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워싱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지 워싱턴은 1732년 버지니아에서 태어난 미국의 군인이자 정치가로, 미국 독립 전쟁의 대륙군 총사령관을 역임하며 미국의 독립을 이끌었다. 그는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1789년부터 1797년까지 재임했으며, 대통령직을 두 번 역임한 후 퇴임하여 3선 금지 전통을 세웠다. 워싱턴은 헌법 제정 회의 의장을 맡았으며, 퇴임 연설을 통해 통일과 정당 정치의 위험성을 강조했다. 그는 노예를 소유하고 인디언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보였지만, 미국의 건국 아버지로 존경받으며 미국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지도 제작자 - 제이 굴드
제이 굴드는 미국의 투기 자본가이자 철도 사업가로, 철도 산업 장악과 웨스턴 유니온 전신 회사 경영을 통해 부를 쌓았으며 주가 조작 논란에도 불구하고 미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워싱턴가 - 로버트 E. 리
로버트 E. 리는 미국의 군인이자 교육자로, 남북 전쟁 당시 남부 연합군을 지휘하며 뛰어난 전술적 능력으로 활약했으나, 전쟁 후에는 워싱턴 칼리지 총장으로 남부 재건에 기여했고, 노예제에 대한 복잡한 관점과 남부 연합의 상징으로서 그의 유산에 대한 비판적인 재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 워싱턴가 - 마사 워싱턴
마사 워싱턴은 미국의 초대 영부인으로, 1759년 조지 워싱턴과 재혼하여 남편의 독립 전쟁을 지원하고 영부인으로서 사교 행사를 주최하며 영부인의 역할을 확립했다. - 미국의 대통령 사이드바 - 프랭클린 D. 루스벨트
프랭클린 D. 루스벨트는 20세기 중반 대공황과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 미국의 32대 대통령을 4번 연임하며 뉴딜 정책으로 경제 회복과 사회 안정을 추구하고, 연합국을 이끌어 추축국에 맞서 승리하며 전후 국제 질서 형성에 기여했다. - 미국의 대통령 사이드바 - 게티즈버그 연설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이 게티즈버그 국립묘지 헌정식에서 남북전쟁의 의미를 되짚고 국가의 미래를 다짐하며 "국민의,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정부"라는 명구절을 남긴 짧지만 강렬한 연설이 게티즈버그 연설이다.
조지 워싱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조지 워싱턴 |
원어 이름 | George Washington |
출생일 | 1732년 2월 22일 |
출생지 | 포프스 크릭, 버지니아 식민지, 영국령 아메리카 |
사망일 | 1799년 12월 14일 |
사망지 | 마운트 버넌, 버지니아주, 미국 |
안장지 | 마운트 버넌, 버지니아 |
배우자 | 마사 워싱턴 (1759년 1월 6일 결혼) |
친척 | 워싱턴 가문 |
수상 | 의회 금메달 미국 의회의 감사 |
직업 | 군인 정치인 측량사 농장주 |
![]() | |
군 복무 | 버지니아 민병대 대륙군 미국 육군 |
복무 기간 | 1752년–1758년 (버지니아 민병대) 1775년–1783년 (대륙군) 1798년–1799년 (미국 육군) |
최종 계급 | 대령 (제1 버지니아 연대) 대령 (버지니아 민병대) 장군 및 최고 사령관 (대륙군) 중장 (미국 육군) 원수 (1976년 사후 추서) |
지휘 부대 | 버지니아 연대 대륙군 미국 육군 |
참전 전투 | 프랑스-인디언 전쟁 주몽빌 글렌 전투 포트 네세시티 전투 브래독 원정 모농가헬라 전투 포브스 원정 미국 독립 전쟁 보스턴 공방전 뉴욕-뉴저지 전역 필라델피아 전역 요크타운 전역 북서 인디언 전쟁 위스키 반란 |
정치 경력 | |
미국 대통령 | 재임 기간: 1789년 4월 30일 – 1797년 3월 4일 부통령: 존 애덤스 전임: 직책 신설 후임: 존 애덤스 |
대륙군 총사령관 | 임명: 대륙 회의 재임 기간: 1775년 6월 19일 – 1783년 12월 23일 전임: 직책 신설 후임: 헨리 녹스 (선임 장교 자격으로) |
윌리엄 앤 메리 대학교 총장 | 재임 기간: 1788년 4월 30일 – 1799년 12월 14일 |
대륙 회의 대의원 (버지니아) | 재임 기간: 1774년 9월 5일 – 1775년 6월 16일 전임: 직책 신설 후임: 토머스 제퍼슨 |
버지니아 하원 의원 | 재임 기간: 1758년 7월 24일 – 1775년 6월 24일 전임: 휴 웨스트 후임: 직책 폐지 선거구: 프레데릭 카운티 (1758–1765) 페어팩스 카운티 (1765–1775) |
기타 정보 | |
정당 | 무소속 |
기타 정보 (로마자 표기) | |
영문 이름 | George Washington |
기타 정보 (문화어) | |
문화어 | 죠지 워싱톤 |
2. 어린 시절
조지 워싱턴은 1732년 2월 22일 버지니아 식민지의 웨스트모얼랜드 카운티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어거스틴 워싱턴은 첫 번째 부인과의 사이에서 낳은 두 아들(로렌스와 어거스틴)이 있었으므로, 조지는 셋째 아들이었다. 여섯 살에 가족과 함께 페리 농장으로 이주한 워싱턴은 아버지와 맏형에게서 교육을 받았다. 워싱턴의 조상은 영국 출신으로, 증조부 존 워싱턴은 1657년에 버지니아로 이주했다. 당시 버지니아는 담배 재배를 위해 노예를 수입했고, 워싱턴이 태어날 즈음에는 식민지 인구의 절반이 흑인이었다.
워싱턴은 유년 시절에 측량 기사로 활동하며 버지니아 식민지의 지형에 대한 지식을 쌓았다. 맏형 로렌스가 유력 가문인 페어팩스 가문의 여성과 결혼하면서, 워싱턴은 500만 에이커에 달하는 영토를 소유한 토마스 페어팩스의 후원을 받게 되었다. 1749년 7월, 포토맥 강가에 알렉산드리아가 세워지면서 17세의 워싱턴은 첫 번째 측량 기사로 활동했다. 1748년에는 블루 릿지 서쪽에 위치한 페어팩스 경의 토지를 측량하는 것을 도왔고, 1749년에는 새로 생긴 컬페퍼 카운티의 측량기사로 임명되어 처음으로 공직에 올랐다.
워싱턴은 배다른 형제 로렌스를 통해 서부 땅 개척을 위한 오하이오 컴퍼니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2. 1. 가문과 출생
1732년 2월 22일 버지니아 식민지 웨스트모어랜드 카운티(오늘날의 콜로니얼 비치 인근)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어거스틴 워싱턴, 어머니는 어거스틴의 두 번째 부인 메리 볼 워싱턴이었다. 어거스틴은 첫 부인 제인 버틀러와의 사이에서 네 명의 아이를 얻었으나 둘은 어려서 죽고, 로렌스와 어거스틴 형제만 생존하였다. 따라서 조지 워싱턴은 셋째 아이였으며 형제들보다 한참 어렸다.
여섯 살 때 페리 농장에서 스태포드 카운티로 이주하면서, 아버지와 맏형에게서 교육을 받았다. 워싱턴의 조상은 영국 출신이었다. 증조부 존 워싱턴은 1657년에 버지니아로 이주했다. 버지니아에서는 노예를 수입하여 담배를 재배했다. 워싱턴이 태어났을 때 식민지 인구의 절반은 흑인이었다.
1751년 형 로렌스와 함께 바베이도스로 요양을 떠났는데, 이는 워싱턴이 미국을 떠난 유일한 경험이었다. 1752년에 로렌스가 사망한 후, 워싱턴은 로렌스의 부동산 일부를 상속받고 식민지 총독 부관 임무 중 일부를 맡았다.
1752년 말, 버지니아의 새 주지사 로버트 딘위디는 군대를 네 지역으로 개편하고 워싱턴을 한 지역의 장으로 임명했다. 워싱턴은 1752년에 버지니아 군대의 부관 참모로 임명되었고, 스무 살에 소령이 되었다.
1753년 12월, 워싱턴은 딘위디 주지사의 요청으로 캐나다의 프랑스인들에게 영국의 최후통첩을 전달하기 위해 오하이오 국경으로 갔다. 워싱턴은 프랑스군의 힘과 사기를 파악하고, 오늘날의 펜실베이니아주 워터포드 지역의 프랑스인들에게 메시지를 전달했다. 이 메시지는 프랑스인들이 오하이오주에서 철수할 것을 요구했지만 무시되었다. 이 문제에 대한 워싱턴의 보고서는 북미 대륙과 유럽에서 널리 읽혀졌다.


1753년 21세에 버지니아 민병대에 입대했고, 이후 영국군 정규군에 편성되어 프랑스 인디언 전쟁에 참전했다. 참전 후 부모에게서 상속받은 마운트 버넌 농장으로 돌아가 마사 댄드리지 커스티스를 만났다.
1759년 마사와의 결혼으로 3,000명이 넘는 노예와 17000acre의 땅이 워싱턴의 재산이 되어, 토지만 22000acre가 넘는 버지니아 최고 갑부 중 한 명이 되었다. 결혼 전 워싱턴은 친구의 아내 샐리 패어팩스와 불륜 관계를 맺기도 했다.[101] 워싱턴은 샐리와의 관계를 공공연히 발설하여 문제가 되었고, 샐리가 과부가 되어 영국으로 떠난 후에는 다시 돌아올 것을 요구하기도 했다.[101]
2. 2. 성장과 교육
1732년 2월 22일, 조지 워싱턴은 버지니아 식민지 웨스트모어랜드군의 콜로니얼 비치 인근에서 아버지 어거스틴 워싱턴과 어머니 메리 볼 워싱턴 사이의 첫째 아이로 태어났다. 워싱턴의 조상은 영국 출신으로, 증조부 존 워싱턴은 1657년에 버지니아로 이주했다. 워싱턴이 태어날 당시 버지니아 식민지 인구의 절반은 흑인 노예였다.워싱턴은 여섯 살 때 페리 농장으로 이주하면서 아버지와 맏형에게서 교육을 받았다. 유년 시절에는 측량 기사로 활동하며 버지니아 식민지 지형에 대한 지식을 쌓았다. 맏형의 결혼으로 워싱턴은 500만 에이커의 영토를 소유한 토마스 페어팩스의 후원을 받게 되었다. 1749년 7월, 워싱턴은 알렉산드리아의 첫 번째 측량 기사로 활동했다.
1748년, 워싱턴은 블루 릿지 서쪽의 페어팩스 경 토지를 측량하는 일을 도왔다. 1749년에는 컬페퍼 카운티의 측량기사로 임명되어 처음으로 공직에 올랐다.
1751년, 워싱턴은 형 로렌스의 결핵 치료를 위해 바베이도스로 함께 갔다. 이는 워싱턴이 미국을 떠난 유일한 경험이었다. 1752년에 로렌스가 사망한 후, 워싱턴은 로렌스의 부동산 일부를 상속받고 식민지 총독 부관 임무 일부를 맡았다.
1752년 말, 버지니아 주지사 로버트 딘위디는 워싱턴을 군대 한 지역의 장으로 임명했다. 같은 해, 워싱턴은 버지니아 군대의 부관 참모로 임명되었고, 스무 살에 소령이 되었다.
1753년 12월, 워싱턴은 딘위디 주지사의 요청으로 프랑스인들에게 영국의 최후통첩을 전하기 위해 오하이오 국경으로 갔다. 워싱턴은 프랑스군의 힘과 사기를 파악하고, 오늘날의 펜실베이니아 워터포드 지역의 프랑스인들에게 메시지를 전달했다. 이 메시지는 프랑스인들이 오하이오주에서 손을 떼도록 요청하는 내용이었으나 무시되었다.
워싱턴은 프랑스 인디언 전쟁에 참전한 후, 상속받은 마운트 버넌 농장으로 돌아가 마사 댄드리지 커스티스를 만났다. 1759년, 마사와의 결혼으로 워싱턴은 3,000명이 넘는 노예와 1만 7,000에이커의 땅을 소유하게 되어 버지니아주 최고 갑부 중 한 명이 되었다. 결혼 전 워싱턴은 친구의 아내였던 샐리 패어팩스와 불륜 관계를 맺기도 했다.[101]
3. 군 경력
로렌스 워싱턴이 버지니아 민병대의 부관장으로 복무한 경험은 조지 워싱턴이 장교의 길을 걷도록 이끌었다. 버지니아 부총독 로버트 딘위디는 워싱턴을 소령으로 임명하고 4개 민병대 지역 중 하나의 지휘를 맡겼다. 당시 영국과 프랑스는 오하이오 강 유역(오하이오 계곡)의 지배권을 두고 경쟁하고 있었는데, 영국은 오하이오 강을 따라 요새를 건설했고, 프랑스는 오하이오 강과 이리호 사이에 요새를 건설하고 있었다.
1753년 10월, 딘위디는 워싱턴을 특별 사절로 임명하여 영국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땅에서 프랑스군에게 철수를 요구하도록 했다. 워싱턴은 이로쿼이 연맹과 평화를 유지하고 프랑스군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임무도 받았다. 워싱턴은 로그스타운에서 반왕(Half-King) 타나카리슨을 만나 프랑스군에 대한 정보를 얻었다. 워싱턴은 타나카리슨에게 코노토카우리우스라는 별명을 얻었다고 말했다. "마을을 집어삼키는 자"라는 뜻의 이 이름은 17세기 후반 그의 증조부 존 워싱턴에게 서스쿼해녹족이 붙여준 것이었다.
워싱턴 일행은 1753년 11월 오하이오 강에 도착하여 프랑스 순찰대에 체포되었다. 이들은 포르 르 부프로 호송되었고, 워싱턴은 그곳에서 정중한 대접을 받았다. 그는 프랑스 사령관 자크 르가르되르 드 생피에르에게 영국의 철수 요구를 전달했지만, 프랑스는 이를 거부했다. 생피에르는 며칠간의 지연 후 워싱턴에게 공식적인 답변과 함께 일행이 버지니아로 돌아갈 수 있도록 식량과 겨울옷을 제공했다. 워싱턴은 혹독한 겨울 속에서 위험한 임무를 완수했고, 그의 보고서가 버지니아와 런던에서 발표되면서 명성을 얻었다.
워싱턴은 미국 독립 전쟁 전후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영국 의회가 식민지에 대한 적절한 대의 없이 세금을 부과하는 것에 반대했으며, 1765년 인지세법을 "억압의 법"으로 여기고 다음 해 그 폐지를 기뻐했다. 그는 1767년 의회가 통과시킨 타운젠드 법에 대한 광범위한 항의를 이끌었고, 1769년 5월 버지니아 주민들에게 영국산 상품 불매를 촉구하는 제안을 제출했으며, 이 법들은 1770년 대부분 폐지되었다. 워싱턴과 다른 식민지 주민들은 또한 1763년 왕실 선포(미국인의 애팔래치아 산맥 서쪽 정착을 금지한)와 미국 서부 토지 투기(워싱턴이 참여한)에 대한 영국의 간섭에 분노했다.
1774년 의회가 보스턴 차 사건에 대한 처벌로 강압 법령을 통과시키자, 워싱턴은 이를 "우리의 권리와 특권에 대한 침해"로 보았다. 그해 7월, 그는 조지 메이슨과 함께 결의안 목록을 작성했는데, 여기에는 대서양 노예 무역 종식 촉구도 포함되어 있었다. 8월, 워싱턴은 제1차 버지니아 주 의회에 참석하여 제1차 대륙 의회 대표로 선출되었다. 1774년 긴장이 고조됨에 따라 그는 버지니아 주에서 민병대 훈련을 돕고 의회가 제정한 영국산 상품 불매 운동인 대륙 협회의 시행을 조직했다.
3. 1. 프랑스 인디언 전쟁
로렌스 워싱턴이 버지니아 민병대의 부관장으로 복무한 경험은 조지 워싱턴이 장교의 길을 걷도록 이끌었다. 버지니아 부총독 로버트 딘위디는 워싱턴을 소령으로 임명하고 4개 민병대 지역 중 하나의 지휘를 맡겼다. 당시 영국과 프랑스는 오하이오 강 유역(오하이오 계곡)의 지배권을 두고 경쟁하고 있었다. 영국은 오하이오 강을 따라 요새를 건설했고, 프랑스는 오하이오 강과 이리호 사이에 요새를 건설하고 있었다.[3]1753년 10월, 딘위디는 워싱턴을 특별 사절로 임명하여 영국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땅에서 프랑스군에게 철수를 요구하도록 했다. 워싱턴은 이로쿼이 연맹과 평화를 유지하고 프랑스군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임무도 받았다.[4] 워싱턴은 로그스타운에서 반왕(Half-King) 타나카리슨을 만나 프랑스군에 대한 정보를 얻었다.[5] 워싱턴은 타나카리슨에게 코노토카우리우스라는 별명을 얻었다고 말했다. "마을을 집어삼키는 자"라는 뜻의 이 이름은 17세기 후반 그의 증조부 존 워싱턴에게 서스쿼해녹족이 붙여준 것이었다.[6]
워싱턴 일행은 1753년 11월 오하이오 강에 도착하여 프랑스 순찰대에 체포되었다. 이들은 포르 르 부프로 호송되었고, 워싱턴은 그곳에서 정중한 대접을 받았다. 그는 프랑스 사령관 자크 르가르되르 드 생피에르에게 영국의 철수 요구를 전달했지만, 프랑스는 이를 거부했다. 생피에르는 며칠간의 지연 후 워싱턴에게 공식적인 답변과 함께 일행이 버지니아로 돌아갈 수 있도록 식량과 겨울옷을 제공했다.[7] 워싱턴은 혹독한 겨울 속에서 위험한 임무를 완수했고, 그의 보고서가 버지니아와 런던에서 발표되면서 명성을 얻었다.[8]

1754년 2월, 딘위디는 워싱턴을 중령으로 진급시키고 300명 규모의 버지니아 연대 부사령관으로 임명하여 오하이오 강 합류점(포인트 주립공원)에 있는 프랑스군과 대치하라는 명령을 내렸다.[9] 워싱턴은 4월에 연대의 절반을 이끌고 출발하여 프랑스군 1,000명이 그곳에 뒤케인 요새 건설을 시작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5월, 그레이트 메도우스에 방어 진지를 구축한 워싱턴은 프랑스군이 약 11.27km 떨어진 곳에 진을 쳤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공격을 결심했다.[10] 프랑스 부대는 약 50명에 불과했기 때문에 5월 28일 워싱턴은 버지니아인과 인디언 동맹군 소규모 부대로 매복 공격을 감행했다.[12] 이들은 프랑스군을 살해했는데, 그중에는 영국에 대한 외교 서한을 가지고 있던 지휘관 조제프 쿨롱 드 주몽빌도 포함되어 있었다. 프랑스군은 나중에 동포들이 죽고 두피가 벗겨진 것을 발견하고 포트 네세시티로 후퇴한 워싱턴을 비난했다.[13]
다음 달, 연대 지휘관이 사망하자 워싱턴은 연대 지휘권을 맡아 대령으로 승진했다는 소식과 함께 버지니아 연대 전체가 합류했다. 연대는 사우스캐롤라이나인 100명으로 구성된 독립 중대에 의해 증원되었는데, 이 중대는 제임스 매케이 대위가 이끌었고, 그의 왕실 임관은 워싱턴의 계급보다 높았기 때문에 지휘권 분쟁이 발생했다. 7월 3일, 900명의 프랑스군이 공격해 왔고, 그 결과 벌어진 전투에서 워싱턴은 항복했다.[14] 워싱턴은 프랑스어를 할 줄 몰랐지만, 자신도 모르게 주몽빌을 "암살"한 책임을 지는 항복 문서에 서명했고, 나중에 통역사가 제대로 번역하지 않았다고 비난했다.[15] 제임스 인네스 대령이 식민지 간 연합군의 지휘권을 맡았고, 버지니아 연대는 분할되었으며, 워싱턴에게는 새로 편성된 연대 중 하나의 대위직이 제안되었다. 그는 강등을 의미했기 때문에 이를 거부했는데(영국은 "식민지인"의 계급이 더 높을 수 없다고 명령했었다) 대신 사임했다.[16] "주몽빌 사건"은 프랑스-인디언 전쟁을 촉발시킨 사건이 되었다.[17]
1755년, 워싱턴은 프랑스군을 뒤케인 요새와 오하이오 지역에서 몰아내기 위한 영국 원정을 이끈 에드워드 브래독 장군의 부관으로 자원했다.[18] 워싱턴의 권고에 따라 브래독은 군대를 주력 부대와 경장비를 갖춘 "기동 부대"로 나누었다.[19] 심각한 이질을 앓던 워싱턴은 뒤처졌다. 그가 모노가헬라에서 브래독과 합류했을 때, 프랑스군과 그들의 인디언 동맹군은 분열된 군대를 기습 공격했다. 영국군 3분의 2가 사상자를 냈고 브래독은 사망했다. 토마스 게이지 중령의 지휘하에 여전히 심하게 아팠던 워싱턴은 생존자들을 결집시켜 후위를 형성하여 부대의 잔여 병력이 후퇴할 수 있도록 했다.[20] 전투 중에 워싱턴은 두 마리의 말을 잃었고, 그의 모자와 외투에는 총알이 관통했다.[21] 포트 네세시티 전투에서 그의 지휘에 대한 비판자들 사이에서 그의 용맹함은 그의 명성을 회복시켰지만,[22] 그는 후임 사령관(토마스 던바 대령)이 후속 작전 계획에 포함되지 않았다.[23]
1755년 8월, 버지니아 연대가 재편성되었고, 딘위디는 워싱턴을 다시 대령 계급으로 지휘관으로 임명했다. 워싱턴은 거의 즉시 계급 문제로 갈등을 빚었는데, 이번에는 포트 컴벌랜드에 있는 연대 본부에 주둔하고 있는 메릴랜드인 부대를 지휘하는 존 데그워시 대위와 갈등을 빚었다.[24] 포트 뒤케인에 대한 공세를 서두르던 워싱턴은 브래독이 그에게 왕실 임관을 주었을 것이라고 확신했고, 1756년 2월 브래독의 후임인 총사령관 윌리엄 설리에게, 그리고 1757년 1월 설리의 후임인 라우든 경에게 자신의 주장을 했다. 설리는 데그워시 문제에 대해서만 워싱턴의 편을 들었고, 라우든은 워싱턴을 모욕하고 왕실 임관을 거부했으며 포트 컴벌랜드 방어 책임에서 해방시키는 것에만 동의했다.[25]
1758년, 버지니아 연대는 뒤케인 요새를 함락하기 위한 영국 포브스 원정에 배속되었다.[26] 존 포브스 장군은 원정의 일부 측면에 대해 워싱턴의 조언을 받아들였지만 요새로 가는 최적의 경로에 대한 그의 의견은 거부했다.[27] 그럼에도 불구하고 포브스는 워싱턴을 명예 준장으로 임명하고 요새를 공격할 세 개의 여단 중 하나의 지휘권을 맡겼다. 그러나 프랑스군은 공격 전에 요새와 계곡을 버렸고, 워싱턴은 14명이 사망하고 26명이 부상당한 아군의 오인 사격 사건만 목격했다. 좌절한 그는 얼마 후 사임하고 마운트 버넌으로 돌아왔다.[28] 워싱턴의 지휘 아래 버지니아 연대는 10개월 동안 약 482.80km에 달하는 국경을 20차례의 인디언 공격으로부터 방어했다.[29] 그는 연대를 300명에서 1,000명으로 증가시키면서 전문성을 향상시켰다. 그는 왕실 임관을 얻지 못했지만(이 때문에 그는 영국에 적대적인 감정을 품었다)[16] 자기 자신감, 지도력, 영국 군사 전술에 대한 지식을 얻었다. 워싱턴이 목격한 식민지 정치인들 간의 파괴적인 경쟁은 그가 나중에 강력한 중앙 정부를 지지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30]
3. 2. 독립 전쟁 이전
로렌스 워싱턴이 버지니아 민병대의 부관장으로 복무한 것에 영향을 받아, 조지 워싱턴은 장교 임관을 추구했다. 버지니아 부총독 로버트 딘위디는 워싱턴을 소령으로 임명하고 4개 민병대 지역 중 하나의 지휘관으로 임명했다. 당시 영국과 프랑스는 오하이오 강 유역(오하이오 계곡)의 지배권을 놓고 경쟁하고 있었다. 영국은 오하이오 강을 따라 요새를 건설했고, 프랑스는 오하이오 강과 이리 호 사이에 요새를 건설했다.[70]1753년 10월, 딘위디는 워싱턴을 특별 사절로 임명하여 영국이 주장하는 땅에서 프랑스군의 철수를 요구하게 했다. 워싱턴은 이로쿼이 연맹과 평화를 맺고 프랑스군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임무도 받았다.[71] 워싱턴은 로그스타운에서 반왕 타나카리슨을 만나 프랑스에 관한 정보를 수집했다.[72] 워싱턴은 타나카리슨에게 코노토카우리우스라는 별명을 얻었다고 말했다. "마을을 집어삼키는 자"라는 뜻의 이 이름은 17세기 후반에 그의 증조부인 존 워싱턴에게 서스쿼해녹족이 붙여준 것이었다.[73]
워싱턴 일행은 1753년 11월에 오하이오 강에 도착하여 프랑스 순찰대에 체포되었다. 일행은 포르 르 부프로 호송되었고, 워싱턴은 그곳에서 정중한 대접을 받았다. 그는 프랑스 사령관 자크 르가르되르 드 생피에르에게 영국의 철수 요구를 전달했지만, 프랑스는 철수를 거부했다. 생피에르는 며칠간의 지연 후에 워싱턴에게 공식적인 답변과 함께 그의 일행이 버지니아로 돌아갈 수 있도록 식량과 겨울옷을 제공했다.[74] 워싱턴은 어려운 겨울 상황에서 위험한 임무를 완수했고, 그의 보고서가 버지니아와 런던에서 발표되면서 명성을 얻었다.[75]
워싱턴은 미국 독립 전쟁 전후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영국 의회가 식민지에 대한 적절한 대의 없이 세금을 부과하는 것에 반대했으며,[76] 1765년 인지세법을 "억압의 법"으로 여기고 다음 해 그 폐지를 기뻐했다.[77] 그는 1767년 의회가 통과시킨 타운젠드 법에 대한 광범위한 항의를 이끌었고, 1769년 5월 버지니아 주민들에게 영국산 상품 불매를 촉구하는 제안을 제출했으며, 이 법들은 1770년 대부분 폐지되었다.[78] 워싱턴과 다른 식민지 주민들은 또한 1763년 왕실 선포(미국인의 애팔래치아 산맥 서쪽 정착을 금지한)와 미국 서부 토지 투기(워싱턴이 참여한)에 대한 영국의 간섭에 분노했다.[79]
의회는 1774년 보스턴 차 사건에서 매사추세츠 식민지 주민들의 역할에 대한 처벌로 강압 법령을 통과시켰는데, 워싱턴은 이를 "우리의 권리와 특권에 대한 침해"로 보았다.[80] 그해 7월, 그는 조지 메이슨과 함께 페어팩스 카운티 위원회를 위해 결의안 목록을 작성했는데, 여기에는 대서양 노예 무역 종식 촉구도 포함되어 있었고 이는 채택되었다.[81] 8월, 워싱턴은 제1차 버지니아 주 의회에 참석하여 제1차 대륙 의회 대표로 선출되었다.[82] 1774년 긴장이 고조됨에 따라 그는 버지니아 주에서 민병대 훈련을 돕고 의회가 제정한 영국산 상품 불매 운동인 대륙 협회의 시행을 조직했다.[83]
워싱턴은 버지니아주 뉴켄트 군 파만키 강 남쪽에 있는 화이트하우스 플랜테이션에 살고 있던 미망인 마사 커스티스에게 소개되었다. 프랑스-인디언 전쟁 중 휴가를 맞아 고향에 돌아왔을 때, 마사의 친구가 그를 안내했다. 워싱턴은 처음 만난 지 3주 만에 마사의 집을 두 번 방문한 것만으로도 청혼을 했다. 두 사람 모두 27세였으며, 1759년 1월 6일에 마사의 집에서 결혼식을 올렸다. 신혼 부부는 마운트 버넌으로 이사하여, 워싱턴은 상류층 농장주이자 정치적 영향력을 가진 귀족적인 삶을 살았다. 마사의 전 남편, 다니엘 파크 커스티스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의붓자녀 존 파크 커스티스와 마사 파크 커스티스(Patsy)를 키웠고, 두 사람을 애정 어린 마음으로 잭키(Jackie)와 패치(Patsy)라고 불렀다.[84]
워싱턴 부부에게는 친자녀가 없었다. 아마도 워싱턴이 천연두에 걸렸던 것이 원인이며, 그 후 결핵으로 무정자증이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85] 후에 잭키가 죽은 1781년 이후에는 그의 아이들, 엘레노어 파크 커스티스(넬리)와 조지 워싱턴 파크 커스티스(와시)를 키웠다.[86]
워싱턴은 부유한 미망인과 결혼하여 재산을 늘리고 사회적 지위를 높였다. 결혼할 당시 커스티스의 재산 18,000 에이커(73km2) 중 3분의 1에 해당하는 토지를 얻었고, 나머지는 마사의 두 아이들을 위해 관리했다. 그 후에도 자주 자신의 명의로 토지를 늘려갔고, 프랑스-인디언 전쟁의 보상으로 현재 서버지니아에 토지 특허를 받았다. 1775년까지 마운트 버넌은 두 배인 6,500 에이커(26km2)가 되었고 노예 100명 이상을 소유하게 되었다. 워싱턴은 전쟁 영웅이자 대지주로서 존경받았고, 지역 직책을 맡았으며, 1758년부터 버지니아 식민지 의회에도 선출되었다.[87]
워싱턴은 1769년 고조된 식민지의 반항에서 지도적인 역할을 했다. 이때 친구 조지 메이슨이 기초한 제안서에서 타운젠드 법이 폐지될 때까지 영국 제품의 보이콧을 버지니아 식민지에 촉구했다. 영국 의회는 1770년 이 법을 폐지했다. 워싱턴은 동료 시민들의 활동도 적극적으로 지원했다. 1771년 9월 21일, 볼티모어의 상인 조나단 프루먼 주니어를 위해 닐 제임슨에게 편지를 썼다. 프루먼은 자신이 소유한 배가 무허가품을 수출한 혐의로 보스턴의 프리깃 함정에 나포되었고, 배를 되찾기 위해 워싱턴의 도움을 요청했던 것이다.[88]
워싱턴은 1774년의 참을 수 없는 법률의 제정을 "우리의 권리와 주권에 대한 침해"로 간주했다. 7월, 워싱턴은 회의를 주재하고 대륙회의 소집을 요구하는 페어팩스 결의안을 채택했다. 8월, 버지니아 최초의 회의에 참석하여 제1차 대륙회의 대의원으로 선출되었다.[89]
1776년, 토머스 페인의 『상식』을 읽기 전까지는 그는 식민지의 독립을 지지하지 않았다.
4. 독립 전쟁
미국 독립 전쟁이 발발하자, 조지 워싱턴은 대륙군 사령관으로 취임하여 뛰어난 지도력과 판단력으로 독립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다.[3] 그는 전쟁에서 승리한 후, 부귀영화를 바라지 않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워싱턴은 영국 의회가 식민지에 적절한 대의 없이 세금을 부과하는 것에 반대했다.[6] 그는 1765년 인지세법을 "억압의 법"으로 여기고 이듬해 폐지를 기뻐했으며, 타운젠드 법에 대한 항의를 주도했다. 1769년 5월에는 버지니아 주민들에게 영국 상품 불매 운동을 제안하기도 했다. 또한 1763년 왕실 선포와 영국이 미국 서부 토지 투기에 간섭하는 것에 분노했다.
1774년, 의회가 보스턴 차 사건에 대한 처벌로 강압 법령을 통과시키자 워싱턴은 이를 "우리의 권리와 특권에 대한 침해"라고 비판했다. 그는 조지 메이슨과 함께 결의안 목록을 작성했는데, 여기에는 대서양 노예 무역 종식 촉구도 포함되었다. 같은 해 8월, 워싱턴은 제1차 버지니아 주 의회에 참석하여 제1차 대륙 의회 대표로 선출되었다. 그는 버지니아 주에서 민병대 훈련을 돕고 영국산 상품 불매 운동인 대륙 협회의 시행을 조직했다.
1775년 4월 19일, 미국 독립 전쟁이 발발했다. 워싱턴은 제2차 대륙 의회에 합류했고, 1775년 6월 14일 대륙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5] 의회는 아르테마스 워드, 호레이쇼 게이츠, 찰스 리, 필립 스카일러, 나다니엘 그린 등을 그의 주요 참모 장교로 선택했다. 헨리 녹스는 포병 사령관으로, 알렉산더 해밀턴은 부관으로 임명되었다.
1775년 초, 영국군은 보스턴에 주둔했고, 지역 민병대가 도시를 포위했다. 워싱턴은 보스턴 포위전을 지휘하라는 지시를 받고 보스턴으로 향했다.[7] 그는 벤저민 프랭클린이 제안한 개혁을 시작하여 병사들을 훈련시키고 엄격한 규율을 부과했다. 1775년 10월, 조지 3세는 식민지들이 반란을 일으켰다고 선언하고 토마스 게이지 장군을 해임하고 윌리엄 하우 장군으로 대체했다.
1776년 1월, 대륙군은 민병대로 보충되었고, 티콘데로가 요새에서 노획한 노크스의 중포와 합류했다. 워싱턴은 도체스터 고지를 확보하여 영국군을 몰아냈다. 3월 17일, 영국군과 왕당파는 해상으로 대피했고, 워싱턴은 약탈을 금지하는 명령을 내리고 500명의 병사와 함께 도시로 진입했다.
보스턴에서의 승리 후, 워싱턴은 영국군이 뉴욕시로 반격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1776년 4월 13일 뉴욕시에 도착하여 요새 건설을 명령했다. 영국군은 7월 2일에 스태튼 아일랜드에 도착하여 도시를 포위하기 시작했다.
롱 아일랜드 전투에서 하우는 워싱턴의 측면을 공격하여 큰 피해를 입혔고, 워싱턴은 맨해튼으로 후퇴했다. 하우는 평화 협상을 제안했지만, 워싱턴은 장군으로서 외교적 의전을 갖춰 대우받아야 한다고 요구하며 거절했다. 영국 해군은 맨해튼 섬 하부의 요새를 폭격했다. 워싱턴은 포트 워싱턴을 버리고 화이트 플레인스로 이동했다. 하우는 11월에 맨해튼에 병력을 상륙시켜 포트 워싱턴을 점령하고 미국군에게 큰 피해를 입혔다. 워싱턴은 뉴저지를 통해 후퇴했다.
1776년 12월, 워싱턴은 델라웨어 강을 건너 펜실베이니아주로 진입했다. 그는 트렌턴 전투에서 기습 공격을 감행하여 헤시안군에게 승리했다. 1777년 1월 3일, 프린스턴 전투에서 영국 정규군을 공격하여 승리했다. 이러한 승리는 애국자들의 사기를 되살리고 전쟁의 향방을 바꾸었다.
4. 1. 총사령관 임명
미국의 독립 전쟁이 시작되자 그는 식민지군 사령관으로 취임하였고, 명석한 판단력과 탁월한 지도력으로 온갖 악조건과 싸우면서 끝내 승리하여 미국의 독립을 이루었다.[7]1775년 6월 22일, 워싱턴은 보스턴 포위전을 지휘하라는 지시를 받았다.[7] 보스턴으로 향하는 그의 행군 소식이 앞서 전해지면서 그는 어디서나 환영을 받았고, 애국자 운동의 상징이 되었다. 1775년 7월 2일 보스턴에 도착한 워싱턴은 군대를 사찰했지만, 훈련되지 않은 민병대를 발견했다. 상의 후 그는 벤저민 프랭클린이 제안한 개혁, 즉 병사 훈련과 엄격한 규율 부과를 시작했다. 워싱턴은 군의 효율성을 보장하기 위해 장교들에게 신병들의 기술을 파악하고 무능한 장교들을 제거하도록 명령했다. 1775년 10월, 조지 3세는 식민지들이 공공연히 반란을 일으켰다고 선언하고 무능력을 이유로 토마스 게이지 장군을 해임하고 윌리엄 하우 장군으로 대체했다.
단기 계약이 만료됨에 따라 1776년 1월까지 9,600명으로 감소한 대륙군은 민병대로 보충해야 했다. 그들은 곧 티콘데로가 요새에서 노획한 노크스의 중포와 합류했다. 찰스 강이 얼어붙자 워싱턴은 강을 건너 보스턴을 공격하려고 했지만, 게이츠 장군을 비롯한 다른 장교들은 훈련받지 않은 민병대가 방어가 잘 된 요새를 공격하는 것에 반대했다. 대신 그는 영국군을 몰아내기 위해 노크스의 포병을 이용하여 도체스터 고지를 확보하기로 합의했다. 3월 9일, 밤의 엄호 하에 워싱턴의 군대는 보스턴 항구의 영국 함선을 포격했다. 3월 17일, 9,000명의 영국군과 왕당파가 10일간의 혼란스러운 해상 대피를 시작했다. 곧 워싱턴은 약탈하지 말라는 명시적인 명령을 받고 500명의 병사와 함께 도시로 진입했다. 그는 보스턴에서 군사 권한을 행사하지 않고 민간 문제는 지역 당국에 맡겼다.
보스턴에서의 승리 후, 워싱턴은 영국군이 왕당파의 거점인 뉴욕시로 돌아와 반격할 것이라고 정확하게 예측했다. 그는 1776년 4월 13일에 뉴욕시에 도착하여 요새 건설을 명령했다. 또한 점령군에게 민간인과 그들의 재산을 존중하도록 명령하여 보스턴 주민들이 영국군으로부터 겪었던 학대를 피하도록 했다. 100척이 넘는 함선과 수천 명의 병력을 포함한 영국군은 7월 2일에 스태튼 아일랜드에 도착하여 도시를 포위하기 시작했다.
하우의 병력은 정규군 32,000명과 헤센 용병으로 구성되었고, 워싱턴의 병력은 대부분 훈련이 부족한 신병과 민병대로 23,000명이었다. 8월에 하우는 그레이브젠드, 브루클린에 20,000명의 병력을 상륙시켜 워싱턴의 요새에 접근했다. 워싱턴은 자신의 장군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하우의 군대가 8,000명이 조금 넘는다는 부정확한 정보에 근거하여 전투를 선택했다. 롱 아일랜드 전투에서 하우는 워싱턴의 측면을 공격하여 애국자 측에 1,500명의 사상자를 냈고, 영국군은 400명의 사상자를 냈다. 워싱턴은 맨해튼으로 후퇴했다.
하우는 워싱턴을 "조지 워싱턴, Esq."로 지칭하며 평화 협상을 제안했다. 워싱턴은 장군이자 전쟁 당사자로서 외교적 의전을 갖춰 대우받아야 한다고 요구하며 거절했고, "반역자"로 취급될 경우 그의 부하들이 사형당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거부했다. 영국 해군은 맨해튼 섬 하부의 불안정한 토치 요새를 폭격했다. 워싱턴은 의구심에도 불구하고 그린 장군과 퍼트넘 장군의 조언에 따라 포트 워싱턴을 방어했다. 그들은 포트 워싱턴을 지킬 수 없었고, 워싱턴은 요새를 버리고 그의 군대를 북쪽 화이트 플레인스로 이동시켰다. 하우의 추격으로 워싱턴은 포위를 피하기 위해 허드슨 강을 건너 포트 리로 후퇴했다. 하우는 11월에 맨해튼에 병력을 상륙시켜 포트 워싱턴을 점령하고 미국군에게 큰 피해를 입혔다. 워싱턴은 후퇴를 지연시킨 책임이 있었지만, 의회와 그린 장군을 비난했다. 뉴욕시의 왕당파들은 하우를 해방자로 여겼고, 워싱턴이 도시에 불을 질렀다는 소문을 퍼뜨렸다. 이제 5,400명의 병력으로 줄어든 워싱턴의 군대는 뉴저지를 통해 후퇴했다.
4. 2. 초기 전투와 어려움
미국 독립 전쟁이 시작되자 조지 워싱턴은 식민지군 사령관으로 취임하여 온갖 악조건 속에서도 뛰어난 지도력과 판단력으로 승리를 이끌어 미국의 독립을 이루었다.[3] 그는 전쟁에서 승리한 후, 부귀영화를 바라지 않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미국 해군의 기원은 미국 독립 전쟁 당시 영국에 맞서기 위해 1775년에 설립된 대륙해군이다. 그러나 독립 후 재정난으로 1785년 8월에 마지막 전함인 얼라이언스를 매각하면서[108][109] 미 해군은 사실상 해체되었다. 이후 미 해군의 명맥을 이은 것은 1790년 재무장관 알렉산더 해밀턴의 권유로 설립된 밀수 감시 해병 정도였다.[110][111]
식민지 시절에는 영국 해군의 보호를 받았으나, 독립 후 미국 상선은 바르바리 해적의 표적이 되었다.[115] 미국은 바르바리 국가들에게 안전통행세를 지불하는 조약을 맺었으나,[116][117] 점차 금액이 올라가고 나포 사건도 발생하자 1794년 3월 27일 미 의회는 '미해군 무장법 1794'(Naval Act of 1794)를 통과시켰고, 워싱턴 대통령이 서명하여 발효되었다.[119][118] 이 법안으로 해군이 재건되었고, 실질적으로 미국 해군이 창설되었다.
1795년 9월 5일, 미국과 알제 사이에 평화 협정이 체결되었다.[118] 1794년 해군법 제9조에 따라 6척에 대한 건조가 모두 중단됐다.[119] 워싱턴 대통령은 의회와 논의하여 1796년 4월 20일 준공에 가장 가까운 3척의 선박 건조 자금을 지원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120]
1754년, 워싱턴은 버지니아 연대의 부사령관으로 임명되어 오하이오 강 합류점에 있는 프랑스군과 대치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워싱턴은 방어 진지를 구축하고 프랑스군을 공격하기로 결정했다. 1754년 5월 28일, 워싱턴은 매복 공격을 감행하여 프랑스군을 살해했다. 이 사건은 프랑스-인디언 전쟁을 촉발시킨 사건 중 하나가 되었다.[4]
포트 네세시티 전투에서 워싱턴은 항복했고, 자신도 모르게 주몽빌을 "암살"한 책임을 지는 항복 문서에 서명했다.[3] 워싱턴은 강등을 거부하고 사임했다.
1755년, 워싱턴은 에드워드 브래독 장군의 부관으로 자원했다. 모노가헬라 전투에서 영국군은 큰 피해를 입었고, 워싱턴은 용맹함을 보여주었지만 후임 사령관의 작전 계획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1755년 8월, 워싱턴은 다시 대령 계급으로 버지니아 연대 지휘관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라우든 경에게 왕실 임관을 요청했지만 거부당했다.
1758년, 워싱턴은 포브스 원정에 참여하여 명예 준장으로 임명되었다. 프랑스군은 공격 전에 요새를 버렸고, 워싱턴은 아군의 오인 사격 사건만 목격한 후 사임하고 마운트 버넌으로 돌아왔다. 워싱턴은 지휘 아래 버지니아 연대를 이끌며 국경을 방어하고 연대의 전문성을 향상시켰다. 그는 왕실 임관을 얻지 못했지만,[3] 자신감, 지도력, 영국 군사 전술에 대한 지식을 얻었다.
워싱턴은 미국 독립 전쟁 전후로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 그는 영국 의회의 적절한 대의 없는 세금 부과에 반대했다.
의회는 1774년 보스턴 차 사건에 대한 처벌로 강압 법령을 통과시켰는데, 워싱턴은 이를 "우리의 권리와 특권에 대한 침해"로 보았다. 그는 조지 메이슨과 함께 결의안 목록을 작성했고, 제1차 대륙 의회 대표로 선출되었다. 1774년 긴장이 고조됨에 따라 그는 버지니아 주에서 민병대 훈련을 돕고 대륙 협회의 시행을 조직했다.
미국 독립 전쟁은 1775년 4월 19일에 발발했다. 워싱턴은 제2차 대륙 의회에 합류했고, 1775년 6월 14일 대륙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5]
의회는 그의 주요 참모 장교들을 선택했다. 헨리 녹스는 포병 사령관으로, 알렉산더 해밀턴은 부관으로 임명되었다.
워싱턴은 처음에 흑인 병사의 입대를 금지했지만, 1777년 말 인력 부족으로 금지를 뒤집었다.[6]
1775년 초, 영국군은 보스턴에 주둔했고, 지역 민병대가 도시를 포위했다. 워싱턴은 1775년 6월 22일 보스턴 포위전을 지휘하라는 지시를 받았다.[7] 그는 병사들을 훈련시키고 엄격한 규율을 부과했다. 1775년 10월, 조지 3세는 식민지들이 반란을 일으켰다고 선언하고 윌리엄 하우 장군으로 대체했다.
1776년 1월, 대륙군은 민병대로 보충되었고, 티콘데로가 요새에서 노획한 노크스의 중포와 합류했다. 워싱턴은 도체스터 고지를 확보하여 영국군을 몰아냈다. 3월 17일, 영국군과 왕당파는 해상 대피를 시작했다. 워싱턴은 약탈하지 말라는 명령을 받고 도시로 진입했다.
워싱턴은 영국군이 뉴욕시로 반격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1776년 4월 13일에 뉴욕시에 도착하여 요새 건설을 명령했다. 영국군은 7월 2일에 스태튼 아일랜드에 도착하여 도시를 포위하기 시작했다.
롱 아일랜드 전투에서 하우는 워싱턴의 측면을 공격하여 큰 피해를 입혔고, 워싱턴은 맨해튼으로 후퇴했다.
하우는 평화 협상을 제안했지만, 워싱턴은 장군으로서 외교적 의전을 갖춰 대우받아야 한다고 요구하며 거절했다. 영국 해군은 맨해튼 섬 하부의 요새를 폭격했다. 워싱턴은 포트 워싱턴을 버리고 화이트 플레인스로 이동했다. 하우는 11월에 맨해튼에 병력을 상륙시켜 포트 워싱턴을 점령하고 미국군에게 큰 피해를 입혔다. 워싱턴은 뉴저지를 통해 후퇴했다.
워싱턴은 델라웨어 강을 건너 펜실베이니아주로 진입했다. 식량 부족, 혹독한 겨울 등으로 대륙군의 미래는 불확실했다. 워싱턴은 트렌턴에 대한 기습 공격을 계획했다.
워싱턴은 더럼 보트를 찾고 영국군이 사용할 수 있는 선박을 파괴하도록 명령했다. 미군은 진눈깨비와 눈 속을 행군하여 헤시안군에 대한 기습 공격을 감행했다. 헤시안군은 큰 피해를 입었고, 많은 수가 포로로 잡혔다.
워싱턴은 델라웨어 강을 건너 펜실베이니아로 후퇴한 후 1777년 1월 3일에 뉴저지로 돌아와 공격을 개시하여 프린스턴에서 영국 정규군을 공격했다. 미군 장군 휴 머서가 치명상을 입었지만, 워싱턴이 반격을 이끌어 영국군을 물리쳤다. 하우는 뉴욕시로 후퇴했고, 워싱턴은 뉴저지주 모리스타운의 아놀드 여관에 겨울 막사를 차렸다. 모리스타운에 있는 동안 워싱턴의 부대는 영국군의 보급선을 방해하고 뉴저지 일부 지역에서 영국군을 몰아냈다. 트렌턴과 프린스턴에서의 워싱턴의 승리는 애국자들의 사기를 되살리고 전쟁의 향방을 바꾸었다.
조지 워싱턴은 대통령 취임 후 국무장관에 토마스 제퍼슨, 재무장관에 알렉산더 해밀턴 등을 요직에 임명했다. 워싱턴은 정당이 국가를 분열시키는 근원이라고 생각했다. 그는 공화주의자를 중심으로 균형을 중시한 인사를 했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두 조언자는 당파를 형성하여 제1정당제 시대를 열게 되었다. 알렉산더 해밀턴은 연방당의 기초를 구축했고, 토마스 제퍼슨은 민주공화당의 설립자였으며, 해밀턴의 정책에 강하게 반대했다. 워싱턴은 제퍼슨보다 해밀턴을 더 지지했다.
또한, 인디언에 대해서는 절멸 정책을 채택했다. 뉴잉글랜드 지역의 인디언 부족에 대해서는 모두 죽이라고 명령했다.
이름 | 임명 연도 |
---|---|
존 제이 | 1789년 |
존 러트리지 | 1795년 |
올리버 엘스워스 | 1796년 |
제임스 윌슨 | 1789년 |
존 러트리지 | 1790년 |
윌리엄 커싱 | 1790년 |
존 블레어 | 1790년 |
제임스 아이어들 | 1790년 |
토머스 존슨 | 1792년 |
윌리엄 패터슨 | 1793년 |
새뮤얼 체이스 | 1796년 |
주 이름 | 가입 연도 | 순서 |
---|---|---|
노스캐롤라이나주 | 1789년 11월 21일 | 12번째 주 |
로드아일랜드주 | 1790년 5월 29일 | 13번째 주 |
버몬트주 | 1791년 5월 4일 | 14번째 주 |
켄터키주 | 1792년 6월 1일 | 15번째 주 |
테네시주 | 1796년 6월 1일 | 16번째 주 |
1791년, 의회는 증류주에 소비세를 부과했는데, 이것이 펜실베이니아주 변방에서 항의를 불러일으켰다. 1794년, 워싱턴은 항의자들에게 연방 법정에 출두하도록 명령했지만, 이는 위스키 반란으로 변했다. 워싱턴은 1792년 민병대법을 제정하고 여러 주에서 민병대를 소집했다. 주지사들이 군대를 보내고 워싱턴이 지휘하여 반란 지역으로 진군했다.[82]
전투는 없었지만, 워싱턴의 과시 행위는 새로운 정부가 스스로를 지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재임 중인 대통령이 전장에서 군대를 지휘한 것은 지금까지 두 번 있었는데, 이것이 그 첫 번째였다. 또 한 번은 미영 전쟁 때 백악관이 불타는 것을 목격한 제임스 매디슨이었다. 이러한 사건들은 신헌법 하에서 연방 정부가 강력한 군사력을 사용하여 각 주와 시민들에게 권위를 행사한 첫 번째 기회가 되었다.
4. 3. 전환점과 승리
미국 독립 전쟁이 시작되자 조지 워싱턴은 식민지군 사령관으로 취임하여 뛰어난 지도력으로 승리를 이끌었다.[5] 그는 전쟁에서 승리한 후, 아무 미련 없이 고향으로 돌아갔다.1794년 영국과 체결한 제이 조약으로 프랑스와 관계가 악화되었는데, 이는 XYZ 사건이라는 뇌물 스캔들로 이어졌다.[121] 프랑스는 워싱턴이 임명한 주 프랑스 신임 공사의 부임을 거부하며 외교 보복을 했고, 양국 간에는 전쟁 분위기가 흘렀다. 1798년 프랑스가 미국 상선들을 나포하자, 미국 의회는 군함 건조를 위한 자금을 승인했고, 양국은 해상에서 무력 충돌을 벌였다. (\유사전쟁)
워싱턴은 미국 독립 전쟁 전후로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영국 의회가 식민지에 대한 적절한 대표 없이 세금을 부과하는 것에 반대했다.[6] 그는 1765년 인지세법을 "억압의 법"으로 여기고 이듬해 폐지를 기뻐했다. 그는 1767년 의회가 통과시킨 타운젠드 법에 대한 항의를 이끌었고, 1769년 5월 버지니아 주민들에게 영국산 상품 불매를 촉구하는 제안을 제출했다. 워싱턴과 다른 식민지 주민들은 1763년 왕실 선포(미국인의 애팔래치아 산맥 서쪽 정착을 금지한)와 미국 서부 토지 투기(워싱턴이 참여한)에 대한 영국의 간섭에 분노했다.
1775년 4월 19일, 미국 독립 전쟁이 발발했다. 워싱턴은 1775년 5월 4일 제2차 대륙 의회에 합류했다. 1775년 6월 14일, 의회는 대륙군을 창설했고 존 애덤스는 군 경험과 버지니아 출신이라는 점을 들어 워싱턴을 사령관으로 지명했다. 그는 다음 날 의회에서 만장일치로 선출되었다.[7] 워싱턴은 6월 19일 "미합중국 군대와 그들이 창설했거나 창설할 모든 군대의 장군이자 사령관"으로 임관되었다.
워싱턴은 보스턴 포위전을 지휘하라는 지시를 받고 1775년 7월 2일 보스턴에 도착하여 훈련되지 않은 민병대를 훈련시키고 규율을 부과했다. 1776년 3월, 워싱턴 군대는 도체스터 고지를 확보하여 영국군을 몰아냈다.
보스턴에서의 승리 후, 워싱턴은 영국군이 뉴욕시로 반격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1776년 4월 13일 뉴욕시에 도착하여 요새 건설을 명령했다. 8월, 롱 아일랜드 전투에서 영국군에게 패배한 후, 워싱턴은 맨해튼으로 후퇴했다. 이후 포트 워싱턴을 방어했지만, 11월에 함락되자 뉴저지를 통해 후퇴했다.
1776년 12월, 워싱턴은 델라웨어 강을 건너 펜실베이니아주로 진입했다. 그는 트렌턴 전투에서 기습 공격을 감행하여 헤시안군에게 승리했다. 1777년 1월 3일, 프린스턴 전투에서 영국 정규군을 공격하여 승리했다. 이러한 승리는 애국자들의 사기를 되살리고 전쟁의 향방을 바꾸었다.
4. 4. 전후 처리
미국의 독립전쟁이 시작되자 그는 식민지군 사령관으로 취임하여 뛰어난 지도력으로 승리를 이끌어 미국 독립을 달성했다.[7] 전쟁에서 승리한 후, 그는 부귀영화를 바라지 않고 고향으로 돌아갔다.워싱턴은 1765년 인지세법을 "억압의 법"으로 여기고 폐지를 기뻐했으며, 타운젠드 법에 대한 항의를 이끌었다. 또한 1763년 왕실 선포와 영국이 미국 서부 토지 투기에 간섭하는 것에 분노했다.
의회가 보스턴 차 사건에 대한 처벌로 강압 법령을 통과시키자, 워싱턴은 이를 "우리의 권리와 특권에 대한 침해"로 보았다. 그는 조지 메이슨과 함께 결의안 목록을 작성했는데, 여기에는 대서양 노예 무역 종식 촉구도 포함되어 있었다. 이후 제1차 버지니아 주 의회에 참석하여 제1차 대륙 의회 대표로 선출되었다. 그는 버지니아 주에서 민병대 훈련을 돕고 영국산 상품 불매 운동인 대륙 협회의 시행을 조직했다.
1775년, 보스턴에 주둔한 영국군 사령관 토마스 게이지 장군이 이끄는 영국군을 지역 민병대가 포위했다. 워싱턴은 보스턴 포위전을 지휘하라는 지시를 받고 보스턴으로 향했다.[7] 그는 벤저민 프랭클린이 제안한 개혁을 시작하여 병사들을 훈련시키고 엄격한 규율을 부과했다. 1775년 10월, 조지 3세는 식민지들이 반란을 일으켰다고 선언하고 게이지 장군을 해임하고 윌리엄 하우 장군으로 대체했다.
1776년 1월, 대륙군은 민병대로 보충되었고, 티콘데로가 요새에서 노획한 노크스의 중포와 합류했다. 워싱턴은 도체스터 고지를 확보하여 영국군을 몰아냈다. 3월 17일, 영국군과 왕당파는 해상으로 대피했고, 워싱턴은 약탈을 금지하는 명령을 내리고 500명의 병사와 함께 도시로 진입했다.
1777년 7월, 영국군 장군 존 버고인이 사라토가 원정을 이끌고 뉴잉글랜드를 분할하려 했다. 그러나 하우 장군은 군대를 필라델피아로 남하시켰다. 워싱턴은 하우와 교전하기 위해 필라델피아로 서둘렀으나, 브랜디와인 전투에서 패배했다. 10월에는 저먼타운에서 영국군에 대한 공격이 실패했다.
뉴욕주에서는 호레이쇼 게이츠 장군이 지휘를 맡았다. 워싱턴은 베네딕트 아놀드와 벤자민 린컨 장군과 함께 북쪽으로 증원군을 파견했다. 1777년 10월 7일, 버고인은 베미스 하이츠를 점령하려 했지만 고립되어 항복했다. 게이츠의 승리는 워싱턴의 비평가들을 당황하게 했다.[8]

조지 워싱턴의 퇴임 연설(1796년)은 미국의 정치적 가치관에 큰 영향을 미쳤다.[83] 그는 국가 통합, 헌법의 가치와 법 준수, 정당 정치의 폐해, 공화정 하에서 국민에게 적합한 미덕에 대해 조언했다. 그는 도덕이 “대중의 지지를 받는 정부에 필요한 원천”이며, 종교의 가치는 사회의 이익을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84]
워싱턴은 국내 문제에 대한 외국의 영향과 미국이 유럽 문제에 개입하는 것에 대해 경고했다. 그는 국민들에게 당파를 초월하여 공공의 이익을 위해 봉사할 것을 촉구했다. 또한, 외국에 대한 채무가 없어야 하며, 모든 국가와의 우호와 교역을 권장했지만, 유럽 전쟁에 휘말리거나 장기적인 동맹을 맺는 것에 대해 경고했다. 이 연설은 종교와 외교에 관한 미국의 가치관을 형성했다.
5. 초기 공화국 (1783–1789)
조지 워싱턴은 독립 전쟁 이후 연합 규약 하의 약한 중앙 정부에 대한 불만을 품고 있었다. 그는 강력한 연방 정부의 필요성을 느껴 1787년 제헌 회의 소집에 영향을 주었다. 이후 워싱턴은 1789년 미국 초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여 미국 역사상 유일하게 만장일치로 대통령에 당선되었다.[7] 당시 13개 주 중 뉴욕주를 제외한 12개 주에서 선출된 69명의 선거인단은 각각 2표씩 행사할 수 있었는데, 모두 한 표씩 조지 워싱턴에게 투표하였다. 다른 표는 다른 11명의 후보들에게 돌아갔으며, 그 중 가장 많은 표를 얻은 존 애덤스가 초대 부통령이 되었다.
5. 1. 마운트 버넌으로 귀환

1797년 3월 대통령직에서 물러난 워싱턴은 해방감을 느끼며 마운트 버넌으로 돌아왔다. 그 해 그는 농장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고, 2,250 평방피트 (200m2) 규모의 증류소를 건설했는데, 이는 당시 미국에서도 최대 규모였다.[85] 증류소 내부에는 5개의 구리 증류기, 1개의 보일러, 50개의 맥아통이 있었고, 농장 내에서도 농업으로 수익을 내지 못하는 곳에 지어졌다. 2년 후 생산량이 최대치에 달해, 7500USD 상당의 옥수수 위스키와 라이 위스키 42kL와 과일 브랜디를 생산했다.[86]
1798년, 프랑스와의 전쟁 위협에 직면하여 미국 육군의 중장으로서 최고 사령관으로 재임명되었다. 워싱턴의 임명은 프랑스에 대한 경고였다. 그러나 같은 해 그는 급성 후두염에 걸려 현역으로 복무할 수 없었다.
1799년 12월 12일, 워싱턴은 말을 타고 눈, 우박, 매서운 비 속에서 몇 시간 동안 순찰을 돌았다. 그날 밤 그는 젖은 옷을 갈아입지 않고 식탁에 앉았다. 다음날 아침 그는 오한과 발열을 느꼈고, 화농성 편도선염이라는 인후 감염에 걸렸다. 이것이 급성 후두염과 폐렴으로 악화되면서 워싱턴의 상태는 급격히 나빠졌고, 12월 14일 67세의 나이로 자택에서 사망했다. 마지막까지 그를 간호한 사람은 절친한 친구 중 한 명인 제임스 크레이크 의사와 개인 비서인 토비아스 리어였다. 리어의 일기에는 워싱턴의 마지막 말이 "그것은 좋다"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의 아내 마사는 사생활 보호를 위해 남편과 주고받은 편지를 태웠지만, 3통만 남게 되었다.
현대 의학자들은 워싱턴이 연쇄구균에 의한 인후 감염병 또는 사혈로 인한 대량 출혈과 탈수증 합병증으로 사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는 마운트 버넌의 가족 묘지에 매장되었다. 워싱턴 사후 마운트 버넌은 조카이자 미국 연방 대법원 판사인 부시로드 워싱턴이 상속받았다.
독립 전쟁 당시 동료이자 하원 의원이었던 헨리 라이트호스 해리 리는 워싱턴을 "전쟁 중에, 평화 중에, 그리고 그의 동포의 마음속에서 가장 위대한 시민"이라고 칭찬했다.
워싱턴 사후, 미국 육군은 그의 이름을 "예편" 명부에 올렸다. 생애 육군 원수 직위에 있었던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다만, 대통령 재임 중에는 군 복무를 떠났다)를 제외하면, 조지 워싱턴은 대통령직에서 물러난 후 군에 재복무한 유일한 대통령이다. 미국 건국 200주년이 되는 1976년에 미국 의회는 워싱턴에게 군 최고 계급인 육군 원수(General of the Armies of the United States)의 칭호를 수여하기로 결의하고, 대통령에게 1976년 7월 4일자 승진을 요청했다.[87] 1978년 미국 육군성은 워싱턴을 그 계급으로 서임했다.[88]
5. 2. 제헌 회의 (1787)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제헌 회의 (1787)'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없다. 따라서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다.5. 3. 초대 대통령 선거
1787년 버지니아주 대표였던 조지 워싱턴은 약 2년 후인 초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여 미국 역사상 유일하게 만장일치로 당선되었다.[7] 대통령 지명권을 가진 선거인단 투표에서, 13개 주 중 연방제 반대의견으로 선거인단을 지명하지 못했던 뉴욕주를 제외한 12개 주로부터 선출된 69명의 선거인단은 각각 2표씩 행사할 수 있었는데, 그들은 모두 한 표씩 조지 워싱턴에게 투표하였다. 다른 표는 다른 11명의 후보들에게 돌아갔는데, 그 중 가장 많은 표를 얻은 존 애덤스는 당시 헌법에 따라 미국의 초대 부통령으로 당선되었다.6. 대통령 재임 (1789–1797)
초대 대통령 선거에서 조지 워싱턴은 미국 역사상 유일하게 만장일치로 대통령에 당선되어 취임하였다. 워싱턴은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연방주의자와 반연방주의자 간의 갈등을 조정하고, 위스키 반란을 진압하여 연방 정부의 권위를 확립했다. 대외적으로는 중립 외교를 통해 제이 조약을 체결하여 영국과의 관계를 개선하고자 했으나, 프랑스와의 관계가 악화되기도 했다.
6. 1. 첫 번째 임기 (1789-1793)
초대 대통령 선거에서 조지 워싱턴은 미국 역사상 유일하게 만장일치로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당시 13개 주 중 뉴욕주를 제외한 12개 주에서 선출된 69명의 선거인단은 모두 워싱턴에게 투표했다. 다른 후보들에게 분산된 표 중 가장 많은 표를 얻은 존 애덤스는 당시 헌법에 따라 초대 부통령이 되었다.취임 후 워싱턴은 188cm의 큰 키와 당당한 체구로 돋보였다. 미국 독립 전쟁을 승리로 이끈 영웅이었지만, 그의 인품은 군인으로서의 명성 못지않게 빛났으며, 특히 대통령직에서 깨끗하게 물러나는 모습은 귀감이 되었다.

초대 대통령으로 취임했지만, 대부분의 국민들은 대통령이라는 자리에 대해 잘 이해하지 못했다. 워싱턴 자신도 스스로를 '선출된 국왕'이라고 생각하여 국왕처럼 행동했다. 그는 자신을 3인칭으로 칭하는 등 국왕과 같은 칭호를 선호했고, 위엄 있는 몸가짐으로 국왕처럼 대접받기를 원했다. 유럽 왕실을 본받아 접견회와 파티를 열고, 영국과 프랑스 국왕처럼 미국 전역을 호화롭게 여행했으며, 국민들은 국왕을 맞이하듯 화려한 축하 행사로 그를 환영했다. 워싱턴은 대외 관계에서 대통령이 최고 지도자의 지위를 갖는다는 것을 주장하고 실현하였다. 그러나 초대 대통령의 권한은 매우 제한적이었으며, 20세기까지 의회가 정국을 주도하였다.[102]
워싱턴이 대통령으로 취임한 1789년부터 약 10년 간은 미국 역사상 연방주의자(Federalist Party)와 반연방주의자(Anti-Federalism) 간의 분열과 다툼이 매우 심한 시기였다. 알렉산더 해밀턴이 이끄는 연방주의자들은 강력한 중앙정부를 만들려고 했고, 토머스 제퍼슨이 이끄는 반연방주의자들은 각 연방의 독립과 자유를 지키려고 했다. 워싱턴은 두 파의 인물들을 고르게 등용하여 균형을 잡았고, 유혈 충돌로 번질 수 있는 사태를 조정하였다.
서부 농민들은 곡물 운송의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곡물로 위스키를 만들어 팔았는데, 초대 재무장관 해밀턴이 연방 재정 수입을 늘리기 위해 주류에 연방세를 부과하자 이에 항의하며 1794년 위스키 반란이 일어났다. 이는 연방 정부 성립 후 최초의 시련이자 정부 권위에 대한 도전이었다. 워싱턴은 주 민병대를 소집해 직접 군대를 이끌었고, 반란군들을 완전히 분쇄시키며 공권력의 엄중함과 단호함을 보여주었다.[103]
6. 2. 두 번째 임기 (1793-1797)
워싱턴은 두 번째 임기 동안 국내외적으로 여러 도전에 직면했다. 국내적으로는 알렉산더 해밀턴이 이끄는 연방주의자와 토머스 제퍼슨이 이끄는 반연방주의자 간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연방주의자는 강력한 중앙 정부를 추구했고, 반연방주의자는 각 주의 독립과 자유를 강조했다. 워싱턴은 이러한 갈등을 조정하기 위해 노력했다.[102]1794년에는 위스키 반란이 발생했다. 서부 농민들은 곡물 운송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곡물을 위스키로 만들어 판매했는데, 해밀턴이 연방 재정 수입을 늘리기 위해 주류에 연방세를 부과하자 이에 반발한 것이다. 이는 연방 정부 성립 후 최초의 시련이었으며, 워싱턴은 주 민병대를 소집하여 직접 군대를 이끌고 반란을 진압함으로써 연방 정부의 권위를 확립했다.[103]
대외적으로는 1793년 1차 대불동맹 전쟁 발발 이후 중립을 선언하면서 영국과의 관계가 악화되었다.[104] 영국은 프랑스령 서인도 제도를 해상 봉쇄하고 프랑스와의 교역을 막기 위해 미국 상선을 나포했다.[104] 이에 워싱턴은 1794년 존 제이를 특사로 영국에 파견하여 제이 조약을 체결, 영국과의 관계를 개선하고자 했다.[106] 그러나 이는 프랑스를 배신한 행위로 간주되어 프랑스와의 관계가 악화되었고, XYZ 사건으로 이어져 양국 간 갈등이 심화되었다.[107]
6. 3. 퇴임 연설
1797년 두 번에 걸친 임기가 끝나자 모든 사람은 그가 사망할 때까지 종신 대통령직에 머물러줄 것을 간청했지만, 그는 단호히 거절했다. 3번씩 임기를 맡는다면 장기 집권을 위한 무서운 정치 싸움이 벌어질 것을 염려해 임기를 2번만 수행했다.[7] 대통령직을 떠나면서 그는 유명한 '고별사'를 발표했고 이는 오늘날까지도 미국인의 신념에 신성한 사료로 남아 있다. 그는 이 고별사에서 무엇보다 통일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미국민들에게는 정당 간 극심한 대립에 대해 경고했으며, 대외적으로는 외국에 지나치게 종속되거나 과한 적대감을 가지는 것을 경계했다.[7]7. 퇴임 이후 (1797–1799)
1797년 두 번에 걸친 임기가 끝나자 모든 사람은 그가 사망할 때까지 종신 대통령직에 머물러줄 것을 간청했지만 그는 단호히 거절했다. 그가 3번씩 임기를 맡는다면 장기 집권을 위한 무서운 정치 싸움이 벌어질 것을 염려해 임기를 2번만 수행했다. 대통령직을 떠나면서 그는 유명한 '고별사'를 발표했고 이는 오늘날까지도 미국인의 신념에 신성한 사료로 살아 있다. 그는 이 고별사에서 무엇보다 통일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미국민들에게는 정당 간 극심한 대립에 대해 경고하고 대외적으로는 외국에 지나치게 종속되는 것과 과한 적대감을 경계했다.[7]
임기를 마친 그는 미련 없이 자신의 사저가 있는 마운트버넌으로 돌아갔고 2년 뒤인 1799년 향년 67세로 세상을 떠났다. 그가 세운 두 번까지만 대통령으로 재임한다는 전통은 1940년 프랭클린 D. 루스벨트가 깼다. 그 뒤 수정헌법 22조에 3선 출마금지, 타인의 임기로 2년 이상 대통령으로 재임하는 사람은 2번 이상 대통령에 당선될 수 없다는 조항을 추가할 때까지 철칙처럼 지켜온 절제의 미덕이었다.(임기 4년으로 2회, 최장 8년까지 가능) 수정헌법 22조에 대통령 3선 출마금지법은 워싱턴의 전통을 계승, 강화한 것이라 볼 수 있다.[7]
그는 미국 건국의 아버지인 초대 대통령이자, 떠날 때에는 떠나는 지도자의 모습을 보여준 대통령이다. 귀족정치를 지지하고 비록 황제처럼 행동하여 정치를 결코 대중화하지는 않았지만 미국의 대중민주주의를 창조하는 데 큰 역할을 한 사람이다.[7]
예비역 미국 육군 중장 출신이던 그에게 사후 1862년 2월 22일에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이 명예역 미국 육군 대장 계급을 추서했으며 1869년 12월 14일에 율리시스 그랜트 대통령이 명예역 미국 육군 원수 계급을 추서했다. 그 107년이 지난 뒤 1976년 7월 4일에 제럴드 포드 대통령이 명예역 미국 대원수 계급을 추서했다.[7]
8. 개인 생활
조지 워싱턴은 1732년 2월 22일[1] 팝스 크리크에서 아버지 어거스틴과 어머니 메리 볼 워싱턴 사이의 여섯 자녀 중 첫째로 태어났다. 1735년 가족은 리틀 헌팅 크리크로 이사했다가 버지니아주 프레더릭스버그 근처 페리 농장에 정착했다. 1743년 아버지가 사망하자 워싱턴은 페리 농장과 노예 10명을 상속받았고, 이복형 로렌스는 리틀 헌팅 크리크를 상속받아 마운트 버논으로 개명했다.
워싱턴은 버지니아주 하트필드의 로워 처치 학교에 다니며 수학과 토지 측량을 배워 재능 있는 제도사이자 지도 제작자가 되었다. 10대 시절에는 ''예절 규칙''을 편집하기도 했다.
워싱턴은 종종 마운트 버논과 윌리엄 페어팩스의 농장인 벨보어를 방문했는데, 페어팩스는 그의 후원자이자 대리 아버지가 되었다. 1748년 워싱턴은 페어팩스의 셰넌도어 밸리 부동산을 측량하는 팀과 함께 한 달을 보냈고, 이듬해 윌리엄 앤 메리 대학교에서 측량사 면허를 받았다.[2] 토마스 페어팩스는 그를 버지니아주 컬페퍼 카운티의 측량사로 임명했으며, 1749년 7월 20일에 취임 선서를 했다. 1750년에 측량사 직에서 사임했지만 1752년까지 측량 작업을 계속했다.[2] 1752년까지 그는 밸리에 약 1500acre를 구입했고 2315acre를 소유했다.
1751년, 워싱턴은 형 로렌스의 결핵 치료를 위해 함께 바베이도스로 갔다. 이는 워싱턴이 북아메리카 본토를 떠난 유일한 경험이었다. 그 여행 중 워싱턴은 천연두에 걸려 얼굴에 약간의 흉터가 남았다. 1752년 로렌스가 사망하자 워싱턴은 그의 미망인 앤으로부터 마운트 버논을 임대했으며, 1761년 그녀가 사망한 후에는 완전히 상속받았다.
1759년 1월 6일, 26세의 워싱턴은 부유한 농장주 다니엘 파크 커스티스의 27세 미망인 마사 댄드리지 커스티스와 결혼했다. 지적이고 우아하며 농장 경영에도 경험이 풍부했던 마사와 워싱턴은 행복한 결혼 생활을 했다. 이들은 알렉산드리아 근처의 마운트 버넌으로 이사하여 담배와 밀을 재배했다. 이 결혼으로 워싱턴은 마사가 소유한 18000acre 규모의 커스티스 영지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지참금에 대한 권한을 얻었고, 마사의 자녀들을 위해 나머지 3분의 2를 관리했다. 이 영지에는 84명의 노예가 포함되어 있어, 워싱턴은 버지니아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 중 한 명이 되었고 사회적 지위도 높아졌다.
워싱턴의 촉구로 보테투르 경 주지사는 프랑스-인디언 전쟁 중 자원 봉사 민병대에게 토지 보상을 약속했던 딘위디의 1754년 약속을 이행했다. 1770년 후반, 워싱턴은 오하이오와 그레이트 카나와 지역의 토지를 조사했고, 측량사 윌리엄 크로포드에게 세분화를 의뢰했다. 크로포드는 워싱턴에게 23200acre를 할당했는데, 워싱턴은 재향군인들에게 그들의 토지가 언덕이 많고 농사짓기에 적합하지 않다고 말하며 20147acre를 매입하여 일부 사람들에게 속았다는 느낌을 주었다. 그는 또한 마운트 버넌의 크기를 6500acre로 두 배로 늘렸고, 1775년까지 노예 인구를 100명 이상 증가시켰다.
존경받는 군인 영웅이자 대지주였던 워싱턴은 지역 공직을 역임했고, 1758년부터 7년 동안 프레더릭 카운티를 대표하는 버지니아 하우스 오브 버지스에 선출되었다. 의회 경력 초기에는 회의에 거의 참석하지 않고 발언도 거의 하지 않았지만, 1760년대부터 영국의 미국 식민지에 대한 과세 정책과 상업주의 정책을 비판하는 저명한 인물로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 워싱턴은 담배를 수출하여 영국에서 사치품과 기타 상품을 수입했는데, 낭비적인 소비와 낮은 담배 가격으로 1764년까지 1,800파운드의 부채를 지게 되자 소유물을 다양화하기로 했다. 런던의 담배 구매상이자 상인인 로버트 캐리에게 전적으로 의존했기 때문에 경제적 안보가 위협받았기 때문이다. 1764년에서 1766년 사이에 그는 마운트 버넌의 주요 상품 작물을 담배에서 밀로 바꾸고, 제분과 삼 농업을 포함하여 사업을 확장했다. 워싱턴은 곧 버지니아의 정치 및 사회 엘리트 중 한 명으로 여겨졌다. 워싱턴의 의붓딸 패트시는 12세부터 간질 발작을 겪었고, 1773년 마운트 버넌에서 사망했다. 워싱턴은 모든 사업 활동을 취소하고 3개월 동안 매일 밤 마사와 함께 있었다.
워싱턴은 1751년 천연두에 걸린 후 불임이 된 것으로 여겨지지만, 마사가 막내딸 패트시를 출산하는 동안 부상을 입어 더 이상 출산이 불가능해졌을 가능성도 있다. 부부는 함께 아이를 갖지 못한 것을 애석해했다. 두 사람은 마사의 자녀인 존 파크 커스티스(잭키)와 마사 파크 커스티스(패트시), 그리고 후에 잭키의 두 막내 자녀인 엘레노어 파크 커스티스(넬리)와 조지 워싱턴 파크 커스티스(와시)를 비롯해 많은 조카들을 함께 키웠다.[35]
워싱턴은 다소 내성적인 성격이었지만, 강한 카리스마를 지녔다. 필요할 때 연설과 발표를 했지만, 유명한 연설가나 논객은 아니었다. 그는 당시 사람들보다 키가 컸는데, 기록에 따르면 6피트(약 183cm)에서 6피트 3.5인치(약 192cm)까지 다양하다.[38] 힘이 센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회색빛 파란 눈과 긴 붉은 갈색 머리를 가졌으며, 가발을 쓰지 않고 당시 유행에 따라 머리를 곱슬거리게 하고 가루를 뿌린 후 댕기머리로 묶었다.[39]
일생 동안 대체로 건강했지만, 워싱턴은 심각한 충치를 앓아 결국 하나를 제외한 모든 이를 잃었다.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여러 개의 의치를 사용했는데, 일반적인 통념과는 달리 나무가 아니라 금속, 상아, 뼈, 동물의 이빨, 그리고 아마도 노예들로부터 얻은 인간의 이빨로 만들어졌다.[40][41][42] 치과 문제는 그에게 끊임없는 고통을 안겨주었고, 아편으로 치료했다.
워싱턴은 재능 있는 기수였다. 제퍼슨은 그를 "그 시대 최고의 기수"라고 묘사했다. 마운트 버논에서 경주마를 수집했는데, 애마는 블루스킨과 넬슨이었다. 사냥을 즐겼고, 훌륭한 댄서로 자주 극장에 다녔다. 적당히 술을 마셨지만 과음, 흡연, 도박, 욕설에는 도덕적으로 반대했다.
워싱턴이 도망치려는 노예를 발견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워싱턴이 어렸을 때, 도망치는 노예에게 작은 배를 주었는데, 노예는 워싱턴이 농장주에게 알릴 것이라고 생각해 그를 강 중간의 섬에 두고 가려 했다. 워싱턴은 “내가 당신을 도망치게 하면 내가 책임을 져야 합니다. 저는 막지 않을 테니 여기서부터 스스로 건너편까지 헤엄쳐 가십시오. 저는 아무에게도 말하지 않겠습니다.”라고 말하고, 도망치게 했다고 한다.
9. 철학과 견해
워싱턴은 성공회 신자였으며, 버지니아의 페어팩스 패리시와 트루로 패리시에서 20년 이상 성직자이자 교회 관리인으로 봉직했다.[32] 그는 매일 개인적으로 기도하고 성경을 읽었으며, 공개적으로 기도를 장려했다.[32] 섭리, 창조주, 전능하신 분, 신성한 저자와 같은 미국 계몽주의 용어로 하나님을 언급했다.[32] 그는 전장을 지켜보고, 전쟁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고, 그의 생명을 보호하며, 미국 정치, 특히 미국의 건국에 관여하는 신성한 힘을 믿었다.[32]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워싱턴은 주요 종파들을 인정하고, 종교적 관용에 대한 연설을 했고, 국교에 반대했다.[32] 그는 계몽주의 사상, 가치관, 사고방식에 뚜렷이 뿌리를 두고 있었지만,[32] 조직화된 기독교와 그 성직자들을 경멸하지 않았다.[32] 1793년 볼티모어의 신교회 회원들에게 한 연설에서 "이 땅에서 진리와 이성의 빛이 광신과 미신의 권력을 극복했다는 사실을 기뻐할 충분한 이유가 있다"고 말했다.
프리메이슨은 18세기 후반에 널리 받아들여진 기관으로, 도덕적 가르침을 옹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33] 워싱턴은 프리메이슨의 합리성, 이성, 형제애라는 계몽주의 원칙에 매료되었다. 1752년 버지니아주 프레데릭스버그에 프리메이슨 로지가 설립되었고, 워싱턴은 20세의 나이에 그 최초의 입문자 중 한 명이 되었다. 1년 만에 그는 마스터 메이슨이 되었다.[33] 워싱턴은 프리메이슨 조직을 높이 평가했지만, 그의 로지 참석은 산발적이었다.[33]
9. 1. 노예 제도
워싱턴은 평생 동안 노예를 소유했으며, 노예 제도에 대한 그의 입장은 복잡했다. 그는 노예 상속, 구매, 그리고 아내 마사와의 결혼을 통해 노예를 소유하게 되었다. 워싱턴은 버지니아 식민지 경제와 사회 구조에 깊이 뿌리내린 노예 제도에 대한 관점을 처음에는 대부분의 버지니아 농장주들과 공유했다.[26]1760년대부터 워싱턴은 점차 노예 제도에 반대하는 입장으로 변해갔다. 그는 담배에서 곡물 작물로 전환하면서 많은 노예를 부담하게 되었고, 이는 노예 제도의 경제적 효율성에 대한 의문으로 이어졌다. 1778년 런드 워싱턴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는 "흑인들을 없애고 싶다"고 밝혔다. 또한 혁명의 원칙과 라파예트, 알렉산더 해밀턴과 같은 혁명가 친구들의 영향으로 노예 제도에 대한 환멸을 느끼게 되었다.
대부분의 역사가들은 혁명이 워싱턴의 노예 제도에 대한 태도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데 동의한다. 그는 1783년 이후 노예 문제에 대한 내면의 갈등을 더 자주 표현했지만, 항상 비밀리에 했다. 대통령으로서 그는 노예 제도 문제에 대해 공개적으로 침묵했는데, 이는 국가적으로 분열적인 문제로 연합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워싱턴은 1785년 저명한 감리교도인 토마스 코크와 프랜시스 애즈버리에게 해방에 대한 지지를 사적으로 표명했지만, 그들의 청원에 서명하지는 않았다. 다음 해 개인 서신에서 그는 점진적인 입법 과정을 통해 노예 제도가 종식되기를 바란다는 희망을 밝혔다.

워싱턴은 혁명 시대에 노예를 해방한 소수의 대규모 노예 소유 버지니아인 중 한 명이었다.[28] 그러나 그는 자신의 농장을 운영하기 위해 노예 노동에 의존했다. 그는 전쟁 후 노예 구입을 줄였지만, 소수의 노예는 계속 구입했다.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워싱턴은 노예 몇 명을 연방 수도로 데려왔다. 1791년 수도가 뉴욕에서 필라델피아로 옮겨지자, 그는 펜실베이니아의 노예 제도 폐지법을 우회하기 위해 노예들을 정기적으로 순환시켰다.[29] 1796년 마사의 개인 노예였던 오니 저지가 도망쳤고, 워싱턴은 그녀를 체포하려 했지만 실패했다. 1797년에는 워싱턴의 개인 노예였던 허큘리스 포지가 도망쳤다.
1799년까지 마운트 버넌의 노예 인구는 317명에 달했다. 워싱턴은 124명의 노예를 소유하고, 40명을 임대하고, 그의 아내의 지참금으로 153명을 소유하고 있었다.[30] 워싱턴은 너무 어리거나 늙은 노예들을 부양했고, 이로 인해 농장은 손실을 보게 되었다.
워싱턴은 그의 유언에서 오랜 세월 그의 시종을 맡았던 빌리 리를 해방시키고, 마사가 사망하면 개인적으로 소유한 나머지 노예들을 전부 해방시켰다.[31] 1801년, 조지 워싱턴 사후 1년 후, 마사 워싱턴은 그의 노예들을 해방시키는 명령서에 서명했다.
9. 2. 종교와 영성
워싱턴은 잉글랜드 교회와의 갈등으로 인해 미국으로 이주한 성공회 목사 로렌스 워싱턴의 후손이다.[32] 1732년 4월 유아 세례를 받고 성공회 신자가 되었다.[32] 그는 버지니아의 페어팩스 패리시와 트루로 패리시에서 20년 이상 성직자이자 교회 관리인으로 봉직했다.[32] 그는 매일 개인적으로 기도하고 성경을 읽었으며, 공개적으로 기도를 장려했다.[32] 혁명 전에는 정기적으로 성찬을 받았을 수도 있지만, 그 후에는 그렇게 하지 않았다.[32]워싱턴은 미국 계몽주의 용어로 하나님을 언급했는데, ''섭리'', ''창조주'', ''전능하신 분'', ''신성한 저자'' 등이 그것이다.[32] 그는 전장을 지켜보고, 전쟁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고, 그의 생명을 보호하며, 미국 정치, 특히 미국의 건국에 관여하는 신성한 힘을 믿었다.[32] 역사학자 론 체르노는 워싱턴이 복음주의적 기독교나 지옥불과 유황에 대한 설교, 성찬식, 또는 "그의 종교심을 과시하는" 어떤 것도 피했다고 주장하며, 그가 "결코 자신의 종교를 당파적인 목적이나 공식적인 일에 이용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동시에 워싱턴은 성경에서 자주 인용하거나 요약했고, 종종 성공회의 ''공동기도서''를 언급했다.[32]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워싱턴은 주요 종파들을 인정하고, 종교적 관용에 대한 연설을 했고, 국교에 반대했다.[32] 그는 계몽주의의 사상, 가치관, 사고방식에 뚜렷이 뿌리를 두고 있었지만,[32] 조직화된 기독교와 그 성직자들을 경멸하지 않았다.[32] 1793년 볼티모어의 신교회 회원들에게 한 연설에서 워싱턴은 "이 땅에서 진리와 이성의 빛이 광신과 미신의 권력을 극복했다는 사실을 기뻐할 충분한 이유가 있다"고 말했다.
프리메이슨은 18세기 후반에 널리 받아들여진 기관으로, 도덕적 가르침을 옹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33] 워싱턴은 프리메이슨의 합리성, 이성, 형제애라는 계몽주의 원칙에 대한 헌신에 매료되었다. 미국의 프리메이슨 로지는 논란이 많은 유럽 로지의 반교권적인 견해를 공유하지 않았다.[33] 1752년 9월 버지니아주 프레데릭스버그에 프리메이슨 로지가 설립되었고, 워싱턴은 두 달 후 20세의 나이에 그 최초의 입문자 중 한 명이 되었다. 1년 만에 그는 계급을 통해 마스터 메이슨이 되었다. 워싱턴은 프리메이슨 조직을 높이 평가했지만, 그의 로지 참석은 산발적이었다. 1777년 버지니아 로지의 회의에서 그에게 새로 설립된 버지니아 그랜드 로지의 그랜드 마스터가 될 것을 요청했지만, 그는 대륙군을 이끄는 그의 의무 때문에 거절했다. 1782년 이후 그는 프리메이슨 로지와 회원들과 자주 서신을 교환했으며,[33] 1788-89년 알렉산드리아 프리메이슨 로지 22호의 헌장 마스터로 활동했다.[34]
10. 유산
조지 워싱턴은 대륙군 총사령관, 혁명 영웅, 미국의 초대 대통령으로서 미국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한 명으로 꼽힌다.[3] 헨리 리 3세는 그를 "전쟁에서 첫째, 평화에서 첫째, 그리고 동포들의 마음속에서 첫째"라고 칭송했다.[3] 여러 여론조사에서도 워싱턴은 꾸준히 최고 순위의 대통령 중 한 명으로 꼽힌다.[43][44]
그는 명석한 판단력과 탁월한 지도력으로 다른 사람을 이끄는 데 훌륭한 능력을 지녔다. 이러한 성격으로 온갖 악조건 속에서도 영국과의 독립전쟁에서 승리하여 미국의 독립을 이루었다. 또한, 대통령제를 한 번도 겪어보지 않은 미국에서 행정부 수반인 대통령직을 구체화하고 '고별사'를 발표하여 떠나는 때를 아는 지도자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워싱턴은 식민지 제국에 대한 최초의 성공적인 혁명의 지도자로서 해방과 민족주의의 국제적인 상징이 되었다.[45] 1781년 1월 31일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으며, 1879년 의회는 워싱턴의 생일을 연방 공휴일로 선포했다.[46] 1976년 미국 200주년 기념 기간 동안 미국 육군 대장으로 추서되었고,[47] 1978년 3월 13일 육군 대장 계급으로 진급했다.[47]
1809년, 메이슨 로크 위임스는 워싱턴을 기리기 위해 영웅담적인 전기를 썼다. 역사가 론 체르노는 위임스가 워싱턴을 더 엄격하지 않게 보이도록 인간화하려 했고, "애국심과 도덕성"을 고취시키며, 워싱턴이 아버지의 체리 나무를 손상시킨 것에 대해 거짓말을 하지 않으려 했던 것과 같은 "지속적인 신화"를 조성하려 했다고 주장한다.[48]
워싱턴 D.C. 수도와 워싱턴주(Washington)를 포함하여 많은 장소와 기념물이 워싱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51] 1885년 2월 21일, 워싱턴 D.C. 내셔널 몰에 워싱턴 기념탑이 헌정되었다.[52]
워싱턴은 사우스다코타주 러시모어 산의 '민주주의 신전'에 미국 대통령 4명 중 한 명으로 등장한다.[53] 조지 워싱턴 다리는 수석 토목기사 오스마 암만이 설계했으며 뉴잉글랜드와 중대서양 연안 주들을 연결하는 주요 통로이다.[54] 조지 워싱턴 대학교와 세인트루이스 워싱턴 대학교를 포함하여 워싱턴을 기리는 많은 중등학교 및 대학교가 있다.[55][56]
워싱턴은 1달러 지폐, 대통령 1달러 주화, 25센트 주화(워싱턴 쿼터)를 포함한 현대 미국 화폐에 등장한다. 워싱턴과 벤자민 프랭클린은 1847년 미국 최초의 우표에 등장했으며, 이후 워싱턴은 다른 어떤 사람보다 더 많은 우표에 등장했다.[57]
10. 1. 비판적 시각
워싱턴은 부유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그의 재산은 대부분 토지와 노예 형태였고 현금은 부족했다.[20] 그는 수입을 보충하기 위해 위스키 증류소를 세웠다.[21] 그는 연방 도시 주변의 토지를 매입하여 중산층 투자자들에게 판매하려 했으나, 사망 당시 그의 재산은 1799년 기준 약 78만달러 (현재 가치로 백만 달러)로 추산되었다.[20]워싱턴은 노예 소유에 대한 비판을 받았다. 그는 노예제 폐지를 바라기는 했지만, 이를 위한 어떠한 계획도 시작하거나 지지하지 않았다. 이로 인해 공공 건물과 장소에서 그의 이름을 제거하고 동상을 철거하라는 요구가 있었다.[50]
워싱턴은 흑인 노예 소유 외에도, 아메리카 원주민인 인디언을 인간으로 대하지 않았다는 비판을 받는다. 그는 프랑스-인디언 전쟁에서 영국 식민지 군대가 인디언 부족들과 동맹을 맺고 프랑스군과 싸우게 했으며, 프랑스 편에 선 인디언 부족과 서로 죽이는 싸움을 하게 만들었다. 워싱턴은 인디언을 '''"맹수(beasts of prey)"'''라고 불렀고, 대통령 취임 후에는 이들을 식민의 장애물로 여기고 "뉴잉글랜드 일대의 인디언 부족을 절멸시키도록" 장관에게 명령했다.[96]
미국 인디언 운동(AIM)과 같은 인디언 권리 단체들은 워싱턴을 비판했다. AIM 대변인 러셀 미인스는 워싱턴이 아메리카 인디언과의 조약을 지키지 않기 위해 영국과의 관계를 끊고 서반구를 침략하여 땅을 빼앗았다고 주장했다.[97]
참조
[1]
잡지
The history of the calendar
https://www.historye[...]
2014-01-01
[2]
웹사이트
George Washington's Professional Surveys
https://founders.arc[...]
U.S. National Archives
[3]
백과사전
Washington, George
2000-02-01
[4]
잡지
When Young George Washington Started a War
https://www.smithson[...]
2019-10-01
[5]
웹사이트
Commission from the Continental Congress, 19 June 1775
https://founders.arc[...]
National Historical Publications and Records Commission (The U.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6]
웹사이트
Black Soldiers in the Revolutionary War
https://www.army.mil[...]
U.S. Army
2013-03-04
[7]
웹사이트
Instructions from the Continental Congress, 22 June 1775
https://founders.arc[...]
National Historical Publications and Records Commission (The U.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8]
잡지
Winter of Discontent
https://www.smithson[...]
2003-05-01
[9]
잡지
The Prussian Nobleman Who Helped Save the American Revolution
https://www.smithson[...]
2017-04-26
[10]
웹사이트
Letter to Continental Army, November 2, 1783, Farewell Orders; Letter to Henry Knox, November 2, 1783
http://memory.loc.go[...]
Library of Congress
[11]
웹사이트
The Moment of Truth
https://www.theatlan[...]
The Atlantic
2024-10-09
[12]
잡지
George Washington Saw a Future for America: Mules
https://www.smithson[...]
2020-02-12
[13]
웹사이트
The Debates in the Several State Conventions: Vols. I-V
https://oll.libertyf[...]
Published by editor
[14]
웹사이트
Duties and History
https://www.wm.edu/a[...]
College of William & Mary
[15]
웹사이트
George Washington to Samuel Griffin, April 30, 1788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1788-04-30
[16]
웹사이트
April 1789
https://founders.arc[...]
National Historical Publications and Records Commission (The U.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17]
웹사이트
Judiciary Act of 1789
https://archivesfoun[...]
National Archives Foundation
[18]
웹사이트
Native American Policy
http://www.mountvern[...]
George Washington's Mount Vernon
[19]
웹사이트
George Washington's Farewell Address
https://www.mountver[...]
Mount Vernon Ladies' Association
[20]
뉴스
From Washington to Trump: This is the net worth of every American president
https://www.usatoday[...]
2020-11-05
[21]
웹사이트
The Pursuit of Land
https://lehrmaninsti[...]
The Lehrman Institute
2021-06-22
[22]
웹사이트
The Death of George Washington
https://www.mountver[...]
Mount Vernon Ladies' Association
[23]
웹사이트
Death Defied
https://www.mountver[...]
Mount Vernon Ladies' Association
[24]
웹사이트
George Washington's Terminal Illness: A Modern Medical Analysis of the Last Illness and Death of George Washington
https://washingtonpa[...]
University of Virginia
[25]
웹사이트
The Tomb
http://www.mountvern[...]
Mount Vernon Ladies' Association
[26]
웹사이트
The Growth of Mount Vernon's Enslaved Community
https://www.mountver[...]
Mount Vernon Ladies' Association
[27]
웹사이트
William Lee & Oney Judge: A Look at George Washington & Slavery
https://allthingslib[...]
2014-06-19
[28]
웹사이트
A Decision to Free His Slaves
https://www.mountver[...]
Mount Vernon Ladies' Association
[29]
잡지
George Washington Used Legal Loopholes to Avoid Freeing His Slaves
https://www.smithson[...]
2015-02-16
[30]
웹사이트
Ten Facts About Washington & Slavery
http://www.mountvern[...]
Mount Vernon Ladies' Association
[31]
웹사이트
George Washington's Last Will and Testament
https://founders.arc[...]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1799-07-07
[32]
웹사이트
George Washington and Religion
https://www.mountver[...]
Mount Vernon Ladies' Association
[33]
웹사이트
Freemasonry
https://www.mountver[...]
Mount Vernon Ladies' Association
[34]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https://gwmemorial.o[...]
The George Washington Masonic National Memorial Association
[35]
잡지
The Father of the Nation, George Washington Was Also a Doting Dad to His Family
https://www.smithson[...]
2020-06-20
[36]
웹사이트
West Ford
https://www.mountver[...]
Mount Vernon Ladies' Association
2021-10-09
[37]
잡지
Did George Washington Have an Enslaved Son?
https://www.newyorke[...]
2022-03-07
[38]
웹사이트
Founders Online: From George Washington to Charles Lawrence, 20 June 1768
http://founders.arch[...]
2023-01-21
[39]
잡지
How George Washington Did His Hair
https://www.smithson[...]
2015-06-09
[40]
잡지
George Washington Didn't Have Wooden Teeth — They Were Ivory
https://www.smithson[...]
2014-11-07
[41]
웹사이트
George Washington's false teeth not wooden
https://www.nbcnews.[...]
2005-01-27
[42]
웹사이트
Wooden Teeth Myth
https://www.mountver[...]
Mount Vernon Ladies' Association
[43]
웹사이트
Siena's 6th Presidential Expert Poll 1982–2018
https://scri.siena.e[...]
[44]
웹사이트
George Washington
https://www.c-span.o[...]
[45]
웹사이트
To George Washington from Joseph Willard, 28 February 1781
https://founders.arc[...]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1781-02-28
[46]
웹사이트
How Many U.S. Army Five-star Generals Have There Been and Who Were They?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47]
잡지
Washington is Now No. 1: The Story Behind a Promotion
https://books.google[...]
1978-06
[48]
뉴스
Life, Literature and the Pursuit of Happiness
https://www.nytimes.[...]
1999-07-04
[49]
웹사이트
Sitting down with author and historian Colin G. Calloway
https://blog.oup.com[...]
Oxford University Press
2018-10-18
[50]
웹사이트
If Americans Grappled Honestly With Their History, Would Any Monuments Be Left Standing
https://foreignpolic[...]
2020-06-24
[51]
웹사이트
George Washington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23-07-04
[52]
웹사이트
Washington Monument
https://www.nps.gov/[...]
[53]
웹사이트
Mount Rushmore National Memorial
https://www.nps.gov/[...]
[54]
뉴스
Allston Dana Is Engineer of Design for the Ft. Lee Bridge
https://news.hrvh.or[...]
Scarsdale Women's Club Publications
1927-12-27
[55]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GW
https://library.gwu.[...]
[56]
웹사이트
History and Traditions
https://wustl.edu/ab[...]
[57]
웹사이트
Commemorating George Washington
https://postalmuseum[...]
Smithsonian Institution
[58]
웹사이트
George Washington president of United States
https://www.britanni[...]
[59]
웹사이트
Founders Online: To George Washington from Adam Stephen, 23 December 1755
http://founders.arch[...]
2021-05-29
[60]
웹사이트
The Father of the Nation, George Washington Was Also a Doting Dad to His Family
https://www.smithson[...]
2021-10-01
[61]
서적
米国憲法の由来及特質
https://dl.ndl.go.jp[...]
有斐閣
1918
[62]
간행물
ボストンの「自由の足跡」: ある報告
https://hdl.handle.n[...]
金沢大学法文学部
1963-03-30
[63]
웹사이트
famous kin chart
https://famouskin.co[...]
[64]
웹사이트
Washington As Public Land Surveyor: Boyhood and Beginnings
http://memory.loc.go[...]
Library of Congress
2007-05-17
[65]
웹사이트
GEORGE WASHINGTON
http://www.pagrandlo[...]
The Grand Lodge of Free and Accepted Masons of Pennsylvania
2013-05-03
[66]
웹사이트
George Washington: Making of a Military Leader
http://memory.loc.go[...]
Library of Congress
2007-05-17
[67]
서적
The Life of George Washington
http://books.google.[...]
Ferdinand Andrews
1839
[68]
서적
His Excellency: George Washington
2004
[69]
서적
George Washington: The Virginia Period, 1732-1775; For King and Country: The Maturing of George Washington, 1748-1760
1964; 1992
[70]
논문
George Washington’s infertility: Why was the father of our country never a father?
http://www.asrm.org/[...]
2004-03
[71]
서적
His Excellency, George Washington
[72]
서적
The Writings of George Washington from the Original Manuscript Sources, 1745-1799
[73]
서적
[74]
간행물
The Supply of Gunpowder in 1776
1925-01-01
[75]
간행물
Sympathizing with Sedition? George Washington, the British Press, and British Attitudes During the American War of Independence
http://historycooper[...]
2002
[76]
서적
Washington's Secret War: the Hidden History of Valley Forge
Smithsonian Books
2005
[77]
서적
American Holocaust: The Conquest of the New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1992
[78]
영화
Assume the Position with Mr. Wuhl
HBO Films
2006
[79]
웹사이트
George Washington Papers at the Library of Congress, 1741-1799: Series 3b Varick Transcripts
http://memory.loc.go[...]
2006-05-22
[80]
서적
American Holocaust: The Conquest of the New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1992
[81]
서적
The Federalists: A Study in Administrative History
1948
[82]
웹사이트
The Whiskey Rebellion
http://www.ttb.gov/p[...]
United States Alcohol and Tobacco Tax and Trade Bureau
2007-10-19
[83]
서적
The Command of its own Fortunes: Reconsidering Washington's Farewell address
2001
[84]
웹사이트
Religion and the Federal Government
http://www.loc.gov/e[...]
2007-05-17
[85]
웹사이트
http://www2.potsdam.[...]
[86]
뉴스
George Washington, Whiskey Entrepreneur
The Wall Street Journal
2007-02-20
[87]
법률
Public Law 94-479
1976-10-11
[88]
문서
Orders 31-3
[89]
서적
トリビアの泉〜へぇの本〜 5
講談社
2004
[90]
웹사이트
Did George Washington’s false teeth come from his slaves?: A look at the evidence, the responses to that evidence, and the limitations of history
2016-10-19
[91]
웹사이트
The height differences between all the US presidents and first ladies
https://www.business[...]
[92]
서적
トリビアの泉〜へぇの本〜 6
講談社
2004
[93]
서적
[94]
서적
[95]
서적
That Species of Property
[96]
서적
THE INDIANS
TIMELIFE
1976
[97]
뉴스
Breaking the silence on Obama
2009-01-20
[98]
영상
Ron Chernow on George Washington
http://constitutionc[...]
2010-10-18
[99]
서적
있는 그대로의 미국사 1
휴머니스트
2005
[100]
서적
이야기 미국사
청아출판사
2002-02-16
[101]
웹사이트
[식색성야(食色性也) 남자의 허리 아랫부분은 말하지 말라? (1)]
http://sports.hankoo[...]
[102]
서적
미국 대통령의 정치적 리더쉽 변화
2002
[103]
웹사이트
Washington and the Whiskey Rebellion
http://edsitement.ne[...]
[104]
서적
있는 그대로의 미국사 1
휴머니스트
2005
[105]
서적
이야기 미국사
청아출판사
2002-02-16
[106]
서적
이야기 미국사
청아출판사
2002-02-16
[107]
서적
이야기 미국사
청아출판사
2002-02-16
[108]
웹사이트
Alliance
Navy Department, Naval History and Heritage Command
2009-08-31
[109]
서적
The Naval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P. F. Collier
[110]
웹인용
US Coast Guard A Historical Overview
http://www.uscg.mil/[...]
United States Coast Guard
2009-08-29
[111]
서적
[112]
서적
[113]
서적
[114]
서적
The Naval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P. F. Collier
[115]
서적
해적의 세계사
AK커뮤니케이션즈
[116]
서적
해적의 세계사
AK커뮤니케이션즈
[117]
서적
해적의 세계사
AK커뮤니케이션즈
[118]
서적
해적의 세계사
AK커뮤니케이션즈
[119]
웹사이트
Launching the New U.S. Navy
https://www.archives[...]
2018-11-26
[120]
뉴스
Launching the New U.S. Navy
https://www.archives[...]
2016-08-15
[121]
서적
있는 그대로의 미국사 1
휴머니스트
2005
[122]
서적
해적의 세계사
AK커뮤니케이션즈
[123]
서적
해적의 세계사
AK커뮤니케이션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