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버트 플로이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버트 플로이드는 컴퓨터 과학 분야에 기여한 미국의 컴퓨터 과학자이다. 14세에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7세에 시카고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받은 그는 일리노이 공과대학교에서 근무하며 컴파일러, 프로그래밍 언어 의미론, 알고리즘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했다. 플로이드는 연산자 우선순위 문법의 선구자였으며, 1978년 튜링상을 수상했다. 또한, 도널드 커누스와 협력하여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예술》의 주요 검토자로 참여했으며, 《기계의 언어: 계산 가능성과 형식 언어 소개》를 저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네기 멜런 대학교 교수 - 허버트 사이먼
    허버트 사이먼은 제한된 합리성 개념을 제시하고 조직 내 의사결정 과정을 연구하여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경제학자, 인지심리학자, 컴퓨터 과학자이자 철학자이며, 인공지능 분야 초기 연구에 기여했고 카네기 멜론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인지과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카네기 멜런 대학교 교수 - 제프리 힌턴
    제프리 힌턴은 심층 신경망 연구의 선구자로서, 역전파 알고리즘 개선 및 효과적인 학습 방법 개발에 기여하여 튜링상을 수상하고 볼츠만 머신 공동 발명, t-SNE 시각화 기법 개발 등 다양한 신경망 연구에 기여했으며, AI 위험성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구글을 퇴사하고 존 호프필드와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인지 심리학자이자 컴퓨터 과학자이다.
  • 튜링상 수상자 - 얀 르쿤
    프랑스 컴퓨터 과학자 얀 르쿤은 딥 러닝 분야의 선구자로서 합성곱 신경망을 제안하여 이미지 인식 발전에 기여했고, 뉴욕 대학교 교수이자 메타 AI 연구소 초대 소장을 역임했으며, 제프리 힌턴, 요슈아 벤지오와 함께 튜링상을 공동 수상했다.
  • 튜링상 수상자 - 마빈 민스키
    마빈 민스키는 인지 과학자이자 인공지능 연구의 선구자이며, MIT 교수로 재직하며 MIT 컴퓨터과학·인공지능연구소를 설립하고, 헤드 마운트형 그래픽 디스플레이 발명, 로고 프로그래밍 언어 개발 등의 업적을 남겼다.
  • ACM 석학회원 - 존 매카시 (컴퓨터 과학자)
    존 매카시는 LISP 프로그래밍 언어를 개발하고 '인공지능'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는 데 기여한 인공지능 분야의 선구적인 컴퓨터 과학자로서, 가비지 컬렉션 기법 발명, 유틸리티 컴퓨팅 개념 제시 등 컴퓨터 과학 발전에 혁신적인 공헌을 했다.
  • ACM 석학회원 - 레이 커즈와일
    레이 커즈와일은 광학 문자 인식, 음성 합성, 음악 합성 분야에서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하고 기술적 특이점 이론으로 알려진 미래학자이자 발명가, 작가, 기업가이다.
로버트 플로이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로버트 W. 플로이드
플로이드 (1970년대)
출생 이름로버트 윌러비 플로이드
출생일1936년 6월 8일
출생지뉴욕 시, 뉴욕, 미국
사망일2001년 9월 25일 (65세)
사망지스탠퍼드, 캘리포니아 주, 미국
국적미국
분야컴퓨터 과학
직장일리노이 공과대학교
카네기 멜론 대학교
스탠퍼드 대학교
학력시카고 대학교 (BA, BA)
배우자Jana M. Mason
Christiane Floyd (결혼 전 성 Riedl)
자녀4명
연구 활동
박사 지도 학생제이 얼리
조하르 만나
데이비드 플레이스테드
로널드 리베스트
로버트 타잔
알려진 업적플로이드-워셜 알고리즘
플로이드-스타인버그 디더링
플로이드 순환 찾기 알고리즘
플로이드의 삼각형
ALGOL
수상
수상튜링상 (1978년)
컴퓨터 파이오니어 상 (1991년)

2. 생애

뉴욕에서 태어난 로버트 플로이드는 14세에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그는 시카고 대학교에서 1953년(당시 17세)에 인문학으로 문학사(B.A.)를, 1958년에는 물리학으로 두 번째 학사 학위를 받았다.[2]

1950년대에 일리노이 공과대학의 아머 연구 재단(현재 IIT 연구소)의 직원이 되었다. 1960년대 초에는 컴퓨터 운영자가 되었고, 컴파일러(특히 파싱)를 포함한 많은 논문을 발표하기 시작했다. 그는 연산자 우선순위 문법의 선구자였으며, 프로그래밍 언어 의미론 분야를 시작한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 27세에 카네기 멜론 대학교의 부교수로 임명되었고, 6년 후 스탠퍼드 대학교의 정교수가 되었다. 그는 철학 박사(Ph.D.) 학위 없이 이 자리에 올랐다.

플로이드는 "효율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작성 기법에 대한 명확한 기여에 대해, 그리고 구문 분석 이론, 프로그래밍 언어의 형식 의미론, 자동 프로그램 검증, 자동 프로그램 합성, 알고리즘 분석과 같은 정보 공학의 하위 분야 개척에 대한 중요한 기여"로 1978년 튜링상을 수상했다.[6]

도널드 커누스와 긴밀하게 협력했으며, 특히 커누스의 대표적인 저서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예술''의 주요 검토자였고, 해당 저서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인물이다. 리처드 베이젤과 함께 교재 ''기계의 언어: 계산 가능성과 형식 언어 입문''의 공동 저자였다.[7] 플로이드는 7명의 박사 졸업생을 지도했다.

두 번 결혼하고 이혼했는데, 첫 번째는 자나 M. 메이슨과, 두 번째는 컴퓨터 과학자 크리스티안 플로이드와 했으며, 4명의 자녀를 두었다. 그는 말년에 픽병이라는 신경 퇴행성 질환으로 고생했으며, 1994년에 조기 은퇴했다.[6] 그의 취미는 등산이었으며, 열렬한 백개먼 선수였다.

3. 학문적 업적 및 공헌

로버트 플로이드는 컴파일러 (특히 파싱) 분야에서 많은 논문을 발표했으며, 연산자 우선순위 문법의 선구자였다. 1967년 응용 수학 심포지엄 회보에 실린 〈Assigning Meaning to Programs|프로그램에 의미 부여하기영어〉 논문[1]을 통해 프로그래밍 언어 의미론 분야를 개척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1978년 튜링상을 수상했는데, 그 이유는 "효율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에 명확한 영향을 미쳤으며, 파싱 이론, 프로그래밍 언어 의미론, 자동 프로그램 검증, 자동 프로그램 합성, 알고리즘 분석과 같은 컴퓨터 과학의 중요한 하위 분야를 개척하는 데 기여했기 때문"이다.[6]

국제 정보 처리 연맹 (IFIP) IFIP 실무 그룹 2.1의 회원이기도 했던 플로이드는 알골 60과 알골 68 프로그래밍 언어를 명세하고 유지하는 데 기여했다.[3][4]

도널드 커누스와 긴밀하게 협력했으며, 특히 커누스의 대표적인 저서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예술''의 주요 검토자였고, 해당 저서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인물이기도 하다. 리처드 베이젤과 함께 교재 ''기계의 언어: 계산 가능성과 형식 언어 입문''을 공동 저술했다.[7]

3. 1. 파싱 이론

로버트 W. 플로이드는 1967년 《컴퓨터 과학의 수학적 측면》에 〈프로그램에 의미 부여하기〉 논문을 발표했다.[1] 이 논문은 미국 수학회에서 출판되었으며, 19~32쪽에 수록되었다.[1]

1994년에는 리처드 베이글과 함께 《기계의 언어: 계산 가능성과 형식 언어 소개》를 썼다.[2] 이 책은 뉴욕의 W H 프리먼 & 컴퍼니에서 출판되었으며, ISBN은 978-0-7167-8266-7이다.[2]

3. 2. 프로그래밍 언어 의미론

로버트 플로이드는 1967년 "프로그램에 의미 부여하기"라는 논문을 발표했다.[1] 이 논문은 미국 수학회에서 출판한 응용 수학 심포지엄 회보 19권, 《컴퓨터 과학의 수학적 측면》에 수록되었다.[1]

Assigning Meanings to Programs|프로그램에 의미 부여하기영어[1]

Mathematical Aspects of Computer Science|컴퓨터 과학의 수학적 측면영어[1]

Proceedings of Symposia in Applied Mathematics|응용 수학 심포지엄 회보영어[1]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미국 수학회영어[1]

3. 3. 자동 프로그램 검증

Robert W. Floyd영어는 1967년 《응용수학 심포지엄 회보》에 실린 〈프로그램에 의미 부여하기〉[1]라는 논문에서 프로그램의 의미를 정의하는 데 대한 초기 접근 방식을 제시하였다.[7]

3. 4. 자동 프로그램 합성

로버트 플로이드는 프로그램의 의미를 분석하고 검증하기 위한 초기 연구를 수행했다. 1967년, 그는 〈프로그램에 의미 부여하기〉라는 논문을 발표했다.[1] 이 논문에서 플로이드는 순서도(flowchart)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의 의미를 정의하고, 각 단계에서 프로그램의 상태를 나타내는 논리적 주장을 연결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이는 프로그램의 정확성을 증명하기 위한 중요한 초기 단계로 평가받는다.

플로이드는 도널드 크누스와 함께 보스-넬슨 정렬 문제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으며,[2] 앨런 J. 스미스와 함께 선형 시간 2-테이프 병합에 대한 연구도 진행했다.[3] 1979년에는 〈프로그래밍의 패러다임〉이라는 논문을 통해 프로그래밍 방법론에 대한 통찰력을 제시했다.[4]

또한 플로이드는 제프리 D. 울만과 함께 정규 표현식을 집적 회로로 컴파일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고,[5] 리처드 베이글과 함께 《기계의 언어: 계산 가능성과 형식 언어 소개》라는 책을 저술했다.[6]

3. 5. 알고리즘 분석

로버트 플로이드는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긴 학자이다. 1967년, "프로그램에 의미 부여하기"라는 논문을 발표했다.[1] 이 논문은 프로그램의 의미를 수학적으로 정의하는 방법을 제시하여, 프로그램 검증 분야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플로이드는 도널드 크누스와 함께 보스-넬슨 정렬 문제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으며,[2] 1972년에는 앨런 J. 스미스와 함께 선형 시간 2-테이프 병합에 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3]

1979년, 플로이드는 "프로그래밍의 패러다임"이라는 논문을 통해 프로그래밍 언어 설계에 대한 자신의 철학을 제시했다.[4] 이 논문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을 소개하고, 각 패러다임의 장단점을 분석하여 프로그래밍 언어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80년에는 제프리 D. 울만과 함께 정규 표현식을 집적 회로로 컴파일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5] 이 연구는 정규 표현식의 효율적인 구현에 기여했다.

1994년에는 리처드 베이글과 함께 《기계의 언어: 계산 가능성과 형식 언어 소개》라는 책을 출간했다.[6] 이 책은 계산 가능성 이론과 형식 언어 이론을 종합적으로 다루어 컴퓨터 과학 교육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4. 튜링상 수상

구문 분석 이론, 프로그래밍 언어의 형식 의미론, 자동 프로그램 검증, 자동 프로그램 합성, 알고리즘 분석과 같은 정보 공학의 하위 분야 개척에 대한 중요한 기여와 효율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작성 기법에 대한 명확한 기여에 대해 1978년 튜링상을 수상했다.[6]

5. 주요 저서








  • R.W. 플로이드, "[http://www.cs.virginia.edu/~weimer/2007-615/reading/FloydMeaning.pdf 프로그램에 의미 할당]", 《응용수학 심포지엄 회보》, Vol. 19, J.T. 슈바르츠 (편집), A.M.S., 1967, pp. 19–32

6. 같이 보기

참조

[1] 문서
[2] 문서 Stanford University Archives, Catalog SC 625, box 7
[3] 웹사이트 Profile of IFIP Working Group 2.1 https://ifipwg21wiki[...] 2016-08-17
[4] 웹사이트 ScopeEtc: IFIP21: Foswiki https://ifipwg21wiki[...] 2011-03-02
[5] 간행물 List of Members by Classes September 1, 1997
[6] 웹사이트 Robert W. Floyd https://amturing.acm[...] 1936-06-08
[7] 서적 The Language of Machines: an Introduction to Computability and Formal Languages W. H. Freeman and Company 1994
[8] 웹사이트 Tree of Robert Floyd's students for the Computer History Exhibits http://infolab.stanf[...] Stanford University
[9] 웹사이트 Lower Bounds and Progressive Algorithms https://rjlipton.wor[...] 2010-08-28
[10] 문서
[11] URL http://infolab.stanf[...]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