적인 사운드를 만들어낸다. 또한 아프리카계 미국인 민요와 전통 음악은 화성을 가진 멜로디보다는 다성음악에 중점을 둔다.[13] 종종 같은 노래에서 여러 리듬 패턴이 사용되어 "리듬의 대위법"을 생성하며, 즉흥 연주를 가능하게 한다.[13]

밭에서의 외침은 다른 무리나 개인이 서로의 위치를 찾기 위해 고안된 것일 수도 있고, 민담과 민속 모티프를 사용하는 이야기 노래로, 종종 집에서 만든 악기를 사용했다.[14] 초기 아프리카 포로 시대에는 북이 리듬을 제공하는 데 사용되었지만, 아프리카인들이 반란을 일으키기 위해 북을 사용할 것이라는 우려 때문에 후년에는 금지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프리카인들은 다른 악기나 자신의 몸을 사용하여 타악기와 타악기 소리를 만들어냈다.[15] 1950년대에는 목화 따기에 관련된 노동요의 예가 매우 적다.[16]

옥수수는 전형적인 농장에서 노동요의 매우 일반적인 주제였다. 남부의 공동체들은 종종 "옥수수 껍질 벗기기 축제"를 열었는데, 이때 농장주들의 전체 공동체가 한 농장에 모여 옥수수 껍질 벗기기, 통나무 굴리기, 벼 타작과 같은 작업을 하며 노래를 불렀다.

1960년대에 현대 기계가 사용 가능해지기 전, 미국 남부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철도 작업반은 노래와 구호를 특정 작업을 수행하고 감독관과 다른 사람들이 이해하지 못하도록 서로에게 암호화된 메시지를 보내는 도구로 사용했다.[18]

또 다른 일반적인 유형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노동요는 "배 노래"였다. 노 젓는 일을 하는 노예들이 부른 이러한 유형의 노동요는 "슬프고 우울한 노래"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노래가 침울했던 것은 노 젓는 데 필요한 느리고 꾸준한 속도를 유지하기 위해서였다.[19]

역사가 실비안 디우프와 민족음악학자 게르하르트 쿠빅은 이슬람 음악을 밭에서의 외침 음악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한다.[20][21]

작업요에는 논매는 소리처럼 호흡을 맞추기 위한 구호로 불린 것과 특정 작업을 주제로 만들어진 것이 있다. 농업 등 여러 사람이 호흡을 맞출 필요가 없는 작업에서는 실제 작업의 리듬과 음악의 리듬이 무관한 노래도 많다. 대부분의 작업요는 작업 중간에 피로를 풀거나 노동의 기쁨을 되새기기 위한 노래라고 할 수 있다. 노동 운동의 노래나 노동자를 격려하는 노래는 노동 운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전전이나 전시에는 부르는 것과 방송이 금지된 노래도 있다.

4. 1. 노동 생산성 향상

대부분의 농업 노동요는 리듬감 있는 아카펠라 노래로, 생산성을 높이고 지루함을 줄이기 위해 불렀다.[4] 아프리카 북소리와 비슷한 노동요의 리듬은 집단의 육체적 움직임을 동기화하여 파종, 괭이질, 수확 작업을 조율하는 데 사용되었다.[4] 노동요의 가사는 때때로 즉흥적으로 만들어져 매번 다르게 불렸다. 즉흥적인 가사는 노래하는 사람들에게 반항적인 표현의 수단을 제공했다. 노예들은 즉흥적인 가사를 통해 감독관을 조롱하고, 좌절감을 표출하고, 탈출에 대한 꿈을 공유했다. 많은 노동요는 노동자들 간의 유대감과 친밀감을 형성하는 역할을 했다.

작업요에는

  • 논매는 소리처럼 호흡을 맞추기 위한 구호로 불린 것
  • 특정 작업을 주제로 만들어진 것


이 있다. 농업 등 여러 사람이 호흡을 맞출 필요가 없는 작업에서는 두 번째에 비해 첫 번째의 수가 매우 적다. 또한, 실제 작업의 리듬과 음악의 리듬이 무관한 노래도 많다. 대부분의 작업요는 작업을 하면서 부르는 노래라기보다는, 작업 중간에 피로를 풀거나 노동의 기쁨을 되새기기 위한 노래라고 할 수 있다.

4. 2. 노동의 고통 경감

기계적인 시간 측정이 없던 사회에서는 공동 작업을 위해 공동체 구성원들을 소집하는 노래, 즉 동원 노래가 매우 중요했다.[4] 농업 노동요는 대부분 리듬감 있는 아카펠라 노래로, 생산성을 높이고 지루함을 줄이기 위해 불렀다.[4] 아프리카 북소리와 비슷한 노동요의 리듬은 집단의 육체적 움직임을 동기화하여 파종, 괭이질, 수확 작업을 조율하는 데 사용되었다.[4]

노동요의 가사는 때때로 즉흥적으로 만들어져 매번 다르게 불렸다. 즉흥적인 가사는 노래하는 사람들에게 반항적인 표현의 수단을 제공했다. 노예들은 즉흥적인 가사를 통해 감독관을 조롱하고, 좌절감을 표출하고, 탈출에 대한 꿈을 공유했다. 많은 노동요는 노동자들 간의 유대감과 친밀감을 형성하는 역할을 했다.

양키 두들은 수확 노래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지며, 그 가사는 15세기 네덜란드 농부들로부터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 당시 네덜란드 농업 노동자들은 임금으로 "마실 수 있는 만큼의 버터밀크(Botermilknl)와 곡식의 10분의 1(tanthernl)"을 받았다.[5][6][7]

4. 3. 연대 의식 강화 및 저항

대부분의 농업 노동요는 리듬감 있는 아카펠라 노래로, 생산성을 높이고 지루함을 줄이기 위해 불렀다.[4] 아프리카 북소리와 비슷한 노동요의 리듬은 집단의 육체적 움직임을 동기화하여 파종, 괭이질, 수확 작업을 조율하는 데 사용되었다.[4] 노동요의 가사는 때때로 즉흥적으로 만들어져 매번 다르게 불렸다. 즉흥적인 가사는 노래하는 사람들에게 반항적인 표현의 수단을 제공했다. 노예들은 즉흥적인 가사를 통해 감독관을 조롱하고, 좌절감을 표출하고, 탈출에 대한 꿈을 공유했다. 많은 노동요는 노동자들 간의 유대감과 친밀감을 형성하는 역할을 했다.

노동요는 반항과 저항의 한 형태로 사용되었다.[11] 특히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 노동요는 특별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저항과 자기 돌봄에 중점을 둔다.[12] 노동요는 노예로 살았던 사람들의 삶의 경험을 그들의 공동체와 가족에게 전달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12]

5. 현대의 노동요

현대에도 노동요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그 의미와 역할은 시대에 따라 변화해왔다.

18세기부터 20세기 사이에 선원들이 부른 작업 노래는 씨 샹티라고 불렸다. 이 노래들은 삭구를 조정하거나 닻을 올리는 등 여러 사람이 리듬에 맞춰 함께 힘을 써야 하는 작업을 할 때 불렀다.[23] 19세기 이전 노 젓는 배에서 불린 바다 노래도 노 젓는 사람들의 리듬을 맞추기 위해 매우 리드미컬했다.

19세기 미국 서부로 이동한 이민자들의 민요 전통은 서양 음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 음악들은 목장과 농장의 현실을 반영했으며, 카우보이의 삶과 미국 서부 생활을 특징짓는 외로움지루함을 극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3] 기타, 바이올린 등의 휴대용 악기와 함께 연주되었다.[23] 19세기 카우보이 밴드가 발전했고, 20세기 초부터 카우보이 노래들이 수집되고 출판되기 시작했다.[22] 20세기 중반 카우보이들이 미화되면서 컨트리 음악 발전에 기여했다.[23]

산업 민요는 18세기 영국에서 노동자들이 발라드와 농업 노동요 등 자신에게 익숙한 음악 형태를 차용하여 새로운 경험과 환경에 맞게 변형시키면서 등장했다.[24] 농업 노동요와 달리, 산업 노동요는 노동자들 간의 행동을 동기화하기 위해 음악을 사용할 필요가 거의 없었다.[25] 그 결과, 산업 민요는 작업, 환경 또는 정치적 성격을 묘사하는 경향이 있어 초기 항의 노래 중 하나가 되었으며, 작업 중이 아닌 작업 교대 시간이나 여가 시간에 불렸다.

A.L. 로이드는 산업 노동요를 "노동자 자신이 직접 자신의 경험에서 만들어낸, 자신의 관심과 열망을 표현하는 일종의 구어체 노래"로 정의했다.[24]

이러한 경향은 초기 미국 산업 노래에서 더욱 두드러졌는데, 19세기 블루스 발라드에서 케이시 존스와 존 헨리와 같은 대표적인 영웅들이 찬사를 받았다.[27]

우디 거스리, 피트 시거 등은 민요 부흥 운동에서 노동자 편에 선 산업 민요를 부활시켰다. 영국에서는 이완 맥콜 등이 유사한 음악 운동을 펼쳤다. 후에 빌리 브래그, 브루스 스프링스틴 등도 노동자와 서민 편에 선 곡을 발표했다.

1970년대 민속 음악 붐의 종식과 함께 이 장르는 대중적 인기를 잃었지만, 노동가는 민속 음악계, 시위 집회, 노동 조합 합창단에서 지속적으로 큰 인기를 누렸다.

스코틀랜드의 워킹송은 여성들이 공동으로 천을 두들겨 펠트화하는 과정에서 불렀던 전통적인 장르이다.

현대에는 돌리 파튼의 "Nine to Five"(팝 컨트리), 셰어의 "Working Girl"(직장 여성), 도나 서머의 "She Works Hard for the Money"(디스코/테크노, 매춘 언급) 등 여성들의 작업 노래가 만들어졌다.

5. 1. 민중가요와 노동 운동

1930년대 민속학자 앨런 로맥스(Alan Lomax)는 리드 벨리(Lead Belly)](Huddie Ledbetter)]를 녹음했는데, 리드 벨리는 목화밭, 철도, 감옥 노역자들로부터 수백 곡의 노동요와 전통 노래를 알고 있었다. 1940년대 그는 대학 캠퍼스와 민속 음악 공연장을 널리 순회하며 "망치를 가져가세요(Take This Hammer)", "존 헨리(John Henry)", "보리 딱정벌레(Boll Weevil)", "자정 특별(Midnight Special)" 등의 노래를 대중화했고, 그의 레퍼토리는 1950년대와 1960년대 민속 음악 부흥에 큰 영향을 미쳤다.[28] 1940년대 후반에는 컨트리 가수

5. 2. 다양한 장르의 노동요

18세기부터 20세기 사이에 선원들이 부른 작업 노래는 씨 샹티라고 불렸다. 이 노래들은 삭구를 조정하거나 닻을 올리는 등 여러 사람이 리듬에 맞춰 함께 힘을 써야 하는 작업을 할 때 불렀다. 매우 강한 리듬을 가지고 있으며, '주고받기' 형식을 취하는 경우가 많았다.[23] 19세기 이전 노 젓는 배에서 불린 바다 노래도 노 젓는 사람들의 리듬을 맞추기 위해 매우 리드미컬했다. 많은 문화권에서 노예를 이용해 노를 젓게 했기 때문에 이러한 노래 중 일부는 노예 노래로 간주될 수도 있었다. 선원들이 즉흥적으로 부른 구절에는 열악한 작업 환경과 선장에 대한 불만이 담겨 있었다.

19세기 미국 서부로 이동한 이민자들의 민요 전통은 서양 음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 음악들은 목장과 농장의 현실을 반영했으며, 카우보이의 삶과 미국 서부 생활을 특징짓는 외로움지루함을 극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3] 기타, 바이올린 등의 휴대용 악기와 함께 연주되었다.[23] 19세기 카우보이 밴드가 발전했고, 20세기 초부터 카우보이 노래들이 수집되고 출판되기 시작했다.[22] 20세기 중반 카우보이들이 미화되면서 컨트리 음악 발전에 기여했다.[23]

산업 민요는 18세기 영국에서 노동자들이 발라드와 농업 노동요 등 자신에게 익숙한 음악 형태를 차용하여 새로운 경험과 환경에 맞게 변형시키면서 등장했다.[24] 농업 노동요와 달리, 산업 노동요는 노동자들 간의 행동을 동기화하기 위해 음악을 사용할 필요가 거의 없었다.[25] 그 결과, 산업 민요는 작업, 환경 또는 정치적 성격을 묘사하는 경향이 있어 초기 항의 노래 중 하나가 되었으며, 작업 중이 아닌 작업 교대 시간이나 여가 시간에 불렸다. 이러한 패턴은 섬유 생산, 광업, 그리고 결국 제철, 조선, 철도 작업 및 기타 산업에서 볼 수 있었다. 다른 국가들이 산업화됨에 따라 민요는 프랑스에서 볼 수 있듯이 유사한 변화 과정을 거쳤다.[26]

A.L. 로이드는 산업 노동요를 "노동자 자신이 직접 자신의 경험에서 만들어낸, 자신의 관심과 열망을 표현하는 일종의 구어체 노래"로 정의했다.[24] 로이드는 또한 노동가, 사랑과 에로틱한 직업 노래, 그리고 재난 이야기, 환경에 대한 애가, 공공연한 정치적 파업 발라드를 포함한 다양한 유형의 노래를 지적했다.[24]

이러한 경향은 초기 미국 산업 노래에서 더욱 두드러졌는데, 19세기 블루스 발라드에서 케이시 존스와 존 헨리와 같은 대표적인 영웅들이 찬사를 받았다.[27] 1930년대, 민속학자 앨런 로맥스는 리드 벨리를 녹음했다. 리드 벨리는 목화밭, 철도, 감옥 노역자들로부터 수백 곡의 노동요와 전통 노래를 알고 있었다. 1940년대 그는 대학 캠퍼스와 민속 음악 공연장을 널리 순회하며 그의 노래를 대중화했고 그의 레퍼토리는 1950년대와 1960년대 민속 음악 부흥에 큰 영향을 미쳤다.

마르크스주의 이론과 실천에서 노동 계급은 찬양되었고, 미국과 다른 곳에서 노동가와 활동주의 사이의 강력한 연관성이 발전했다. 우디 거스리는 1940년대와 1950년대에 노동 관련 노래를 작곡하고 공연했다. 거스리와 피트 시거가 있는 위버스는 1900년대 초 조 힐이 시작한 노동 조합 노래 운동을 계속했다. 브루스 스프링스틴과 같은 노동 계급에 대한 경향이 있는 록 가수들도 이 장르의 영향을 받았다.[28]

영국에서는 이완 맥콜과 페기 시거가 산업 및 노동 조건을 언급하는 많은 노래를 작곡했다.[29] 스틸아이 스팬, 페어포트 컨벤션을 포함한 민속 또는 포크록 공연자들은 공연에서 노동가를 선보였다.

호주에서는 양털깎기 노래와 가축몰이 노래가 1950년대 현장에서 수집된 최초의 전통 노래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다. 미드나잇 오일과 고아나와 같은 얼터너티브 록 밴드는 이 전통을 더 넓은 청중에게 전달했다.

1970년대 민속 음악 붐의 종식과 함께 이 장르는 대중적 인기를 잃었지만, 노동가는 민속 음악계, 시위 집회, 노동 조합 합창단에서 지속적으로 큰 인기를 누렸다.

스코틀랜드의 워킹송은 여성들이 공동으로 천을 두들겨 펠트화하는 과정에서 불렀던 전통적인 장르이다.

현대 장르에서도 여성들의 작업 노래가 만들어졌다. 돌리 파튼의 "Nine to Five"는 팝 컨트리이고, 셰어의 "Working Girl" 역시 직장 여성들의 노래이다. 도나 서머의 "She Works Hard for the Money"는 디스코/테크노이며, 매춘을 언급한다.

작업요에는

# 논매는 소리처럼 호흡을 맞추기 위한 구호로 불린 것

# 특정 작업을 주제로 만들어진 것

이 있다. 농업 등 여러 사람이 호흡을 맞출 필요가 없는 작업에서는 2에 비해 1의 수가 매우 적다. 또한, 실제 작업의 리듬과 음악의 리듬이 무관한 노래도 많다. 대부분의 작업요는 작업을 하면서 부르는 노래라기보다는, 작업 중간에 피로를 풀거나 노동의 기쁨을 되새기기 위한 노래라고 할 수 있다.

노동 운동의 노래나 노동자를 격려하는 노래를 노동요라고도 한다. 노동 운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전시에는 부르는 것과 방송이 금지된 노래도 있다.

학생운동이나 시민운동 등을 고무하거나, 부르는 노래를 말한다.

  • 「싸움 속에서」
  • : 1952년에 일어난 메이데이 사건에서 경찰관에게 권총으로 쏘여 사망한 다카하시 마사오의 메모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노래.
  • 「오키나와를 돌려줘」
  • : 오키나와 반환 운동의 상징적인 노래. 1960년대 학생운동 등에서도 자주 불렸다. 현재도 헤노코 신기지 건설 반대 운동에서 불리고 있다.
  • 「반대 동맹의 노래」
  • : 나리타 국제공항 건설 반대 운동의 핵심적인 역할을 한 「미사토쿠 시바야마 연합공항반대동맹」의 노래.

6. 한국의 노동요 (특별 문단)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다양한 노동요가 불려왔다. 일본의 노동요 중 일부가 한국에 소개되기도 했다. 소란절(ソーラン節)은 일본의 어업 노동요로 한국 어민들 사이에서도 알려져 있다.

6. 1. 민주화 이후의 노동요

がんばろう일본어 (1960년, 작사: 森田ヤエ子|모리타 야에코일본어, 작곡: 荒木栄|아라키 에이일본어)

  • : 미이케 투쟁에서 만들어진 노래이다. 그때까지의 노동가 = 남성 노동자라는 이미지를 바꾸었다.[10]

炭掘る仲間|탄광을 파는 동료일본어 (1956년, 작사: 미이케 노동조합, 작곡: 小林秀雄 (作曲家)|고바야시 히데오일본어)

  • : 탄광 노동에서 동료와의 단결을 노래했다. 미이케 노동조합의 조합가이기도 하다.[11]

もゆる火の玉|불꽃 투혼일본어 (1958년, 작사·작곡: 아라키 에이)

  • : 이것도 미이케 투쟁으로 오인되기 쉽지만, 원래는 홋카이도의 탄광 노동자들로부터 시작되었다. 가사를 반복하는 단순한 곡이다.[12]

俺たちは太陽|우리들은 태양일본어 (1962년, 작사: 門倉さとし|몬쿠라 사토시일본어, 작곡: 아라키 에이)

  • : 노동자의 강인함과 희망을 노래하고 있다.[13]

俺たちのシルクロード|우리들의 실크로드일본어 (1981년, 작사: 아라이 요시오, 작곡: 타카다 류지)

  • : 1987년 국철 분할 민영화를 앞두고 제작되었다. 현재도 노동자 집회나 노래 모임 등에서 자주 불린다.[14]

참조

[1] 서적 Work Songs Duke University Press
[2] 서적 Worksongs: a demonstration of examples Indiana University Press
[3] 서적 Work Songs Duke University Press
[4] 서적 African Folklore: An Encyclopedia Taylor & Francis
[5] 서적 Immortal Songs of Camp and Field: The Story of Their Inspiration, Together with Striking Anecdotes Connected with Their History https://archive.org/[...] Burrows Brothers Company
[6] 뉴스 Yankee Doodle Dandy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7] 서적 University Musical Encyclopedia: A history of music
[8] 서적 Ride Out the Wilderness: Geography and Identity in Afro-American Literatur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9] 서적 The power of Black music: interpreting its history from Africa to the United States Oxford University Press US
[10] 서적 The Antebellum Period Greenwood
[11] 간행물 Rosy, Possum, Morning Star: African American Women's Work and Play Songs
[12] 서적 Black Feminist Thought: Knowledge, Consciousness, and the Politics of Empowerment Routledge
[13] 서적 America's Black Musical Heritage Prentice-Hall, Inc.
[14] 서적 Work Songs Duke University Press
[15] 웹사이트 PBS site on the history of jazz https://www.pbs.org/[...]
[16] 서적 Work Songs Duke University Press
[17]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Music Flame Tree Publishing
[18] 웹사이트 http://www.arts.stat[...]
[19] 서적 The Music of Black Americans: A History https://archive.org/[...] Norton & Company, Inc.
[20] 뉴스 Muslim Roots of the Blues http://sfgate.com/cg[...] San Francisco Chronicle 2005-08-24
[21] 서적 Routledge Handbook of Islam in the Wes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2] 서적 Cowboy Songs and Other Frontier Ballads BiblioBazaar, LLC
[23] 서적 All Music Guide to Country: The Definitive Guide to Country Music Backbeat Books
[24] 서적 Folk song in England Lawrence and Wishart
[25] 서적 Continuum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vol. 1: Media, Industry and Society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26] 서적 Peasants into Frenchmen: the modernization of rural France, 1870-1914 & Folk nation: folklore in the creation of American tradi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 Rowman & Littlefield
[27] 서적 Long Steel Rail: the Railroad in American Folksong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8] 서적 A Race of Singers: Whitman's Working-Class Hero from Guthrie to Springsteen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9] 서적 The British Folk Revival 1944-2002 Ashgate
[30] 웹사이트 A short history of a song https://radicalnewca[...] 2022-09-20
[31] 문서 ジャズのナット・アダレイの曲には「ワーク・ソング」という曲もある。
[32] 문서 初期のブルースマンとしてはロバート・ジョンソンやチャーリー・パットンが有名である。
[33] 문서 ロジェ・ワーグナー合唱団は黒人霊歌のアルバムを発表してい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