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드아일랜드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드아일랜드 전투는 1778년 8월, 미국 독립 전쟁 중 로드아일랜드 뉴포트에서 벌어진 전투이다. 헨리 클린턴 중장이 이끄는 영국군은 뉴욕에서 로드아일랜드를 점령하기 위해 진격했고, 프랑스 해군의 지원을 받은 대륙군은 영국군을 몰아내려 했다. 전투는 대륙군과 영국군 사이에 치열하게 벌어졌지만, 프랑스 해군의 소극적인 지원으로 인해 대륙군은 작전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다. 전투 결과, 영국군은 로드아일랜드를 계속 점령했고, 프랑스와 미국의 관계는 악화되었다. 로드아일랜드 전투 유적지는 국립 사적지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78년 미국 - 몬머스 전투
몬머스 전투는 미국 독립 전쟁 중 뉴저지주 몬머스 카운티에서 벌어진 전투로, 조지 워싱턴이 이끄는 대륙군이 영국군을 추격하여 교전했으나 전략적 무승부로 끝났으며, 대륙군의 사기를 진작시키고 워싱턴의 리더십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 - 1778년 미국 - 1775~1782년 북아메리카의 천연두 유행
1775년부터 1782년까지 북아메리카 천연두 유행은 열악한 위생 환경과 부족한 의료 기술로 아메리카 원주민에게 큰 피해를 입혔고, 독립 전쟁 중 대륙군 전투력 저하를 야기했으나, 조지 워싱턴 등의 예방 접종 노력으로 공중 보건 시스템 구축의 기반이 되었다. - 1778년 분쟁 - 바이에른 왕위 계승 전쟁
바이에른 왕위 계승 전쟁은 1777년 바이에른 선제후 사망 후 오스트리아가 바이에른을 합병하려 하자 프로이센이 반대하며 발발한 전쟁으로, 테셴 조약으로 종결되었으며, 감자 전쟁으로도 불린다. - 1778년 분쟁 - 몬머스 전투
몬머스 전투는 미국 독립 전쟁 중 뉴저지주 몬머스 카운티에서 벌어진 전투로, 조지 워싱턴이 이끄는 대륙군이 영국군을 추격하여 교전했으나 전략적 무승부로 끝났으며, 대륙군의 사기를 진작시키고 워싱턴의 리더십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
로드아일랜드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전투명 | 로드아일랜드 전투 |
위치 | 아퀴드넥섬, 로드아일랜드주 |
날짜 | 1778년 8월 29일 |
일부 | 미국 독립 전쟁 |
결과 | 전술적 교착 상태 (자세한 내용은 여파 참고), 대륙군은 전략적 목표 달성 실패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미국 |
참가 부대 | 캐나다 의용군 프랑스 왕국 |
교전국 2 | 대영제국 |
지휘관 | |
지휘관 1 | 존 설리번 |
추가 지휘관 1 | 나다니엘 그린 |
추가 지휘관 2 | 크리스토퍼 그린 |
추가 지휘관 3 | 데스탱 백작 |
지휘관 2 | 로버트 피고트 경 |
추가 지휘관 4 | 프랜시스 스미스 |
추가 지휘관 5 | 리처드 프레스콧 |
추가 지휘관 6 | 프리드리히 빌헬름 폰 로스베르크 |
병력 규모 | |
병력 1 | 10,100명 |
병력 2 | 6,700명 |
피해 규모 | |
사상자 1 | 전사 30명, 부상 137명, 실종 44명 |
사상자 2 | 전사 38명, 부상 210명, 실종 12명 |
캠페인 |
2. 배경
미국 독립 전쟁 초기, 영국군은 뉴욕을 점령하고 로드아일랜드를 봉쇄했다. 1776년 12월 8일, 헨리 클린턴 중장이 이끄는 영국군은 리처드 프레스콧 준장 휘하의 헤센 용병 부대와 함께 로드아일랜드 뉴포트를 점령했다.[5]
1778년, 프랑스가 사라토가 전투에서 영국군이 항복한 후 미국 측에 가담하여 참전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6] 프랑스 해군의 데스탱 백작 제독은 1778년 여름 함대를 이끌고 북미 대륙에 파견되었다. 프랑스 해군과 대륙군은 협력하여 로드아일랜드 탈환 작전을 계획했다. 이 작전이 성공하면 내러개닛 만을 확보하여 영국군의 해상 활동을 견제할 수 있었다. 조지 워싱턴은 존 설리번에게 공격 부대 지휘를 맡겼고, 너새니얼 그린과 라파예트를 파견하여 설리번을 지원하게 했다.
2. 1. 영국군
헨리 클린턴 중장이 이끄는 영국군은 1776년 12월 8일 뉴욕에서 출발하여 로드아일랜드를 점령했다.[5] 로버트 피곳 소장이 지휘하는 영국군은 헤센 용병 부대와 함께 뉴포트에 상륙했다.[5]1778년 당시 로드아일랜드에는 다음과 같은 영국군 부대가 주둔하고 있었다.
구분 | 부대 |
---|---|
영국 보병 | 제22, 제38, 제43, 제54 보병 연대 |
헤센(독일 용병) 보병 | 란트그라프 머스킷총병, 퓌네 주둔, 디트푸르트 플린트락총병(경보병), 뷔나우 주둔, 안스파흐 제1·제2 연대 |
왕당파 보병 | 와이트만, 브라운 및 패닝 연대 |
기타 | 헤센 엽병대, 영국, 헤센 및 함선의 포병대, 영국 해병대 |
2. 2. 프랑스군
샤를 엑토르 데스탱 백작이 지휘하는 전열함 12척과 4,000명의 프랑스 육군 병력이 미국에 파견되었다.[8] 이는 미국과의 협력에 대한 첫 번째 주요 시도였으며, 프랑스군의 초기 목표는 델라웨어 강에 있는 영국 함대를 봉쇄하는 것이었다.[8]2. 3. 대륙군
조지 워싱턴은 존 설리번 소장을 로드아일랜드 방면군 사령관으로 임명하고, 너새니얼 그린 소장과 라파예트 후작을 파견하여 설리번을 지원하게 했다.[22] 설리번은 이전 전투에서의 수행으로 의회에서 비판을 받았기 때문에, 워싱턴은 그에게 그린과 라파예트의 조언을 구하라고 권고했다.[22]프랑스 해군이 참전한다는 소식은 미국 독립에 대한 지지를 불러일으켰고, 인근 주에서 민병대가 로드아일랜드로 몰려들었다.[21] 윌리엄 웨스트의 지휘하에 로드아일랜드 민병대의 절반이 소집되었고, 매사추세츠 만 식민지와 뉴햄프셔에서 온 많은 수의 민병대가 대륙 포병과 함께 로드아일랜드에 도착하여 작전에 참여했다.[21]
설리번 장군은 로드아일랜드, 매사추세츠, 뉴햄프셔 등지에서 민병대를 소집하여 병력을 증강했다. 크리스토퍼 그린 대령은 로드아일랜드에서 병사를 모아 대륙군에 활용할 책임자였지만, 할당량을 맞추기 위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다음은 로드아일랜드 전투에 참여한 대륙군 부대 목록이다.
부대 종류 | 부대명 |
---|---|
보병 연대 | 제1 로드아일랜드 연대 (아프리카계 미국인 부대), 제2 로드아일랜드 연대, 제4 매사추세츠 연대, 제13 매사추세츠 연대, 제9 코네티컷 연대 (웹 추가 대륙), 제16 매사추세츠 연대 (잭슨 추가 대륙), 샤번 추가 대륙, 제1 캐나다 연대 (제임스 리빙스턴) |
로드아일랜드 주 여단 | 제1 로드아일랜드 연대, 제2 로드아일랜드 연대 |
로드아일랜드 주 연대 | 6개 연대 |
코네티컷 연대 | 제9 코네티컷 연대 |
경기병 자원병대 | 랭던 중대 |
뉴햄프셔 연대 | 피바디 뉴햄프셔 연대, 헤일 민병대 연대, 니콜즈 민병대 연대, 에반스 민병대 연대 |
포병 연대 | 제1 대륙 포병 연대, 제2 대륙 포병 연대, 제3 대륙 포병 연대, 제4 대륙 포병 연대 |
1778년 4월, 프랑스는 12척의 전열함과 4,000명의 육군 병력을 데스탱 백작 제독과 함께 미국으로 파견했다. 이는 미국과의 협력에 대한 첫 번째 주요 시도였다.[8] 그러나 영국 지도자들은 데스탱의 미국행 정보를 미리 입수했고, 6월 초 13척의 전열함으로 구성된 함대가 존 바이런 부제독의 지휘 하에 추격에 나섰다.[9][10] 데스탱의 대서양 횡단은 3개월이 걸렸고, 바이런 역시 악천후로 인해 8월 중순에야 뉴욕에 도착했다.[8][11]
3. 전투 이전의 상황
영국군은 데스탱이 도착하기 전에 필라델피아에서 뉴욕 시로 철수했다. 프랑스 함대가 7월 초 델라웨어 만에 도착했을 때 영국 함대는 이미 철수한 뒤였다.[8] 데스탱은 뉴욕으로 향했지만, 뉴욕 항구는 방어가 견고했다.[12] 프랑스인과 미국인 조종사들은 데스탱의 가장 큰 배가 뉴욕 항구 입구의 모래톱을 건널 수 없을 것이라고 판단했고, 프랑스와 미국 지도자들은 로드아일랜드주 뉴포트를 공격하기로 결정했다.[13]
조지 워싱턴 장군은 존 설리번에게 뉴포트 공격을 위해 5,000명의 병력을 소집하라고 지시했다. 당시 설리번의 병력은 1,600명에 불과했다. 프랑스 참전 소식에 인근 주에서 민병대가 로드아일랜드로 몰려들었다. 로드아일랜드 민병대의 절반이 윌리엄 웨스트의 지휘 하에 소집되었고, 매사추세츠 만 식민지와 뉴햄프셔에서 온 많은 수의 민병대가 대륙 포병과 함께 로드아일랜드에 도착했다.[21] 워싱턴은 너새니얼 그린 소장을 파견하여 설리번을 지원했다.[22]
데스탱은 7월 29일 포인트 주디스에 도착하여 그린 장군, 라파예트 후작과 만나 공격 계획을 수립했다.[25] 설리번의 제안은 미국군은 티버턴에서 로드아일랜드의 동쪽 해안으로 건너가고, 프랑스군은 코나니컷 섬을 발진 기지로 삼아 서쪽에서 건너가 섬 북쪽의 버츠 언덕에 있는 영국군을 차단하는 것이었다.[26]
연합군의 의도가 명확해지자 로버트 피곳 장군은 방어 태세를 갖추고 코나니컷 섬과 버츠 언덕에서 병력을 철수시켰다. 그는 거의 모든 가축을 도시로 옮기고, 화력선을 확보하기 위해 과수원을 평탄화하도록 명령했으며, 마차와 수레를 파괴했다.[27]
4. 전투의 경과
1778년 7월 29일, 프랑스 해군 데스탱 제독은 포인트 주디스에 도착하여 그린 장군, 라파예트 장군과 함께 공격 계획을 수립했다.[25] 존 설리번 장군의 제안은 미군은 티버턴에서 아퀴드넥 섬 동쪽 해안으로 건너가고, 프랑스군은 코나니컷 섬을 발진 기지로 삼아 서쪽에서 건너가 섬 북쪽의 버츠 힐에 있는 영국군 분견대를 차단하는 것이었다.[26]
8월 9일, 설리번은 피고트가 버츠 언덕을 포기했다는 것을 알고, 데스탱과의 합의와 달리 영국군이 재점령할 가능성을 우려하여 그 고지를 점령하기 위해 병력을 투입했다. 데스탱은 나중에 이 작전을 승인했지만, 초기 반응은 반대였다.[28]
8월 10일, 데스탱은 하우와 전투를 벌이기 위해 출항했다.[24] 그러나 8월 11일과 12일에 걸쳐 큰 폭풍이 몰아쳐 양측 함대가 흩어졌고, 프랑스 기함은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30] 이로 인해 설리번의 뉴포트 공격 계획은 좌절되었다.[31] 설리번은 프랑스 함대의 귀환을 기다리며 포위 작전을 시작했고, 8월 15일 영국군 진지에 더 가까이 이동했다.[32]
8월 20일, 데스탱은 뉴포트로 돌아왔으나, 함선 수리를 위해 보스턴으로 가야 한다고 설리번에게 알렸다. 설리번은 프랑스군이 도움을 준다면 영국군이 항복할 것이라 주장했지만, 데스탱은 거부했다.[34] 프랑스 함대는 8월 22일 보스턴으로 항해했다.[35]
프랑스군의 철수는 미국 군대와 지휘관들 사이에서 분노를 일으켰다. 설리번은 데스탱의 결정을 비난했고, 미국 군인들은 프랑스군을 "탈영"했다고 비난했다.[36][37] 이로 인해 미국 민병대의 대규모 탈영이 발생하여 미국 군대의 규모가 크게 줄었다.[38]
8월 24일, 설리번은 조지 워싱턴으로부터 헨리 클린턴이 구원 부대를 소집하고 있다는 경고를 받았다. 그날 저녁, 설리번의 군사 위원회는 섬 북쪽 부분의 진지로 철수하기로 결정했다.[40]
8월 28일 아침, 미국 군사 회의는 포위 캠프에서 마지막 병력을 철수하기로 결정했다. 며칠 동안 대포 몇 발을 쏘며 영국군과 교전했는데, 장비 일부가 철수되고 있었다. 8월 26일, 탈영병들이 피곳에게 미국의 철수 계획을 알렸기 때문에, 그는 그날 밤 그들이 철수할 때 대응할 준비가 되어 있었다.[44]
4. 1. 주요 전투
8월 29일, 아퀴드넥 섬 북쪽에서 대륙군과 영국군 사이에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다. 양측은 각각 섬의 서쪽과 동쪽에 방어선을 구축했다. 서쪽에서는 제임스 미첼 바넘 준장이 지휘하는 제1 로드아일랜드 연대가 터키 힐 앞에 전진 배치되었고, 동쪽에서는 존 글로버 준장이 퀘이커 힐을 내려다보는 돌담 뒤에 병력을 집중시켰다.[45]
영국군은 헤센 장군 프리드리히 빌헬름 폰 로스버그를 서쪽 길로, 소장 프랜시스 스미스를 동쪽 길로 보내 공격을 개시했다. 스미스의 부대는 퀘이커 힐 근처에서 리빙스턴 중령의 부대와 교전했으나, 증원군의 도움으로 리빙스턴 부대를 퀘이커 힐까지 밀어냈다. 글로버 부대의 저항으로 스미스는 더 이상의 공격을 포기했다.[46]
한편, 로스버그 부대는 존 로렌스 대령의 부대를 터키 힐로 몰아냈고, 증원군과 함께 터키 힐을 공격하여 수비대를 나다니엘 그린 부대 쪽으로 밀어냈다. 오전 10시경, 영국 해군 함선들이 그린 부대에 포격을 가했고, 로스버그는 그린 부대를 세 번 공격했으나 격퇴당했다.[47][48]
오후 2시, 로스버그는 다시 그린 부대를 공격했으나 실패했다. 그린은 반격을 시도했지만, 로스버그는 터키 힐 꼭대기로 후퇴했다. 저녁 무렵, 그린은 로스버그 부대를 포위하려 했으나 실패했다.[49]
이 전투에서 양측 모두 상당한 피해를 입었지만, 어느 쪽도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지 못했다. 밤새도록 포격이 계속되었고,[50] 8월 31일 밤, 대륙군은 브리스톨과 티버턴으로 철수했다.
5. 전투의 결과 및 영향
1778년 8월 30일 밤, 대륙군은 로드아일랜드에서 질서정연하게 철수하면서, 전투는 영국의 전략적 승리로 끝났다.[51] 데스탱 제독이 이끄는 프랑스 함대의 소극적인 지원은 대륙군과 프랑스군 사이에 불신을 야기했으며,[34][35][36][37] 이는 미국 독립 전쟁에서 프랑스-미국 연합군의 협력에 한계를 드러낸 사건이었다. 프랑스 함대의 철수는 미국 민병대의 대규모 탈영을 초래하여, 그렇지 않아도 병력이 부족했던 대륙군의 규모를 더욱 감소시켰다.[38]
한편, 뉴욕의 영국군은 헨리 클린턴 장군의 지휘 아래 찰스 그레이 소장이 이끄는 4,000명의 병력을 뉴포트로 파견했다.[43] 이들은 9월 1일에 뉴포트에 도착했으나, 이미 대륙군이 철수한 뒤였다.[43] 클린턴은 그레이에게 매사추세츠 해안의 여러 지역을 습격하라는 명령을 내렸다.[53]
영국군은 1779년 10월 뉴포트를 포기했고, 전쟁으로 인해 경제는 파괴되었다.[58]
5. 1. 전술적/전략적 평가 (중도진보적 관점)
존 설리번 장군이 이끌었던 대륙군은 수적으로 불리했음에도 불구하고, 로드아일랜드 전투에서 영국군의 공격을 효과적으로 막아내며 선전했다. 이는 설리번 장군의 뛰어난 전술적 역량을 보여주는 사례로,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군대를 효과적으로 지휘하여 영국군에게 상당한 피해를 입혔다.[40]반면, 데스탱 제독이 지휘하는 프랑스 함대의 소극적인 지원은 대륙군의 작전 실패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데스탱 제독은 함선 수리를 위해 보스턴으로 회항하는 등 미숙한 해상 운용 능력을 보였으며,[34] 이는 초기 연합군의 전략적 미숙함을 드러내는 것이었다. 특히 프랑스 함대의 철수는 미국 민병대의 대규모 탈영을 야기하여 대륙군의 전력을 크게 약화시켰다.[38]
로드아일랜드 전투는 이후 프랑스와의 군사 협력에 대한 미국의 신중한 접근에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42]
6. 유산
로드아일랜드 전투 유적지는 1974년 국립 역사 사적지로 지정되었으며, 국립 사적지에 등재되었다. 이 유적지는 전투가 벌어졌던 부지를 부분적으로 보존하고 있다.[59][60] HMS 서베러스와 HMS 라크의 수중 유적지도 사적지에 등재되어 있는데, 이 두 척은 프랑스 함대가 뉴포트로 진격해오자 침몰한 영국 해군 군함이다.[60] 티버턴에 위치한 미국 방어 시설 중 하나인 포트 바턴과 1775년 코나니컷 섬에 건설되어 영국이 뉴포트를 점령하는 동안 확장된 코나니컷 포대도 등재되어 있다.[60][61]
7. 참전 부대
로드아일랜드 전투에는 대규모 영국군과 독일 용병부대가 참전했다. 영국군은 뉴욕을 향해 공격하면서 로드 섬을 먼저 공략했다.[45][46]
영국군은 제54연대와 몽트포드 브라운의 웨일스 공 아메리카 연대를 지원받아 공격을 재개했고,[45] 에드먼드 패닝의 킹스 아메리카 연대 등은 존 로렌스 대령 휘하의 미국 경보병대를 공격했다.[47]
미국 측에서는 제1 로드아일랜드 연대가 독일군의 공격을 여러 차례 격퇴했으며, 이스라엘 앤젤 대령의 제2 로드아일랜드 연대 등이 반격했다.[49]
7. 1. 영국군 및 왕당파
제22 보병 연대, 제38 보병 연대, 제43 보병 연대, 제54 보병 연대, 헤센 란트그라프, 휘네, 디트포르트, 부나우, 안스파흐 연대가 참전했다.[50] 왕당파 연대로는 에드먼드 패닝의 킹스 아메리카 연대, 몬트포드 브라운의 웨일스 공 아메리카 연대, 로열 뉴잉글랜더스가 있었다.[45] 헤센 샤쇠르와 영국 해병대도 전투에 참여했다.[47]7. 2. 대륙군 및 민병대
로드아일랜드 전투에 참전한 대륙군 및 민병대는 다음과 같다.부대 종류 | 부대 명칭 | 비고 |
---|---|---|
대륙군 보병 연대 | 제1 로드아일랜드 연대 | 아프리카계 미국인 부대[49] |
제2 로드아일랜드 연대[49] | ||
제4 매사추세츠 연대 | ||
제13 매사추세츠 연대 | 에드워드 위글스워스 지휘[45] | |
웹의 추가 대륙 연대 | ||
잭슨의 추가 대륙 연대 | ||
셔번의 추가 대륙 연대 | ||
제1 캐나다 연대 | ||
민병대 | 로드아일랜드 출신 민병대 8개 연대 | |
코네티컷 출신 민병대 1개 연대 | ||
뉴햄프셔 출신 민병대 (피바디, 헤일, 니콜스, 에반스 연대) | ||
자원병 | 랭던의 경마병 자원병 부대 | |
포병 연대 | 4개 포병 연대 | 제1, 제2, 제3, 제4 대륙 포병 연대 |
참조
[1]
서적
Dearden, p. 49
[2]
서적
Boatner, p. 793
[3]
서적
Heitman, p. 354
[4]
웹사이트
Pines Bridge Monument
http://yorktownhisto[...]
Yorktownhistory.org
2016-07-24
[5]
서적
Schroder, p. 62
[6]
서적
Morrissey, pp. 26–27
[7]
서적
Schroder, p. 138
[8]
서적
Morrissey, p. 77
[9]
서적
Schaeper, pp. 152–153
[10]
서적
Daughan, p. 172
[11]
웹사이트
Byron, John
http://www.biographi[...]
2011-11-10
[12]
서적
Daughan, pp. 174–175
[13]
서적
Morrissey, p. 78
[14]
서적
Dearden, pp, 36, 49
[15]
서적
Murray, p. 6
[16]
서적
Murray, p. 8
[17]
서적
Dearden, pp. 25–27
[18]
서적
Dearden, p. 28
[19]
서적
Dearden, p. 38
[20]
서적
Dearden, p. 37
[21]
서적
Dearden, pp. 51, 93
[22]
서적
Dearden, p. 45
[23]
서적
Mahan, p. 361
[24]
서적
Daughan, p. 177
[25]
서적
Daughan, p. 176
[26]
서적
Dearden, pp. 68–71
[27]
서적
Dearden, p. 61
[28]
서적
Dearden, pp. 74–75
[29]
서적
Dearden, p. 76
[30]
서적
Mahan, p. 362
[31]
서적
Daughan, p. 179
[32]
서적
Dearden, pp. 95–98
[33]
서적
Mahan, p. 363
[34]
서적
Dearden, p. 101
[35]
서적
Dearden, p. 102
[36]
문서
Dearden, pp. 102, 135
[37]
문서
Dearden, p. 106
[38]
문서
Daughan, pp. 179–180
[39]
문서
Schroder, pp. 141–142
[40]
문서
Dearden, pp. 114–116
[41]
문서
Dearden, p. 118
[42]
서적
Washington and Cornwallis: The Battle for America, 1775–1783
https://books.google[...]
Taylor Trade Publishing
[43]
문서
Nelson, p. 63
[44]
문서
Dearden, pp. 118–120
[45]
문서
Dearden, p. 121
[46]
문서
Dearden, pp. 122–123
[47]
문서
Dearden, pp. 120–122
[48]
웹사이트
The Forgotten Ships of the Battle of Rhode Island
http://www.rihs.org/[...]
The Rhode Island Historical Society
2009
[49]
문서
Dearden, pp. 124–126
[50]
문서
Dearden, p. 126
[51]
웹사이트
Americans Evacuate Rhode Islande
http://www.historyca[...]
New Hampshire Gazette
1778-09-15
[52]
문서
Dearden, p. 134
[53]
문서
Nelson, pp. 64–66
[54]
문서
Gruber, p. 319
[55]
문서
Colomb, p. 384
[56]
문서
Gruber, pp. 323–324
[57]
문서
Dearden, p. 128
[58]
문서
Dearden, pp. 142–143
[59]
웹사이트
Site of Battle of Rhode Island
http://tps.cr.nps.go[...]
National Park Service
[60]
문서
NRISref
[61]
웹사이트
Jamestown Historical Society: Battery
http://www.jamestown[...]
[62]
웹사이트
Joseph Reynolds House
http://tps.cr.nps.go[...]
National Park Servi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